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 축제 방문자의 차문화 인식과 참여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보성다향제 방문자를 중심으로

        고정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국민건강과 정신문화의 중요한 축이 되는 차문화와 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차가 일반인들의 차와 차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문화 축제의 대표적 행사인 보성다향제의 방문자를 대상으로 녹차 음용실태, 다도에 대한 관심, 축제 참가 실태, 차에 대한 인식 변화 , 차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 축제 전반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14.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차음용실태는 평소 녹차는 85%이상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시는 횟수는 하루 1회가 제일 많았고, 녹차 음용을 늘일 생각이 90%이상이었다. 녹차효능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축제 참여자의 다도에 대한 관심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차 축제 참가실태로 축제 방문자가 참여한 체험행사 및 만족한 행사는 녹차 무료 시음이 가장 많았고 차 만들기, 차 잎 따기 순이었다. 넷째 축제를 통한 차에 대한 인식변화는 매우 긍정적으로 지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축제를 통한 차 문화에 대한 인식변화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음차에도 격식이 있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축제가 차 문화를 인식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축제전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차 문화 행사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차 만들기 경연대회, 차인들의 다례시연 순이었다. 보성다향제 방문자가 가장 만족한 행사 진행 부분은 축제 프로그램, 체험행사의 다양성이었고, 축제 발전 방안으로 든 것은 축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이 가장 많았고, 적극적인 축제 홍보, 축제 안내 및 서비스 강화 순이었다. 여섯째 응답자의 다도관심이 높을수록 축제에 대한 만족도 및 차축제 참가 후 차와 차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examined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whether the activation of local tea in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which is the important parts in public health and spiritual discipline. We surveyed and collected many kinds of data such as consuming behavior of tea, interests on tea custom, participation status of tea festival, various thoughts on tea and tea culture with all other evaluation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among them according to the social demographic changing factors for the visitors in Bosung Greentea Festival which is one of the famous tea festivals in Korea. SPSS 14.0 is applied to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more than 85 percent of people are habitually consuming green tea. Mostly they drink one time daily, and more than 90 percent of them want to take more than o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d positive thoughts on the effectiveness of green tea. Second, the festival participants showed very positive interests of tea culture, and female participants showed more interests than male participant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reas. Third, The visitors who attended the experiencing event said that the free drinking tea event was among the best, and the next is picking tea leaf based on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ea festival. Forth, th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ea is observed very positively. It is deeply understand that tasting tea has also its own established formalities and it is also known that the festival gives good opportunities to realize tea culture. Fifth, the results of other evaluations for the festival is also observed positively. Such as the contest of brewing tea is the most satisfying contents among the tea culture events, and the tea ceremony performance by tea experts is the next. The most satisfying process of the event by the visitors of Bosung Greentea Festival, is the diversity of the experiencing and trial events. And the main suggestions for leveling up the festival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estival program, the second one is to advertize the festival actively, and to enhance the festival information and service is followed for the next.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the higher interests of the respondents in tea custom, the greater satisfaction of tea festival and change of recognition in tea culture after attending the tea festival.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고정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자비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의존지향 및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대인관계문제 단축형 척도를 포함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05건의 자료를 SPSS 21.0과 Hayes(2018)의 The PROCESS macro 3.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측정변인들 간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문제는 변인들 간 서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고, 자기자비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문제와 각각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자비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자비(긍정적 하위요인/부정적 하위요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자비 긍정적 하위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자비 부정적 하위요인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의 원인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과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가 더 발생함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효과적인 상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적응적인 특성을 가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며 상담을 요청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자비 수준의 증진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상담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 청소년의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대인관계문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also, examined how covert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 2, and 3 in Ulsan. The SPSS 21 and The PROCESS macro 3.3 in Hayes(2018) programs were employed to analyze 705 cases of data collected. The main results are: First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 shows that the correlations among the main variables are positively significan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ppear to be static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hile self-compassion is found to be nega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ly, after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covert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found that covert narcissism has a ful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ly, after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elf-compassi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 it is found that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positive sub-factor/ negative sub-factor) are verified. The result shows that covert narcissism and the positive sub-factor of self-compass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vert narcissism and the negative sub-factor of self-compassion have a full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the need for parenting education are once again confirme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vert narcissism as the cause of interpersonal problems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higher the covert narcissism, the more interpersonal problems arise, the better the understanding of people who have a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will help to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And by ident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self-compassion with adaptive characteristics, we expect more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will be achieved by promoting the level of self-compassion among teenagers who complain about interpersonal problems and ask for counseling.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self-compassion among teenagers. Key Words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Interpersonal Problems

      •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 방안

        고정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면서 읽기 단계의 가장 상위 단계인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별 중심, 학생 개개인이 모두 중심이 되는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흔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요즘을 가리켜 정보화 시대, 정보의 범람 시대, 정보의 홍수 시대 등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런 현대사회에서 무엇보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개인이 직면하게 될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독서가 차지하는 위상은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다. 비판적 읽기 능력은 독서의 단계 중 가장 상위 단계이기도 하면서, 특히 세상에는 모순이나 오류가 없는 완전한 글은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독자가 반성적 회의로 글을 분석하여 글의 내용과 표현, 구조, 가치 등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능동적 읽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은 어떻게 구안하여, 어떤 절차로 적용되는가? 둘째,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소집단활동이 비판적 읽기 능력 면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이는가? 셋째,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소집단 활동이 읽기 태도 및 소설 흥미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가? Ⅱ장에서는 지식을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것으로 보는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원리와 바흐친의 의미의 사회적 구성을 살피고, 구성주의적 문학 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능력을 육성할 수 있음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읽기 교육의 원리에서는 비판적 읽기 교육의 개념과 성격, 비판적 읽기와 문학텍스트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토의망식 토론 활동을 통한 비판적 읽기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이와 같이 구안한 토의망식 토론 활동을 통한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경기 소재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 두 학급에게 적용한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실험 처치 결과를 T검증하여 제시하고 해석하였으며,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체계적인 학습자 토론 중심의 소집단 활동 프로그램으로 비판적 읽기 능력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구체적인 절차는 ‘배경 지식 활성화-텍스트 읽기-텍스트 이해 활동-토의망식 토론 활동-토론 결과 발표 활동’이다.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비판적 읽기 능력 면에서 의미 있는 활동임이 밝혀졌다. 비판적 읽기 능력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읽기 태도 면이나 소설 흥미도면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런 연구 결과를 볼 때,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키면서 독서나 소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토의망식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과 함께 비평문 쓰기 능력까지 접목 시킨다면 읽기와 쓰기가 통합된 의미 있는 교육이 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method to improve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with the discussion web.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make students choose the proper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is the highest level of reading. To improve this ability, small group activity and each student's participation were considerably adapted. These days are called to information ag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is modern society is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using various information. Therefore, reading book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before. Especially,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which analyze, evaluate and judge the given information is required most. The research question is as the followings. First, how can the critical reading be taught to and what is the specific procedure to apply it? Second, is the small group activity with the discussion web significant with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Third, is there any positive change for small group activity to the reading attitude or the interest of novel? In chapter Ⅱ, it was considered that social recognition theory of Vygotsky and social discourse of meaning from Bakhtin.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can be enlarged in the constructiv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ls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al reading were handled and the connection of between critical reading and literature text was probed. In addition, the critical reading through the discussion web was suggested. In chapter Ⅲ, the program through discussion web was made to improve the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It was applied to the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t was measured to two classes with boys and girls. And in chapter Ⅳ, the result of experiment was shown and interpreted with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it follows. First,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was increased with the discussion web program focused on systematic students' small group activities. The specific procedure was first to 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and to read the text, next the activity to understand the given text and then the discussion web, finally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 with discussion. Second,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ignificant than control group in the test of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Third, the attitude of reading and the interest of novel was more significant for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e program with small group activity for the discussion web was effective. It can improve the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and form the positive attitude of reading or novel.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nect the critical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writing ability for critical essay. Finall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can be fulfilled.

      •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정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 정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르프 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연 경) 본 연구는 말리듬을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전개하고자 할 때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말리듬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에 있어 말리듬의 활용을 강조한 오르프의 철학과 말리듬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과 한국시의 운율 및 한국음악의 박자와 리듬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말리듬 활용의 예를 리듬학습 단계별로 다양한 언어적 소재를 사용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말리듬이 음악영역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말리듬의 연구는 교과서의 제재곡에서 리듬을 분석하여 말리듬을 적용하거나 가창곡의 가사분석에 국한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로부터 자연스럽게 말리듬을 경험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시작으로서 말리듬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각 활용예시는 단계마다 개별단어, 동시, 속담, 수수께끼, 놀이노래, 이야기 등 언어적 소재를 선정하여 말리듬을 결정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제시 및 각각의 언어적 소재를 말리듬에 활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언어학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각 활용예시에 적용한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개별 음절마다 자유로운 리듬 부여가 가능하나 긴 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는 해당음절 종성의 성격을 고려한다. 둘째, 말토막의 유형 중 머리형, 복합형은 못갖춘마디나 당김음 리듬패턴에 사용될 수 있고 쉼표에 의한 당김음은 꼬리형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당김음은 모음의 장단보다 2음절 이하 초성의 마찰과 폐쇄 정도를 먼저 고려하고 못갖춘마디의 경우는 말토막의 강세 유형과 함께 통사구조의 변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한다. 넷째, 강박에 조사, 어미 등을 탄력적으로 수용한다. 다섯째, 시를 말리듬에 활용할 경우에는 음보율과 음수율을 고려하되 서양음악의 구조와 형식과 일치될 수 있는지 고려하여 박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박자를 먼저 결정하고 낭송에 의해 분절되는 단위를 고려하여 마디를 나누고 박자에 맞게 리듬을 부여한다. 여섯째, 어문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보다 현실발화를 먼저 고려한다. 언어를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는 리듬뿐 아니라 선율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가 가진 특징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리듬으로부터 리듬을 경험하고, 한국어의 억양으로부터 선율을 배움으로써 오르프 슐베르크를 아이디어 삼아 한국에 가장 적합한 슐베르크를 만들고 이와 관련된 이론과 지도체계가 완성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지길 기대한다. 주제어 : 언어리듬, 오르프 슐베르크, 음악교육, 말리듬, 리듬지도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Approach Using Speech Rhythm in Music Instruction Jeongmi Ko Major in Orf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kyung Le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 method to apply speaking rhythm for music instruction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To achieve this, Orff’s philosophy that emphasizes application of speech rhythm and the philosophy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speech rhythm,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cadence of Korean prosody, and the meter 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xamples of speech rhythm applications were proposed for each rhythm education step using various linguistic topics, and a speech rhythm teaching methodology idea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musical area was proposed. Speech rhythm research up to now analyzed the rhythm of musical text music pieces to apply music rhythm or was limited to the lyrical analysis of singing song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a method that applies speech rhythm to music from text that is in Korean for a natural approach to speech rhythm. In each step of the application examples, linguistics materials such as individual words, children’s poems, proverbs, riddles, play songs and tales etc. are chosen to decide the speech rhythm, and also present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pplying these linguistics materials to present musical activity and for applying speech rhythm to each of the linguistic materials. Through literar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are applied to each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assign any rhythm to each syllable, but in the case where the rhythm needs to be held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al consonant of the syllabl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out of the speech block types, the head type and the combination type can be used for incomplete bars and syncopation, and syncopation due to rest can use the tail type. Third, syncopation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riction and closure of the first vowel more than the length of the vowel, and first takes into consideration and friction and closure amount of the less than two syllable first syllables, and in the case of incomplete bar, the stress and the possibility of chance in the syntax structure of the speech block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postposition and end of words etc. are flexibly accepted for stress. Fifth, in the case that poetry is applied to speech rhythm,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whether it can be matched with the structure and form of Western musi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hoose the meter. But in the case where the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not consistent, the meter is chosen first and the units are divided by how they are separated during recital and the rhythm is assigned. Sixth, rather than apply strict grammatical rules, the realistic implementation is considered first. Language can be used in the application of music instruction not only as a rhythmic element but also as a melodical element. Through continuous in depth research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music, by experiencing rhythm from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and by learning the melody from the inton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inspiration from Orff Schulwerk,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the most appropriate Schulwerk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oundation for the related theories and instruction system to be established. Keywords: speech rhythm, Orff Schulwerk, music instruction, language rhythm, rhythm instruc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 칠예(漆藝) 작품에서의 행위의 반복성과 절제미(節制美)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정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칠예에서의 행위의 반복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과 형태, 색채, 표현기법 등의 단순화로 작품에 나타난 절제미(節制美)를 분석하여 칠예 작업의 방향성과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행위의 반복은 연구자의 작업에서 적용된 중점적인 원리이며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위를 통해 작품은 완성된다. 행위의 반복성 또한 반복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보다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행위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작품을 완성해 가는 반복적 행위의 시간을 단순히 노동이 아닌 수행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그 과정에서 반복되는 행위의 의미와 작품에서 표출되는 절제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행위의 반복성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과 국내외 단행본, 학술 및 학위논문 등의 문헌 자료들을 그 근거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로 조형 예술에서 차이에 의한 반복적 행위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속에 담긴 반복의 의미를 칠예 작업과 결부시켜 연구자의 작업을 조명해 보았다. 또한, 칠예 작업에서의 행위의 반복성은 작품의 형상화 과정에서 반복의 행위성을 강조한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최소한의 조형 수단으로 회화나 조각을 제작한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작품을 위주로 하여 칠예작품에 나타난 절제미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세 단계 기간으로 구분되는 작품과의 비교 분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작업에서의 반복성을 형태, 색채, 표현의 순서로 각기 다른 창작 과정으로 형상화된 작품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작업에서의 절제미도 위와 동일한 특성 순으로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행위의 반복이 칠예 작업에서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칠예 작업에서도 작가의 주체적 행위의 반복이 차이를 만들고 이러한 차이는 유사한 작품에서도 각기 다른 생명력을 발현시킨다. 즉, 반복은‘동일성’을 유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차이’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차이는 새로운 의미의 작품을 잉태하게 만드는 것이다. 둘째, 무의식적 반복 행위도 차이를 생성하는 요소이다. 작업에 물아일체(物我一體)된 상태에서는 의식의 무의식화가 진행되지만, 동일성을 지양(止揚)하는 작가 내면의 창작 의지가 차이를 만든다. 셋째, 칠예에서도 형태, 색채 등의 조형 요소를 제한하여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작품의 절제미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 내면의 창작 욕구를 형상화하는 인고의 시간 흐름과 동행하며 켜켜이 쌓은 옻의 두께는 작품에서 색감의 깊이와 심미성을 배가(倍加)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도출된 세 가지의 결론은 창작 과정과 완성된 작품은 내적 탐구의 시간으로 성장하는 연구자의 창조물이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길 바라는 작가 의지의 완전체이다.

      • 폴 틸리히의 신학사상 연구 : 방법론, 계시론, 신론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폴 틸리히의 생애와 그의 신학사상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틸리히는 그의 신학을 전개하는 방법으로는 ‘상관관계의 방법’을 사용하여 신학 전체의 내용과 구조를 결정하였다. 틸리히는 ‘상관관계’라는 말이 세 가지의 관계성을 함축하고 있다고 본다. 그것의 첫째는 종교적 상징들과 이러한 상징들에 의하여 상징되는 것과의 상관관계, 둘째는 유한한 것과 무한한 것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셋째는 ‘우리를 위한 하나님’과 ‘하나님을 위한 우리’간의 상호의존성, 다시 말하면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과의 상관관계이다. 이처럼 세 가지의 함축된 관계성들이 상관관계의 방법을 통하여 신학이 탐구되고 있기 때문에 것들이므로 상관관계의 방법은 철학과 신학과의 관계 설정이라든가, 질문과 대답 사이의 관계설정을 위한 방법으로 좁게 정의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넓은 범위, 즉 문화신학적인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틸리히는 그의 상관관계 방법이 세 가지의 부적절한 방법들은 초자연주의적 방법, 자연주의적 방법, 그리고 이원론적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는다. 먼저 초자연주의적 방법은 계시된 진리로써 그리스도교 메시지는 인간의 수용능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은 자신이 묻지 않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받을 수 없기에 이 방법론은 한계를 지닌다. 또 자연주의적 또는 인본주의적 방법은 그리스도교의 진리성이 인간의 진보적인 종교적 진화에 담겨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질문 자체인 인간의 실존으로부터 대답을 찾으려 하는 오류를 지닌다. 그리고 이원론적 방법은 자연신학이나 자연계시를 통하여 하나님과 인간의 간격을 메우려고 한다. 즉, 이원론적인 방법은 인간의 자기노력에 의하여 양자 사이의 적극적인 관계를 설명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질문의 형식에서 대답을 찾고 있는 한 잘못된 것이다. 물론 상관관계의 방법 역시 왜곡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다. 하지만 오직 상관관계의 방법을 통하여서만, 실존적 질문과 신학적 대답들은 우리의 실존적인 상황을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존의 질문들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대답들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체계적인 형식으로 발전될 수 있다. 틸리히는 상관관계의 방법에 따라서 그의 계시론을 전개한다. 계시론은 첫째, 계시는 이성을 파괴하지 않는다. 계시는 이성을 치유하고 완성한다. 둘째, 이성은 계시를 파괴하지 않고 이성은 계시를 묻고 요청한다. 셋째, 이성은 기적과 황홀경을 통해서 계시를 받아들인다. 넷째, 계시는 말씀으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이다. 다시 말해 틸리히의 계시론은 중재와 화해의 신학이다. 틸리히의 계시론은 이성과 계시의 대립을 초월하여 이성과 계시를 중재하고, 객관과 주관의 대립을 초월하여 객관과 주관을 중재하고, 배타주의와 다원주의의 대립을 초월하여 배타주의와 다원주의를 중재한 화해의 신학이다. 마지막으로 틸리히의 존재론적 패러다임을 통해서 그의 신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틸리히의 신론의 주요 개념들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첬재, 신은 하나님의 존재자가 아니라 존재자체 또는 존재의 근거로서 모든 존재의 창조적인 근거이며 동시에 심연적인 근거이다. 둘째, 신의 삶은 존재론적인 요소들 사이의 분리를 재결합에 의해서 완전히 극복한 영원한 과정으로서 모든 존재론적인 요소를 완전한 균형과 통일 속에서 포함하고 있다. 셋째, 성령은 존재론적인 요소들의 완전한 통일 또는 신적인 삶의 목표를 지시하는 상징으로서 존재의 의미의 궁극적인 통일을 의미한다. 넷째, 삼위일체는 신의 삶에 대한 변증법적인 반성의 결과로서 힘과 의미 그리고 이들의 통일이 각각 신의 삶의 과정 안에 있는 삶위일체적인 계기들이다. 이와 같이 틸리히의 방법론과 계시론과 신론을 고찰해 본 결과 틸리히는 한마디로 ‘문화의 신학자’였다. 그의 평생 관심이 종교와 문화의 문제였으며, 그의 저서 대부분이 기독교가 어떻게 세속 문화에 관계되는가를 논한 것이었다. 상관의 방법은 종교와 문화를 조정하고 중재하려는 그의 방법론이었다. 또한 계시론은 인간의 유한한 이성을 대변하는 문화와 종교적인 계시는 상징적으로 매개하는 신학적 대답 사이를 중재하려는 화해의 신학이었다. 그리고 신론은 문화 일반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존재의 유한성과 모든 존재의 종교적인 근원인 하나님 사이를 상호연관 시키려는 존재론적인 신론이었다.

      • 초산모의 모성적응측정도구 개발

        고정미 아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산모의 모성적응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도구개발과정과 도구검정과정을 통해 초산모의 모성적응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개발과정에서는 Roy의 적응모형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문헌고찰과 초산모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상담과 일대일상담을 통해 초산모의 모성적응의 영역과 하부영역을 고찰하여 예비문항 40문항을 도출하였다. 도구 검정과정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타당도로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집단비교타당도,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검정하여 총 6개 요인, 28문항을 최종 도출하였다. 신뢰도 검정을 통해 내적일관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초산모의 다차원적인 모성적응의 개념을 Roy의 적응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여 28문항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측정도구를 통해 초산모의 간호중재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어느 바리스타의 하루

        고정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looked at the culture of disabled people working in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Using the methods of ethnic study, I examined deeply about the occupational life on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and the culture that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share. Research questions 1. How is occupational life of disabled people working at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2. What the culture that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share. The study involved 11 participants, including one 'job-disabled' worker. And I included a group of local residents. This is a group of 6 teachers, 3 assistants, 1 predecessor teacher and a group of local resident in charge of the café. Classification analysis was used for this qualitative study. Beginning in April, I have been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transcription was then cod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me of culture is 'barista's routine' and as a barista, a occupational life that uses vocational skills in various interactions with people around him was built. Second, the cultural theme was 'In to the Cafés' which was shared by people related to the café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pecial school. The Cafés of culture has been constructed: 'The main characters are alienated space', 'space shared by division of labor', 'the space of competition and protection', 'the space of repetitive vocational training' and 'the space of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And in their intimate relationship, there was a lot of support for Barista through interaction. I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in terms of occupational life: First, for a successful professional lif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infinitely, without constraining time. Second,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physical support during vocational training.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a special school enterprise, one can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n vocational training, the disabled party should be the main character and reflect opinions. Second, it should set career education for the disabled as a high goal and be competitive. Third, Special-school enterprises should be expanded and established to improve the sense of the handicapped and to improve the social economic benefits. 이 연구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지적장애인 바리스타를 대상으로 직업생활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공유되는 문화에 대해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두 가지의 연구 질문은 첫째,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바리스타의 직업 생활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문화는 어떠한가? 이다. 이 연구에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 내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근로자 1명을 주요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고, 바리스타 개인을 중심으로 주변 사람들을 주변 연구 참여자로 대상을 삼아 질적연구를 진행한 후, 면접, 관찰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바리스타의 직업 생활의 주제는 '바리스타의 하루'이며, 바리스타로서 주위 사람들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에서 공유되는 직업생활의 문화 주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주제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 안으로'라는 문화 주제가 발견되었다. 그 하위 주제로 '주인공은 소외: 어떻게 바리스타 됐는지 몰라요', '분업을 통해 함께: 난 괜찮아요, 누군가 다른 업무하니까', '경쟁과 보호의 장', '시간이 걸리더라도 매일매일 반복적으로 시도', '장애, 개의치 않아요. 함께, 같이 살아가면 좋죠'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바리스타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시간을 제약하지 않고 직업관련 기술, 직업기술, 심리적 지원 등이 무한 제공 되어야 하며, 특수학교 학교기업 관점에서는 장애인을 당사자로 두어 직업을 배치하고, 교육적 목적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고, 나아가 장애인식 및 사회경제적 향상을 위한 확대 설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