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 전공 특수대학원생의 학업 과정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구

        계진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전공 특수 대학원생이 학업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변화를 전환학습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그 양상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상담사로의 수련과정을 병행하고 있는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특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한 배경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오랜 시간 꾸준히 인간 마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족으로 인한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 과정에서 전환학습은 일직선상에서 순차적으로만 진행되지 않고, 비순차적이면서 순환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통해 인지와 정서를 포함한 복합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세 단계의 양상을 거치면서 전환학습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상담 전공 수업에 참여하기 전에는 몰랐던 내면의 상처나 자아상이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통해 인식되면서 표면화 되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 후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었던 자아를 알게 되면서 오는 혼란스러움, 갈등, 두려움 등을 겪으면서 점진적으로 수용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관점 변화와 확장을 통해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이 깊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초기에 상담 전공 수업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자아를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이 처음에는 혼란스러움과 갈등으로 나타났지만, 지속적인 성찰의 과정을 통해서 수용하는 것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이는 각자가 가진 관점의 변화를 가져왔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전환학습을 통해 변화된 삶의 공통적인 모습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면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 이었다. 특히 긍정 정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관점 전환 전과 비교했을 때 확연히 달라진 정서적인 특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관점 전환 전 삶의 과정에서 주로 부정 정서를 경험했던 것과는 달리 관점 전환 후 변화된 삶의 모습에서는 편안함과 만족감과 같은 긍정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면서 ‘즐거운 삶’ , ‘적극적인 삶’ , ‘의미 있는 삶’ 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논의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째, 상담 전공 학업 과정에서 전환학습을 통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험이 학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과정에서 자기 인식은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 성찰을 촉진하고 삶의 변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한다. 둘쨰, 상담 전공 학업 과정에서 경험한 전환학습의 핵심은 무의식에 있는 자아를 표면화하고 점진적으로 이를 수용하며 발달시켜가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동기 학생들과 상호작용 함으로써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고 각자의 다양한 관점을 나누어 보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관점 변화를 촉진 시켰다. 이러한 관계적 요소들은 전환학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은 전환학습의 모습으로 개인의 기존 관점을 보다 적응적인 방식으로 전환키면서 삶의 변화를 이끌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에서 긍정심리의 핵심 구성요소로 작용하여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환학습이론을 적용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은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상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대학원의 상담 전공 학업 과정을 전환학습의 렌즈를 이용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특수대학원에서의 상담 전공 학업과정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그들의 학업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성인의 계속 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의 상담전문가 양성과정에 긍정적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셋째, 개인적 삶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이후 자신의 삶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그 의미까지도 통합적이면서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내용은 특수대학원의 상담 교육자들에게 학업 과정에서 개인적, 전문가적 발달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특수대학원에서의 전문상담자 양성 교육 현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생존율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영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에서 신규창업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기업의 폐업률 또한 높은 편이다. 기업이 폐업하지 않고 지속해서 생존을 유지하는 힘은 다양한 내ㆍ외부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겠지만, 무엇보다도 창업가 특성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창업가의 역할과 그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매년 창업을 시작하는 창업가들에게 지속 성장을 위한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을 제시한다면 실패율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 여성기업인 육성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떨어지는 국가 경제에 여성 경제 인력이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높을수록, 매출이나 이익 등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아짐은 물론, 직무만족도, 기업 혁신성, 다양성 등 비재무적 측면도 건강하게 변화된다는 많은 실증적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생존율과 경영성과를 높이는 요인으로써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을 살펴보고,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 간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창업 7년 미만의 대표자 147명에게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기업생존율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가의 특성 중 관리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중 재무적 성과(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독립변수 모두 기업의 경영성과 중 재무적 성과(매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중 비재무적 성과(수익ㆍ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높을수록 비재무적 성과(수익)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여성친화적 다양성과 창업가 역할이 클수록 비재무적 성과(고객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과 차별화되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하였으나,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은 창업가 특성이나, 기업의 여성친화성에 큰 차이가 없었고, 기업의 여성친화적 다양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성과 기업이 그 외 기업에 비해 여성친화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가의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고성과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 다양성을 인정하고 반영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new start-ups in Korea is steadily increasing, but the closure rate of companies is also high. The ability of a company to continue to survive is determined by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bu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can be said to be among the most essential factors. Especially, the smaller the company’s size, the higher the CEO's role and the company’s dependence on it. Therefor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itigate the failure rate if we present a process that provides CEOs starting a business with a direction towards sustainable growth. Fostering female entrepreneurs is a global trend. This is due to the expectation that female economic manpower will become a new engine in the national economy where growth potential is hindered due to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There are many empirical examples that the higher the female-friendliness of a company is, the higher the company's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an increase in sales and profits, as well as non-financial aspects such as job satisfaction, corporate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women-friendliness of enterprises as factors that increase the survival rat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enterprises between high performing enterprises and others. To achieve this, a 56 ques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to 147 entrepreneurs with less than 7 years in operation. Five of these entrepreneurs were interviewed in-depth. Firs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on the corporate survival rate showed that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he technicalㆍfunctional rol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corporate survival rat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agerial role.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showed that neither had an a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sales) among business performanc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on non-financial performance (revenue, customer satisfaction) among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s, the higher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echnicalㆍ functional role, the highe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revenu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women-friendly diversity and entrepreneurship role of a company, the highe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while trying to find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 between high-performing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or women-friendli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high-performing companies had lower female-friendly diversity than general companies. Therefor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a company and increase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he technicalㆍfunctional role of entrepreneurs are most important. In order to grow into a high performing company, a culture that recognizes and reflects the diversity within the company should be created.

      •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계진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중국은 평균 7%~8%의 빠른 성장세로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중의 하나로 부상되었고 그 규모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중국의 WTO 가입으로 많은 투자규제의 완화와 투자환경의 개선이 실현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중소기업이 한국 내에서의 빈번한 노사분규, 높은 임금, 인력부족 등 열악한 경영환경에서 벗어나 경영환경이 더욱 좋고 13억 인구를 가진 가장 매력적인 중국에 진출하는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다. 극심한 노사분쟁, 고임금 및 인력부족 현상 등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 보다 나은 경영환경과 13억 인구의 매력적인 소비시장을 겨냥한 많은 한국중소기업은 대 중국 진출을 선택하였지만 대기업에 비해 자금력 그리고 정보수집능력이나 마케팅능력과 투자리스크에 대한 컨트롤능력 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국 중소기업의 대 중국 진출에서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외자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진출장벽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데 한국중소기업은 이를 우회하기 위하여 첨단기술, 경쟁우위산업, 중국정부가 규정한 장려산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투자패턴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중국 투자환경의 대응전략에 있어서 현지정부와 현지사회와의 조화를 도모함으로써 지방정부와의 좋은 관계를 이용하여 중국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야 하고 중국정부가 중국내수시장 보호를 하고 있는데 한국중소기업은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우위 확보, 대대적인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등 현지경쟁력을 높여 불리한 점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이와 함께 충분한 사전조사와 동업종 기업의 중국현지 경영현황과 애로사항을 고찰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여야 하고 투자방식을 선택할 때는 자기기업의 특성과 목적에 의하여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투자 방식, 투자 입지 선정 시 기업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법인 설립 시 법인설립대리를 활용하거나 합작전문알선업체를 이용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직원 인사관리의 체계 확립, 중국인 중간관리자육성, 자금회수와 자원조달 문제, 기술유출에 대한 대비책 등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업종선택에 있어서 단순 제조업에 제한되지 말고 중국 개방에 따른 새로운 분야에 주목을 하여 틈새시장을 겨냥하여 중국 투자 환경과 정책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China, one of the biggest markets of the world, has maintained an average economic growth rate of 7 to 8 % in the last decade. The Chinese entry in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has brought forth comprehensive reforms, which undoubtedly removed many restraints on foreign investments in the world's biggest market. The flip side of this phenomenon is that China has been adapting itself to both rules and institutions to create a friendlier environment for foreign investors. Meanwhile, many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SMCs), having been mired in the comparatively less attractive domestic market where employment disputes are frequent, remuneration is spinning out of control and competent human resources are draining, are jumping ship to embrace this neighboring market. But SMCs are facing more difficulties to enter China because of the capital, 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ability of marketing, ability of controlling investment risk are all lacking compared with large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mutation of China's investment policy, Korean SMCs will be more difficult to enter China. For avoiding these difficulties, Korean SMCs need to change investment patterns to superiorly competitive and high technology industries which shall be welcomed by Chinese government. Also, they need to keep a good relationship with local government and local societie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Chinese government and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new techniques to ensure superiority of technique for dealing with China's protection policy of domestic market. Finally, they can raise local competition continuously by intensifying images of brand. To minimize trial and error, Korean SMCs need sufficient preparatory research and inquire the present condition of enterprises' management in China which are in the same category of business and related management problems. For choosing right investment forms, SMCs must think over carefully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specific circumstances. For establishing a new company in China, SMCs can think over contacting an agent or an speciality consulting company. For achieving success of entry to China, Korean SMCs need to establish a goo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bring up chinese middle managers and set up counter-strategies for collection of capital, outflow of technique and resources supply. For choosing types of business, SMCs can aim at a break market or new spheres by opening of china and need to react rapidly to change of chinese policy.

      • 韓·中 現代 成長小說 比較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成長小說即關注主人公如何接觸外部世界,認識自我,最終實現自我成長的小說體 裁。人的成長過程對於個體自我認同至關重要,因此成長主題獲得了作家和讀者的共同 關注,成長小說也在現代小說體裁中佔據了一席之地。本論文以比較文學的研究方法, 從發展溯源和理論基礎,主題和成長状态,空間與成長類型,社會意義和文化特徵層 面,對韓中現代成長小說進行比較研究。 序論中首先提出了研究目的和必要性,在總結先行研究的基礎上,確定研究對象和 研究方法。根據文獻研究的方法整理了20世紀以來的韓中成長小說目錄,又以文學統計 學的計量方法,以獲獎情況、研究價值、經典選錄、翻譯出版、影像傳播為評分標準, 選定了韓中22篇代表性的作品。以平行研究方法為基礎,輔以接受研究、社會文化研 究、小說類型學研究方法展開比較文學的共同談論。 第2章考察韓中成長小說的理論基礎,整理成長小說的西方溯源和東亞流變,明確 韓中代表的東亞成長小說的概念,揭示了東方敘事傳統與西方思潮結合的體裁特徵,區 分了成長小說與兒童文學等近似體裁的差異,梳理了韓中成長小說發展史。 第3章探討了韓中成長小說敘事主題和成長狀態。3.1“集體記憶的創傷治癒”關注集 體記憶成長小說的創作,以戰爭和文革為主題的“集體記憶”類成長小說服務於社會集 團,對於兩國集體記憶進行重構,實現了作為反抗話語和創傷治癒作用。3.2“倫理共同 體中自我認同的建立”主要從“父親缺失和反抗父權”以及“性啟蒙與欲望克制”進行了比 較分析。3.3“極端狀況與生命價值的發現”中主要研究了成長小說中“生與死”的母題, 生命的認識是主人公成長的契機,而目睹死亡同样使主人公加深了對於生命價值的理 解。3.4“自我選擇與社會化成敗”中探讨成长人物的社會化問題,成長小說中的主人公 一般是通過訓育體系進入社會,可是在“反成長小說”中主人公則自己選擇了終止成長。 以上,本章結合文本對成長小說的敘事主題和成長狀態進行了比較,分析了韓中成長小說此方面的共同點和差異性。 第4章將重點放在空間話語的論述,分析了成長過程中空間對於人物的影響。4.1 “故鄉空間與自我認同”中將故鄉分為了“母性故鄉”與“父性故鄉”。母性故鄉中主人公理 解母親、故鄉,從而獲得自我認同;而在父性故鄉中主人公在“父親缺失”的狀態下,追 求成功以獲得成長。4.2“家庭空間與障礙克服”主要關注家長制家庭和多元文化家庭中 環境對於成長的影響。4.3“學校空間與成長的妥協”闡釋了學校空間內在的微觀權力, 主人公在這種機制下只有通過妥協才能獲得成長。另外,分析了同齡朋友之间在學校空 間中建立的共感關係,友情在成長小說中也顯現出至關重要的積極意義。4.4“旅途空間 與成長的探索”中分析了“告白與和解的旅行之路”與“回歸和再出發的探索之路”。本章 各個小節對韓中作品進行比較,通過分析四種空間中的八種成長類型,對成長小說中的 空間話語進行了系統的闡釋。 第5章探討了韓中成長小說文本以外的社會文化層面的意義。“集體記憶”類成長小 說對於兩國歷史事件進行了集體記憶的重構。其次,女性成長小說宣導女性主義和個人 主義,對1990年代以來的韓中社會道德和家庭倫理帶來衝擊和重建。最後展望成長小 說教育方面的未來發展,2000年後的成長小說中教育功能回歸,在學校教育、成人閱 讀、多元文化構建等方面發揮了巨大的作用。 本文結論認為,韓中成長小說將西方成長小說三百多年的流變集中呈現在一個世紀 的變化中,併發展為成熟的體裁。特別是1990年代的作品以獨立敘事語法反映了韓中 兩國個人與社會中關於成長和自我認同的多種現實問題,形成多層面共同談論的場域。 本文以比較文學的視野和方法對韓中成長小說進行了創新型的共同談論,重新確定 了韓中成長小說的版圖和譜系,通過理論基礎、敘事特徵、社會功能的分析研究,闡釋 了韓中為代表的東亞成長小說的位相和價值。 ‘성장’은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정이다. 외부세계와 대립하며 자아를 인식하고 자기의 성장과정을 실현하는 것은 성장소설의 본질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비교문학의 연구방법으로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현대 성장소설을 비교하여 한·중 성장소설의 개념과 전개 흐름을 파악하며, 한· 중 현대 성장소설의 담론주제와 성장 양상, 공간 담론과 성장의 유형, 사회적· 문화적 의의와 전망을 고찰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 선행연구 검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의 범위는 1980년대 이후의 작품을 위주로 정한 다음에, 작품 자체의 문학성과 작품 이외의 영향력을 동시적으로 고려하여, 수상상황, 연구가치, 정전선정, 번역출판, 영상전파 등 다섯 가지의 기준을 설정하여, 대표적인 한·중 성장소설 작품 22편을 선정했다. 제2장에서 한·중 현대 성장소설의 등장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 중 성장소설의 고유성과 외래성을 고찰하여, 한·중 현대 성장소설은 한국과 중국 전대의 서사적 전통에서 비롯되어 구조적인 면에서 축소 및 변형된 것이 며, 서양의 계몽주의, 개인주의 정신을 흡수하여, 현대 한국과 중국 사회 문화적 의식과 지향을 반영한 소설의 형태로 인식되어야 한다. 한·중 양국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이 동질성과 이질성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한·중 성장소설의 창작배경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학사의 발전 흐름에 따라 특히 1980년대 이후의 한·중 성장소설의 창작배경과 발전 흐름을 파악했다. 제3장은 한·중 성장소설의 담론주제와 성장의 양상을 고찰했다. 3.1 '집단기억을 통한 트라우마의 치유' 절에서 집단기억 성장소설의 창작을 주목한다. 한국의 전쟁성장소설과 중국 문혁성장소설에서 대항담론의 형성에 대해서 살펴 보고 성장기억으로 트라우마의 치유하는 특징을 분석했다. 3.2 '윤리 공동체에서 자아 정체석의 획득' 절에서는 '아버지 부재와 부권의 부정'과 '성에 눈뜸과 욕망의 절제' 2가지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했다. 3.3 '극단적 상황과 생명 가치의 발견'절에서 주로 성장소설 중의 '죽음과 삶' 모티프를 연구했다. 성장인물이 삶의 인식을 통해서 성장의 계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죽음의 목격을 통해 생의 가치에 깊이 인식할 수 있다. 3.4 '자아선택과 사회화 성패'에서는 성장소설 주인공의 사회화 문제를 살펴봤다.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교육체계의 편입을 통해 사회에 들어간다. 그러나 반성장소설에서는 기존의 성장소설 주인공들과는 달리 주인공의 선택으로 성장이 멈춘다. 이상과 같이, 텍스트를 결합하여 성장소설의 담론주제와 인물의 성장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제4장에서 주로 공간 측면의 담론특성에 초점을 두어 전개되었다. 성장소설 에서 인물이 성장과정에 미친 공간의 영향을 살펴봤다. 4.1 '고향 공간과 정체성의 수립'에서 고향공간을 '모성적 고향공간'과 '부성적 고향공간'로 나누어 분석했다. 모성적 공간에서 주인공이 어머니와 고향을 이해하면서 자기 정체 석을 수립하며 부성적 공간에서 주인공이 '아버지 부재'의 상태에 길거리에서 성공을 추구하고 성장한다. 4.2 '가정 공간과 장애의 대응'에서 주로 가부장 가정과 다문화 가정이 주인공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인공이 어떻게 대응하 는지를 분석했다. 4.3 '학교 공간과 성장의 타협'에서 '학교 공간'을 권력공간으 로서 미시적 권력기제를 분석하여 주인공이 타협을 통해 성장한다. 또한 학교 공간에서 형성된 또래 친구의 우정이 성장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4.4 '여로 공간과 성장의 탐색'에서 '고백과 화해의 여행 과정'과 '회귀와 재출발의 탐색 과정' 분석했다. 이처럼 각항에서 한·중 작품이 서로 비교하며 4가지 공간, 8가지의 성장유형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성장소설의 공간담 론을 고찰했다. 제5장에서는 위의 논의를 정리하여 한·중 당대 성장소설이 양국 사회 문화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미래의 발전 추세는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처럼 '주제와 양상', '공간과 유형', '의의와 전망'의 고찰을 통해서 비교문 학의 시야와 방법으로 한·중 현대 성장소설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런 작업을 통해 2010년대 오늘날의 자리에서 과거 30년의 대표적인 성장소설의 양상을 분석하고, 비교문학의 방법으로 한·중 성장소설의 판도와 계보를 확정하 여, 한·중 성장소설의 공동 담론을 통해 동아시아 성장소설의 가치와 위상을 파악한다. The initiation novel focuses on how the protagonist has access to the outside world, recognizes himself and finally realizes self-growth.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for individual self-identification. As a result, the theme of initiation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both writers and readers. Initiation novel also occupies a place in the genre of modern fiction. With the research methods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Chinese modern initiation novels from three aspects including discourse themes and growth appearance, space discourse and growth pattern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preface firstly puts forward the necessity and research purposes, and defines the research object and methods, basing on summarizing the previous researches. Firstly, by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this part comes up with the catalog of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since 20th century. Then, by the method of literary statistics and the scoring criteria including awards, research value, classic extracts, translation and publication as well as image transmission, this part picks out 22 representative works. And then, by the method of parallel research, supplemented by the methods of reception study, social and cultural study and novel typology study, this part discusses the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Chapter 2 studies the theoretical basis of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and traces the western origin and the evolution of East Asia. This chapter clarifies the concept of East Asian initiation novels represented by Korea and China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narrative tradition combined with western thought. This chapter also distinguish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itiation novels and children's literature and teases out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Chapter 3 discusses the narrative theme and growth status of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3.1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trauma healing" focuses o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creation of the initiation novels, and “the collective memory” initiation novels on the subject of war and the cultural revolution serving to social group has reconstructed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two countries, which realizes its role as a language of resistance and healing of wounds. 3.2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n the ethical community" is mainly analyzed from "father's absence and resistance to patriarchy" and "sexual enlightenment and desire restraint". 3.3 “Discovery in extreme situations and the value of life” mainly focuses on the growth of "life and death" motif in the novel.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is an opportunity for the protagonist to grow up, and witnessing death deepens its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life. 3.4 "Self-Choice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socialization" concerns about the socialization of the protagonist. Entering the discipline system means entering the society in initiation novels, but the protagonist chooses to stop growing in the Anti-growth novel. Above, this chapter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narrative theme and the growth form of initiation novels, and analyzes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hapter 4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spatial discourse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space on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growth. 4.1 "Home Space and Self-identity" divides hometown into "maternal hometown" and "paternal hometown". In the maternal hometown, the protagonist understands her mother and hometown, and gains self-identity, while in the paternal hometown, the protagonist seeks success in the state of “father absence”to achieve growth. 4.2 "Family Space and barriers overcome" focuses on the impact of environment on growth in patriarch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4.3 "the compromise between school space and growth" analyzes the micro power, and the protagonist can only grow by compromise under this mechanism. In addition, it analyzes the friendship of the same age friends established in school space, which shows positive significance in growing up. 4.4 "Exploration of travel space and growth" analyzes the "journey of confession and reconciliation" and "the road of exploration for return and restarting". Each section compares Korean and Chinese works with each other. By analyzing eight growth types in four kinds of spaces, this paper systematically explains the spatial discourse in the initiation novels. This paper concludes that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which has developed through only one century, represents more than three hundred years’ evolution of western initiation novels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ature genre. In particular, the works of the 1990s reflect the multiple realistic problems about growth and self-identification of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 Korea and China by the independent narrative grammar, and form the field of multi-level discussions. Through the view and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s paper conducts a creative common discussion of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and redefines the geography and pedigree of the novel. Through the analysis of theoretical foundation, narrative features, and social function, this paper illustrates the phase and value of East Asian initiation novel which is represented by Korean-Chinese initiation novels.

      • 朝鮮 末期 魚蟹畵屛風 硏究

        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specially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in the end of Joseon, taking notice of the fact that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wer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during such a period.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general fish and crab paintings or painters. However, there's no study to understand fish and crab paintings as a genre and analyze them in-depth. So, this study inspects the general fish and crab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by age within the pictorial flow. And then, it attempts a holistic study to contain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Jang Han-Jong who created a new painting style in the end of Joseon and those of court painters who were influenced by him including those of the anonymous. Firstly, in order to review the pictorial development of the fish and crab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racing to their origin, it's required to examine those of China by age through literature and work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into types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orms, materials and styles. Following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it inspects literature on our country's fish and crab paintings and the development of works available now. As for the periods, fish and crab paintings are limited those from appearance to those prior to manufacture of the new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by Jang Han-Jong in the end of Joseon. On literature, fish and crab paintings are mentioned from the Koryo Dynasty to late Joseon and thereafter. There are works in 17th~early 18th centuries, increasing sharply after 19th century. During such periods, most of works are ink-and-wash paintings on the sketchbook single wide. And there are icons having the same styles as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so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them. Such icons on the fish and crab backgrounds were continued to the folding screen pictures and maintained traditionality for a long time. In the end of Joseon, court painters manufactur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a new form and styl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 by Jang Han-Jong wa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o analyzed its developmental origin into backgrounds and materials. As for the styles of work, backgrounds followed the style of Danwon, and fish and crab 『Samjaedoho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Jo Jeong-Kyu, Lee Han-Cheol, Jang Jun-Ryang, court painters of next generations who followed the style of Jang Han-Jong, followed the style of Danwon or Jang Han-Jong in the backgrounds. Court painters shared fish and crab icons after formulating and modeling based on Jang Han-Jong's. So, in th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the same fish and crab icons revealed repetitively. After reviewing the variou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by the anonymous painters based on those by court painters from the aspects of formation of paintings and writings market with popularity of the folding screen in the end of Joseo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by us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have many practical purposes so accompany decorative characteristic. In addition, centered on the visual image, inspects works of the anonymous painters dividing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into the style of a court painter and the various things else, derived from a court painter's style. As for derivation of court painter's styl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expressive technique. Based on such three types, works are analyzed from types of a court painter's style, formulation and mix in order. As the result of analysi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the anonymous painters followed the style of a court painter, manufactured through transformation though in different degrees. Painters who manufactur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shared icons through pattern so the same fish and crab came to be shown repetitively. And, under influence of the court painter's style, they were formulated, schematized and mixed, showing the aspect of expanding their base. Through inspecting fish and crab paintings by ag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from the various angles, which appeared and prevailed in the end of Joseon. So it has the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at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painting during such a period. Through further study of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from records, visual images or comparison with other genres, it's expected to understand them as a genre of painting in the end of Joseon.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특히 조선 말기에 어해병풍이 대량으로 제작된 사실에 주목하여 시기는 조선 말기, 대상은 어해화병풍으로 한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어해화 전반이나 작가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는 있었으나 어해화를 한 장르로 이해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시대별로 조선시대 어해화 전반을 회화적 흐름 안에서 살펴본 후 조선 말기 새로운 화풍을 창안한 장한종 어해병풍과 그에 영향을 받은 화원화가,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을 포괄하는 총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조선 시대 전반의 어해화의 회화적 전개를 살펴보기 위해서 그 기원이 되는 중국의 어해화를 문헌과 작품을 통해 시대별로 작품이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중국 어해화의 형식, 소재와 양식을 통해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어해화에 이어 우리나라 어해화에 대한 문헌 기록과 현존하는 작품들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았다. 우선 시기는 처음 어해화가 출현하는 시기부터 조선 말기 새로운 장한종 어해병풍이 제작되기 이전의 어해화로 한정하였다. 문헌에서 어해화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 그 이후에도 보인다. 작품에서는 17~18세기 전반의 것부터 있으며 19세기 이후에는 그 양이 크게 증가한다. 이 시기에는 단 폭의 화첩 형식에 수묵 담채로 그린 작품이 대부분이고 중국 어해화와 같은 양식의 도상이 보여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어해, 배경의 도상은 어해병풍의 한 부분으로 이후에도 계속해서 그려져 오랫동안 전통성을 이어간다. 장한종의 어해병풍 이 후 화원화가의 어해병풍을 기초로 한 다양한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을 조선 말기 서화시장 형성과 병풍 유행의 측면에서 살펴본 후에 용도와 관련해 그림의 특징을 보았다. 여러 실용적인 목적을 가졌기에 어해화병풍은 장식적인 성격을 가진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화원화가들은 새로운 형식과 양식의 어해화병풍을 제작한다. 장한종이 그린 <어해병풍>은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이 됨으로 성립의 기원을 배경과 어해 소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작품의 양식을 보면 배경은 단원풍을 따르고, 어해는 중국 화보인 『삼재도회』를 따랐다. 장한종풍을 따른 아래 세대의 화원화가인 조정규, 이한철, 장준량의 어해병풍은 배경에서는 단원이나 장한종을 따랐다. 어해 도상은 장한종의 어해를 기초로 정형화 하여 이것을 본으로 화원화가들끼리 공유하였기에 어해병풍에서는 같은 어해 도상이 반복된다. 시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작가 미상의 작품을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과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에서 파생된 다양한 어해화병풍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의 파생’에서는 작품을 표현 기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유형 안에서 다시 화원화가풍과 가까운 것부터 정형화, 도식화·복합화 유형의 순으로 작품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은 화원화가의 화풍을 따랐고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그 안에서 변형하여 제작된 것이다. 어해화병풍을 제작한 작가들도 서로 본을 통해 도상을 공유하였기에 같은 어해가 반복하는 것이며 화원화가풍의 어해화병풍에 영향을 받아 점차 정형화, 도식화·복합화 되어 저변화 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어해화를 시대별로 살펴본 후, 조선 말기에 출현하고 유행하는 어해화병풍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의 분석을 시도하여 조선 말기 독자적인 회화로써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어해화병풍에 대한 기록과 시각적 이미지로 혹은 다른 장르와의 비교 등을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조선 말기 회화의 한 장르로 이해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