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꽁이 포접쌍의 개체크기와 연령구조

        고상범 ( Sang Beom Ko ),고영민 ( Young Min Ko ),이정현 ( Jeong Hy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size and age of Kaloula borealis, a pair in amplexus. In June 2013, the total 23 pairs of Kaloula borealis were captured in the wetland located in Seongsan-eup and Daejeong-eup, Jeju Island. Size and age of each individual have been examined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SVL (snout-vent length), weight, length of forelimb and hindlimb of the collected 23 pairs, the females were shown to have the heavier weight and the longer SVL and hindlimb compared to mal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forelimb has been found between the female and th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male of the pair in amplexus was shown to be 5.17±0.26, whereas the female was shown to be 6.22±0.28, which indicates the higher average age in female compared to the male. The age range of Kaloula borealis was distributed from at least 3 years to 10 years at the maximum.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age of the male and SVL;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emale. This study result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e data in establishing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strategy of endangered species, Kaloula borealis.

      • KCI등재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 분석

        고상범 ( Sang Beom Ko ),이정현 ( Jung Hyun Lee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6

        우리는 제주도 대정읍에서 뼈나이테법(skeletochronology)을 사용하여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를 알아 보았다. 조사는 번식기인 2009년 6월에 실시하였다. 측정된 개체수는 수컷이 38개체, 암컷이 58개체로 각 개체의 SVL(snout-vent length)과 체중을 측정하고 나이구조를 분석하였다. 수컷의 평균 SVL은 43.69±3.44 ㎜이며, 암컷은 46.32±4.23 ㎜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식에 참여하는 수컷은 2살이고, 암컷은 3살로 나타났다. 가장 나이든 수컷은 8살이며 암컷은 10살이다. 그러므로 이 종의 수명은 수컷에서는 8살, 암컷에서는 10살 이상으로 볼 수 있으며 암수의 수명에서 암컷이 더 오래살고 있다. 또한 이 값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성장곡선은 von Bertalanffy growth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성장계수(K)는 수컷이 0.56이며 암컷은 0.41이다. 최대성장크기는 수컷이 46.41 ㎜이며 암컷은 50.22 ㎜로 나타났다. Using skeletochronology in the Daejung-eup, Jeju, we determined the age structure of Kaloula borealis. The study was performed during the breed season in June 2009. We measured the snout-vent length(SVL) and body weigth(BW) and analyzed the age structure of 38 male and 58 female frogs. The mean value of SVL is 43.69±3.44 ㎜ in males and 46.32±4.23㎜ in females. The age at first reproduction was estimated to be 2 years of age in males and 3 years in females. The oldest males and females were 8 and 10 years of age, respectively. Therefore, the longevity in this species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8 years for males and 10 years for females. So, females live longer than males. Also, this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age structure was significant. We estimated the growth curve for Kaloula borealis using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The growth coefficient (K) was 0.56 in male and 0.41 in female. The asymptotic size was 46.41 ㎜ in male and 50.22 ㎜ in female.

      • KCI등재

        맹꽁이 유생의 생장과 생존에서의 염분영향

        고상범 ( Sang Beom Ko ),고영민 ( Young Min Ko ),이정현 ( Jeong Hy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stage of boreal digging frogs (Kaloula borealis).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eggs of K. borealis mating couples laid along the coastal zone of Jeju Island in June 2013. The salinity was set to 0, 1, 3, 5, and 7 ‰, respectively.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larvae at various stages from the egg phase to the closing of their external gills phase were observed. In another experiment, tadpoles in internal gill stage were placed in solutions with salinity of 0, 1, 3, 5, and 7 ‰, respectively, and their survival rate and growth rate were observed, and then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abov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egg and external gill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in 3 ‰solution, though there was low survival rate in 5 ‰ solution. Further, all the eggs were dead in 7 ‰solution, so it appeared that solutions with salinity of 5 ‰or higher affect the survival of K. borealis in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in the internal gill st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from the control group up to a salinity of 5 ‰, but when placed in a solution of over 7 ‰salinity, the survival rate decreased. The growth rate also slowed down with the higher salinity. It appeared that in both the external gill stage and the internal gill stage in 5 ‰solution, the growth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higher salinity valu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K. borealis larvae and this finding can be used to conserve K. borealis species that are de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side effects of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 KCI등재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번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

        고상범 ( Sang Beom Ko ),장민호 ( Min Ho Chang ),송재영 ( Jae Young Song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6

        맹꽁이의 번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 동안 제주도 대정읍에 위치한 산란지에서 조사하였다. 분석요인은 강우량, 습도, 온도, 기압, 풍속으로 강우가 있는 날에 산란유무를 가지고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맹꽁이의 번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강우량, 습도, 기압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강우량으로 나타났다. 맹꽁이는 많은 비가 내릴 때 산란활동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와 기압도 번식활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온도인 경우는 번식기간이 여름철이므로 이미 번식활동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맹꽁이도 온대지방에서 이루어진 다른 무미류 연구에서와 같이 강우량과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meteo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breeding activities of the Kaloula borealis, spawning sites which are located in Daejung-Eub,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for 4 years from 2008 to 2011. The factors for analysis were rainfall, humidity, temperature, barometric pressure and wind speed, Comparative analysis were done on the spawning activities on rainy day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breeding activities of the Kaloula borealis are rainfall, humidity, and barometric pressur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among them is rainfal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Kaloula borealis participate in spawning activities when it rains hard and humidity and barometric pressure also have influence on their spawning activities to a certain degree. As for temperature, the breeding season is summer so it meets one of the conditions for breeding activities. As a result, like the previous studies on other anurans in temperate regions, rainfall and temperature have a great impact on breeding activities of the Kaloula borealis.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의 맹꽁이(Kaloula borealis) 산란지 분포

        고상범 ( Sang Beom Ko ),고영민 ( Young Min Ko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6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산란지 보호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월에서 8월 사이에 조사하였다. 비가 오는 날 밤부터 다음날 낮 동안 울음소리를 통해 습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알과 유생의 유무로 산란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맹꽁이들이 산란지로 이용하는 습지는 83개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습지를 산란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도별로는 150m이하가 전체의 81.9%였고, 산란지의 수심은 일반적으로 50cm를 넘지 않는 얕은 장소에 산란하고 있었다. 지역별 산란장소는 제주시 지역이 54개소로 서귀포시지역 29개소보다 많았는데 이는 서귀포시 지역이 과수원이 많아 습지가 더 많이 훼손된 결과로 판단된다. 성산읍인 경우는 갈대습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 산란지가 많이 보존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발에 앞서 산란지를 보호하고 서식장소를 제공하여 맹꽁이의 개체군을 보존하고, 이미 심각하게 손상되었거나 파괴된 산란지를 복원하게 하여 급격히 감소되어가는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spawning sites of Kaloula borealis in a large number of wetlands in Jeju Island between May and August from 2007 to 2010. Based on the surveys, we discovered the locations of their habitats by investigating their calls from a rainy night to the next day and where their spawning sites were by ascertaining the existence of their eggs and tadpoles. According to the results, 83 wetlands were used as spawning sites across Jeju Island. A large number of wetlands were found to be permanent wetlands for Kaloula borealis. In addition, 81.9% of the wetlands in Jeju Island were found to be at an altitude of 150m or lower, and they spawned in shallow water not more than 50cm in depth. By region, 54 wetlands were in Jeju-island 29 wetlands were in Seogwipo-si. One of the reasons that Seogwipo-si has less wetlands than Jeju-si is that there are more orchards in Seogwipo-si than Jeju-si; accordingly, wetlands in Seogwipo-si were found to be more destroyed by farming. In the case of Seongsan-eup, a reedy marsh stretches out widely so that spawning sites were well preserved compared to other regions. This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sustaining the population of Kaloula borealis by protecting their spawning sites from development, by offering habitats, and restoring spawning sites, which have become severely damaged and destroyed.

      • KCI등재

        번식기간중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먹이 습성

        고상범 ( Sang Beom Ko ),장민호 ( Min Ho Chang ),양경식 ( Kyoung Sik Yang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먹이 습성을 밝히기 위하여 2011년 6월에 제주도 대정읍 일대에서 채집된 56개체에서 52개체의 먹이를 조사하였다. 위 속의 먹이는 Stomach Flushing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맹꽁이 (Kaloula borealis)의 주요 먹이는 파리류, 먼지벌레류, 개미류, 초파리류로 나타났다. 부피가 작은 먹이는 다양한 크기의 개체들이 포식을 하고 있으나, SVL이 큰 개체들은 부피가 큰 먹이들도 포식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맹꽁이(Kaloula borealis)는 비행능력이 있고 활동적인 파리류나 초파리류를 먹이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이들은 활발히 움직이면서 먹이를 포식하기보다는 기다리다가 포식하는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어진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먹이습성에 대한 연구 자료는 급격히 감소되어가는 이들의 보호와 개체군 보존전략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feeding habits of the Kaloula borealis, the stomach contents of 52 out of 56 specimens collected around Daejung-up, Jeju Island in June 2011 were studied. The stomach contents were analyzed with the stomach flu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in preys of the Kaloula borealis were Diptera sp., Harpalidae, Formicidae and Drosophilidae, the Kaloula borealis of all sizes fed on small preys, while individuals with large SVL fed on big preys. By feeding on a large amount of food with a small number of activities, the individuals with large SVL is considered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In many cases, the Kaloula borealis fed on Diptera sp. or Drosophilidae, which are slow but active and capable of flying. As result, the Kaloula borealis take the sit-and-wait form of preying rather than actively searching for fo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feeding habits of the Kaloula borealis will provide valuable resources to protect the endangered Kaloula borealis experiencing a sharp decline in their population and to prepare plans for population preservation strategies for them.

      • KCI등재
      • 제4분과 : 야생동물 ; 제주 지역 맹꽁이의 생활사

        고영민 ( Young Min Ko ),고상범 ( Sang Beom K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맹꽁이는 주로 장마철(6월-8월) 비가 내려서 물이 고이는곳에 산란하며, 알은 물위에 하나씩 띄워 산란하고 금방 산란한 알은 검은 동물극과 하얀 식물극이 뚜렷이 구분된다. 지난 10년간 최초 산란은 5월 28일부터 6월 26일 까지였으며, 최종 산란은 7월 25일부터 8월 24일 까지였다. 또한 다른 양서류 유생이 있는 곳에는 거의 산란하지 않지만 청개구리와는 산란장소가 일치하였다. 즉, 드물게 다른 양서류 유생이 있는 곳에 산란하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맹꽁이의 산란 장소에서 청개구리 유생만 관찰되었다. 다른 양서류와는 달리 낱개로 물에 띄워 산란하기 때문에 난괴(알 덩어리)를 볼 수 없으며 한 번에 몇 개의 알을 산란하는지도 알 수 없었다. 다만 로드 킬 당한 맹꽁이 암컷의 배를 해부한 결과 1,500에서 2,500개의 알이 들어 있어 다른 연구자와도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맹꽁이의 산란은 고도 3m인 애월리 원담에서 374m인 원물까지 비교적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산란한 지 하루정도면 부화가 이루어져 비슷한 시기에 산란하는 청개구리나 참개구리들이 부화(3-5일)되는 것에 비해 매우 빨리 부화하였다. 따라서 갓 부화한 올챙이는 다른 개구리 올챙이보다 크기가 매우 작아 5-6mm정도였다. 부화된 올챙이들은 2-3일간 물속의 풀잎이나 돌에 붙어 있다가 먹이활동을 시작하였다. 지난 10년간 유생의 최초 관찰은 5월 29일부터 6월 26일까지였으며, 최종 관찰은 8월 7일부터 9월 14일 까지였다. 생장속도 또한 빠른 편이다. 일반적으로 뒷다리는 부화한후 약 25일, 앞다리는 35일 만에 나왔으며, 37일 후 어린개체가 되었다. 유생의 생장속도는 산란장소인 습지환경 조건에 따라 3일에서 7일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맹꽁이 올챙이는 머리 쪽이 넓적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눈이 머리옆으로 나있다. 등 면은 검은 색을 강하게 띄고 배면은 어릴때 회색빛을 띄다가 뒷다리가 날 때쯤 얼룩무늬가 된다. 올챙이는 부화한 후 15-20일 정도까지는 거의 도피행동을 하지 않고 먹이활동을 하지만 15-20일이 지나면 재빨리 헤엄치며 자신의 위치를 바꾸거나 돌 밑에 숨는 도피행동을 시작했다. 변태한 맹꽁이 새끼들은 한꺼번에 많이 모여 있으며 밖으로 나와 물가에 주로 있다가 다가가면 땅위를 뛰어 도망가거나 물속으로 뛰어들었다가 바위나 물풀 위로 올라갔다. 새끼 맹꽁이들은 한동안 습지를 떠나지 않고 그 가까이 습한 곳에서 먹이활동을 하다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인근 지역으로 분산하는 것으로 보인다. 생식에 참여한 암컷 32개체와 수컷 80개체를 측정한 결과 암컷의 체장은 평균 48.6±0.6mm(Mean±SE), 수컷은45.1±0.6mm(Mean±SE)로 두 집단 간 평균비교분석(t-test) 결과 p < 0.01로 유의수준 1%에서 암컷과 수컷 간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체중은 평균 17.0±0.7g(Mean±SE), 수컷은 12.0±0.5g(Mean±SE)이었다. 두 집단 간 평균비교분석 결과 p < 0.01로 유의수준 1%에서 암컷과 수컷 간에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맹꽁이 암·수 개체 간 체장과 체중이 암컷이 수컷보다 큰이유는 암컷이 1500-2500개 정도의 알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포접 할 때는 생식 혹이 없기 때문에 앞다리로 꽉 껴안지못하고 배에서 끈끈한 물질을 분비하여 암컷과 포접 상태를 유지한다. 작은 암컷은 작은 수컷과 큰 암컷은 큰 수컷과짝짓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맹꽁이가 산란을 할 때 40-80개 정도의 알을 수십 회에 걸쳐 산란을 하며, 이런 과정에서 균형을 잡아야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맹꽁이는 머리가 아주 작으며 앞다리뿐만 아니라 뒷다리도 짧고 가늘어 뛰어오르거나 뛰면서 이동하지 못하고 거의 대부분 기어 다녔다. 또 아래 턱 앞쪽 끝에 1개의 울음주머니가 있으며, 산란철에는 맹-, 맹- 거리며 아주 시끄럽게 운다. 또한 포접 할 때는 수컷의 배 밑에서 끈끈한 물질이나와 암컷의 등에 잘 달라붙을 수 있으며, 수면에 떠서 이동하면서 산란하였다. 이동은 주로 밤에 이루어지며, 어둠이 완전히 내린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맹꽁이는 무당개구리와 같이 주로 밑에는 물이 있고 사이에 공간이 있는 돌 밑이나, 흙을 파고 들어가 휴식을 취하며 주로 밤에 먹이활동을 하였다. 먹이행동은 다른 개구리들과 마찬가지로 먹이가 움직이면 먹이 근처로 이동하고 다시먹이가 움직이면 혀와 몸을 동시에 움직여 재빨리 먹이를 낚아챈다. 이때 포식에 실패한 후 한동안 먹이가 움직이지 않으면 그냥 지나쳐 버리는 것으로 보아 움직이는 것은 쉽게 감지하지만 정지된 물체를 인식하는 시력은 좋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새끼맹꽁이의 경우 먹이활동이 활발해서 낮에도 먹이활동을 하며, 이 때 백로류나 다른 새들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겨울잠은 주로 땅 속에서 자며 커다란 바위밑이나 돌무더기 밑, 돌담 틈의 흙이 있는 곳에서 자기도한다.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인공 증식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개체군 증식 및 종 보존을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항산화 활성이 높은 구기엽 추출물 제조

        김태수(Tae-Su Kim),박원종(Won-Jeong Park),고상범(Sang-Beom Ko),강명화(Myung-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본 연구는 구기엽(Lycium chinesis Miller Lycii folium)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최적추출 용매를 설정하고자 100% MeOH, 80% MeOH, 80% EtOH 및 water로 혼합 용매를 제조하여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은 80% MeOH 1.420 ㎎/mL> 80% EtOH 1.382㎎/mL> 100% MeOH 1.085 ㎎/mL> water 1.084 ㎎/mL순으로 나타났고,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에서도 80% MeOH 추출물에서 83.85%, 88.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 54.65%, 67.47%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80% MeOH 추출물에서 73.58%로 가장 높았고, 100% MeOH 추출물에서 66.65%로 가장 낮은 활성이었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 또한 80% MeOH에서 35.4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100% MeOH 추출물에서 11.70%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지만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 검토에서 80% Me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구기엽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Lycii folium were extracted with water, 80% ethanol (80% EtOH), 80% methanol (80% MeOH) and 100% methanol (100% MeOH) in water bath at 40℃.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evaluated using DPPH, hydroxyl and hydro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OD-liked activity.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were 1.085 ㎎/mL in 100% MeOH, 1.382 ㎎/mL in 80% EtOH, 1.420 ㎎/mL in 80% MeOH and 1.084 ㎎/mL in wat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65.60% in 80% EtOH, 56.80% in 80% MeOH, 83.85% in 100% MeOH and 54.65% in wat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66.65% in 100% MeOH, 73.13% in 80% ethanol, 73.58% in 80% MeOH and 70.73% in water. Hydro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prepared from Lycii folium were 11.70% in 100% MeOH, 33.73% in 80% EtOH, 35.40% in 80% MeOH and 23.86% in water. SOD-liked activity of the extracts prepared from Lycii folium was 71.58% in 100% MeOH, 74.29% in 80% EtOH, 88.46% in 80% MeOH and 67.47% in water. Our result showed that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from 80% methanol were found to be promising biomaterials with antioxidant effects.

      • KCI등재

        맹꽁이 서식처 복원을 위한 서식처 적합성 지수(HSI) 개발

        심윤진 ( Yun Jin Shim ),조동길 ( Dong Gil Cho ),박소현 ( So Hyun Park ),이동진 ( Dong Jin Lee ),서윤희 ( Yun Hee Seo ),김상혁 ( Sang Hyuk Kim ),김덕호 ( Duck Ho Kim ),고상범 ( Sang Beom Ko ),차진열 ( Jin Yeol Cha ),성현찬 ( Hyun C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2

        Kaloula borealis is the species of Amphibia which belongs to Kaloula genus and it is the only species inhabiting in Korea. Th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of Kaloula borealis have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on a national scale due to the diversified developments and the uses of agricultural pesticides.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signated and managed them as the class II of endangered species, in accordance with ?Endangered Species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however, a particular study focused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Kaloula borealis is desperately needed to prevent their extin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HSI (Habit Suitability Index) of Kaloula borealis based on literature survey on ecology and habitats of Kaloula borealis, as well as their HSI. Factors to be investigated in HSI include: space, feed, cover, water(breeding) and threatening factors and the variables of each factor were also proposed. The distance from wetland, grassland, farm, stream and rice paddy, as well as the altitude of spawning pond were proposed as the variables of space, whereas the bed structure of forest and low-rise grassland were proposed as the variables of feeding. The variables of water (breeding) include the area of permanent and temporary wetlands, coverage of emerged pants (ratio of open water), water depth, water temperature, water quality, pH level, etc., whereas the presence of predator, distance from street and pollutants were proposed as the variables of threatening factor. The sub-standards by HSI factor of Kaloula borealis have been drawn from in-dept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based on this, the final HSI of Kaloula borealis wa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