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만클러스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기(Yong-Ki Koh),이상현(Sang-Hyun Lee)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5 영상저널 Vol.13 No.-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동북아 물류거점화 정책의 일환으로 항만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논의단계로 항만클러스터에 대한 개념적ㆍ기술적ㆍ입지적 특성과 정책적 추진방향에 대한 구체적이며 실증적 연구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클러스터의 특성과 정책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 그리고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항만의 경우 산업의 특성상 특정지역에 연관산업이 집중됨으로써 항만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한 집적지로서 발전된 형태의 클러스터는 혁신을 창출하여 지역 및 국가경쟁력에 기여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클러스터에 대한 기존 이론연구 및 항만산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항만 클러스터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항만산업이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부산 및 인천항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를 통해 항만클러스터의 핵심결정요인을 도출하고 클러스터 효과라 할 수 있는 혁신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항만클러스터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항만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도 도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부산항 일반화물부두의 개발소요선석 전망

        고용기 ( Yong Ki Koh ),조정구 ( Gheong Gu Cho ),여택동 ( Taek Dong Yeo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친 부산항에 필요한 비컨테이너화물을 위한 부두의 적정 개발소요선석을 전망하였다. 먼저 추정과정을 수리모형으로 수립하여 그 이론적 논리성을 검토하였다. 수리모형을 토대로 실제 문제에 관한 적용을 위한 출발점 은 부산항 일반화물 물동량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물동량 전망보다 는 장기적으로 물동량 전망을 수행해 오고 있는 전문연구기관의 수요예측 전망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 재산정한 적정하역능력과 비교하여 개 발소요선석을 전망하였다. 하역능력 산정문제는 부두현장의 실제 활동과 실적치를 근거로 실효성있는 적정하역능력을 추정하였다. 특히 부산항내 일부부두의 경우 기본계획 등에서 부여된 취급품목은 실제 부두에서 취급되는 품목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를 보정함으로써 실효성있는 적정하역능력 산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하역능력 산정식에 있어서도 하역장비시간당 능력, 일일작업시간, 선석점 유율 등에 관하여 항별 특성과 통계모형을 활용하여 재산정한 기존 연구의 결과 값을 본 연구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동량 전망대비 적정하역능력을 대비하여 그 과부족을 품목별로 산출하였다. 이들을 2030년까지 확장하여 부산항 일반화물부두에 관한 품목별 하역능력 과부족 수준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부족한 품목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적정 선형선급과 선석수를 도출 해 내야 하는데 적정 선형선급과 선석수는 해당항의 지리적 조건, 배후권역의 활 동현황을 고려할 때 잡화/목재/철재부두로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부산항의 일 반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부두시설은 2030년까지 5천DWT급 잡화/목재/철재부두 26선석 등 38선석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orecast the development of berths for general cargo in Busan port in the long run. Firstly, the mathematical model is set up for the theoretical logic of calculating process. It begins with forecasting the demand of Busan`s general cargo throughput. The estimates of throughput demand in this study depends upon those projected regularly by KMI instead of its own forecast. Then this study intends to calculate the nominal figures as well as the actual figures on the optimum handling capacity. The handling items mainly dealt in some berths in Busan port were different from those mentioned on the Master planning scheme. This study re-estimates the handling capacities of the berths based on a newly deducted calculation formula and the revision of handling items. In addition, the formula considers input data newly deducted; the capacity per crane-hour, service hour and berth occupancy rates. These input data deducted by berth`s features and special statistics are applied into the formula in this study. There are differences by item between the throughput demands and the handling capacities in some berths in Busan port. Under lack of berth facilities, the forecast on the development of berths for general cargo by 2030 was made with the introduction of ideal berth sizes and numbers. This study shows that Busan port needs 5,000-DWT-level 5 berths for cement, 5,000-DWT-level 26 berths, 10,000-DWT-level 4 berths and 20,000-DWT-level 3 berths for general cargo/lumber/steel material combination by 2030.

      • KCI등재
      • KCI등재

        최소운송비용의 선형계획모형을 통한 K-LandBridge의 타당성 연구

        고용기(Koh, Yong Ki),서수완(Seo, Su Wan),나정호(Na, Jung Ho)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3

        최근 중국은 일대일로 국가전략을 표방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실행함과 동시에 세부계획 등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 중에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한반도는 여기에 전혀 포함되지 못한 채로 우리나라 주도의 독자 국제물류정책들을 남발하고 있다. 지금은 유명무실화된 한중열차페리시스템이 다시 제기되는 등 동북아 국제복합운송시스템에 관한 움직임은 마련되어야 하고 유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그 실행계획으로써 K-LB(Korea LandBridge)를 소개하고 이에 관한 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K-LB는 새만금신항을 중심으로 하는 대중국 열차페리시스템인 left-wing과 영일만항을 중심으로 하는 대러시아 열차페리시스템인 light-wing으로 하는 양 날개를 우리나라 기존 철도시스템으로 연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연구는 K-LB가 현 조건과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국제물류시스템이라 확신하며 이의 도입에 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도입 타당성을 확보하기에 앞서 계량화가 가능한 운송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목적함수하의 선형계획모형을 통하여 K-LB의 효율성이 확보되는 운송비에서의 가용범위와 조건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해상운송보다 열차페리가 34.5% 정도 저렴한 비용 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면 열차페리에 의한 K-LB에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열차페리가 컨테이너전용선보다 신속한 통관시간과 절차뿐만 아니라 양하역비가 절감되는 유연한 양하역작업을 감안한다면 그 임계수준이 크지 않으며 동북아 국제물류시스템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임을 의미한다. China has recently advocated a national strategy called “One Belt One Road” and transferred to execution to refine it into detailed action plans and has continued to fix the complement.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North Korea remains could not be included at all in the Chinese development policy and framework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ogistics. Currently it is raised between Korea-China rail ferry system again and that is when we need to make effective policy development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system in Northeast Asia. This paper introduces the K-LB (Korea LandBridge) as its execution plan and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n this. K-LB consists of a Korea-Russian train ferry system based in Pohang Yeongil New Port(light-wing) and a Korea-China train ferry system based in Saemangeum New Port(left-wing). These two wings are linked to the existing rail system in Korea. This study is convinced that the K-LB is an effective international logistics system in the current terms and conditions and also demonstrated that it is feasible to introduce th K-LB on the peninsula. More strictly speaking, through a linear programming under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 the transport cost quantified prio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the available ranges and conditions for the transportation costs that are en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K-LB are presented a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f the transport cost of K-LB is cheaper about 34.5% than that of sea transport such as container transport, the object goods may be transported by K-LB on this route. It means that the K-LB system has a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more rapid customs clearance as well as omitted loading and unloading procedures over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It also noted that the threshold level may not be large. Therefore, K-LB has competitive enough to prove its introduction in the Northeast Asian logistics syste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