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家賠償責任의 要件에 관한 考察 - 違法性과 過失을 中心으로 -

        경재웅 한국경호경비학회 2004 시큐리티연구 Vol.- No.8

        The current consitutional law 29-1 is ordaining the State Tort Liability for the illegal action of public service personnel. Based on this regulation, the State Tort Liability Act 2-1 actualizes by indicating, the nation or the local self-governing community is responsible for the public service personnels damaging others during their office hours whether it is accidental or intentional. However, the same law is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for the damage relief. In order to supplement this problem, through examinations at both theoretical and systematic levels of Prima facie as well as the object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damages are required for the national compensation for the police action. According to the object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damage theory, the faulty actions of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are the defects occurred during the office hours. In the case of the police action that frequently uses infringement administration, invading the liberty and rights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faulty damages during the office duties more comprehensively so as to extend its scope of the ordinary public service personnel accidental illegality. In order to warrant effectiveness of the securing the rights, it is crucial to distinguish whether the faulty actions are accidental or intentional. When proven to be damages by illegal police action, the police personnel is responsible for the faults, called Prima facie, the nation is liable for the damage relief.

      • KCI등재후보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관한 소고

        경재웅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4 집합건물법학 Vol.14 No.-

        In relation to Article 45 ⌜Constitutional Court Act⌟, when interpreting this provision in the contex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sentenced to order just a simple unconstitutional or constitutional decision. However, is difficult to determine just across the constitution on this complex phenomenon, required of variants decision as unconstitutional, limited constitutional decisions etc. But there is a dispute about the limited unconstitutional decision, be legally binding, and the most obvious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about this, is the constitution revision of Article 45 ⌜Constitutional Court Act⌟. So, provide a legal basi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to ensur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can fulfill its role as a last resort. Ultimately, could be to strengthen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guaranteed.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제도는 현행 헌법에서 다시 부활하였고 지금까지 헌법실현을 위하여 많은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런데 막사 헌법재판을 해오면서 헌법이나 헌법재판소의 규정만으로는 헌법재판을 충분히 규율해 나갈 수 없다는 현실에 직면했다. 그 중의 하나가 ⌜헌법재판소법⌟ 제45조와 관련된 것이다. 이 법조문의 문면상 의미를 그대로 따르면,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단순위헌결정과 단순합헌결정의 두 가지만을 주문으로 선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현상, 정치현상, 경제현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합헌적 판단에 있어서 헌법재판소는 단순위헌 또는 단순합헌이라는 양단의 결정만을 하기 어렵게 되었고 다양한 형태의 결정유형을 요구되어 헌법불합치결정, 한정위헌결정, 한정합헌결정 등 많은 수의 변형결정을 해오고 있다. 그런데 변형결정 중 특히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관해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갈등은 1995년 양도소득세 과세기준을 둘러싸고 헌법재판소가 한정위헌결정을 내리면서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못하고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법원의 변형결정의 한 유형으로서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은 바람직한 모습이 아니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도 법률의 위헌여부심판을 수행하고 그 결정을 선고함에 있어서 결정유형을 선택하는데 더욱 신중해져야 할 것이다.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대한 다툼을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가장 있는 합리적인 방법은 대법원측이 자신의 해석과 충돌되는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에 따르는 것이다. 이는 기속력이 부인됨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문제점과 법치국가에서 당연한 헌법우위의 필연의 결과 불가피한 것이다. 헌법재판소와 대법원간의 기속력에 대한 다툼을 가장 확실하고 명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국회가 현행 ⌜헌법재판소법⌟ 제45조 등의 개정을 통해서 헌법재판소의 변형결정에 대한 근거 법률을 마련하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국민의 기본권을 최후로 보장하는 헌법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강화하는 일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관리용역과 부가가치세법의 적용

        경재웅 한국부동산법학회 2021 不動産法學 Vol.25 No.4

        Value-added tax is a tax levied on the value added to products by business operator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goods. The value added Tex Act defines the real estate business as a service with property value. There is a temporary exemption from taxation for general management fees, security services, and cleaning services and cleaning services for the management body of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However, as a management service for apartment houses, the general management fee of the management entity is a prescribed application requirement of the 「Value-Added Tax Act」. In the case of an independent service provider for business, a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consignment fee of the manager can be regarded as a value-added service. In addition, security services and cleaning/disinfection servic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re subject to the security business and building sanitation business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and 「Building Sanitation Management Business Act」 and are not related to the management fee of general housing management services. These results are in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is a commercial corporation as a professional management company for apartment houses. Therefore, in this study, ①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ervice structure and ② improvement of the service fee payment method were suggested as a system for creating added value in the housing management business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of the management business through the creation of added value in the management business. 부가가치세는 사업자가 재화를 생산・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에 부가하는 가치에 부과하는 조세로서 「부가가치세법」은 부동산업을 재산적 가치가 있는 용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주택관리업 관리주체의 일반관리비, 경비업, 청소업자의 경비용역 및 청소용역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면세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 관리용역으로서 관리주체의 일반관리비는 「부가가치세법」 소정의 적용 요건으로서 사업상 독립적 용역의 공급자인 경우, 관리업자의 위탁수수료를 부가가치의 용역으로 볼 수 있는가에서 의문점이 제기된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 안의 경비용역, 청소・소독용역은 「경비업법」 및 「건물위생관리업법」 경비업, 건물위생관리업의 적용대상으로서 일반 주택관리업 용역의 관리비와는 무관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택관리업이 공동주택의 전문관리업자로서 상사법인인 점과 부합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택관리업의 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한 제도로서 ① 관리용역 구조를 개선과 ② 용역비 지급방식을 개선을 제시하여 관리업의 부가가치의 창출을 통한 관리업의 산업화를 도모토록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공동주택관리법개정과 경비업법 적용: 공동주택경비원의 업무범위 확대를 위한 공동주택관리법 개정과 경비업법 적용의 문제점

        경재웅 한국부동산법학회 2020 不動産法學 Vol.24 No.4

        공동주택관리 경비원의 관리업무 개선방안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정부는「공동주택관리법」제65조의 2를 신설하여, 동조 제1항은 공동주택에 경비원을 배치한 경비업자는 경비업법 제7조제5항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동주택 관리에 필요한 업무에 경비원을 종사하게 할 수 있다.라고 하여 경비업자가 고용한 공동주택 경비원의 업무를 확대한다. 동조 규정의 내용은 공동주택관리 경비원의 경비업무는 경비업법 소정의 업무를 수행한다는 전제로 ① 경비업법에 의하여 등록한 경비업자가 고용한 경비원에 적용토록 하고, ② 확대되는 업무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신설 규정에 대하여, 필자는 과연 공동주택관리법의 동조 신설로서 경비업법 제7조 제5항의 적용을 배제하는 효력을 가지는 가 의문이 제기된다. 또한, 동조 적용에 있어서도 ① 공동주택관리 경비원의 경비업무를 경비업법 소정의 업무를 수행한다는 전제로 하나 공동주택관리 경비로서 단지 안의 안내, 순찰은 주민생활관리업무의 일환으로 한다는 점, ② 경비업법 등록에 의하지 아니한 경비업자 고용의 경비원에는 적용이 배척되는 점, ③ 동조 적용을 받는 공동주택관리 경비원은 경비업무 외에 경비업법 규제에 대하여는 적용을 받는다는 점 등에서 문제가 제기된다. 무엇보다 동조 신설의 이유로서 경비원이 경비업무외 업무를 병행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공동주택 관리현장에서 경비원은 대다수가 고령인 점을 고려하면 「경비업법」 소정의 자격 및 장비를 갖추어「경비업법」상 경비업무로서 도난・화재 그 밖의 혼잡 등으로 인한 위험발생 방지업무의 집행이 능력이 없는 점도 고려한 것인지 의문이 제기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공동주택관리를 위한 경비원의 경비업무에 「경비업법」적용의 논란의 여지를 없애기 위한 제안으로「공동주택관리법」제63조를 개정하여 ‘공동주택 단지안의 ‘경비’를 삭제하고 관리업무의 내용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Despite previous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the management work of the security guards for apartment management, the government newly established Article 65-2 of the Apartment Management Act, and paragraph 1 of the same article refers to the security business law, Article 7 Notwithstanding paragraph (5), the duties of security guards for apartment houses hired by security companies will be expanded by saying that security guards may be engaged in dutie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contents of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shall be applied to the security guards employed by the security service provider registered under the Security Business Act on the premise that the security service of the apartment management security guard performs the duties prescribed by the Security Business Act, and ② the scope of the expanded work shall be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Regarding these new regulations,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Apartment House Management Act has the effect of excluding the application of Article 7 (5)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In addi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same article, ① on the premise that the security service of the apartment house management guard performs the duties prescribed by the Security Business Act, but the guidance and patrol in the complex as an apartment management expense is part of the residents' life management work. ② Registration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Problems arise from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is excluded to security guards who are hired by a security company that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same rule, and that the security guards for apartment management who are subject to the same agreement are subject to the regulations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in addition to the security business. Above all,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ongjo is to reflect the reality that security guards are doing business other than security work, but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security guards at the apartment management site are elderly, they have the qualifications and equipment prescribed in the 「Security Industry Act」 According to the Security Business Act”, a question arises whether the execution of the risk prevention business due to theft, fire, or other congestion takes into account the inability to execute.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proposal to eliminate controversy over the application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to the security affairs of security guards for th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Article 63 of the 「Public Housing Management Act」 was amended to delete and manage the'expenses in the apartment complex. They raised the need to clarify the content of the work.

      • KCI등재

        한ㆍ중 검찰제도 비교 연구

        경재웅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1

        삼권분립을 원칙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검찰권은 행정기관에 속하는 반면 중국은 검찰권의 준사법성을 특히 강조하여 “준사법기관”이라 불리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우리나라와 다른 권력집중적 구조인 인민대표대회제도라는 정치제도를 가지고 있다. 인민대표대회는 전체 국가기구체계에 있어서 지배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고, 국가행정기관과 심판기관 및 검찰기관은 모두 인민대표대회가 구성하고 이들 기관들은 인민대표대회에 책임을 지며 감독을 받는다. 인민대표대회 아래에 국가행정기관과 심판기관 및 검찰기관을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기관이 행정권, 심판권, 법률감독권을 각각 행사하게 한다. 즉, 검찰기관은 인민대표대회에는 종속되지만 국가 행정기관과 심판기관과는 병렬적인 국가기관으로 독립적인 법률적 지위를 가진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의 검찰은 국가권력분립의 원칙에 따라 조직상으로는 행정부에 속하지만, 범죄수사와 공소제기·유지 및 재판의 집행을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사법기관으로서의 특성도 지니고 있다. 중국 검찰제도는 중국 법률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독특한 제도이기 때문에 검찰제도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은 중국 검찰제도의역사적 필연성과 현실적 합리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검찰제도의 발전과정, 근대이전의 검찰제도, 근대적 검찰제도 및 현행 검찰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의 검찰권제도상 검찰구조와 조직 및 검찰의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고찰하였다. The prosecutor’s authority in our country observing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is an administrative agency while that in China is called as a “quasi-judical agency” by emphasizing its quasi-judicial authority especially. However, China has a political system, so called,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s a power-centered system unlike our system.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has a dominating position over the total structure of the national agencies. The Chinese national administrative, judicial and prosecution agencies are structured and superintended by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the Congress is responsible for those agencies. The national administrative, judical and prosecution agencies are established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under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each agency can exercise the administrative, judicial and legal superintendent powers respectively. That is, the prosecution agency is subordinated to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but it has a legal position as a parallel national agency independent from the nation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agencies. On the other hand, our country’s prosecution has some characteristics also as a judicial agency considered the fact that the agency has the rights to investigate a crime, prosecute & maintain a case and execute a trial although the prosecution belongs to the Administration from the aspect of it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Since the prosecution system of China is a unique system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egal culture, to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secution system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necessity and realistic rationality of the Chinese prosecution system.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ch prosecution system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prosecution system before the modern era, the modernistic prosecution system and the current prosecution system shall be examined. And then, those development processes were compared and reviewed focusing on the prosecution structure and 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secution in both countries.

      • KCI등재후보

        폐쇄형 주택단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안

        경재웅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5 집합건물법학 Vol.16 No.-

        The Supreme court judges that trespass upon common area in multi-unit dwelling is included as housebreaking. This court’s ruling judges trespassing in terms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not based on the object of crime. That is, the court postulates that trespass is decided by validity of virtual peace. However, trespassing the common use space in multi-unit dwelling should not be regarded as a type of dwelling as housebreaking is only made by other person’s real intrusion into dwelling area. This is also justified in the aspects of legal stability and criminal law supplem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common use space as a part of dwelling area interpreted by the court should only be thought as a necessary space within residential area, because virtual peace is breached only when real intrusion into dwelling area is occurred. To conclude, there is no reason that common use space in multi-unit dwelling should be necessarily regarded as a dwelling area. 우리나라의 아파트 및 주거단지 등은 미국과 유럽에서 일찍이 발생한 게이티드커뮤니티가 확산되고 있으나 최근 그 폐쇄성이 강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요새화’의 현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공권력에 대한 불신으로 출발하고 있지만 모더니즘적 건축 및 도시관을 바탕으로 사인(개발업자)의 욕심이나 천민 자본주의적 시장 논리 및 개발지상주의 등이 혼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커뮤니티 내부와 외부의 계층화 현상 및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어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과 대조적으로 근래 우리나라 도시의 주택 골목가 한편에서는 이미 축조된 담장과 문을 허물어 열린 도시공동체 만드는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는 것도 주목해야 할 점이다. 물리적 폐쇄를 통한 안정성의 확보는 완전한 안전이 아닐 수 밖에 없으며 진정한 커뮤니티의 형성을 통한 집단적 공동체 형성이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의 사기진작에 관한 소고 -후생복지제도와 언론을 중심으로-

        경재웅,이훈재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1 집합건물법학 Vol.8 No.-

        Among the numerous elements of morale support for the police officers, this study limits them to welfare program and social evaluation to seek methods of boosting police officers' morale. Currently the welfare program for police officers implement customized welfare system, which needs much improvement. The welfare points implementation to begin with. Due to their specificity of work, meaning danger and immediacy, police officers are always exposed to danger but yet they receive similar welfare points as the regular administrative officers. As a result, even if they are in the same administrative safety department, welfare points needs to be implemented proportionate to the work's nature and the 4th Article of 「Public officer welfare regulations」 should undergo revision to make this possible. In other words, legal grounds for points increase should take place. Secondly, there is the insurance item among welfare items, one of the mandatory items on the list. This item is mandatory due to the constant danger factor that entails the police work. Imposing points that the beneficiary cannot use at will but taking them back mandatorily for those members is contradictory. Therefore, if this insurance must be bought for the specific nature of the work, the police department should join insurances at their level for all the officers and not impose this on their points to provide the policemen points they can actually spend however they need to. There have been suggestions of supporting police officers' morale through press,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officers as social evaluation. Currently the media publishes negative articles on police regarding corruption or accidents within the department 5 times more than those in positive nature, such as their good deeds or moving stories. Of course this is not to say we should hide police corruption or accidents that take place in the police departments. What we suggest is that we balance the positive press with the negative ones, at leas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lice officers should do their best not to cause cases or accidents that may leak to the media and damage their social evaluation. Also, it would be effective to maintain good relations with the media by hiring professional media personnel as police department PR staff, who will deal with fairness issues, distortions, or misreports. In the end, if the public evaluation through media enhances, police officers' morale will also develop. 연구에서는 경찰조직구성원의 사기에 대하여 여러 가지 영향요인이 있겠지만 후생복지와 사회적 평가의 요인으로 한정하여 사기진작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경찰의 후생복지제도는 맞춤형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그 내용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 먼저 복지 포인트의 적용문제이다. 경찰공무원은 업무의 특수성, 즉 위험성, 돌발성 등으로 인해 언제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직군의 업무인데, 일반 행정부 공무원들의 복지 포인트와 비슷한 적용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행정안전부 소속이더라도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한 복지 포인트의 비례적용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위해 「공무원 후생복지에 관한 규정」 제4조를 개정해야 할 것이다. 즉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포인트 상향조정을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복지항목 중 필수항목인 보험항목이 있는데, 이는 업무의 특성상 항상 위험성이 도래되기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는 조항이다. 이것은 수혜자가 마음대로 쓰지도 못할 포인트를 부여하였다가 구성원을 위해 의무적으로 쓴다는 식으로 다시 회수해가는 생색내기의 표현일 수 있다. 따라서 업무 특성상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이라면 경찰청에서 애초에 보험가입을 일괄적으로 하고, 포인트에는 부여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구성원이 원해서 쓸 수 있는 포인트를 부여하자는 것이다. 경찰공무원이 사회적 평가로 인식할 수 있는 언론보도와 관련해서도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언론보도관행은 경찰 이미지에 우호적인 선행․미담의 사례보다 경찰에 비우호적일 수 있는 부패․비리나 자체사고 관련보도를 5배 이상 보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경찰의 부패, 비리나 자체사고를 은폐하자는 것은 아니다. 선행․미담사례가 없는 것도 아닌데, 적어도 보도비율을 맞추어가자는 것이다. 물론 경찰공무원은 스스로 언론에 비춰져 사회적 평가가 낮아질 수 있는 사건과 사고를 최대한 만들어내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언론의 공정성 문제나 왜곡, 오보 등에 대항하거나 잘 관리할 수 있도록 경찰의 홍보담당책임자를 전문 언론인 출신으로 영입하여 언론과 우호관계를 유지시켜나가는 것도 대언론정책에 있어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결국 언론을 통한 국민의 사회적 평가가 호전되면 경찰공무원의 사기는 올라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