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 협의’ 경험 및 반성적 사고와 실천변화

        고영숙,김숙령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 맞춰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보육교 사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진정한 아동중심 교육 실천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보육교사들의 자발적 ‘교사 협의’ 경험은 어떠하며 그 과정에서 보육교사들은 어떠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남도 S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교사 11명이다. 보육교사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참여를 전제로 영아반과 유아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사 협의’가 진행되었다. 보육교사들은 ‘교사 협의’를 통해 영유아들의 놀이 지원 시 갈등하고 고민하 던 부분들을 되돌아보며 함께 나누는 일이 곧 스스로 성장하는 배움의 출발점이 었으며, 더 나은 코칭과 교수 방법을 모색하며 동반성장하는 경험을 보였다. 보육교사들은 ‘교사 협의’ 과정에서 영유아들이 몰입하는 놀이에서 의미를 발견하 고자 놀이를 깊이 관찰, 기록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동료교사와 협의하고 코칭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신뢰와 존중을 쌓아갔다. 이는 또한 영유아 존중으로 이어지는 변화의 원동력이 되어, 보육교사들은 영유아들의 주도적 놀이를 인정해주고 구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자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하며 지원하는 과감한 시도를 하는 교수활동의 실천 변화를 이루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the expertis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chieve true child-centered education practic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lin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s of voluntary ‘teacher consultation’ and in the process, the changes in their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were examin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 child care teachers from S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Chungcheongnam-do. Based on the voluntary decis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e 'teacher consultat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wo groups, the infant class and the child class. The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teacher consultation', reflected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of conflicts and troubles when supporting children's play,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learning to grow. They grew together by exploring better coach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hild care teachers deeply observed and recorded the play in order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lay that infants and toddlers immersed in during the ‘teacher consultation’ process. Based on this, the teachers built mutual trust and respect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ing and coaching with fellow teachers. In addition, this became a driving force for the change to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child care teachers changed their teaching-learning practices boldly into the direction of recognizing the child-leading plays and of providing new spaces and materials in a new way that supported the children in detail.

      • 제주지방 가정전력의 태양전지화에 관한 연구

        고영숙,김규용 濟州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88 科學敎育 Vol.5 N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Si solar cell supplying home e!ectric energy in Cheju Province are as follows, 1) The weather conditions for generating the electric power by Si-solar cell are quite well. That is. about 68 days are fine anJ about 100 days of 218 days has more than 50% cloud amiunt. 2) In Cheju, the average electric power each home needs for a year is 1,449kWh. If we have Si-solar cell source systems on the roof of our home by about 3.3㎡, considering the energy loss, we will be able to generating 2,187kWh electric energy and in this solar cell system, another problem is that we should have aid-facilities such as storage battery. 3) At present, it is true that the solar cell electric power system is not economy because of its establishment expenses. For the future, if the economy of this solar cell electric power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t the proper price, this solar cell system will be used and applied in many ways.

      • KCI등재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중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고영숙,김은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n social skill interventions and their effect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groups consisted of a three-membered grou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kindergartens and a five-membered group in a special school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ors perceived social skill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be weak social skill elements as well as behavioral problems. Social skill interventions frequently they used were peer-play, peer-related teaching, ABA, social story, AAC, instructions on problematic behaviors, structured inclusive context, non-disability children's understanding, and co-operating with genera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were ABA, inclusive setting, and co-operating with parents. Implications regarding classroom practice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교육하고 있는 통합 유치원과 유아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을 포커스 그룹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 요인에 대하여 상호작용기술, 규칙지키기, 놀이기술, 의사표현 등 취약한 사회적 기술과 더불어 문제행동을 사회적 기술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적용하고 있는 사회적 기술 중재로는 또래놀이, 또래교수, 응용행동분석, 상황이야기,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문제행동지도, 구조화된 통합환경 제공, 그 외에 일반 유아의 이해나 일반교사와의 협력, 그리고 가정과의 연계 프로그램이 있었다. 가장 효과적인 사회적 기술 중재는 특수교사 공통적으로 응용행동분석과 통합환경제공, 그리고 가정과 연계된 일관성 있는 교육으로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현장의 실제와 근거기반의 실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성찰 및 인식 변화

        고영숙,이대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6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and reflected on the right respec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how the recognition about infants and toddlers changed after the right respec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day care center teachers of S day care center located in Chungnam district and they participated in 7 time group or individual interviews for 4 months while taking the rights respec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As a result,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conflicts about standard points of safety and explor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he situation of limiting routine daily rules and daily lives that were taken for granted; the teacher-led classroom due to inability to escape stereotypes of teachers; and themselves due to misunderstanding about ‘child-centered’. Respecting for the existence and individuality of infants and toddlers; the efforts for genuine free choice activities; listening to the various language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necessity for right respect education were suggested and reflected by the teachers.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infants and toddlers was changed into that children can select and determine things; they can grow as a member in the social relationship; they have diversity and freedom after the right respec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실행하며 어떠한 갈등과 성찰을 하는지,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실행하기 전에 가졌던 영유아들에 대한 인식이 교육을 실행한 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충청남도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4개월간 7회의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진행하며, 집단 면담과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통하여 영유아들의 안전과 탐색에 대한 기준점, 당연시하던 일상생활의 규칙이나 하루일과를 제한하는 상황, 보육교사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벗어나지 못함으로 인한 교사 주도의 교실과, ‘아동중심’에 대한 오해를 하고 있는 본인의 모습에 대하여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의 교육을 통해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존재와 개별성을 존중하고,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과 영유아의 다양한 언어에 귀 기울임의 노력, 권리존중 교육의 당위성을 시사하며 성찰하였다.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 이후 영유아는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한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는 존재, 다양하고 자유로움을 지닌 존재로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 수행능력이 영적 간호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고영숙,하미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3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ffect of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of the nursing studentsMethods: The researcher sampled 130 nursing students for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17 until September 27, 2018. The data of analysis used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4.4±0.8(total score 6) and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2.9±1.8(total score 4).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ligion(F=7.570, p<.001),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F=19.873, p<.001), education type(F=14.626, p<.001), necessity of hospice(t=2.280, p=.024).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F=2.932, p=.036).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206, p=.019).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religion,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 education type, dying experience(R2=0.378, Adj R2=0.353),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R2=0.065, Adj R2=0.043).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nursing students are not able to perform spiritual nursing care properly to subjects who need spiritual nursing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programs to meet the spiritual nursing care need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by cooperating with the nursing education staff, clergy and clinical nurse etc. And spiritual nursing care should be taught as a required subjects in the curriculum.

      • 자폐 범주성 장애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 고찰 :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고영숙,한경근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7 No.-

        이 연구는 2001년 이후 2006년 8월까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목표로 한 중재연구 가운데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적용한 10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찾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아의 연령, 장애정도와 중재 방법, 중재 방법의 범주, 범주의 과학적 실제 여부를 분석의 틀로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설계와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를 중심으로 단일대상 연구의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중재 방법은 놀이였으며, 대부분 성과가 기대되거나 과학적 기반을 갖춘 중재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단일대상연구 방법에 있어서 중다 기초선 설계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대부분 관찰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였다. 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by analyzing a total of 10 single-subject research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06.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strategie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sults. In addition, qualitative aspects of the studies, such as research design, inter-observer agreement, and social validity were also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was play activity and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romising Practices.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