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인드맵을 활용한 자기표현 능력 신장 방안 : 자화상 그리기를 중심으로

        고선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자아 정체감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자기표현이 이뤄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기표현이라 함은 자신의 신념이나 신체적 특징, 자신과의 관계 등을 자기에게 맞는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으로 글, 말, 행동, 예술작품 등을 통해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사람의 얼굴은 그 사람의 성격과 같은 내면적 모습들이 잘 드러나는 곳이다. 따라서 얼굴을 그리는 자화상 수업은 자신의 겉모습은 물론이고 자신의 내면의 모습들을 표현할 수 있는 자기표현활동으로 적합하며, 청소년 시기에 사실적 표현능력의 신장을 위한 학습주제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인간의 내면의 모습들은 생각의 저면에 깔려 있어서 쉽게 드러나지 못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자기표현을 위해서는 자화상 그리기에 앞서 자신을 탐색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인드맵을 이용하고자 하였는데, 마인드맵은 모든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도구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만큼 미술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본다. 자화상은 동양과 서양이 각기 다르게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에게서 그 당시의 마음상태와 같은 정신적인 모습들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자화상 그리기 수업을 할 때 이들의 자화상 작품을 소개하게 된다. 이러한 작가들의 전문적인 작품들을 학생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에게 친숙한 동료 친구들의 작품이나 교과서에 실린 학생작품에 대한 감상이 이뤄져야 한다. 실제 수업에서는 작품 감상 이후 자화상을 제작하기에 앞서,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나’에 대한 복잡한 생각들을 우선 정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작품을 계획하고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두뇌를 최대한 활용하여 창의적인 사고가 가능케 했으며, 작품 계획과 스케치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수업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임하는 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마인드맵 작성방법이 쉽다 하더라도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본 연구 수업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인드맵 작성이 사고의 확장을 도와주기보다 사고의 단절을 일으키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중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작품제작 시 사실적 표현과 완성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자 자신의 얼굴이 잘 나타난 사진을 활용하여 이어그리기 형식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작품제작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어 적극적인 자기표현에 도움을 주었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자기표현의 하나로 자화상 그리기 수업은 처음 의도했던 얼굴표정에서의 자기표현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외모, 미래, 관심사 등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어 자신을 표현한 작품들이 많았다. 이것은 작가의 겉모습에서 내면의 모습까지 그려내는 자화상 작품에 충실하기보다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대상을 중심에 두고 제작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자기표현에 앞선 마인드맵 작성은 ‘나’에 대한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으며, 무엇보다 청소년기에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Since the self-identity is structured in adolescence, representation of self-expression is vital. However, the actual circumstance of Korea education could not accomplish it with various forms due to the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The self-expression would mean the expression of one's belief, physical features, or relationship with proper images such as writing, speech, behavior and artistic works. Especially, human face could express one's internal features such as personality well. Therefore, self-portrait learning to paint one's own face is appropriate to self-expression activity that could show student's outer shape but also inner one, and I think it would be one of learning theme for improvement of actual expression ability in adolescence. The internal shapes of human being are sat on the base side of notion, so it could not easily be shown. Hence, for correct self-expression it is required to search one’s self before painting. In this study I set about to use mind map that might also be effective in art area since it has instrumental feature being able to be used in all areas. Despite the self-portrait has been developed differently between the West and the Orient, spiritual features are noticed then mental states from all. So, when self-portrait class is progressed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ir self-portrait works are introduced. For application of these artists’ professional products to students' portraits, the appreciation on personally familiar friends' products or students' works on the textbook should be achieved. In actual class, students arranged their complicated ideas about 'I' using mind map before production of their own portrait after appreciation. As a result, it made possible to creative notion with maximum brain dominance for plan and progress of product, and incurred the reduction of time for planning and sketch. Also proactive attitude with interesting was noticed. But to progress effective class using mind map sufficient practice is necessary, even generation of mind map is easy. Otherwise, preparation of mind map may be an obstacle that causes interruption of idea rather than expansion of idea as in actual class. To decrease the burden on realistic expression and completion on production of works considering the objects of study, the middle school student, I let them produce works with relay painting using a picture showing one's face well. This method helped proactive self-expression decreasing burden about work production. In one of self-expression, the self-portrait painting using mind map, many works expressed themselves by drawing the students’ idea, appearance, future and concerns in the raw rather than self-expression about first intended facial look. That would be a result of object-centered production which able to express oneself rather than concentration on self-portrait drawing outer appearance and internal features. However preparation of mind map could give an opportunity to extend the idea about 'I', and I expect to help proactive expression of one’s self in adolescence from framing a mind map before everything else.

      • 한국 전쟁기 군 통번역사의 역할과 정체성 연구 : 비판적 담화 분석(CDA) 관점에서

        고선정 韓國外國語大學校 通飜譯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During the Korean War, Korean and American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carried out their duties with a great deal of responsibility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ir stories have yet to receive attention not only from military historians, but also from the field of translator studies.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analyze the roles and identities of military interpre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he discursive conceptions about identity are interrelated with the use of language. When identity is seen as a process of construc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language plays a vital role in constructing identities.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guistic features that reflect identities in discourse, especially through the language mediations of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he act of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political and ideological terms is likely to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of military interpreters, who must take a clear position on the ideological issues arising from conflict situation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s and identities of military interpreters. (1) Why did Korean society need so many interpreters after being liberated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B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les of military interpreters, who emerged as a powerful group in Korean society. (2) What were the roles of military interpreters during the Korean war? As the war progressed, the US military suffered from an acute shortage of linguistic mediators. In light of tho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they worked as messengers to remove language barriers. (3) How were collective identities constructed in the Panmunjom negotiations mediated by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how military interpreters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Before delving into the analysis, it is first necessary to introduce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which consists of three factors. First, adopting CDA is useful to analyze discourse in terms of identifying the roles and identities of military interpreters. The analytical methods proposed by van Leeuwen and van Dijk provide insight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language mediators. In addition, their linguistic features in discourse can be linked to the construction of ident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DA. Second,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QDA) strategy is used to collect and classify large amounts of data. The initial process in organizing data is to code it such that it can be easily categorized. The QDA method provides methodological ways of trimming down the data collected from news reports, memoirs and the minutes of the Korean armistice talks. Third, corpus data from two crucial minutes of the Korean armistice talks can support the results generated through QDA. By using WordSmith Tools, the corpus can provide data on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in the form of a concordance and word list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levels for the purpose of contextual analysis. It starts at the macro-level (i.e., analyzing historical documents), which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auses of the increasing demands placed on military interpreters. Coding data from news reports can be useful to find out what exactly they did and how they were treated as a valuable human resource. Then, it moves on to the meso-level of analyzing social and situational contexts. This level is twofold. The first layer is to focus on the memoirs of the military interpreters because their experience in the linguistic profession provides clues about their missions and roles as a bridge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militaries. The second layer is to focus on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armistice talks, the language skills of the interpreters are likely to have affected the outcome of the negotia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linguistic experts may play a vital role for doing their duties as a soldier. Finally, the micro-level focuses on an analysis of the translated text. By adopting the CDA framework into the tex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inte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dentity. The approach to social actors, as proposed by van Leeuwen, provides an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which to examine social representation. The approach to social cognition proposed by van Dijk gives us insight into understanding the discursive legitimation of exercising power. As a result, this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nalysis of news reports reveals that the group of Korean military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had social influence due to the language abil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The US military government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s there is a language barrier between the US army and the Koreans, the USAMGIK was thoroughly reliant on the services of Korean military interpreters in conducting its administrative duties. But the US army faced a lack of qualified interpreters because many Koreans couldn’t speak English. That is why the group of military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eated as valuable human resources. As the U.S. military interpreters influenced the public through this administrative work, they enjoyed a high social status.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moirs of the military interpreters who served in the Korean and US armies provides a lens for understanding their role in the Korean war. They acted as a bridge between the ROK and US force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ir missions. According to the memoirs of the military interpreters, they translated documents for military education while simultaneously making interpretations for American commanders. This also proves their acumen as military interpreters. Third, analyzing the minutes of the Korean armistice talks shows that the military interpreters involved in the talks were mediators, watchers, and editors. The mediator role included not only cultural, but also linguistic mediation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other role of the military interpreters was to check and correct the interpretations of the enemy interpreters. The military interpreters were not only translating the armistice agreement; they also edited the translated agreement and gave their feedback on the transl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ir roles from the perspective from CDA proposed by van Leeuwen. The approach to legitimation of authority can help to illustrate how they conducted their roles by using their authorities such as expert authority, personal authority, and custom authority. Fourth, CDA, as proposed by van Leeuwen and van Dijk, aided this study’s efforts to explain the roles and identities of military interpreters in the Panmunjom negotiations. van Leeuwen explained the way of representing social actors in discour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articipants of the negotiations could be represented in the translated discourse. During the negotiation, U.N. interpreters intervened to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mmunist interpreter. From the perspective of CDA, this study explained the intervention as the act of constructing collective identities by using the various ways of representing social actors. By analyzing the minutes of the Korean armistice talk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ilitary interpreters used the ac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o construct collective identities by representing social actors as the polarized groups of “foe or friend”. While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actors provides a way of analyzing the collective identities, Sociocognitive approach, as proposed by van Dijk, contributed to the discourse analysis for explain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ideology and translation. van Dijk suggested discursive strategies that legitimate social power and dominance. In case of the talks for the translation of the draft armistice, both U.S. and Communist delegations used a discursive strategy of legitimation and justification to persuade or influence the other party.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reveals that the act of translating words could be used for delivering ideological ideas by adopting the strategy of legitimation and justification for their translation. More importantly, the military interpreters in the Korean armistice talks are likely to play a crucial role by suggesting translation of terms. In addition, the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interpreters could affect the process of translation to deliver their ideological position.

      • 생활시설 정신지체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준비하는 과정으로서의 Pre-Group Home 운영 사례연구 : J재활원 사례중심

        고선정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서 운영하는 Pre-Group Home 프로그램이 장애인의 지역사회 주거서비스의 일환인 그룹홈으로 이전하여 지역사회 생활을 하기 전에, 정신지체인에게 사회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효과가 있음을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해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최근 장애인생활시설에 대한 기본방향이 제공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으로, 지역사회 중심으로, 장애인의 선택의 기회 확대 등으로 변화됨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은 단순 의식주 해결을 위한 생활서비스 중심에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적 기능으로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많은 생활시설에서 시설생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일련의 목표지향적인 과정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시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을 안고 있다. 국내 많은 연구자료를 통해 이미 그룹홈 운영에 대한 성공사례 및 장애인의 사회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필요성은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생활시설 장애인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홈 운영 사례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룹홈의 운영이 성공적인 사례뿐만 아니라, 집단화된 생활시설에 익숙한 정신지체인들에게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 서 여러 가지 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저해받는 요인(경험의 부족, 적응시간의 지연 등) 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인 중 많은 부분이 생활시설 내에서 프로그램으로 적용시켰을 때, 정신지체인의 지역사회 적응능력은 많은 부분에서 향상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정신지체인 생활시설인 J재활원의 5년 간의 그룹홈 운영을 통해 생활시설 정신지체인이 지역사회통합에 저해받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저해 요인을 Pre-Group Home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중 증화되고 있는 생활시설 내의 장애인이 사회통합을 준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정신지체에 대한 정의, 사회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 새롭게 요구되는 장애인생활시설의 기능과 역할, 그룹홈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다시한 번 정립해 보고, J재활원의 3년에 걸쳐 운영된 Pre-Group Home 운영사례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그룹홈 운영의 다양한 경험적 기반을 생활시설 내부의 운영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물리적 환경을 재구성하고, 시설생활 장애인에 대한 생활지도 내용을 지역사회 중심으로 연계하여 새로운 Pre-Group Home 프로그램을 시도하였던 것은 중증.중복화 되고 있는 생활시설 내 정신지체인에게 지역사회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연구과정 및 결과를 기초로하여 다른 생활시설에서도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재활용되고, 더 보완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매체미학 : 빌렘 플루서 Vile>m Flusser의 이론을 中心으로

        고선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의 활용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디자인(design)’은 정보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수단으로서 인류의 문명을 발전시켜온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시대적 위치는 특히 정보디자인이 부상하는 필연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이에 따라 매체의 기술에 의해 디지털화된 정보가 디자인의 가치성, 효율성 그리고 기능성에 대한 역할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순수와 응용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20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아방가르드 운동과 바우하우스로 인해 예술이 일상생활 속으로 깊이 침투해 들어왔다. 그러한 방식으로 새롭게 접근한 조형예술인 디자인의 개념과 가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매체를 통해 모더니즘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여 창조적으로 형성된 예술 문화, 즉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논증하는 것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환경 속에서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에 콘텐츠(Content)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닌, 기술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디자인의 의미론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 접근방법은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의 매체이론을 바탕으로 전개되며,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디자인과 디지털매체의 상호 발전됨을 증명한다. 초기 모더니즘 디자인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으로 인간의 지각이 확장되고, 예술과 기술의 결합으로 디지털 가상공간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현대사회의 매체를 통해 예술 문화가 새롭게 형성되었고 인간 커뮤니케이션 또한 활발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은 오늘날 하나의 코드로서 삶에 어떤 방식으로든 미적체험과 정보를 제공하고 전달한다. 디자인은 새로운 매체의 하나인 인터넷 속에서도 현실의 존재 양태를 변화시킨다. 플루서가 그의 역사적 관점에 따라 분류한 코드(code) 가운데 하나인 기술적 형상을 통해 디자인은 새로운 관점에서 미학적으로 정당화된다. 따라서 디자인은 매체를 통해 또 다른 창조적인 가능성을 탄생시키는 상호매체성 예술, 그리고 네트워크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예술로서 가치가 입증된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media together with the application of communicative design, is advancing more so than in any other period of the past. By Delivering information by the means of communication‘Design’in modern society has advanced human civilization. This type of design, (considering its position in time) especially information design, can be seen to be an inevitable outcome. Therefore digitalized information and the role it has to media technology and to its design value, efficiency and potential is becoming required research.key words : modernity, design, media, communication, technical image, kommunikologie, telematic society, post-history, Technocodes After the 19th century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e practical boundary started to collapse and with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avant garde movement and Bauhaus, art has penetrated deeply into every day life. By this method, the newly accessed formative arts; its design composition and value have been revealed to be the aims of research. And accordingly with this original research, a new paradigm of modern art through modern society and its media has constructed and evolved a new art culture, that is to say it is an example of artistic value of design. Moreover, as we understand the landscape of communication and its need, not so much the content but the appearance of media's technology provides access to different meanings. This acquiring method, can be creditive to Vile?m Flusser's media theory, where research of design and digital media's reciprocated advancements are evident. The early stages of modernism design's geometrical form and with it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expanded human perception. The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called for a new communicative revolution called cyberspace. Through modern society's media, art culture has evolved and the way human's communicate has become vigorous and active. Today, the present together with design has presented aesthetic experience and information while communicating this as a code of life's certain process. Design within the new medium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aspects of realities existence. Though Flusser's historical viewpoint and coding of technical images, a new viewpoint through design has been aesthetically legitimized. Through form, design has different creative capabilities that can give birth to an art that is recpirical in form. Also,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society's communication network indicates a proof for the value of art.

      • 물질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 근대백화점의 상품 디스플레이와 젠더 연구

        고선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ins with a series of questions for modern material culture, commodity display and gender regarding department stores in the colonial Korea. In general, culture is defined as a life style or behavioral system and a structure based on the symbolism of members of the community. Culture is composes of our lives containing ideological, social, and material aspects. This research is distinct from existing studies on department stores mainly from ide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y tracing the spectacular city spaces of Kyungsung, the colonial name of Seoul, in the 1920s~30s as the basis of material culture. It introduces ‘department store’ as a medium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1) Was it possible for Kyungsung to be modernized without the introduction of modern material culture? 2) If a semi-feudalistic enlightenment movement created an ideal female model and suppressed and restricted women, how women could find their identity? 3) Did the male intellectuals who repressed women liberate themselves own from their colonial positions entirely? 4) Dis the commodity display in department stores reflect the male critical opinions of modern girls? By coming up with the answers for th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in detail the issue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visual culture, sociocultural phenomenon of modern experience, paradigm shift from the premodern to the modern, gender. Department stores, which have been built upon modern material culture, created diverse visual spectacles and changed the perception of the colonial Korean people. The spectacular visual images of modern buildings, signs, neon lights, display windows, merchandise displays, mannequins, and advertisements in Kyungsung streets, overwhelmed and attracted the public. In other words, people experienced modernization through visual perception of modern things. In addition to this, the Westernized ‘modern girls’ came upon the spectacle of the streets as a new consumer. These women were both a subject watching the spectacle and an object of envy, criticism and desire of others. The modern girls entered the capitalist society just as they were liberated from the collapsing feudal system and educated in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to the society. The department store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m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try to live an independent life through consumption. Meanwhile, the colonial Joseon male intellectuals criticized them through media and discourses on women. These male intellectuals tried to conquer the insecurity of their own position by projecting their anxieties of and desires for the Japanese and Western modernization onto the modern girls. This was also patriarchic attempts to denunciate modern girls’ search for their identity to moral degeneracy women’s obscene temperament as having succumbed to materialism and capitalism as their essential nature. This criticism was clearly revealed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commodities in department stores. Commodities were displayed in showcases and display windows to attract consumers. In particular, the display windows, which were built with steel frames, glass, and lighting, were designed for products to be shown from outside in detail. As a new strategy of displaying, mannequins and shop girls were positioned in front of displayed commodities as the commercialization of women. In this sense, display windows became a gendered space emphasizing femininity as a strategy to attract male consumers. To sum up, Korean modern department store was a unique space in which the complicate relation between people, country, and gender were intertwined as the Joseon’s tradition and modernization under the colonial control coexisted and contested. Therefore, Korean modern history needs reconsidering based the study of ‘department store’ as one of the leading factors of modern material culture enriches and contributes to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ity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consumption.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근대 물질문화, 상품 디스플레이 그리고 젠더에 대한 연속되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문화란 한 집단의 구성원들의 삶의 방식이나 행위체계, 상징구조 등으로 규정된다. 문화는 이념적·사회적·물질적 측면을 망라하여 실제 우리 생활과 융합하여 영위된다. 그러나 주로 이념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기존의 문화연구들과는 달리 이 연구는 물질적 측면에서 1920~1930년대 경성의 스펙터클한 도시공간을 추적한다. 과연 근대 물질이 유입되지 않았더라면 경성의 근대화는 가능했을까? 만약 반봉건 계몽운동이 이상적인 여성 모델을 창조하고, 이를 통해 여성을 억압·규제했다면, 우리는 어디서 여성의 주체성을 찾을 수 있을까? 반면 여성들을 규제했던 남성 지식인들은 식민지적 지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었을까? 공적 영역에 진출한 모던걸에 대해 경계하는 남성의 시선이 상품 디스플레이에는 어떻게 반영되었을까? 하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 ‘백화점’이라는 매개물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근대 시각문화의 발달과 사회문화적 현상, 인식체계의 변화, 젠더 등을 면밀히 분석한다. 근대 물질에 의해 구축된 ‘백화점’은 다채로운 시각적 스펙터클을 창출하고, 식민지 조선인들의 감각과 인식체계를 전환시킨다. 경성 거리는 근대 건축물과 간판, 네온사인, 상품진열장, 쇼윈도, 마네킹, 광고 등의 이미지들로 뒤덮여 대중을 지배하고 소비자를 유혹한다. 즉 사람들은 이미지를 통해 근대를 체험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서구적 스타일을 한 새로운 소비 주체인 ‘모던걸’은 거리의 또 다른 스펙터클로 등장한다. 이들은 스펙터클로 변한 세계를 바라보는 주체이면서, 타자에게는 선망과 비판 그리고 욕망의 응시대상이다. 봉건적 신분제도가 무너지고 근대교육을 통해 젠더적 억압에서 벗어난 모던걸은 백화점을 통해 근대 자본주의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그들은 소비를 통해 자아를 찾고, 자기주체성을 확립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 반면 식민지 조선의 남성 지식인들은 언론매체와 여성담론에서 모던걸을 부정과 비판으로 일관한다. 그 이유는 식민지 남성들이 일본/서구의 근대에 대해 느끼는 불안과 욕망을 모던걸에 투영시켜 그들의 불안정한 지위를 극복하려 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여성의 성적 타락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 굴복한 그들의 음탕한 기질로 본질화하는 남성들의 젠더화된 시선이 내포된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 시선은 상품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백화점은 상품진열장과 쇼윈도를 통해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소비자를 유혹한다. 특히 철골과 유리, 조명 등으로 제작된 쇼윈도는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외부에서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마네킹이나 숍껄은 점두에 세워져 진열된 상품과 마찬가지로 여‘성’을 상품화하여 새로운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결과적으로 쇼윈도는 남성 고객을 유혹하는 장치로 여성성을 강조한 젠더화된 공간이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한국 근대백화점은 조선의 전통성과 식민지배로 인한 근대성이 공존했던 장소로 민족과 국가, 젠더의 복합적 관계가 뒤얽혀 있는 독특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백화점’이라는 물질문화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근대사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는 한국의 근대성과 근대 소비의 발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