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해상경계분쟁의 원인과 해소방안

        계기석 국토연구원 2006 국토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itigative measures for maritime boundary disputes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Korea. Since 1980s, the maritime boundary disputes between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nd was aggravated for the right to permit fishing license, to develop reclaimed land and to exploit submarine resources. These disputes were caused by the facts that there weren't the provisions to stipulate maritime boundary between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Constitution Court on jurisdictional dispute for reclaimed land in Pyungtack-Dangjin Port, the local autonomy can be exercised over sea as well as land. This case become a clue to alleviate maritime boundary disputes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national and municipal policies to solve jurisdictional dispute for sea should point to establish the concrete maritime boundary on the base of topography map issu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f the maritime boundary on the base of topography map isn't rational in term of land use, it is desirable to change maritime boundary. In addition, it needs to have the special law to concretize the principles and criteria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KCI등재

        광역시 군 지역의 도시계획체계 개선 연구

        계기석(Kye Ki-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08 도시 행정 학보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come adequate urban planning system applied to rural counties(GUN) in metropolitan city(GWANG YEOK SI) to local autonomy and efficient area-wide planning. These counties have no rights to make their own urban plans although they are a self-governing body as well as rural counties attached to province(DO). Mayor of metropolitan city establishs and implements urban master plan which covers these counties, instead of mayor of rural county.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t is suggest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llows mayor of rural county to make urban master plan as well as mayor of metropolitan city in specific cases; the contents of urban master plan for rural counties become to be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metropolitan city plan should be reinforced by the strengthening of area-wide measures connecting various subregion(GUN, GU) plan. Ultimately, urban planning system for rural counties attached to metropolitan city has to be operated autonomously, endowed substantial planning tools and cope more efficiently with area-wide urban problems.

      • KCI등재

        파리 도시공원의 생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계기석(Kye, Ki 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파리 도시공원의 역사적 생성 과정을 통하여 그 생성 동기와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도시공원의 지속적 조성을 위한 도시공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파리에 현존하는 461개의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도시공원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갖거나 면적이 큰 51개의 도시공원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조성 양식, 공원성격, 종전 토지이용, 생성 동기 등을 조사하였다. 공원조성 역사는 1564-1851, 1852-1913, 1914-1975, 1976-1990 및 1991-2012 등 5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564년 튈르리 정원이 조성된 이래, 1770년대, 1850-1860년대, 1900년대, 1930년대, 1970-1990년대에 상대적으로 많은 도시공원들이 조성되었다. 도시공원 생성의 주요 동기는 시민혁명에 의한 왕가 정원의 개방, 오스만의 파리 대개조사업, 만국박람회 개최, 현대적 도시계획제도 운영에 의한 소공원 확충, 대규모 도시시설 이전부지의 공원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1840년대까지는 왕가 정원이 도시공원으로 전환되었지만 당초부터 시민들을 위한 도시공원을 조성하게 된 것은 1850-60년대 오스만과 알팡에 의한 파리 대개조사업부터 본격화되었다. 파리 도심지역은 물리적 한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많은 도시공원들을 조성하여왔음에도 불구하고 구 간의 도시공원 보급 격차는 여전히 크다. 도시공원의 성격은 당초 휴양과 산책 위주의 소극적 성향을 가졌으나 시민들이 도시공원을 통하여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가 다양화되면서보다 복합적이거나 전문적 성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원기능의 복합화는 휴양과 산책 기능 외에 다양한 문화 활동과 생물 서식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공원 기능의 전문화는 일부의 도시공원이 특정한 주제를 표방하면서 보다 특화된 공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시공원의 규모는 앙시앙 레짐에서는 대규모이었으나 19세기 중반 이후 소공원(square)의 확충으로 평균 규모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20세기말에는 대규모 도심부적격 시설의 공원화에 영향을 받아 다시 대형 공원들이 나타났다. 도시공원 조성양식은 통치자의 취향이나 사회적 풍조의 변화에 크게 영향 받았다. 도시 내 입지하던 일부 기능들이 폐지되고 도시공원으로 전용됨으로써 지역적 도시재생의 단초가 되었으며 나아가 파리 전체의 공간구조를 새로이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는 기존 도시공원의 활용성 증진, 협의에 의한 도시개발사업과 연계된 도시공원의 신규 조성, 그리고 비오톱 면적지수 등의 활용을 통한 녹지 조성 등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tive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on in urban parks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of creating the urban parks in Paris, and to provide directions of urban park policy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tinuous creation of urban green space. The existing 461 parks, public gardens and squares in Paris were adopted for this study. 51 parks were selected as sample to analyse design style, features, previous land use, and motives of creation among them. The history of creating urban parks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1564-1851, 1852-1913, 1914-1975, 1976-1990 and 1991-2012. Since the creation of Tuileries Gardens in 1564, the urban park"s creation wa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the periods of the 1770s, 1850-1860s, 1900s, 1930s, 1970-1990s. The main motives of creating a urban park can be summarized as the opening of royal gardens by citizen’s revolution, Paris remodeling projects by G. E. Haussmann,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Universal Exposition and Olympic Games, the expansion of vest-pocket park(square) by the operation of modern city planning system, and the conversion of previous urban facility sites into large urban park.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city parks, to establish new city parks in conjunction with "concertation" including the various interests, and to create the green spaces by using the biotope area index.

      • KCI등재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전략모형의 적용방향 연구

        계기석(Kye Ki-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0 도시 행정 학보 Vol.23 No.4

        Urban Regeneration became a major political topic in many Korean cities which are overspread and stagnant. It's necessary to take an integrated strategies, combining environmental, economic, physical, cultural and social aspects, to regenerate these stagnant cities. The strategies of cultural aspect among them play particularly an important role in an era of postindustrial society Bucheon City which is located between Seoul and Incheon and has no intense identity, give attention to culture-led regeneration from the 1990s. This study gets started by exploring the concept and types of cultural Strategy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n evaluates 6 major cultural projects that Bucheon City has adopted to regenerate itself in term of the type of cultural strategy model; and finall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cultural strategy model to support the culture-led regeneration.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cities which depend chiefly on the arrangement of their physic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regeneration.

      •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변병설,이병준,계기석,박소현,백명수,이동근,전성우,고문현,권용우,박헌주,이상문,황희연 한국환경연구원 2002 수시연구보고서 Vol.2002 No.-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도시지역 내 녹지를 효율적으로 보전·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도시녹지는 일반적으로 도시지역 내에서 인위적·자연적인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수목, 초본 등 각종 식물에 의하여 녹화된 공간 또는 그와 일체화되어 있는 토지, 물을 포함하는 오픈스페이스(open space)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녹지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시녹지의 효과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 대기정화, 소음감소, 미(微)기후 조절, 자연생태계 보전, 경관형성, 도시재난의 방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도시녹지가 지니는 이러한 효과는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가능케 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각종 개발과 도시가 확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녹지가 훼손되었다. 또한 생활권 주변에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도시녹지가 지니는 문제점으로는 녹지의 부족과 감소, 녹지관리체계의 미흡, 녹지의 연결성 부족, 토지의 사유재산권 강화로 인한 녹지확보의 어려움, 시민참여의 부족, 장기미집행 도시공원(long-delayed urban park)의 양산, 생활권공원의 부족, 법·제도의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도시녹지의 확보방향은 녹지총량의 증대, 녹지관리기반의 강화, 녹지네트워크의 구축, 시민참여의 활성화, 법·제도의 개선 등이다. 이러한 방향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도시녹지의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특수공간의 녹화를 확대하여야 한다. 도시지역의 경우 빌딩이 많은 반면 녹지로 활용할 토지가 적고 토지보상비가 높기 때문에 특수공간의 녹화가 중요하다. 특수공간의 녹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옥상녹화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관련법규의 개정, 적극적인 재정보조, 시범사업의 확대, 기술개발 등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녹지네트워크는 도시내부 및 외곽의 녹지요소를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연계시키는 녹지의 연결구조라고 할 수 있다. 도시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생물지리지역을 중심으로 녹지네트워크 기본 단위를 설정하고, 중요 패취(patch)와 코리더(corridor) 및 복원지역을 파악하고, 도시녹지 네트워크 지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구축하고 운영할 주체를 결정하고 도시녹지 인프라를 확대·보급하여야 한다. 셋째, 시민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녹지를 조성함에 있어 정부부문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고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시민의 역할과 과제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에 대한 이의 제기, 생활공간 속에서의 시민녹화 운동 전개, 민·관 파트너쉽 형성, 도시계획과정에서의 시민참여 실질화, 녹지와 문화의 조화 등이다. 넷째, 도시녹지와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하여야 한다. 도시녹지가 보전·확충되지 못한 제도적 문제점은 법정 녹지개념의 비일관성, 법적 지원대상이 되는 녹지범위의 협소, 녹화에 대한 유인장치 미흡, 도시녹지 종합계획의 부재 등이다. 이에 따라 도시녹지 제도적 확충방안으로 도시녹지 개념의 확대, 종합적인 도시녹지기본계획의 수립, 계약제 녹지의 활용, 법정 녹지확보 수준의 향상, 도시녹지 관련법의 정비와 「도시녹지법」(가칭)의 제정, 녹지관련 지방조례의 육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dicate strategies to conserve green tract of lands in urban area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 green tract of land in an urban area can be defined as an open space including water, trees, and grassland within the city and these portion of land can have various positive effects to the urban living. These effects include prevention of urban sprawl, air quality improvement, noise decrease, the micro-climate control, the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a green space produces pleasant urban environment, improves the quality of urban residents' living quality, and induces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short, it promotes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y. However, these green tracts of land are always under threat by developmental projects, and the expansion of urban boundaries. This study looked at the situation of green tracts of land in major urban cities in Korea, and found that the biggest problems are lack of a green tract of land, ineffectiveness of management system for green spaces, the lack of networks between green spaces, difficulties of secure, shortage of civil participation, occurrence of long-delayed urban park, the shortage of available parks near residential areas. Therefore, following strategies have been presented. Firstly,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s is needed. There are many building in urban areas but not enough green spa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fforest these artificial spaces. In order to afforest artificial grounds, it is necessary to launch various incentives for roof greening, revise relevant laws and launch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green spaces dispersed throughout the city. Green network system, as it is called, connects green space within the city, linking closely green factors of the urban environment. To construct green network system, it is necessary to set up its basic unit, to find an important patch and corridor, to draw a green network map, and to determine the administering authorities. Thirdly, active civil participation is needed. Civil participation is important as well as government efforts in terms of enlarging a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Therefore, constructing a private-public partnership, activating civil participation in urban planning process, and harmonizing a green tract of land with civil culture are essential. Fourthly, revising law and constitutions related to urban greening is needed.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are the inconsistency in scope, the shortage of incentives, and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pla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to devise a comprehensive plan, revise related law, and to legislate The green tract of land in urban area Management Act to institutionally expand green tract of lands in urban area.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마을만들기 조례의 제정 방향 연구

        여관현(Yeo, Kwan-Hyun),계기석(Kye, Ki-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마을만들기 조례를 내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행하게 될 마을만들기 조례의 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마을만들기 조례를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로 구분하였으며, 조례의 목적과 마을만들기 개념, 조례 지원 대상, 조례 지원 내용, 조례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마을만들기 조례는 내용적 또는 구성적 측면에서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마을만들기 목적이나 정의 등이 유사하였으며, 지역이나 도시에 따른 마을만들기 조례의 독창성은 드러나지 않았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마을만들기 조례의 제정 방향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마을만들기 조례를 세분화하여 지역 여건에 부합되는 차별적인 조례가 제정되어야 한다. 국내의 마을만들기 조례가 마을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개성 있는 마을만들기가 실천 가능한 마을만들기 조례가 필요하다. 둘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제도적 위계가 정립된 마을만들기 조례가 제정되어야 한다. 국내의 마을만들기 조례는 자치단체마다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마을만들기 조례로 제정될 수 있도록 조례를 구체화 하여야 한다. 셋째, 주민이 실질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마을만들기 조례가 제정되어야 한다. 넷째, 국내의 마을만들기는 도시계획이라는 제도적 맥락과 연계된 마을만들기 조례를 확립하여야 한다. 즉, 도시계획의 맥락과 어울리고 법적위계가 정립된 마을만들기 조례가 제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aeul-mandeulgi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then looking for directions of the enactment ordinances. This paper examines about the following items, purpose of the ordinances, concept of the Maeul-mandeulgi, support of the ordinances, contents of the ordinances, construction of the ordinances, and so 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implications for directions of enactment in the Maeul-mandeulgi ordinances. First,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nacted conform of local conditions to ensure. Second,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institutional hierarchy requires for the enactments in the Maeul-mandeulgi ordinances. Third, the residents in the village can be practically driven development regulations should be enacted in the Maeul-mandeulgi ordinances. Fourth, the Maeul-mandeulgi should be enacted ordinances connection with the urban planning for the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local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