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기관 국악분야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강혜인 ( Kang Hyein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2

        본 연구는 복지기관 국악분야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교육대상은 복지기관의 청소년으로 한정하고, 교육 영역은 국악감상 수업에서 학습동기를 유발 할 수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동기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목표에 맞는 국악감상교육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청소년들이 정서적으로 호기심을 갖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복지기관 국악수업 일정에 학습동기 요소를 적용하였다. 셋째, 차시별 학습주제와 학습단계에 학습동기 요소를 적용하여 국악수업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 적용 결과, 학습자는 국악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자기주도성 면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예술강사는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자의 동기요소를 국악교육 활동에 적용하여 수업내용에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학습자가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난이도의 국악 활동을 제공하여 국악활동이 자신과 관련성을 갖고 있다는 확신을 주고 생활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특히, 예술강사는 학습동기를 주목하면서 학습자의 심리상태나 태도를 더 관찰하게 되고, 피드백 하는 방법을 더 고민하고, 칭찬을 구체적으로 하게 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induce learning motivation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music in welfare institutions. The subject of education is limited to adolescents in welfare institutions, and the method of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in the class of appreci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s suggested for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learning motivation. Firs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as planned in the overall schedule of Korean classical music classes at welfare institutions. Second, the subject of appreciation class was selected to be emotionally curious and immersive, so tha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could be actively supported. Third, in each learning stage, learning motivation and related emotional elements were formed together to ensure that the course of Korean classical music classes could be successfully continued.

      • KCI등재

        창의성 사고기법을 활용한 한국음악사 교육방법 개발 연구

        강혜인 ( Hyein Kang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5

        본 연구는 창의성 사고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음악사 교육 방법을 개발한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한국음악사 교육의 목적은 첫째, 창의성 사고기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한국음악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다. 둘째, 한국음악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셋째, 사고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여, 음악을 즐기고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다. 한국음악사 교육 내용 범위는 음악사 전체를 개관하는 수업과 삼국시대, 조선시대, 근현대의 시대별 내용을 포함하였다. 교육 방법은 교사가 제안한 과제를 창의성 사고기법을 적용하여 학생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였으며, 사고기법은 <사고모자기법>, <브레인라이팅기법>, <마인드맵기법>, <속성열거법>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방법적 측면에서 사고기법의 활용은 유용하였다. 사고기법은 주어진 개념과 과제에 대하여 치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색다른 방법과 관점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한국음악사에 대한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데도 효과가 있었다. 사고기법 활동을 음악적 글쓰기 작업으로 정리하고 발표하는 것도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학생들에게 한국음악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글로 창작해 봄으로서 스스로의 음악적 사고를 보다 구체화하고 확장시키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Korean music history using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 The objective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by applying the technique of creativity thinking to class. Second, it recognizes the value of music based on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history. Third, it has an attitude of expressing its own ideas creatively and enjoying and utilizing music by using the technique of thinking. The scope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history includes the class which covers the whole history of music and the contents of the three kingdom era, Chosun era, and modern era. The method of teaching was to ask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by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 The thinking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is < Brain writing > < attribute listing > < Thinking Cap > < Mind map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useful to use the thinking technique in terms of method. Thinking techniques helped me to think carefully about given concepts and tasks. It was also effective in inducing students' fun and curiosity about Korean music history by presenting different methods and perspectives.

      • KCI등재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국악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강혜인 ( Hyein Kang ) 민족음악학회 2017 음악과 민족 Vol.0 No.53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Creative learning through traditional Korean music encourages students to enhance their creativity by enhancing their creativity by enhancing their creative education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a set of creative models that can apply to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and develop innovative thinking skills to develop innovative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steps of the class. The model of the lesson was designed to review the model of traditional creativity and music education model and to adopt a mode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lass models can be applied in both Listening to music classes and creative classes. Through class activities such as creativity, imagination, fluency, flexibility, creativity, creativity, etc, were developed. The use of creative methods enabled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disruptive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Let`s hope this study will lead to the creativ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 분야 통상 쟁점 연구

        박정준(Jeongjoon Park),강혜인(Hyein Kang),박수령(Soo Ryung Park)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3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이하 코로나)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완전 종식에 대한 기대는 다소 소원해지고 코로나와 함께하는 일상이라는 이른바 ‘위드(with) 코로나’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전례 없이 빠른 백신 개발과 임삼시험을 거치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백신이 생산되고 지구촌 곳곳에 보급되면서 불완전하게나마 일상 복귀가 가시권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대목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백신 부작용, 일부 국가에서의 시위와 혼란 등 의학적, 사회적 고민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하 개도국) 간 백신 수급에서의 불평 등 문제 등 국가별 코로나 대응 의료체계, 범국가적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 필요성의 대두와 같은 보건분야의 통상 쟁점들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고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초기부터 전 세계적으로 마스크 수출입 문제 등 의료 물품 수급 문제와 국가들의 봉쇄령(lockdown)조치로 인한 항공·여행 산업 타격 문제가 대두됐고, 이로 인해 유통 서비스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노동제도 정비 필요성 또한 강조되면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술한 것과 같이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미래의 보건 분야 통상 쟁점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수출규제, 특허권의 일시적 유예, 디지털 헬스케어 등 서비스 무역 분야를 통상법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모색한다. As the COVID-19 endlessly continues to be parasitic in the global community, the expectation for the complete end of the pandemic is rather renounced but now turned into better preparing for the society where coexist with the virus. While it is very fortunate that some developed countries unprecedentedly succeed in clinical testing, developing and distributing vaccines to fight against, on the other hand, the fac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or disregarded that many still have to suffer from the inequality problem in the supplement of the vaccines at this point in time. After some other earlier problems like the shortage in the supply of facial masks are relatively better manageable today,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in advance about the possible trade-related public health issues to rise in the Post-COVID-19 Era. This study, therefore, pays closer attention and investigates those issues. They are about the possibility and legitimacy of the export restriction and temporary waiver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oth for the vaccines and treatments against the COVID-19 virus. Then, it proceeds to search for some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digital healthcare which will likely play a greater role in the future pandemic situation.

      • WTO 상소기구 기능 정지에 따른 DSU 제25조 중재제도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김세진(Sejin Kim),강혜인(Hyein Kang) 산업통상자원부 2021 통상법무정책 Vol.- No.2

        WTO 분쟁해결제도 도입 초기부터 상소기구의 사법적 권한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어 왔고, 이러한 논란에 우려스러운 입장을 가지고 있던 미국은 상소기구 위원 선임을 저지하면서 본격적으로 현 분쟁해결제도의 불만을 표출하였다. 새로운 위원이 선임되지 않으면서 2019년부터 지금까지 WTO의 상소기구의 기능은 사실상 마비되었다. 이에 WTO회원국들은 상소기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논의를 지속하였고, 그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는 대표적인 방안이 DSU 제25조에 따른 중재제도이다. 중재제도는 유연한 분쟁해결이 가능하고 효율적인 분쟁해결수단으로 여겨지는 만큼 WTO상소절차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지만, 그 효용성과 실효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실제 상소절차를 대신하는 역할로써의 활용빈도가 높지는 않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고는 기존의 상소심을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DSU 제25조상의 국제중재제도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WTO체제상의 분쟁해결제도의 제도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3장의 일반적인 국제중재제도 개관을 통해 제4장에서는 WTO상의 상소절차와 국제중재절차를 개괄적으로 비교해보고 중재절차를 통한 상소절차 구현의 실현 가능성, 한계와 추가논의 사항들에 대해 조망해 보았다. 제5장에서는 기타중재절차를 통한 WTO상소기구 대체방안 사례들을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DSU 제25조에 의한 상소절차 구현에 요구되는 정책적·실무적 사안들을 정리하여 제언한다. In the past decades, controversy has been growing over the judicial authority of the WTO"s appellate body. Many member states have maintained starkly different views on the authority from the outset of the WTO. This culminated with the US government"s boycott, which voiced the most substantial criticism against the WTO Appellate Body ("AB"), refusing to appoint new AB members. Since December 2019, when the terms of all members expired, the AB has remained inoperative to date. This paralysis sparked discussion among many member states on the alternative mechanism to revitalize the appellate procedures for pending WTO dispu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conducting appeals through arbitration, as envisioned in Article 25 of the DSU, draw keen attention from those left with unsatisfactory panel reports. Given the flexible nature of arbitration, parties appealing a panel report may create an arbitration agreement modeling the current AB procedures set out in the DSU. Otherwise, multiple member states could hammer out a multilateral arbitration agreement pursuant to Article 25, substantiating all procedures required to de facto revive the AB"s appellate procedures. Indeed, 21 WTO member states, including most European countries, recently prepared such a multilateral arbitration agreement-- the Multi-Party Interim Appeal Arbitration Arrangement ("MPIA")-- adopting the key features of the AB procedures. Nonetheless, to date, no single case has invoked Article 25 to pursue an appellate proceeding for a WTO dispute since the paralysis of the AB. Based on the above, this paper examines the details of the arbitral proceedings to be agreed upon by the parties pursuant to Article 25. To this end, the paper reviews the current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compared to the general international arbitral procedures. This comparative study then leads to an in-depth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arbitration as an alternative option to the AB procedures. In this connection, a case study of the MPIA also follows. In closing, this paper offers a policy suggestion to resolve the current stalemate on the discussion on Article 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