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윤성 한국세무학회 2024 세무학 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심각한 고령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한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가 증가하여 상속 및 증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되는 자산가액이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과세표준, 높은 세율, 낮은 공제한도 등을 개정 없이 고정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상속세 및 증여세의 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있다. 둘째, 높은 상속세와 증여세 부담으로 인해 국외로 자본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고령의 상속 배우자의 과도한 상속세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넷째, 고령화 사회에서는 부모 세대에서 자녀 세대로의 재산 이전의 활성화를 통한 경제 선순환 및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다섯째, 가족 외의 기여자 및 제3자 등의 상속세 및 증여세 부담이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다섯째, 고령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복잡한 상속세와 증여세 제도는 납세순응도를 저해하고, 불필요한 조세 행정비용이 소요되며, 조세저항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합리적인 상속세 및 증여세의 과세를 위하여 상속세 및 증여세의 과세표준 및 공제 한도를 정함에 있어서 물가를 연동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고령화 시대의 자산의 원활한 이전 및 고령 배우자에 대한 최소한의 대우를 위하여 배우자 간의 상속 및 증여에 대해서는 한도 없이 전액 공제대상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소비 진작을 통하여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려면 대부분 고령자인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집중된 재산을 자녀 세대에게로 이전을 촉진 시켜 경제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하여 증여재산공제를 확대하고, 증여재산가액 누적 기간을 단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상속세의 중요성이 급증하는 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속세의 이중과세 문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존재하므로 현행 상속세를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상속재산 및 증여재산의 사회적 선순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현행 가족 중심의 인적공제 대상을 기여자 및 제3자 등으로 획기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고령자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현행 너무나 복잡한 상속세 및 증여세 의사결정과정을 명확하고 단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인 논의만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challenges inherent in Korea’s inheritance and gift taxes resulting from the nation’s pronounced aging population and to recommend strategies for enhancement. Identified issues arising from demographic changes in inheritance and gift taxes are multifaceted. First, the value of assets subject to these taxes is surging with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yet the burden intensifies excessively due to the fixed nature of the low tax base, high tax rates, and inadequate deductions without periodic revision. Second, elevated inheritance and gift tax burdens heighten the risk of capital outflows from the country. Third, an undue inheritance tax burden on elderly spouses is escalating. Fourth, in an aging society, revitalizing wealth transfers from parents to children is imperative to foster a virtuous economic cycle and growth. Fifth,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burden on non-family contributors and third parties is expected to rise, compounded by a complex tax system hindering compliance, incurring unnecessary administration costs, and fostering tax resistanc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proposed. First, index the tax base and deduction limits of inheritance and gift taxes to inflation to ensure judicious taxation. Second, enable unlimited deductions for inheritances and gifts between spouses, facilitating asset transfer in an aging society and mitigating the tax burden on elderly spouses. Third, expand the gift tax deduction and shorten the accumulation period for gifted property, promoting the transfer of wealth from the elderly baby boomer generation to their children, thereby stimulating economic growth. Fourth, convert the existing inheritance tax into a capital gains tax to alleviate the issue of double taxation, preparing for an aging society where inheritance tax assumes greater significance. Fifth, induce a social virtuous cycle of inherited and gifted wealth by significantly expanding the current family-oriented personal deduction to include contributors and third parties. Sixth, simplify the currently complex estate and gift tax decision-making process to enhance clarity and compliance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creases. This study seeks to ignite further research interest, as there has been limited discourse on the challenges and remedies pertaining to inheritance and gift taxes in response to shifting demographics resulting from declining birth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 KCI등재

        가족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에 관한 연구

        고윤성,백혜원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학 연구 Vol.27 No.2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tax aggressiveness of family firms, relative to their non-family counterparts. We also examine if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irms affect on their tax aggressiveness. As a unique type of public company, a family firm is likely to face different types of agency problems from a non-family firm. Compared to non-family firms, family firms face less severe agency problem due to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but more severe agency problems that arise between controlling and non-controlling shareholders. Family ownership and control is dominant among publicly traded firms throughout the world. Many studies in other countries have examined these characteristics of family firms. Few studies, however, have researched for family firms in Korea. Using a book-tax difference measure, developed by Desai and Dharmapala(2006), to capture tax aggressiveness, we find that a family firm is less tax aggressive than a non-family firm in Korea. This result suggests that family owners are willing to forgo tax benefits in order to avoid the non-tax cost of a potential penalty and reputation damage.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findings that overall, family entrenchment is not a serious concern in Korean family firms, like in U.S. family firms(Anderson and Reeb 2003;Wang 2006;Ali et al. 2007). Moreover, since a book-tax conformity for Korean firms is higher than one for U.S. firms, the more tax aggressive family owners are, the more decreasing their book income is. As for characteristics of a family firm, we find that a family firm which has a higher tax burden, big 4 auditors, or higher outside directors is more tax aggressive. Our results suggest that family firms with high quality of audit service are provided with a high level of tax planning. We suggest that outside directors who are related closely with family owners do not play a role of effective monitors in that these outside directors do not reduce the rent extraction of family owners. 본 연구는 가족기업이 비가족기업에 비하여 어떠한 조세회피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와 가족기업의 특성에 따라 가족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족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그에 따라 해외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나, 국내에서는 가족기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미비로 인하여 관련 연구가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총 6년간의 비금융 상장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한 3가지 방법에 따라 가족기업과 비가족기업을 구분하였고, 해당 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을 Desai and Dharmapala(2006)의 방법을 국내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측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기업은 비가족기업에 비하여 낮은 조세회피 성향을 나타냈다. 이는 가족기업은 비가족기업에 비해 조세회피로 인한 세금절감 등의 혜택보다는 조세회피로 인한 가족기업의 명성훼손, 주가하락 등의 비용을 크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가족기업의 특성에 따라 조세회피 성향에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검증한 결과, 조세부담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조세회피로 인한 효익이 비용보다 크기 때문에 가족기업 역시 높은 조세회피 성향을 보였다. 반면 감사인이 Big 4 회계법인 경우와 사외이사 비율이 높은 가족기업은 높은 조세회피 성향을 보였다. 이는 가족기업에 있어서는 Big 4 회계법인의 감사서비스가 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을 낮추기 보다는 감사를 맡고 있는 Big 4 회계법인으로 부터 오히려 높은 수준의 치밀한 세무서비스를 제공 받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고, 사외이사 역시 소유와 통제력이 강한 가족기업에 있어서는 가족구성원과 사외이사 간의 유착관계로 인하여 사외이사가 기업의 조세회피 성향을 적절히 통제하기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경영 교육 혁신방안: 한국과 미국 경영대학을 중심으로

        고윤성,김윤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20 상업교육연구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business education in business schools where most of the social studies students receiv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business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talent. The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ose who can creatively solve new and complex problems. To this end, business education should boldly break away from the lecture-oriented education method to cultivate experts focusing on a single major in the past and create a consumer-oriented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business education, first, active participation of professors is essential. Induc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ofessors is the first step to success or failure, and in order to successfully start the first step,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professor's evaluation system strongly based on educational resul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hare talented people who want to nurture with the emphasis on business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business education program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so that students can practically discover social problems and cultivate their ability to use convergent academic knowledge to solve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for check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n business schools. Second, it will be used as a road map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business education improvement by presenting a methodology through concrete examples for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n business schools. Third,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what kind of business education and how to educate. Fourth, a more realistic and timely education reform plan can be prepared by using it as a resource for policy preparation by policy makers responsible for educational reform.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계열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육을 받는 경영대학에서의 경영 교육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영 교육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4차 산업혁명의 영향과 미래 인재상을 검토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인재는 새롭고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를 위하여 경영 교육은 과거의 단일 전공 중심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강의 중심형 교육방식을 과감하게 탈피하고, 수요자 참여 중심형 교육방식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경영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교수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교수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성패의 첫걸음이고, 그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교수의 평가 시스템을 교육 성과를 중심으로 강력하게 구축해야만 한다. 둘째, 경영대학별 주안점을 두고 육성하고자 하는 인재상을 정립하고 공유해야 할 것이다. 셋째, 기존과는 전혀 다른 경영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융합적인 학문적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한국 경영대학의 교육 시스템의 점검 및 개선을 위한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경영대학의 교육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영 교육 개선을 위한 로드맵으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경영대학이 어떠한 내용을 교육하고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에 대한 지침서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육개혁을 책임지고 있는 정책담당자들의 정책 마련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더욱 현실성 있고, 시의적절한 교육개혁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산업별 조세회피요인에 관한 연구

        고윤성,이정화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년부터 년까지 비금융 상장기업을 2000 2006 대상으로 산업별 조세회피성향에 차이가 존재하는지와 조세회피성향에 관련성이 있는 기업특성요인이 산업별로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및 실험연구가 아닌 실증분석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세회피성향을 측정하였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조세 정책적 목적으로 인한 차이 이외에도 기업의 이익조정을 통한 회계이익 증가와 조세회피로 인한 과세소득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중 이익조정액이 포함된 총 발생액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조세회피로 인한 부분으로 보아 조세회피성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세회피성향은 산업별로 상이한 형태를 보였다. 산업을 제조업, 건설업, 유통업, 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유통업, 서비스업, 제조업, 건설업 순으로 조세회피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자료 거래 등의 가능성이 높은 유통업의 경우 가장 높은 조세회피성향을 보였고, 인건비의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의 경우에도 조세회피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세회피를 많이 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낮은 조세회피성향을 보임으로써 조세회피성향과 관련성 있는 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인 결과를 보였다. 둘째, 산업별로 조세회피성향에 영향을 주는 기업특성요인은 제조업의 조세회피성향은 조세부담수준(MTR), 수익성(ROE), 금융비용부담수준(BR), 소유자지배기업 여부(OC)는 양(+)의 유의한 관련성을 검증하였고, 조세혜택수준(TSE)과는 음(-)의 유의적인 관련성을 검증하였고, 자산투자비중(PPE) 및 재벌기업소속 여부(CB)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건설업의 경우에는 다른 산업에서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던 조세부담수준(MTR), 수익성(ROE), 소유경영자기업 여부(OC)가 비유의적인 결과를 보였고, 조세혜택수준(TSE)과 금융비용부담수준(BR)만이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임으로써 조세회피성향이 타 산업에 비하여 낮은 건설업의 경우에는 조세회피를 설명하는 요인이 상당히 제한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통업의 경우에는 조세부담수준(MTR), 조세혜택수준 수익성 변수가 타 산업에 비하여 (TSE), (ROE) 매우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통업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하여 조세회피성향이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업의 경우에서 역시 동일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 기업은 왜 성장발전해야 하는가? : 고용창출을 중심으로

        고윤성,최형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사회와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존속과 행복을 위해 기업이 성장 발전해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가지고, 기업 및 국가발전에 있어 그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치는 고용창출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확인하고, 현재 진행되어지고 있는 인위적인 인력구조조정에 대하여 고용의 창출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인력구조조정에 대한 추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고용증가율을 중심으로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개발투자와 설비투자가 고용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본 후 고용증가와 기업성과의 연관성을 T기에서 T+2기까지 3기간에 걸쳐 확인함으로써 각 투자 사이의 선순환적인 인과관계를 찾아보기 위해 진행된 실증분석 결과 연구개발투자는 당해의 고용증가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투자의 경우 분석 전 기간에 걸쳐 고용의 증가와 긍정적인 관련성을 가진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고용증가와 기업의 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성과로 이용한 변수 모두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보임으로써, 고용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성과가 좋을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강하게 지지하였다. 추가분석 또한 고용창출이 수반된 연구개발투자와 설비투자가 고용창출이 수반되지 않은 연구개발투자와 설비투자와 비교하여 높은 기업성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소비와 생산의 주체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인력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개발투자 및 시설투자와 관련된 연구를 확장시켜 이 두 투자가 고용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의 증가에 따른 기업의 성과를 확인해보고자 했던 본 연구는 경제의 선순환구조 검증에 그 목적이 있었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와 같이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그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는 연구개발투자와 시설투자가 증가하게 되면 그로 인하여 고용이 증대되고, 고용의 증대는 가계의 가처분 소득의 증가로 이어져 소비가 확대되고, 소비의 증대는 경제 활성화로 이어져 기업은 다시 연구개발투자 및 설비투자를 늘리게 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져 그 결과 국가의 경쟁력 또한 제고되는 결과가 도출되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게 될 것이다. 이는 최근 들어 몇 년 간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라는 선제적 대응이라는 미명아래 인건비 절감을 위해 대대적으로 기업들이 시행하고 있는 인력구조조정에 대한 찬반 논란의 실증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부가 나날이 늘어나는 기업의 현금 및 이익잉여금에 대해 환류세제 혜택 등을 주며 연구개발투자와 시설투자를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현 상황에서 연구개발투자와 시설투자가 인력투자와 상호 보완 작용을 일으켜 기업성과를 증가 시킬 것이라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업들이 연구개발투자와 시설투자에 자본을 투하해야 하는 유인을 제공해주는 데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고윤성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relation between the tax net operation loss(NOLs) carry-forward and firm value. The companies can reduce tax expense by using NOLs. Because NOLs can carry forward to reduce taxable income for 10 years under korean tax law. Therefore, the NOLs carry forward system is very useful method to reduce tax expense and the manager can decide when the manager uses the NOLs carry forward system. This study included samples from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analyzed over a six year period (2000-2005).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NOLs, because the NOLs has not been extracted from database system. Therefore we have collected NOLs data by hand.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NOLs and Firm value. These findings provide that the market or investors recognized that the NOLs is a very effective method to reduce tax expense and evaluated that the NOLs can afford positive affection on firm value. Seco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NOLs and Firm value are dependent on the recognition of the deferred tax assets due to the NOLs. There is higher positive association when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n deferred tax assets due to the NOLs is high than when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n deferred tax assets due to the NOLs is low.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총 6개년 동안의 상장 비금융업체를 대상으로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기업가치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 가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세무상 이월결손금은 현행 규정상 향후 발생하는 과세소득의 범위 내에서 일정기간 동안 이월공제가 가능함으로써 상당부분 세금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세무상 이월결손금은 세금비용 절감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존재 자체는 과거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 그에 따라 미래 이익 및 기업가치를 측정함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립된 효과에 대하여 투자자들은 어떻게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효과를 판단할지는 실증상의 의문점이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가치와 세무상 이월결손금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즉 투자자들은 세무상 이월결손금을 미래 손실 가능성에 대한 정보로써 판단하기 보다는 미래 세금비용 절감효과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미래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세무상 이월결손금으로 인한 이연법인세 자산을 계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 기업 중에서 이연법인세 자산을 인식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이연법인세 자산 인식 여부의 교차변수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즉 경영자의 판단에 따라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미래 실현 가능성을 인식한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보다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스톡옵션 부여 이후 연구개발비지출이 스톡옵션의 행사와 장기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윤성,이진훤,유정민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1

        Given to the CEOs, stock option awards are expected to drive managers’ higher performances and align their interests with the firm value by sharing the ownership together with the stockholders. Under this concern, we aim to verify the purposeful effect of stock option awards through the association test between stock option exercises and firm’s R&D expenditures, followed by corporate long-term performance. From the empirical results, we find that the firms whose managers already exercised their stock options show significantly high abnormal R&D expenditures above the industry average. It implies that the managers put their efforts to increase firm value through the R&D expenditures in order to exercise their stock options under more favorable conditions. Next, the long-term operating performances measured via profitability, growth opportunity and productivity a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following year after the managers exercised their stock opt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anagers who received stock option awards more focus on long-term performances in their decision making rather than short term performances. Then, we test the impact of managers’R&D expenditures on the firm’s long-term performance to connect it with stock option exercise by managers.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firms which managers exercised their stock options and their R&D expenditures are above the industry average show significantly larger sales to operating profit ratio and market to book ratio for the following three years after stock options are exercised. This tells us that CEO stock option awards provide incentives to rise firms’ long-term performances, and the managers evidence the effort with the increase of their R&D expenditures. Against the recent dispute regarding the actual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stock option award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tock options still show positive impact on the firm performance, implying stock option systems can still be usefully applied to drive better corporate long-term performances if they are properly implemented to be goal-directed. 본 연구는 경영자의 근로 의욕을 고취하고, 주인의식을 가지고 회사경영에 임하도록 하기 위해도입된 스톡옵션 제도가 도입 취지와 같이 스톡옵션이 순기능을 다하고 있는지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경영자가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올리고자 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연구개발비 지출과 스톡옵션 행사와의 관계, 연구개발비 지출에 따른 기업의 장기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은 산업 초과 연구개발비 지출이 유의적인 수준에서 높음을 나타냈다. 이는 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스톡옵션을 행사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비 지출을 통한 기업 가치 증가를 위하여 경영자가 노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수익성, 성장성, 생산성으로 측정한 기업의 장기경영성과에서는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이행사시점 이후연도에서 장기 경영성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경영자가 단기 경영성과에 치중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 경영성과증가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장기 경영성과에 기업의 연구개발비 지출이라는 경영자의 행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연구결과에서는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에서 연구개발비 지출이 산업평균을 초과하는 기업에서3년동안의 매출액영업이익률과 시가대장부가비율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에대한 스톡옵션 부여가 기업의 장기 경영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하고 이를 위해서 연구개발비 지출수준을 높이는 행위를 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불거지고 있는 스톡옵션 무용론에 대해 반드시 스톡옵션이 부정적인 측면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 긍정적인 측면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스톡옵션 제도를 보완하여 기존의 도입취지에 맞게 올바르게 사용될 경우 기업의 장기적인 성과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있음을 나타내는 연구결과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자산처분 의사결정

        고윤성,최원욱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9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relation between the tax net operation loss(NOLs) carry-forward and disposition of asset. The companies can reduce tax expense by using NOLs. Because NOLs can carry forward to reduce taxable income for 10 years under korean tax law. Therefore, the NOLs carry forward system is very useful method to reduce tax expense and the manager can decide when the manager uses the NOLs carry forward system. This study included samples from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analyzed over a six year period (2000-2005).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NOLs, because the NOLs has not been extracted from database system. Therefore we have collected NOLs data by hand. Firs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NOLs and the gain on disposition of asset. These findings provide that the manager uses the NOLs to reduce tax expense. Second,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NOLs excluded gain on disposition of asset and the gain on disposition of asset. 본 연구는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자산처분 의사결정 간에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총 6개년동안의 기업-연도 3,198개 표본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무상 이월결손금은 향후 발생하는 과세소득을 감소시켜주므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세금비용과 비세금비용의 상충관계 없이 보고이익을 증가하면서도 세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수한 수단이다. 따라서 합리적인 경영자라면 이러한 기회를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활용 할 것이다. 경영자의 의사결정 중 특히 자산(투자 및 유형자산)처분 의사결정은 경영자의 재량적인 의사결정에 따라 이익의 실현시기를 조정할 수 있고, 경영자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들의 윤리적 수용가능성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현금유입도 발생시킨다. 따라서 경영자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재량적으로 자산처분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이익실현과 세금비용 절감 효과를 얻고자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자산처분 의사결정은 당기의 이익수준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자산처분이익 간에 양(+)의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 경우에 자산처분 의사결정을 통하여 이익을 실현함으로써 재무보고비용도 감소하고, 동시에 세무보고비용도 감소하기 위한 기업 전략을 수행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자산처분이익을 제거한 세무상 이월결손금은 자산처분이익과 유의한 양(+)의 결과를 나타냈다. 즉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자산처분이익을 제외한 이익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경영자는 이익증대를 위하여 자산처분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기업의 경영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경영자가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재무보고비용과 세무보고비용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매우 중요한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 상황 하에서 세무상 이월결손금을 이용한 기업의 의사전략을 직접적으로 실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업특성에 따른 세무조정형태

        고윤성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1

        본 연구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일시적 혹은 영구적 차이의 가산 및 차감 세무조정에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파악하여 세무조정과 기업특성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세무조정 항목 중 어떠한 세무조정 항목을 주로 이용하여 세무조정을 하는가를 파악하고, 해당 개별 세무조정 항목과 기업특성간의 관련성을 검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채비율의 경우 일시적 가산조정 빈도와 양(+)의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즉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가산조정을 많이 함에 따라서 세금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는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규정과 부채비율간의 관련성은 검증할 수 없었다. 둘째, 자본집약도는 일시적 및 영구적 차이 가산 조정빈도와 음(-)의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자본집약도가 높을 경우 감가상각비의 인식 및 조세혜택 등을 이용하여 세금비용을 증가시키는 가산조정을 억제하여 세금비용을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수익성변수인 ROA와 가산조정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련성을 보였고, 차감조정과는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즉 법인세 유연화 동기에 따라 수익성이 높을수록 차감조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소유집중도, 사외이사비율, 그리고 BIG4소속 감사인 여부는 기업특성과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and tax reconciliation according to type of corporation in Korea.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companies listed in Korean stock market (excludi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using the 1,369 firm-years data) and the period of analysis is 3 years(2001-2003).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additional temporary difference reconciliation and debt rate. Second, there is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additional/deductible temporary/permanent difference reconciliation and capital-intensive rate. Third, there is negative(positiv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dditional(deductible) reconciliation and ROA. Lastly,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uditor and tax reconciliation.I look forward to these finding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corporate tax reconci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