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황함유 아미노산의 간기능 보호 작용

        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6

        While it is known that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SCAA) are very important in regulating hepatocyte growth and preventing liver-diseases, the fundamental molecular mechanisms of how they exert their hepatoprotective functions are not well known. Since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the hepatic concentrations of S-adenosylmethionine (SAMe)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are severely decreased, the pathophysiological importance of SAMe and its downstream antioxidant, glutathione should be discussed in order to see a big picture of relationship between SCAA and liver diseases. Chronic SAMe deficient mice have shown spontaneous hepatocellular carcinoma development due to impaired mitochondria functions with low levels of prohibitin1 protein, and through deficiency in many genes which are known to ameliorate genetic instability, such as APEX1 and DUSP1, the functions of which are recovered by SAMe treatment. In this review, current knowledge of the basic concepts of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CAAs protect the liver will be discussed in detail. Also, a possible tumor suppressor in livers, prohibitin1, and its functional relationship with SAMe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유산균 배양액 추출액의 항병원성균 효과 및 냉장저장 육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이윤지(Yun Ji Lee),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본 연구는 젖산균 배양상등액(ELAM)의 항균 효과 및 저온저장 돈육의 보존성과 품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그 항균능력이 연구되지 않은 Lactobacillus sicerae를 비롯해 두 종의 젖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의 비교를 통해 그 항균력과 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3종의 ELAM은 모두 돈육등심의 14일간 저온저장 후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돈육의 일반성분, pH, TBARS, 육색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L. sicerae는 다른 두 종의 젖산균 ELAM 처리군에 비해 3종의 병원성 미생물(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성장 억제능력과 돈육접종 후 14일간의 저온저장 후의 미생물 수에서 유의적(P<0.05)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예비연구에서 ELAM 처리 돈육의 보수력과 가열감량에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앞으로 L. sicerae의 사용 안전성 및 독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있을 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육류보존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의 전망이 매우 밝다고 판단된다.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medium extracts from three different lactic acid bacteria (LB1, Lactobacillus acidophilus; LB2, Lactobacillus casei; LB3, Lactobacillus sicerae) were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extracts of lactic acid bacteria media (ELAM)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pork loin quality after 3 and 14 days of cold storage such as general contents, colors, pH, and TBARS. To determin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ree ELAM, three pathogenic bacteria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obtained and incubated with ELAM-absorbed paper discs. ELAM of LB2 and LB3 showed significantly larger bacterial growth inhibitory zones compared with that of LB1 (P<0.05). When the pathogenic bacteria inoculated in pork loin with three ELAM, total microbial contents of pork loin treated with ELAM of LB3 after 14 days of cold storag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content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LB1 and LB2 (P<0.05). In conclusion, ELAM of LB3 derived from L. sicerae had the most effective pathogenic bacteria inhibitory activity on agar and pork loin. This is the first result to repor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L. sicerae. If the safety and toxicity characteristics of L. sicerae are further investigated, this new lactic acid bacterium would have potential as an effective and nature-friendly food preserving agent.

      • KCI등재

        어머니의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과 학령기 후기 아동의 Broca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연구

        이혜림(Hyerim Lee),이경은(Kyoung-Eun Lee),고광석(Kwang Suk Ko),홍은아(Eunah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발달과 성장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는 비만뿐 아니라 부적절한 저체중 또한 장·단기적으로 많은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의 비만과 관련된 건강문제 및 개선책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저체중과 관련된 건강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실제로 아동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어머니임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들의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과 학령기 아동의 저체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특히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것은 한국 학령기 아동의 저체중을 가져오는 환경적 요인, 그중에서도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가족의 생활습관에 대한 현실과 연구 사이에 큰 괴리(missing gap)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을 분석하고, 어머니들의 건강과 관련된 생활습관 및 체질량지수가 그들의 학령기 후기 자녀의 체질량지수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와 자녀의 체질량지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r=0.345, P<0.001), 이는 어머니의 저체중 정도가 클수록 자녀의 저체중 정도 또한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령기 아동들의 체중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친밀하게 관계를 맺는 어머니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재조명해 주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Broca 지수가 90% 미만인 저체중인 어머니가 82.4%로 다수를 차지하는 것과 연관하여 중년 어머니가 저체중 상태에서 적정수준의 운동을 하지 않음으로 인한 전반적인 체력 저하가 있을 수 있음이 의심되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운동 부족과 건강하지 못한 운동습관이 자녀의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어머니의 식습관, 요리습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대다수의 참여자가 저체중인 그룹에 속하는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저체중 그룹 내 어머니의 식습관과 요리습관이 좋을수록 체질량지수가 정상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좋은 식습관과 요리습관이 건강상태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만뿐만 아니라 저체중 그룹 내에서도 적절한 식습관과 요리 습관이 체질량의 적절한 증가와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자녀의 Broca 체질량지수 분류별 어머니의 Broca 체질량지수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7.158, P<0.001). 요리습관만을 사후분석 하였을 때 저체중군이 정상군보다 요리습관의 평균점수가 높아 자녀가 저체중군인 어머니들이 자녀가 정상군에 속한 어머니들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은 물론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녀의 저체중과 어머니의 요리습관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를 거의 찾을 수 없는 실정을 고려할 때 이 두 요인과의 상호 연관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저체중 그룹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 및 건강문제 예방을 위해 어머니들의 건강한 요리습관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며 이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향후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체질량지수와 학령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식습관, 요리습관 및 운동습관의 다각적 측면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에 동시에, 어머니의 생활습관 변화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저체중 및 과체중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연구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mothers" eating, cooking, and exercise habits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habit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A total of 393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mother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who registered at four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of which 159 participants (40.0%) comple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regression coeffici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cooking habit (F=3.920, P=0.022) and exercise habit (F=3.211, P=0.043)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Interestingly, 82.4% of mothers had a Broca index of less than 90% of normal body mass level.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Broca index between mothers and their late school-aged children (r=0.345, P<0.001) indicate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had a low body mass level also tended to have a low body mass level. In this study, late school-aged children"s Broca index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mother"s eating (r=-0.072, P=0.367) or exercise habits (r=-0.010, P=0.897) bu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ooking habits (r=-0.157, P=0.048). Considering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the impacts of mother"s cooking habits on their children"s appropriate body mass,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cultivate mothers" healthy cooking habits to improve school-aged children"s health status is very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data that could be used when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multi-dimensional impacts of mothers" life habits on their last school-aged children"s developmental health status.

      • KCI등재

        다양한 마늘 추출물이 HepG2 세포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에 미치는 효과

        정수한(Suhan Jung),이상훈(Sang Hoon Lee),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냉수추출 마늘추출물이 HepG2 세포 내 콜레스테롤 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세포 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작용 기전을 알아보았다. 마늘을 25°C에서 60분간 숙성하였을 경우 1분간 숙성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추출물 내 alliin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늘 추출물을 HepG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이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제한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발현량 역시 마늘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많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성처리를 한 마늘의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의 농도 비례 효과를 살펴본 결과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의 경우 생마늘을 상온에 60분 숙성시킨 마늘 추출물과 구운마늘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HMGCoA reducatase mRNA의 상대적 발현 수준 차이 이상의 지질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결건조 마늘의 경우 생마늘을 섭취하였을 때와 유사한 또는 더 우수한 효능을 보이면서도 오히려 보관성이 우수하고 생마늘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과민 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뒷받침할 방안들의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garlic extracts on cholesterol synthesis in HepG2 cells. Raw garlic, grilled garlic, and freeze dried garlic were subjected to cold water extraction, and extracts were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min or 60 min. The extracts were treated to HepG2 cells for 4 h, and cholesterol synthesis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HMG-CoA reductase were investigated. The alliin contents were reduced when garlic wa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60 min. Raw garlic extracts showed lower intracellular cholesterol content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raw garlic extracts incubated for 60 min showed no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eeze-dried garlic extract showed minimum intracellula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tents. Relative mRNA expression level of HMG-CoA reductase, a rate-limiting enzyme of cholesterol synthesis, decreased in the garlic extracts. Compared with 60 min, garlic extracts incubated for 1 min showed a reduced level of HMG-CoA reductase mRNA expression. The freeze-dried garlic extract reduced mRNA expression level of HMG-CoA reduct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ells treated with 5% of 0.2, 0.5, 0.8, 1.0, and 1.5 mg/mL in medium, and the effect was maxed out at dose of 5% garlic extract at 1.0 mg/mL in medium.

      • KCI등재

        마우스에서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이 급성 알코올성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정수한(Suhan Jung),이상훈(Sanghoon Lee),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으름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에 대하여 으름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을 생쥐에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로 인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투여는 알코올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및 alcohol dehydrogenase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GSH)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GSH synthetic enzyme의 mRNA 발현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반응 지표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mRNA 발현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결과들과 기존의 실험에서 확인한으름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를 종합하였을 때 으름 추출물의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반응에 대한 간 보호 효과는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 및 hederagenin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 생각한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hederagenin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Oleanolic acid [10 and 20 mg/kg body weight (BW)/d] or hederagenin (10 and 20 mg/kg BW/d)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study group for 1 week. On the last day of treatment, ethanol (5 g/kg BW) was orally administered to induce acute liver injury. The oleanolic acid-treated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compared to the ethanol-treated group (EtOH).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alcohol dehydrogen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 dosage oleanolic acid-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EtOH groups. The glutathione levels of the oleanolic acid or hederagenin-treated groups were eleva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EtOH group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glutathione synthetic enzymes were also elevated in the oleanolic acid-treated groups. The oleanolic acid or hederagenin-treated groups also showed lower levels of mRNA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hus, these results show that oleanolic acid and hederagenin could reduce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ethanol-treated mouse liver.

      • KCI등재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성인 여성의 요구도 조사

        곽정은(Jeong Eun Kwak),이서연(Seo Yeon Lee),이상훈(Sang Hoon Lee),고광석(Kwang Suk Ko)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9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typical Korean females adults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ss media. Methods: A total of 343 females (77 in their 20s, 85 in their 30s, 88 in their 40s and 93 in their 50s) residing in the Seoul/Gyeonggido area was survey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main source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needs for sources and contents of nutrition information. Results: The survey showed that typical Korean females obtained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inly through the Internet (30.4%) and broadcasting (29.0%). Typical Korean females were interested in ‘dietary management for weight control’ (21.9%),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20.0%), ‘food safety’ (16.8%), ‘proper dietary habits’ (14.6%), ‘cookery’ (11.8%), ‘functional foods’ (9.6%), ‘restaurant details’ (3.5%) and ‘lifecycle- specific dietary guideline’ (1.6%). Needs for food and nutrition program forms on TV were ‘educational programs’ (34.3%), ‘documentaries’ (20.8), ‘expert lecture-style’ (13.0%), ‘entertainment programs’ (11.9%), ‘expert conversation’ (11.4%), ‘news-style’ (4.6%) and ‘public campaign advertisements’ (4.0%). On the Internet, 38.6%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get information provided by food and nutrition-related institutions (38.6%) while 26.1% preferred webtoons for nutritional information.. The favored forms in mobile applications were ‘monitoring their diets’ (29.5%), ‘data-based texts information’ (21.4%), ‘experts feedback’ (20.6%), ‘communities’ (15.1%) and ‘games’ (13.1%). The rates of the preference to obtain information from experts such as nutritionists and dietitians and doctors­ or dietitian turned reporters increased markedly with older ages. Conclusions: Since the mass media is a main source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for the general public,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should be enhanced by taking the needs of the public into account. The quality of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by involving more nutrition experts.

      • SCOPUSKCI등재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 생쥐에 있어서 으름 열매 추출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이상훈(Sang Hoon Lee),송영선(Young Sun Song),이서연(Seo Yeon Lee),김소영(So Young Kim),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5

        생쥐에서의 으름의 열매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알코올로 인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보호 효과에 대한 영향을 조사 하였다. 즉, 생쥐 (C57BL/6)에게 1주간 으름 열매 추출물을 투여 하고 희생 전 알코올의 경구 투여를 통해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후 간 조직 형상, 간 기능 지표(ALT, AST), 간 세포내 GSH 합성 효소(GCLM, GCLC, GSS)의 mRNA 발현량, GSH 농도의 측정, 산화 스트레스 지표인 NOX4의 mRNA 발현량과 염증 반응지표인 TNF-α의 mRNA 발현량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으름 열매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알코올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 조직내 지방의 축적을 완화 하였고, 혈청 AST, ALT 수치를 개선하였으며, 간조직 내 항산화 물질인 GSH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더불어 활성산소기를 생성하는 NOX4의 mRNA 발현을 억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염증 반응 지표인 TNF-의 mRNA 발현도 억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으름의 열매 추출물은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에 대한 간보호 효과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Q)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AQ (30-1,000 ㎎/㎏ body weight (BW) per day)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study group, once daily for 1 week. On the last day of AQ treatment, ethanol (6 ㎎/㎏ BW) was orally administered to induce acute liver injury. The AQ-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compared to the only ethanol-treated group (ETG). The glutathione level in the AQ-treated group elevated up to 20.6%,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the ETG. The mRNA expression of glutathione synthetic enzymes was also higher in the AQ-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ETG. The AQ-treated group also exhibited lower levels of expression of NADPH oxidase 4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mRNA. Thus, these results show that AQ treatment can be a potential method to reduc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ethanol-treated mouse liver and also that AQ can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 KCI등재

        한국인 칼슘 섭취 실태와 관련 요인

        허자은(Ja-Eun Hur),박재희(Jae Hee Park),김유리(Yuri Kim),김혜경(Hyekyeong Kim),이민수(Minsoo Lee),김정현(Jung-Hyun Kim),고광석(Kwang Suk K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칼슘 섭취 실태와 칼슘의 섭취 수준을 평균필요량(EAR) 이상 그룹(Over)과 미만 그룹(Under)으로 나눠서 두 군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칼슘 평균필요량 이상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28.0%, 남성의 비율은 29.5%, 여성의 비율은 26.5%로 유의적인 차이가 났으며, 특히 여성 12~18세와 65세 이상에서의 Under 그룹의 비율이 남성에 비하여 더 낮았다. 칼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가족구성원 수, 결혼 상태, 가구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건강 관련 요인에서 음주를 하는 경우에 칼슘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체중 조절 노력이 없는 대상자일수록 그리고 주관적 체형 인식에서는 매우 마르거나 매우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대상자에서 칼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질병 관련 요인으로는 골관절염 현재 유병 여부와 최근 3개월 30일 이상 요통이 있는 경우에만 칼슘의 섭취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영양 관련 특성에서는 아침식사 빈도, 점심식사 빈도, 외식빈도, 영양 표시 인지여부와 영향 여부, 식사 장소, 매식 여부에서 칼슘 섭취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1,000 kcal로 에너지 섭취고려하고 성, 연령 그리고 음주로 영양소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지질, 인,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의 경우에는 섭취량이 Over 그룹이 Under 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탄수화물은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하여 식품군별 섭취에 따른 칼슘 섭취에서는 Over 그룹과 Under 그룹 모두에서 우유류, 채소류, 어패류, 두류, 해조류 순으로 칼슘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두 그룹에서 우유류와 어패류의 섭취를 통한 칼슘의 섭취 비율의 차이가 1.9~2.4배로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인 72% 정도가 칼슘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며, 칼슘 섭취 부족이 심각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별, 연령별, 소득별, 생활환경과 식사 패턴, 다빈도 식품이 칼슘 섭취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칼슘 섭취 수준이 만성질환, 뼈건강(11-13) 등 여러 질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는 만큼 질적, 양적인 칼슘 섭취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식생활 프로그램과 식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나아가 정책적으로 칼슘 섭취량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시도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status of calcium with related factors among Koreans based on the sixth stage of the KNHANES (2013∼2015). The study included 17,875 subjects (≥6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a 24 h-diet-recall. Calcium consumption data of all participant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with possibl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nutritional factors and disease-related factors. The results were expressed as ‘Under’ or ‘Over’ depending on the calcium consumption status of the participants compared to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for calcium i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The Over male ratio was 29.5%, while that of the female ratio was 26.5%. Additionally,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consumed less than the EAR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females, especially those between 12 and 18 years of age and over 65 years of age. Moreover, gender, marital status, number of families, household income level, alcohol consumption, effort to control weight, subjective body recognition, osteoarthritis, back pain, morning and lunch meal frequency, external meal frequency, eating place, and eating type significantly influenced calcium consumption status. In addition, carbohydrate, lipid, phosphorus,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niacin,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er group. Korean calcium intake is very low (Over group average=28.0% and Under group average=72.0%, but food that provides calcium to Koreans is limite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eating habits and food as well as to provide governmental policy regarding improving calcium consumption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