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각이상자를 위한 웹 접근성 개선 도구에 대한 연구

        강혜원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색각이상자를 위한 웹 접근성 도구에 대한 연구 강혜원 IT경영학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화 시대인 지금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획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의 획득은 더욱 빨라졌고 손쉬워졌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 기술의 발전은 장애인이나 노인 등과 같은 정보 취약계층과의 정보 격차를 점점 더 벌어지게 한다. 각종 기관 및 단체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색각 이상자를 위한 대응 방안은 여전히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색각 이상자의 정보 획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는 웹 접근성 도구를 제안한다. 위 도구를 설계하기에 앞서 웹 접근성과 색각 이상자, 색체계(RGB) 그리고 도구 설계를 위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JavaScript Plugin ‘html2canvas’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 문서를 canvas에 담아 이미지화한 뒤, JavaScript와 HTML5를 이용하여 canvas에 담긴 RGBA 이미지 정보를 변형하는 이미지 보정 과정을 거쳤다. 그 후 JavaScript와 JavaScript Library ‘jQuery’, HTML5, CSS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내 마우스 커서에 따라 해당하는 일정 영역의 보정된 이미지를 툴팁 형태로 출력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보정된 이미지가 색각 이상자가 구별하기 힘들었던 색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설계된 코드를 다른 웹 사이트의 소스에 삽입하였을 때 문제없이 잘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더 나은 웹 접근성 환경이 조성될 것을 기대해본다. ABSTRACT A Study of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Tool for Color Vision Defectives KANG, HYE-WON Department of I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In the information age, modern people are getting most of thei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s a resul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became faster and easier. However, these advances in modern technology further widen the digital divide with the vulnerable, such a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ile various agencies and organizations are working hard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still vulnerable in their response to the color vis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web accessibility tools that are implemented directly in web browsers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program to improve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or people with color vision. Prior to designing the above tools, research was conducted on Web programming languages for web accessibility, color vision defectives, RGB color model, and tool design. During the design phase, the HTML document of the web page was put into the canvas using JavaScript Plugin ‘html 2 canvas’, and RGBA image data contained in the canvas was modified by using JavaScript and HTML5. JavaScript and JavaScript Library 'jQuery', HTML5, and CSS were then used to print a tool tip out calibrat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on the web page. Through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calibrated images improved color tha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olor vision defectives and that the design code was transferred to other website sources. I look forward to creating a better web accessibility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 타바타 운동을 적용한 발레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관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한 발레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관건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사설발레학원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4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을 나누어 각각 12주간 연구하였다. 대조군은 기존 발레프로그램으로 운동 강도 저, 중, 고로 각각 4주간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하여 근력운동의 강도를 높여 대조군과 같은 기간으로 실시하였다. 나아가 표본 집단을 본인 나이 대비 혈관건강지수에 따라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 으로 나누어 사전ㆍ사후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12주간의 발레 프로그램을 진행한 대조군과, 동일기간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한 발레 프로그램 진행한 실험군 모두 중년여성의 혈관 건강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진행한 프로그램은 혈관 건강지수를 구성하는 3가지 요인 중 혈관탄력성과 잔혈량 측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심박출세기는 통계적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표본집단을 현 나이 대비 혈관건강지수에 따라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나누었을 경우 실험군, 대조군 모두 고위험군과 중위험군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넷째,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한 발레운동 방식은 기존 발레프로그램에 비해 중년여성의 혈관건강지수 개선 정도가 더 컸고, 혈관탄력성 및 잔혈량 측면에서도 더 개선이 되었다. 특히, 중위험군에서 혈관탄력성 개선은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한 실험군에 한하여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한 발레가 기존 발레 프로그램에 비해 중년여성의 혈관건강에 더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발레 프로그램이 혈관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타바타 운동 형식을 적용하여 간헐적 고강도 방식으로 진행할 시 긍정적 영향이 커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대상에 따라 프로그램을 다르게 하여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12 weeks with 40 women participated in the private ballet academy in Seoul by dividing them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the ballet program applied with Tabata exercise on the vascular health of the middle aged women. For the control group, the existing ballet program was performed with the exercise intensity of mild, medium and high for 4 weeks each,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ballet program with increased intensity of muscular strength exercise by applying Tabata exercise was performed for the same period as the control group. Further,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into high-risk group, medium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according to the vascular health index vs. age, and the values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The val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t-test.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in both control group that the ballet program was performed for 12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he ballet program applied with Tabata exercise for same period, the vascular health index of the middle aged women was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out of the 3 factors of cardiac output intensity, vascular elasticity and remained blood volume (RBD), which composed the vascular health index, the program perform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vascular elasticity and remained blood volum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the cardiac output intensity. Third. when the sample group is divided into high risk group, medium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according to the vascular health index vs. age, the vascular health index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high risk group and the medium risk group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in the ballet exercise method applied with Tabata exercise, the vascular health index of the middle aged women was improved greatly compared to the existing ballet program and the vascular elasticity and the remained blood volume also showed the more improved value. Particularly, the improvement of the vascular elasticity in the medium risk group was re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Tabata exercise, through which the ballet applied with Tabata exercise was represented to have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vascular health index of the middle aged women compared to existing ballet program As recently the menu is westernized rapidly and the dining-out culture is routinized, Red light turns on for the vascular health of Korean. In 2017 Korean death statistics, 3 major causes of death are the cancer, heart disease and th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more than 30% of the population are died by the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them, particularly in case of middle aged women, as the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women is increased rapidly by the sudden decrease of the estrogen, which played the role of gatekeeper for the vascular health, after the menopause, the female mortality rate is represented higher than the male. In addition, not only the vascular health but also slow metabolism and the reduction of muscular tens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weight increase of the middle aged women and cause the sense of loss and lack of self-confidence affecting their thniking and behavior, social activities, etc. This study could observe that the ballet program, which uses every muscle in the whole body and the core muscles in balance,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vascular health and it was confirmed that particularly, when it is performed with high-intensity intermittent method by applying the Tabata exercise, the positive influence becomes greater. In future, the attempt to maximize the effect of exercise by vary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arget should be made continuously.

      •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 변화요인의 탐색적 연구

        강혜원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hipping and harbor industry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mega vessels, realignment of alliances and container terminal automation. Against the backdrop, COVID-19 pandemic poses an immense impact on working system and manpower utilization including working from home or working on flexible hours. So amidst growing uncertainty and drastic chang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elastic system and flexible work system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In additi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becomes a pivotal factor for company's success. In the aftermath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domestic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mplemented large-scale restructuring caused by a sharp decrease in volume and tariff and started to hire temporary workers and outsourcing workers. However, compared with overseas terminal operators with flexible manpower utilization, domestic terminal operators are required for more elastic manpower system considering that casual workers are mobilized under a closed shop agreement. In spite of the problem raise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volume change, automation, environmental regulation, COVID-19 pandemic, etc. are expected to make a drastic change in work pattern,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Furthermore, a rigid manpower system of domestic terminal operators poses a threat to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manpower utilization of container terminals with opinion held by employees from port container terminal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manpower utilizatio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factors affect manpower utilization of container terminals. 3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working in terminal operators in Busan and Gwangyang port. Th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231 questionnaires after deleting not only 53 not answered and responded insincerely but 16 with missing data. For the analysis of extracted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it is proved that 3 deciding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including terminal autom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bring about significant results as powerful determinants of manpower utilization of container terminals. In particular, technology development including terminal automation has the biggest impact on manpower utilization. Considering that technology development including terminal automation affects manpower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lexible workforce system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and new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and oci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npower utilization system of container terminals. Third, it is found that endogenous variables: technology development including automation changes the composition of the workforce between office and field employees. Forth,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workforce is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due to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hese foundings, this study draws a conclusion that the methodology in its tradition form leaves no room for rapid changes.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evitable for terminal operators to downsize their workforce and change training programs including retraining the workforce for a new trans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pe with an uncertain future by establishing new manpower system and agile policies.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firstly,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manpower utilization of container terminals were selected only from literature review.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draw factors in objective perspective. Secondly. since the survey took a group only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t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so it is difficult to expand and apply the research results to container terminals throughout the country. 해운ㆍ항만 산업은 선박의 대형화, 해운동맹 재편 및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며 전례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은 재택근무 및 유연근무 확대 등 컨테이너 터미널의 인력운영과 근무형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듯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환경 안에서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력관리 체계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으며 전략적 인사관리체계 확립은 기업 성공의 관건이 되고 있다.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물동량과 요율의 급락으로 인하여 인력구조조정을 단행하여 아웃소싱(외주화)와 비정규직 확대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나, 탄력적으로 인력활용을 하고 있는 해외 컨테이너터미널에 비하여, 클로즈드 숍(closed shop) 조항의 적용으로 거대 아웃소싱 업체를 통하여 현장인력을 공급받고 있어 인력활용의 유연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물동량 변화, 자동화, 환경규제, 팬데믹 등 컨테이너 터미널의 내·외부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하여 노동시장에서 근로 형태, 평가·보상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가 예고되고 있지만, 다소 경직적인 컨테이너터미널의 인력운영은 기업의 성장잠재력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요인이 컨테이너터미널의 인력운영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산, 광양항에 종사하는 터미널 관계자에게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부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3부와 결측치가 있는 16개의 설문지를 제거하여 유효 설문지 231부를 통해 요인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SPSS 25.0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차례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컨테이너 터미널의 내·외부적 요인 중 기술발달(자동화), 조직문화, 사회·외부적환경변화 요인이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특히 기술발달이 인력운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체계의 변화에 기술발달과 사회·외부적 환경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력구성(사무직/현장직)에 기술발달과 사회·외부적 환경변화, 그리고 안전 및 보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력감소에 기술발달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력운영에 있어 전통적인 방법론의 접근방법으로는 급변하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근본적 한계에 부딪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항만 무인 자동화로 직종 전환, 인력운영체계, 인력감소, 인력 교육시스템의 변동은 불가피하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변화에 대응한 인력운영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 요인을 선정하였으나,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객관적인 기준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진행시 부산,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결과를 국내 전체의 컨테이너 터미널에 확대 적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글로벌 경제로 인한 국제 무역의 증가는 기존 항만 운영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최근 동향은 선박의 초대형화 및 해운동맹 등으로 인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운영사의 투자자본과 운영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시장 환경의 변화와 경영구조의 변화에 대해 발 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 타투의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강혜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타투의 개념을 이용, 확장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디지털타투 기술의 발달에 따른 타투의 활용과 역할을 해석하는데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한다. 타투는 현재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미를 위한 치장이나 개성의 표현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타투는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피부에 국한되던 전통적 타투의 영역에서 벗어나 의복, 제품, 가구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대상에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품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렇듯 확장되고 있는 타투는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상호간에 소통하는 시각적 언어로서의 기능도 포함하며 보다 넓은 영역에 적용 가능한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타투는 디지털과의 매시업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인터페이스를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이며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과 이들 기술의 응용을 통하여 인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진화 할 것이다. 디지털 타투란 용어는 타투를 디지털화 한다는 의미로, 피부에 정보를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는 타투와 같은 디지털 형상을 말한다. 따라서 스킨타투란 큰 범위에서 보면 전통적인 문신에서부터 피부 위나 피부 밑에 인터페이스를 심거나 부착하는 형태, 가상현실형태 또는 전자적으로 표면에 나타나는 영역에 이르는 모든 것을 타투의 개념으로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첨단 기술을 통해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디스플레이 기술개발로 쉽게 문신을 바꿀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는 곧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문신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중인 기술들은 건강상태 또는 감정 상태를 읽어낼 수 있고 그것을 피부표면에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 같은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디지털타투 기술은 미래의 타투 인터페이스에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증강현실 기술과 나노기술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어 피부에 직접 삽입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와 연결돼 계속적으로 다이나믹하게 작동되도록 사용한다거나 피부와 밀착되어 개인에 최적화되는 형태의 마치 신체와 감각의 연장처럼 휴대폰 사용이 가능하여 확장된 정보의 교환과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한 타투인터페이스의 미래적용시나리오도 소개되고 있다. 비주얼 타투 개념의 인터페이스 적용은 타투의 디지털과의 결합을 통한 타투의 응용확장 및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구현의 가능성과 사람의 스킨을 적극 활용한 사람과 제품사이의 새로운 상호작용, 또한 사람간의 증강된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디스플레이로서의 확장된 개념의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타투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개념은 계속 확산되고 확장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인류 생활 편리성이나 활용 신속성 등을 위하여 디지털타투 이용에 대한 연구는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이 분야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진전을 통하여 미래생활 활용 및 편의성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focus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interface for use and extension of a tattoo concept and on the supply of a new point in interpreting the application of the tattoo and its role in connection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attoo technology. The tattoo is now used for expression of personality or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and also as a means of a decoration for beauty of human beings regardless of age and sex around the world. It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 of time, making a new territory in the area of household items such as clothes, products, furnitures and others by means of getting out of the frame of the traditional tattoo which was only restricted to the human skin, and extending its territory to the region of the digital technology products. The tattoo expending and expanding this way in the area has the function of a visual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a visual language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it is also recognized as an object applicable to more wide areas. It is believed that the tattoo can have a new function of interface through mesh-up with digital technology giving the way to being useful to human beings by the progress and evolution of digital interface technology and also through with its application. The term digital tattoo which has the meaning of being digitalized for the tattoo concepts keeps the information on or under the surface of skin and makes use of it in the form of a tattoo image. Thus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skin tattoo takes, in the context of scope in large scal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tattoo images, the interfaces implanted under skin or attached on skin, virtual or electronic images and the other types of tattoo concepts on the surface of skin. The time when the tattoo may be changed with ease through the stream-lined development of skin interface technology will come up for performing the useful function with more deep study and research. In the other word, this means that the programmable tattoos might appear soon and be applied for expression of our speci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he new technology in this field may make it possible to read and recognize the state of health and emotion, and to have them expressed on the surface of skin, and will be applied and used to the tattoo interface for extension of its concep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augmented and nano technology will be applied to the mobile machines and be directly utilized into the skin by being implanted and connected to a digital information interface for continuously dynamical operation and also that technology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interface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skin just like extension of body or sense optimized to an individual, and for a mobile phone to exchange a lo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meantime, the tattoo interface in this area with those functions will come out soon. There is more or less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 tattoo is combined with digitals for its extension and realization of the new interface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for a new interaction and augmented communication, and that it has the extended digital display characteristics through positive use of human skin adopting the visual tattoo concept.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s of a digital interface in the process of the tattoo's role changing will be continuously extended and expanded toward useful use of it. The more wide study on this digital tattoo has to be done and undertaken by other students in the respect of application for human beings life convenience.

      • 문화유산 해설문 영문 번역 용례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연구 :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를 중심으로

        강혜원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유산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되는 번역 용례를 수집하여 그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용례 데이터가 향후 문화 유산 영문 해설문 작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보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유산 안내판은 문화유적지 또는 문화유산이 위치한 현장에서 해당 문화유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영문 해설문은 우리나라의 문화유적지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현장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식정보이며,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킬 수 있는 최초의 접근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화유산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부적절한 번역어의 사용으로 인해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특징과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왜곡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점은 개선이 시급한 부분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현재의 영문 해설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 하는 ‘용어 사용’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청에서는 쉽고 평이한 언어와 내용으로 해설문을 작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특성을 설명하고 그 문화유산의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한정된 지면을 통하여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용어 혹은 외국인 관람객에게는 낯선 어휘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그러 므로 단순히 ‘쉽고 평이한 언어’를 강조하기 보다는 실제로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되는 어휘와 표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안내 판의 영문 해설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한영 번역 용례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2013년 문화재청에서 실시한 ‘전국 문화재 안내판 현황 및 안내문안 전수조사 사업’ 결과물에 포함된 총 1,860편의 문화재 영문 해설문을 XML 전자문서 형식으로 정보화하여 16,137건의 영문 번역 용례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용례의 분석을 통하여 7,039건의 ‘오류 사례’와 9,098건의 ‘유효한 번역 용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영문 해설문에서 하나의 국문 용어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영문 용례로 표현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 사례도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문 용어에 대한 표준화된 번역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영문 해설문 작성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번역어를 찾은 결과라고 할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문화유산 해설문에 쓰이는 여러 가지 용어들에 대해 정확한 의미 전달을 보장하는 영문 번역어가 일종의 표준안 또는 권고 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면 그것은 영문 해설문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 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영문 번역 용례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와 유사한 성격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문화유산 해설에 필요한 국문 용어 간의 의미적 관계와 각 용어의 다양한 번역 용례들이 체계적으로 기술될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그리고 번역 용례의 출처 정보를 포함하여, 안내 판의 해설문뿐만 아니라 차후 다양한 자원의 용례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Korean cultural heritages are progressively gaining interest from Koreans and non-Koreans alike, with 43 cultural heritages being registered with UNESCO since 1995. Texts found on interpretive panels at such cultural heritage sites are useful sources of key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the heritage itself, as well as Korea at large. Interpretive texts in English, in particular, have great significance, as they are often the first and most easily obtained on-site information by non-Korean visitors. Through these interpretive texts, foreign visitors can learn about Korean history and culture, further expanding their interest in Korea. However, despite their importance, English interpretative text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frequently criticized in many regards. Of particular concern is the widespread use of inappropriate and incorrect terms, as they often cause misunderstanding and distortion of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get to the root of such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English terminology usage in interpretive panels, analyzing over 16,000 terms, with the objective of creating a means by which English terms can be more effectively utilized in writing or translating diverse texts related to Korean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CHA) has recommended that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s should be written with simple, basic expression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texts with ease. Yet,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and their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s,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some terminology and words that are unfamiliar to foreign readers. Therefore, rather than the mere suggestion of easy words, the comprehensive research of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in such interpretations is imperativ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nvolves the analysis of a wide variety of translated English terms, especially those used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Korea. In 2013, the CHA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regarding the status of cultural heritage interpretive panels and the interpretive texts on them. The result of this survey, which included 1,860 interpretative texts, was used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texts were then turned into XML documents, and using the XML-enabl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a total of 16,137 English terms and expressions were compiled. The terms and expressions then underwent an additional validation assessment, which showed that there were 7,039 errors and 9,098 valid transl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an individual Korean term being translated differently into multiple English terms, there are numerous types of errors, as well. This situ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cultural heritage text translation, in which a lack of reliable glossaries and guidelines leads to terminology being absolutely dependent on the translators’ individual choices. Therefore, the quality of English interpretative texts could be improved effectively through a list of recommended, or standardized, English counterparts for Korean ter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glish terms found in the interpretive text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a terminology database model was designed, which facilitates the continuous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similar terminology data. The databas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systemically defines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Korean terms for describing cultural heritages, as well as diverse English-translated terms for each Korean term. The database also contains information on the sources of the English terms, so that the database can be expanded by adding many other terms from different sources in the future.

      • 팀 비서의 감성지능(EQ)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any companies are focusing on maintaining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mee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slim structure. In this situation, effective team system management escaping from the hierarchy structure emphasizing traditional positions is essential (Jang Yeong-im, 2009). In order for a team to function well, communication between seniors and members is very important, and practice of emotional management needing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is being strongly required at sites (Gang In-ae, Bang No-yeong, and Park Jeong-yeong, 2011; Gang Seon-yeon and Jeong Jae-uk, 2011; Jo Kyeong-sik and Lee Yang-su, 2008). As a team assistant who plays not only a role as an efficient channel between seniors and members but greatly influences team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teamwork, he or she needs to be equipped with emotional quotient as well as intellectual capacity. Although emotional quotient, which is an ability to grasp emotions of self and others, think reasonably, and cope with environments, is considered to be a precondition of a team assistant that constantly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others, there have been few related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play a role as a middle manager between seniors and memb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below: First,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questionnaire was made by selecting analysis items through related preceding research. One hundred eighty seve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cretaries working at domestic companies, and 103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eam secretar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pecifically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quotien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had an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lf-awareness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ability had no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Emotional quotient, as the driving force to move charismatic leaders, gives an ability to create new visions and efficiently communicate with members. However, as a team assistant plays a greater role as a colleague than as a senior, he or she would not be able to charismatically criticize or advise team members. Thus, while a team assistant would not be able to induce cohesiveness from team members, emotional quotient of a senior would influence team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pecify the role of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It will provide the ground to grasp the influence of assistants in the areas of invisible performance such as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and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seeking measures to induce emotional quotient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많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맞춰 조직개편의 기본 방향을 슬림화를 통한 효율적인 조직체계를 갖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 기업은 전통적인 직급을 중시한 계층 구조에서 벗어난 효과적인 팀제 경영방법이 필수적이다(장영임, 2009). 팀이 잘 운용되기 위해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정서적 소통능력이 필요한 감성경영의 실천이 현장에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강인애, 방노영, 박정영, 2011; 강성연, 정재욱, 2011; 조경식, 이양수, 2008). 팀 비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팀 성과와 팀워크 구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적 능력 외에 감성지능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잘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인 감성지능은 조직 구성원들과 상호작용 하며 계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팀 비서의 역할에 아주 중요한 전제조건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팀 비서의 감성지능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 응답지 187부 중 팀 비서로 응답한 103부를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 중 관계관리 능력이 팀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인식 능력이나 자기관리 능력, 사회적인식 능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지능은 카리스마를 가진 리더를 움직이는 원동력으로서, 새로운 비전을 창조하고 구성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하지만 상사와 팀원들 사이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팀 비서는 상사보다는 팀원들의 동료의 역할이 강하기 때문에 팀원들에게 카리스마가 담긴 비판과 조언을 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의 응집력을 이끌어낼 수 없으나 상사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 같은 비가시적인 성과에 있어서의 비서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감성지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 거리와 성별이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황 불편감과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혜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gender o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Study 1 examin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depending on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participant, and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ed to belong. Study 2 examin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depending on participant’s gender, perpetrator’s gender, victim’s gender, and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participant. Social distance was divided into 2 categorie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 Gender was divided into the 3 categories : gender of the participant,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 total of 16 scenarios were used by manipulating conditions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acquaintance/other),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acquaintance/other), perpetrator’s gender(male/female), the victim’s gender(male/female). A total of 668 participants responded to explored for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s a result of Study 1, it was clarified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influences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and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nd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 influences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and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In addition,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in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social distance between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And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ed to belong in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social distance between victim and the participant. As a result of Study 2, it was clarified that the participant’s gender influences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nd perpetrator’s gender influences the perpetrator blaming,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In addition,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perpetrator blaming, victim’s 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victim’s gender. And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victim’s moral judgment, victim’s 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victim’s gender.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the participant, and the gender of participant. perpetrator, victim could vary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lso the situational distress ‧ empathy plays a role in negatively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nd positively perception of the victim. Finally, practical ap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사회적 거리와 성별이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에 따른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차이와 상황 불편감 ‧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소속 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2에서는 판단자 ‧ 유포자 ‧ 피해자 성별에 따른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차이와 상황 불편감 ‧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먼 조건(타인)과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조건(지인), 남성 유포자 조건, 여성 유포자 조건, 남성 피해자 조건, 여성 피해자 조건으로 조작하여 총 16개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가자 총 668명을 대상으로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을 탐구하였다. 연구 1 결과, 유포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는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또한 유포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대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대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소속 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2 결과, 판단자 성별이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포자 성별이 유포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판단자 성별과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피해자 성별과 유포자 비난, 피해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양형 판단의 관계에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 도덕 판단, 피해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판단자 ‧ 유포자 ‧ 피해자 성별에 따라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상황 불편감과 상황 공감이 유포 범죄를 무겁게 인식하며, 피해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비교

        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에 자신이 선택한 일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실현시켜나가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며, 특히 학업적으로 우수한 청소년들의 경우 일반 학생들과 다른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으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으므로 학업 우수 청소년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의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돕는 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포부는 개인의 자아개념 및 미래의 교육 및 진로관련 선택이나 성취 등을 예측해줄 수 있는 개념이며, 우수한 여학생들이 우수한 남학생들 보다 더 낮은 진로 포부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과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효능감과 장벽의 지각정도와 상관없이 여학생보다 높은 지위의 직업을 열망한다는 것이 밝혀져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의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달라진다면 어떤 부분에 의한 차이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부모님과의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으며, Lent 등(1994)의 진로선택모형에 기초해 이 변인들의 구조관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 애착과 모 애착 각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부 애착, 모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전체적 구조관계에서 남, 여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업적으로 우수한 남, 여학생 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들을 비교 검증한 결과, 차이검증에서는 간명성의 원리에 의해 연구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적합도 비교에서도 다른 경쟁모형들의 RMSEA가 보통의 적합도에 속하는 것과 달리 연구모형의 RMSEA=.050(90% 신뢰구간 .036-.064)으로 좋은 적합도 범위에 속하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모애착과 진로포부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 변인 및 하위변인에 대해 학업 우수 남학생과 학업 우수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부 애착의 신뢰(남학생 평균=2.98, 여학생 평균=3.09), 모 애착 총합(남학생 평균=2.97, 여학생 평균=3.07), 모 애착의 의사소통(남학생 평균=2.81, 여학생 평균=2.96),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과제수준선호(남학생 평균=4.31, 여학생 평균=4.15),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남학생 평균=4.16, 여학생 평균=4.41)이었다. 따라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아버지가 자신들을 잘 이해해주시고 존중해주신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어머니와 애착관계를 잘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자기관찰, 자기 판단, 자기반응과 같은 자기 조절적 기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능기대가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학업 우수 여학생들에 비해 더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선택하려 하고, 자신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으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남녀 집단 간에 구조동일성이 성립되어, 부모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이의 구조관계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of adolescence is the growth and exploration of future aspirations and career goals (Ryan & Deci, 2001). Especially, Many gifted adolescents are in trouble because of their multipotentiality in various domains, and that may create uncertainty with choice of their future career (Kerr, 1994). Thus, it is important that educators, parents, and counselors aware of possibl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adolescents. The majority of current findings about SCCT’s choice model suggest that rather than relating directly choice outcomes, the primary role of environmental variables may be to strengthen or weaken self-efficacy beliefs, which, in turn, promote career choice (Lent, Brown, Nota, & Soresi, 2003; Lent, Brown, Schimidt, et al., 2003). Also Blustein, Presioso, & Schultheiss (1995) proposed attachment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as a way of advancing the exploration the career world. The current study utilized ideas from self-determination, attach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to develop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families influence young adult career development and aspirations.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career decisions, the family was proposed to influence processes within individuals that directly influence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lso, Hwang & Ryu (2003) explored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spiration, suggests that there is a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Gende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help to explain male-femal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consideration (Bandura, 1997; Hackett & Lent, 1992; Swanson & Gore, 2000). Therefore, in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s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Second, is there a gender difference between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Research participants were 632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recognized for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y were Korean adolescent students (male=307, female=325) residing across the country from Seoul to Goeng-gi province. For understanding how parents influence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career aspirations, and investigating whet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result, proposed model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has the best model fit and simpleness in model competition. Contrary to some studies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this finding means that attach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This finding supports the idea that career counselors should assess family functioning when helpi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journey. Also, because academic self-efficacy and parental attachment affects to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only indirectly, Lent et al (1994)’s model was identified in the group of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either. Thus the support from family can be viewed as a facilitator of actualizing human potential, which can manifest as the expression of oneself through a career choi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mediating model proposed. To study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n the SEM was performed. Becaus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tructural invariance were accomplished, it is a possible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proposed mediat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