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assive Skeletal Muscle Excursion after Tendon Rupture Correlates with Increased Collagen Content in Muscle

        고일현,최윤락,강호정,전상우,박재한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4 Yonsei medical journal Vol.55 No.5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ime-dependent changes in muscle excursion and collagen content after tenotomy,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muscle excursion and collagen content in a rabbi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rabbits underwent tenotomy of the second extensor digitorumlongus (EDL) muscles on the right legs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eriod of time after tenotomy (2, 4, and 6 weeks). The second EDL muscles on left legs were used as controls. At each time after tenotomy, passivemuscle excursion and collagen content, determined by hydroxyproline content,were measured bilaterally, and the ratio of each value to the normal one was used. Results: The mean ratio of muscle excursion after tenotomy to the value of the control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fashion: 92.5% at 2 weeks, 78.6% at 4 weeks, and 55.1% at 6 weeks. The mean ratio of hydroxyproline content in muscle to the value of the control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fashion: 119.5% at 2 weeks, 157.3% at 4 weeks, and 166.6% at 6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hydroxyproline content in muscle after tenotomyto the control values and the ratio of muscle excursion after tenotomy to the control values (r=-0.602, p=0.002). Conclusion: The decrease in muscle excursion seems to correlate with the increase in collagen content in the muscle in a time-dependentfashion following tenotomy.

      • KCI등재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

        김희수,오원택,고일현,최윤락,강호정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2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otal cases of perilunate injuries, are common in young patients and occur as a result of high-energy injuries, and improper management can impair wrist alignment and function. Understanding the related wrist anatomy and pathomechanics may help surgeons evaluate and diagnose patients. Early operation to reduce and fix the injuries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optimal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this review article, we present an overview of wrist pathoanatomy, the pathomechanics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operative treatment options including an arthroscopic procedure, and repor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 KCI등재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 제한적 배측절개를 이용한 치료

        오범석,최윤락,고일현,오원택,김남후,강호정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16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involving sigmoid notch fracture, who were treated by limited dorsal approach retrospectively.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13, 743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Among them, 16 patients received conventional treatment, with additional limited dorsal approach. The fracture patterns involved sigmoid notch with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as well as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gment. Radiologic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dorsal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shortening.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grip strength, motion range of the wrist joint, arm disabilities, shoulder & hand (DASH)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Results: The average radial inclination was 21°, with 5.6° of volar tilt and 0.1 mm of radial shortening.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ere 42.6° of flexion, 56.5° of extension, 23.4° of radial tilt, and 24.8° of ulnar tilt. The average grip strength was 81.3% of the opposite side. The average VAS and DASH scores were 1.1 and 21.3,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case of sigmoid notch fracture involving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fractures and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ctures, we were able to reduce and fix the fragment conveniently using limited dorsal approach. 목적: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관절 내 원위 요골 골절에 환자 중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으로 치료한 16례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43명의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중 16례에서 기존의 술식에 추가적으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시행하였으며, 골절양상은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였다. 수술 후 요골 경사와 수장측 경사, 척골변이 등을 측정하여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관절운동범위 및 악력, VAS score와 DASH score를 사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요골 경사는 평균 21도 수장측 경사는 5.6도, 척골 변이는 0.1 mm였다. 관절운동범위는 굴곡 및 신전은 평균 42.6도, 56.5도였으며, 요측 및 척측 변위는 평균 23.4도, 24.8도였다. 악력은 술 후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81.3%였다. VAS score는 평균 1.1점, DASH score는 평균 21.3점이었다. 결론: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 등에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골편의 정복과 고정을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일차 수술이 실패한 주상골 불유합에 대한 재유합술

        정민,강호정,최윤락,고일현,김영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revision osteosynthesis using Herbert screw fixation combined with autogenous cancellous bone grafting for scaphoid nonunions after failed primary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osteosynthesis for a scaphoid nonunion after a mean of 13.6 months following primary surgical failure were studied. There were 9 waist fractures and 3 proximal fractures. The revision osteosynthesis was performed using autogenous iliac cancellous bone grafting combined with Herbert screw fixation. Results: Union was achieved in 11 of 12 cases. The results of eleven united cases were clinically satisfactory at the mean follow up of 16.9 months after revision. The motion range of wrist joint improved: average flexion was 51°,average extension was 65°, average radial deviation 15°, and average ulnar deviation was 21°. Conclusion: Herbert screw fixation and autogenous iliac cancellous bone grafting was proved to be a useful method as a revisional operation for a scaphoid nonunion after failed primary surgery. 목적: 일차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주상골 불유합에 대해 Herbert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및 자가 해면골이식의 재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상골 골절 진단으로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해 일차 수술로부터 평균 13.6개월 후 재수술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부 골절이 9예, 근위부골절이 3예였다. 자가 해면골이식과 함께 Herbert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방법만을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2예 중 11예에서 재수술 후 골유합을 얻었다. 유합된 11예에서 술 후 평균 16.9개월 추시 후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운동 범위는 평균 굴곡 51˚, 신전 65˚, 요측 변위15˚, 척측 변위 21˚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Herbert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 및 자가 해면골이식술은 일차 수술 후 유합에실패한 주상골 불유합에 대해 효과적인 재수술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의 경피적 도수 정복술

        이정길(Jeong-Gil Lee),고일현(Il-Hyun Koh),김형식(Hyung-Sik Kim),최윤락(Yun-Rak Choi),김성재(Sung-Jae Kim),강호정(Ho-Jung K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에 대하여 제한적 피부절개 및 경피적 도수 정복술 시행 후 기능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Mason 분류 제 2형 또는 3형의 요골 두 및 경부 골절로 경피적 도수 정복술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 (요골 경부 골절: 9예, 요골 두 및 경부골절: 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세 (11세~59세)였고 남자는 8명, 여자는 5명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6개월 (12개월~2년 9개월)이었다. 요골 두 및 경부의 도수 정복술은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확인 후, 골절부위 2~3 cm 원위부에서 1 cm 정도의 피부절개 후 경막 거상기를 이용하여 압박이나 감입 (impacted)형태의 요골 경부골절 및 두부의 부분 함몰된 관절면 골편의 정복을 시행하였다. 정복 후 불안정한 3예에 대해 1예에서 골절부의 경피적 핀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근위 요척골 간에 경피적 횡 핀고정을 추가 하였으며, 나머지 10예에서는 석고 부목 고정술만 시행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6.2주였다.요골두의 각형성은 수술 전 평균 33.2도 (30도~42도)에서 수술 후 평균 7.8도 (4도~15도)로 감소하였다. 수술 직후에서 최종 추시시까지의 각변형은 0.7도 (-1도~2도) 였다. 수술 후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굴곡 평균 133.1도 (120도~140도), 신전 평균 7.3도 (0도~25도), 회내전은 80도 (72도~90도), 회외전은 84.3도 (78도~90도)였다. Mayo Elbow Performance Index는 평균 96.2점 (80점~100점),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는 평균 97점 (83점~100점),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는 평균 1.2점 (0점~5.8점) 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 각각 한 예에서 일시적인 후골간 요골 신경 마비 증상과 경도의 주관절 외반 변형이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도수 정복술은 관절내 독립적인 감입이 없는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골절 및 경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간단하고 합병증 발생이 적으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의 한가지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result of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for the treatment of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13 patients (8 male, 5 female) with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were treated by 1 cm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under fluoroscopy. The average age of our subjects was 29 years. Follow up duration was 18 months. Results: Union was noted in all cases. Mean radial neck angulation was decreased from 33.2 degrees to 7.8 degrees. The mean change in angulation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was 0.7 degrees. The mean range of motion at the elbow joint was at last follow up, 133.1 degrees in flexion, 7.3 degrees in extension, 80 degrees in pronation and 84.3 degrees in supination. Postoperatively, mean Mayo Elbow Performance Index,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were 96.2, 97 and 1.2. Temporary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palsy (1 case) and minimal cubitus valgus deformity (1 case) were noted. Conclusion: Selected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can be treated satisfactorily with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 KCI등재후보

        수부의 석회화 병변에 대한 수술적 제거술

        강호정,이승주,고재한,고일현,최윤락 대한수부외과학회 201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7 No.3

        Purpose: Calcific lesion of the hand is infrequently recognized, presenting with severe pain and swelling of the affected j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cli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is condition by reviewing surgically treat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1 patients who had operation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were collected by medical records. Results: Eight patients were females and three were males with age ranging between 27-75 years (mean: 48 years). By location, five cases of interphalangeal joint, three cases of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umb, two cases of carpal tunnel and one case of distal ulna area were noted. Interval between symptom presentation and operation was 9.4month (range: 6-18 month). During 10 month follow-up (range: 6-12 month), recurrence had not occurred. Conclus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calcific lesion of hand and wrist is low, it may cause severe pain and swelling. If conservative treatment fails or any nerve compression symptom develops, surgical removal of the calcific lesion is recommended. 목적: 손 및 손목에 발생하는 석회화 병변은 매우 드물며, 종종 감염이나 견열 골절,관절 주위 염증 등으로 잘못 진단되어 부적절하게 치료되는 경우가 있어 왔다. 수술적으로 치료한 완관절을 포함한 수부의 석회 병변 증례를 분석하여 그 임상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수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방사선 검사상 석회 병변이 관찰되며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성 통증이 있는 경우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48세(범위: 27-75세)였으며, 성별은 여성이 8예로 남성보다 많았다. 부위별로는 제3수지 근위 지간 관절 부위 3예를 포함하여 수지의 지간 관절 부위5예, 무지의 중수-수지 관절 부위 3예, 수근관내 2예, 완관절의 척골 원위 부위 1예였다. 대상 환자 중 외상력이 있는 환자는 없었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처음 증상이 발생한 후 수술을 시행할 때까지의 기간은평균 9.4개월(범위: 6-18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균 10개월(범위: 6-12개월)간 추시관찰하였으며, 석회 병변의 재발이 발견된 예는 없었다. 결론: 수부의 석회 병변은 빈도가 낮은 편이나 발생 시 심한 통증 및 종창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적절한 진단하에 보존적 치료에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신경 압박 증상이나 재발성 통증을 주소로 한 수부의 석회화 병변은 수술적 치료를 하여 좋은 결과를얻을 수가 있었다.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after Ulnar Nerve Stability-Based Surgery for Cubital Tunnel Syndrome: A Prospective Cohort Study

        최윤락,강호정,오원택,고일현,김성민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6 Yonsei medical journal Vol.57 No.2

        Purpose: Simple decompression of the ulnar nerve has outcomes similar to anterior transposition for cubital tunnel syndrome;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proper technique for patients with an unstable ulnar nerve. We hypothesized that 1) simpledecompression or anterior ulnar nerve transposition, depending on nerve stability, would be effective for cubital tunnel syndromeand that 2) there would be determining factors of the clinical outcome at two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patients with cubital tunnel syndrome underwent simple decompression (n=30) or anteriortransposition (n=11) according to an assessment of intra-operative ulnar nerve stability. Clinical outcome was assessed using gripand pinch strength, two-point discrimination, the mean of the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survey, and themodified Bishop Scale. Results: Preoperatively, two patients were rated as mild, another 20 as moderate, and the remaining 19 as severe according to theDellon Scale. At 2 years after operation, mean grip/pinch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9.4/3.2 kg to 31.1/4.1 kg, respectively. Two-point discrimination improved from 6.0 mm to 3.2 mm. The DASH score improved from 31.0 to 14.5. All but one patientscored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modified Bishop Scal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DASH score at two yearsand age, pre-operative grip strength, and two-point discrimination. Conclusion: An ulnar nerve stability-based approach to surgery selection for cubital tunnel syndrome was effective based on2-year follow-up data. Older age, worse preoperative grip strength, and worse two-point discrimination were associated with worseoutcomes at 2 years.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주종환(Jong-Hwan Joo),천용민(Yong-Min Chun),김형식(Hyung-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 (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prognosi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1 patients with a minimum of 12 months follow up was done. We classified acromioclavicular (AC) injury into type I (only intra-articular fracture (IAF), 5 cases), type II (IAF with widening of the AC joint > 7 mm, 9 cases) and type III (IAF with AC joint superior subluxation > 50%, 7 cases). The distal clavicle fractures were fixed using plate (9 cases), mini screws (1 case), K wire and tension band wiring (10 cases) and transarticular pinning (1 case). Acromioclavicular or coracoacromial ligament reconstruction was not done in all the cases. Results: In 20 of 21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at an average of 8.4 weeks. Traumatic arthritis (5 cases), AC joint widening (4 cases) and AC joint subluxation (2 cases) were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average UCLA score was 32.6 in the type I AC joint injuries, 34 in type II and 34.1 in type III.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operative AC joint injury pattern,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AC joint widening or AC joint subluxation (p>0.05).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by acu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 joint injur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AC joint injury, the residual radiologic findings and the function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