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희룡(趙熙龍)의 임자도 유배기 한시 연구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조희룡 회화의 예술적 성취와 예술론(시서화론)이 일찍부터 조명받은 것에 비해, 그의 한시는 해설 차원에 머문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본고는 한시 작품론의 측면에서 그의 유배기 한시를 재조명하였다. 조희룡은 만년에 전라도 임자도에 유배되어 3년 동안 살았는데, 유배기의 한시를 수록한 『우해악암고』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 조희룡은 조선 후기 성행한 절구 연작시를 선호하였다. 유배 도중과 유배지에서 직접 바라본 풍경을 그린 사경시(寫景詩)에서 소폭의 산수화 같은 정경을 만들어 보였으며, 회인시(懷人詩)의 전통을 계승한 <회인절구>에서는 특히 화가의 안목으로 대상 화가의 본령을 서정적으로 품평하였다. 한편, 조희룡은 유배 생활의 일상 정감을 유쾌한 어조로 토로하였는바, 스스로 희작(戲作)이라 칭한 작품들을 주목해 보았다. 희작 성향의 한시에서는 불교의 언어가 농담과 해학의 언어로 바뀌는 등 시어의 활용이 돋보였는데, 이는 암울한 유배지에서도 즐겁고 유쾌하게 살려고 한 그의 삶의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배지에서 조희룡이 몰두한 세계는 바로 시화(詩畫)였다. 그가 주장한 시화일체론(詩畫一體論)의 핵심은 화의(畫意)로 시정(詩情)이나 시경(詩境)을 만드는 창작 방법이라 할 수 있고, 그는 그러한 실례를 자신의 한시 창작에서 구현해 보였다. 조희룡이 문인의 시와 차별되는 화가의 시를 추구하였던 것이라 보인다. 유배지에서 시화에 몰두하여 자유자재로 창작하는 희열을 조희룡은 유희삼매(遊戲三昧)라는 말로 지칭하였으며, 그러한 경지에 이른 자신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Cho Hee-ryong's artistic achievements and art theory have been under the spotlight from an early age. On the other hand, I think that his Chinese poems stayed at the level of commentar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re-examine his exile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is of works. Cho Hee-ryong was exiled to Imja-do, Jeolla-do in his later years and lived there for three years. I analyzed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his exile poetry using 『Uhaeakamgo』, which contains the works of poetry from this period. He preferred to write a series of short poem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his poems depicting the scenery he saw during his exile and directly from the place of exile, he made a small landscape like a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in < Hoein Jeolgu (懷人絶句) >, which inherits the tradition of his Hoein poetry(懷人詩), he especially lyrically evaluates the essence of a specific painter based on his own perspective as a painter. His poems narrated in a pleasant tone the daily feelings of exile, and he called himself a playful poem. Even in his poems, Buddhist language was used for jokes and humor. This seems to reflect the attitude of his life that he tried to live happily in exile. The world that Cho Hee-ryong was immersed in in exile was poetry and painting. He insisted on the traditional theory that poetry and painting are one, and further suggested a creative method of writing poetry through painting. This is a method of borrowing the meaning of a painting(畫意) and creating a poetry scene(詩境). He embodied such a creative method in his own poetry. Cho Hee-ryong pursued the poetry of a painter th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a writer. He referred to the joy of creating freely by immersing himself in poetry and painting with the word 'Playing Sammae(遊戲三昧)', and he also embodied himself in such a state of joy in his poems.

      • KCI등재

        김선(金䥧)의 <주행백수(舟行百首)> 연구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담정총서(藫庭叢書)』의 출간으로 담정 그룹 관련 연구가 활발해진 가운데, 김려의 아우인 김선(金䥧)의 시문학 세계도 본격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김선의 다양한 문학 작품 가운데 특별히 <주행백수(舟行百首)>를 주목하였다. 이 작품은 김선이 1797년 강이천(姜彝天)의 옥사가 일어나기 이전 여주를 방문하는 길에 창작된 것으로 유추된다. 당시 김려의 동학이자 매형인 이우신(李友信)과 1801년 순교한 김건순(金建淳)이 여주에 살고 있었는데, 김선은 출사의 갈등을 겪으면서 한강의 수로로 이들을 방문하는 장쾌한 여행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선의 여정은 서울에서 출발하여 여주에 이르는 한강 수로를 4~5일에 걸쳐 여행하였으며, 특히 월계-양근-여주 여강 일대에서 많은 시를 창작하였다. 오언절구 100수의 장편 연작시 구성을 살펴보면, 첫째 한강 수로의 형세, 특히 위험한 여울을 거슬러 올라가는 뱃길의 체험을 생생히 담은 작품들, 둘째 당시 활발하게 펼쳐진 한강의 상업적 수운(輸運)을 묘사한 작품들, 셋째 주행의 낭만과 민풍(民風)을 포착한 작품들, 넷째 진퇴의 고민과 인생의 무상함을 토로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오언절구라는 짧고 간결한 형식을 자유롭게 이어나가면서 한강 수로 여행에서 김선은 보고 듣고 느끼는 다양한 체험들을 시작화 하였다. 이런 점에서 <주행백수>는 한강 기행시이면서 한강의 기속시이다. 한강 뱃길의 여행 체험을 절구 형식으로 100수의 연작시로 창작하는 전통은 당나라 전기(錢起)의 <강행무제(江行無題)>를 전례로 삼아 변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선의 <주행백수>를 비롯해 이후 정약용(丁若鏞)과 신필영(申弼永)의 한강 기행시가 그러한 예이다. With the publication of 『Damjeong Series(藫庭叢書)』, researches related to the Damjeong group became active. The world of poetry and literature by Kim Ryeo's brother, Kim Seon(金䥧), is also being newly illuminated. Among Kim Seon's various literary works, I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100 poems written while riding a boat on the Han River titled “Juhaeng Baeksu(舟行百首)”. It is inferred that this work was created on his way to Yeoju before the major criminal case of Gangicheon(姜彝天) took place in 1797. At that time, Kim Ryeo(金鑢)'s brother-in-law Lee Woo-shin(李友信) and his friend Kim Geon-soon(金建淳), who had been martyred in 1801, were living in Yeoju. His journey started from Seoul to Yeoju and traveled by boat on the Han River for 4 to 5 days. In particular, he has created many poems in the area of Wolgye(月溪), Yanggeun(楊根), and Yeogang(驪江). The composition of the series of 100 poems is as follows. First, it vividly captures the waterway of the Han River,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a boat going up dangerous rapids. Second, it is a refreshing description of the commercial water transport of the Han River that was active at the time. Third, it captures the lives of the people along the Han River and expresses the romance of a boat trip. Fourth, it reveals his own conflict over entering the office and sighes at the impermanence of life. “Juhaeng Baeksu” is travel poems on the Han River and poems of folklore along the Han River. The tradition of creating a series of 100 poems in the form of o-eonjeolgu(五言絶句) on the Han River waterway seems to have been transformed using Tang poet Jeongi(錢起)’s “Ganghaengmuje(江行無題)”. Examples include Kim Seon's poems and Jung Yak-yong(丁若鏞) and Shin Pil-young(申弼永)'s travel poems on the Han River.

      • KCI등재

        이인상(李麟祥) 그룹의 교유양상과 시서화(詩書畵) 활동 연구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李麟祥그룹의 문인들이 서로 교유하면서 함께 펼쳐나간 詩書畵 활동을 주목하였다. 이인상, 李胤永, 吳瓚, 宋文欽 등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정치적, 현실적 상황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산수자연과 시서화에 몰두한 문인들이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주거공간인 凌壺館, 澹華齋, 山天齋, 歸去來館, 단양 龜潭 등지에 모여서 講學과 詩作, 書畵창작을 함께 펼쳐나갔으며, 서화 및 골동품을 감상, 비평하고, 화훼 취향을 서로 공유하였다. 또한, 이들은 여행을 통한 산수체험을 시서화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 그룹의 개성적인 문예 취향은 西池夜蓮會, 氷燈梅花飮에 집약적으로 나타나 있다. 여름 밤 유리잔에 촛불을 넣어 연꽃 위에 올려놓고 연꽃을 감상하는 방식, 겨울밤 얼음을 파서 그 안에 촛불을 넣어 매화 가지에 걸어놓고 매화꽃을 감상하는 방식에서 이들의 세련된 도시적 감각과 심미적인 취향을 볼 수 있지만, 이 모임에서 창작된 시문과 서화에는 즉물적 감각적 美에 국한되지 않는, 유가의 處士意識과 文字氣를 볼 수 있다. 요컨대, 성리학적 명분을 중시하는 처사의식이 기본이 되는 시문, 古隸나 八分體 같은 古風을 추구하는 서예, 神會를 중요시하는 문인화가 이 그룹의 공통된 문예사조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painting, calligraphy and literature of Lee Insang Group(or Danho Group)`s members while keeping company with one another. Lee Insang, Lee Yunyoung, O Chan, Song Munhuym and others occupied themselves with doing painting, calligraphic works and literary works. Also, they spent much times on traveling far. They kept distance from the political reality and clarified their courses opposing political courses of the mainstream society. The places for their companionship and the literature and art activities were their houses named Neunghogwan, Damhwajae, Sancheonjae, etc. They gathered together in those houses and spent times to study scriptures of Confucianism, paint pictures, do calligraphy and write poems. They shared their tastes about appreciating curios and gardening. They held two famous meetings for appreciating apricot flowers and lotuses in a unique way. They used ice lamp for apricot flowers and used glass lamp for lotuses in the night. Those appreciation methods showed a great sense of beauty. However, they set a much value on Confucian spirituality not realistic beauty when they did their painting, calligraphy and literary works.

      • KCI등재후보

        서사무가(敍事巫歌) <바리공주>의 여성적 리더십 연구

        강혜선(Kang, Hyesun)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신화인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현대사회에 새롭게 적용될 수 있는 ‘여성적 리더십’을 추출해보고자 한 논문이다. 신화 속에는 인간의 원형적인 진실과 수천 년의 체험에서 얻어진 지혜가 담겨있다는 기본 전제 하에, 동서양의 신화적 원형이 오늘날 새롭게 요구 되는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리더십의 핵심 내용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바리공주>는 전형적인 영웅의 모험담, 탐색담으로, 고난과 극복, 시련과 성장의 전형적인 서사구조를 띄고 있지만, 바리공주의 영웅적 행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 영웅과 확연히 다른 여성적 영웅성을 보여주고 있다. 바리공주의 여성적 영웅성을 ‘S-N-D-F 모델’에 의거해 살펴보면, 먼저 바리공주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자신의 운명을 자각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신념과 의지의 발휘는 리더의 내적 속성에 해당하였다. 오구대왕의 병과 죽음이라는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명수를 찾아서 서천서역, 저승을 향하여 길을 가는 도중에 겪는 온갖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는 행동들은 전형적인 리더십 행동에 해당하였다. 마침내 바리공주가 생명수를 구해 오구대왕을 살려내고 나아가 불라국에 새로운 질서를 세운 결과는 리더십 행동이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는 피드백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이 바리공주는 리더십 형성의 전 과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바리공주의 자아인식, 자기희생, 공감능력과 포용력과 같은 여성적 영웅성은 오늘날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진정성 리더십이나 감성리더십, 언리더십(Un-Leadership) 등과 본질적으로 닿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a new leadership training program by making use of myths. This paper focuses on the manner in which female heroism is described in shaman myth "Princess Baridegi." Shaman myth "Princess Baridegi" is an adventure story or quest story such as many classic hero stories. But "Princess Baridegi" is different from the adventure stories of masculine heros. Baridegi"s heroic behaviors are not violent, competitive, and masculine. Baridegi sacrifices herself for the good of others and she has strong convictions about performing her mission "seeking the waters of life". She doesn"t stop an exercise of willpower for a moment. Her sense of empathy and her mind of great capacity deserve explicit emphasis. Baridegi sympathizes with all spirits in their suffering and uses her holy abilities in order to save them from hell. In addition, Baridegi makes a decision to be a Godess that consoles the spirit of the deceased instead of becoming a queen. Baridegi"s feminine heroic leadership is often associated with recent theories of leadership such as authentic leadership, emotional leadership and Un-Leadership.

      • KCI등재

        여성 관리자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

        강혜선(Kang, Hyesun),이청정(Lee, Cheong Jung),구자숙(Koo, Jaso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여성 정체성이 관리자로서의 정체성을 방해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정체성 방해 현상에 미치는 요인과 정체성 방해가 직무만족이나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성별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은 여성에게 있어 두드러질 것을 가정하여 중국 소재 5개 기업의 여성 관리자 1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ㆍ관리자 정체성간의 방해가 개인의 주요한 성과변인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검증하고, 성별ㆍ관리자 정체성간의 방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성별 정체성 수준, 성별 지위에 대한 합법성과 안정성 변인을 식별해냈다. 또한 정체성간 방해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관리자 정체성의 중심성 정도의 역할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성 정체성 인식은 여성 정체성이 관리자 정체성을 방해하는 정도와 부적으로 관련 있었으며, 여성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간 방해를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이나 개인성과가 낮아졌다. 또한 관리자 정체성 중심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만족이나 개인성과에 대한 정체성 방해의 부정적 효과가 약화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성별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이 충돌하는 현상과 관련한 여러 변인의 영향을 식별함으로써 여성 관리자가 성공적으로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밝히고자 했다. This paper focused on female identity interference with manager identity in workplace. Specifically, our result revealed that work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sonal performance were negatively related to interferences between female identity and manager identity. Also, we proposed female legitimacy, female status stability, female categorization, female esteem and female commitment were the antecedents of female and manager identity interference. Supporting our hypothesis, the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dentity interferenc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r identity centrality. The result for moderating effect showed when female managers had high manager identity centrality, the negative effect of the interference between gender identity and manager identity was reduced. For the result of our study, we concluded that making manager identity salient would be helpful to perform managerial role as female manager. But for male mangers, there could be different relationship among manager identity, gender identity and work performance,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different results between men and women manager's identity conflicts. Employees in modern organizations have been required to meet multiple identity demands. And it is not easy to avoid identity conflicts in workplace. We hope that this study can expand the discussions regarding negative stereotype for female managers and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t work.

      • KCI등재후보

        김선(金䥧)의 유배기 한시 연구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19 韓國漢詩硏究 Vol.27 No.-

        김려는 자신의 아우 김선을 당대 사가(四家)로 평가하고, 『담정총서』에 김선의 시문집 『서원시준』 『진주별고』 『견월원별고』를 교정하여 수록하였다. 『담정총서』가 영인 되어 학계에 공개된 이후 담정그룹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는 중에도 김선의 시문은 조명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 이에 김려못지않게 19세기 전반기 한시사에서 주목할 만한 시적 성취를 이룩한 김선의 한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전하는 김선의 한시는 대체로 그가 1801년 강이천의 유언비어 옥사에 연루되어 평안도 초산에 유배되어 1806년 해배될 때까지의 작품들이다. 김선은 유배인의 심정을 『초사』 의 굴원 이미지를 끌어와 우회적으로 표출하였으며, 특히 진해로 이배된 김려를 향한 그리움을 여러 편의 시로 읊었다. 또한, 김선은 유배기에 의고풍의 한시를 대량으로 창작하였다. 그는 『시경』의 언어와 형식을 활용하고, 위진시대의 악부나 심약의 고시, 사패 등을 의고 하거나 활용하여 고풍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의고적 성향은 담정그룹의 공통된 사조로 나타나는바, 19세기 전반기 한시 전개의 한 국면이라 할 수 있다. 김선은 의고 악부나 사패로 쓴 염정시를 통해 낭만적인 정경을 보이면서도 그 안에 우회적으로 유배인의 처지와 심정을 의탁하였다.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시는 <육억시>인데, 이 시는 심약의 <육억시>를 모델로 하였으나 의고적인 분위기를 벗어나 형제간 일상의 우애를 새로운 시적 정경으로 창출하였다. 또한, <주행 백수>는 한강의 뱃길을 따라가며 견문한 정경과 감상을 간결한 오언절구 형식에 담아 100수의 연작으로 자유롭게 펼쳤는데, 의고풍을 완전히 벗어나 한강의 뱃길 풍경과 인정세태를 생생하게 포착하고 있다. 한강의 뱃길을 제재로 장편 연작시를 창작한 예를 달리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김선의 <주행 백수>는 조선 후기 한시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Kim Rye evaluated his brother Kim Seon as four Masters of his generation, and edited Kim Seon's collection of poems, “Seowon Sijun”, “Jinju Byelgo”, and “Gyunwolwon Byelgo”. Kim's poems were not illuminated even though the study of Damjeong Group became more active after “The series of Damjeong” was published recently. I would like to look at Kim Seon's poems, which achieved characteristic poetic achievement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His remaining works were mostly created during the exile from 1801 to 1806 in Chosan. Kim Seon expressed the sentiment of exiles by drawing the words and scenes of “Chosa(楚辭)”, and expressed his longing for Kim Rye, his brother who was exiled to Jinhae. He also created a large number of poems modeled after Ancients. He used the language and the form of “Shigyeong(詩經)”, and modeled after Yue-fu(樂府) poetry of Wei(魏) Chin(晉) Dynasties. He also used Cipai(詞牌) to create love poems. These archaic poems were a common trend in Damjeong Group. Above all, the most noticeable poem is the poem of “Six Memories(六憶詩)”, which modeled after the poem of Shen Yueh(沈約). This poem depicts the fraternity of the brotherhood everyday with a new poetic style. As he follows the waterway of the Han River, he has captured the remarkable scenes and sentiments in 100 series of poems(舟行百首).

      • KCI등재후보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 동향

        강혜선(Kang, Hyesun) 돈암어문학회 2013 돈암어문학 Vol.26 No.-

        이 논문은 2005년 이후 지금까지 북한에서 이루어진 한문학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고, 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통일부 산하의 북한자료센터에서 접할 수 있는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시, 한문산문, 문학론(문학비평), 고전문헌 등에 대한 연구 성과들의 목록을 일차적으로 정리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북한의 최근 한문학 경향을 몇 가지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문학 작품 선집을 지속적으로 출간하고 있는데, 그 중 특징적인 성과는 평양을 대상으로 삼은 역대 한시작품을 선발, 번역한 예이다. 한시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경향으로는, 반침략 애국주의와 함께 특히 ‘조선민족제일주의’의 발현으로 단군, 동명왕 등을 형상화한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한문산문의 분야에서는 여전히 소설을 중시하는 가운데, 〈순군부녀신의 원한〉〈황생의 망상〉 같은 작품을 새롭게 소설로 조명한 점이 특징적이다. This paper is aim to investigate recent studies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North Korea. Especially this paper focused on the studies since 2005. The trend of recent studies in the North Korea hav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literary criticism of Juche" which is based on "Juche idea"(it means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in the politics, economy, culture, ideology). The literary criticism of Juche is based on the principle which emphasize the creative combination of national literary forms and socialist ideology. Recent studies of the North Korea have searched for nation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literature in accordance with Juche criticism. These studies continually emphasize patriotic sentiments, people"s virtue, national life style, beauty of homeland which were expressed in the literary work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propagate ideology related to campaigns against foreign invasions or foreign powers and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or the prid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김려 한시의 개성, 인정(人情)의 발견과 형상화 방식 ―「감담일기(坎窞日記)」의 증별시(贈別詩)를 중심으로―

        강혜선 ( Kang Hyes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김려는 유배를 통해 그의 인식, 세계관이 변화하고 문학 또한 변화하였는데, 유배 경험의 첫 번째 창작물이 「감담일기(坎窞日記)」 이다. 「감담일기」에 수록된 몇 편의 증별시(贈別詩)는 그의 시적 개성이 본격화된 작품으로 이후 「사유악부(思牖樂府)」로 발전하였다. <冒寒入黿山, 留別南生仲厚>, <入高原郡, 別申端公希頲歸文川>, <高驂驛舍, 留別父老>의 세 사례를 들어 인정(人情)의 발견과 형상화 방식을 분석하였다. 세 작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가 만난 특별한 인물을 묘사하고, 그 인물과 나눈 체험을 서사하며, 자신이 받은 감동을 표현하기 위해 중편의 오언고시 형식의 증별시를 선택하였다. 둘째, 증별의 대상이자 시속 인물은 그가 유배길에서 처음 만난, 계층과 신분을 달리하는 주변부 사람들이다. 셋째, 시상의 전개는 ‘인물의 등장과 소개 - 인물이 자신에게 보여준 온정의 행동과 말의 극적 재현’이란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곧 인정의 형상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세 편의 증별시는 이별의 현장에서 써서 준 시가 아니라 유배지 부령에 도착한 후 쓴 시들로, 남이곤, 신희정, 고참역 촌로들이 자신에게 보여준 인정과 자신의 감동을 추억하고, 그들과 나눈 교감과 그 교감으로 인해 새롭게 알게 된 인간 이해를 기념하고자 쓴 시이다. 즉, 김려는 인정을 형상화한 증별시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적, 독자적 ‘기억의 시, 추억의 시, 기념의 시’를 남긴 것이다. 이는 이후 진해 이배(移配) 후 부령의 사람들을 그리워하며 쓴 「사유악부」로 발전하였다. Kim Ryeo’s perception, worldview, and literature changed through exile. The first creation of the experience of exile is Gamdam Diary. The farewell poems included in Gamdam Diary were the works in which his poetic personality was fully developed, and later developed into Sayuakbu. I analyzed the way of discovering and shaping human nature by giving examples of three work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work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scribe the special person he met, to describe the experiences he shared with that person, and to express the impression he received, he chose the mid-length farewell poem in the form of five character ancient poem. Second, the objects of farewell are the people he met for the first time on the road of exile, who are of different classes and social status. Third, the poem consists of the appearance and introduction of a character, and the dramatic reproduction of the warm behavior and words that the character showed toward himself. This can be said to be a way of shaping human nature. These three poems were not written at the place of farewell, but afterward in Buryeong, the place of exile. He wrote these poems to remember the warmth of Nam Igon, Shin Heejeong, and senior village elders showed him and his impressions, as well as to commemorate the sympathy he shared with them and the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he learned from them. In other words, Kim Ryeo wrote poems of memory, poems of remembrance, and commemorative poems in her own unique way through farewell poems that embodied human nature. This later developed into Sayuakbu, a series of poems written in Jinhae while missing the people of Buryeong.

      • KCI등재
      • KCI등재

        건설 현장의 기업시민행동 : 포스코 A&C의 BIM 기반 3D 시각화 콘텐츠를 활용한 안전교육 사례

        구자숙(Jasook Koo),강혜선(Hyesun Kang) 한국윤리경영학회 2021 윤리경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기업시민행동을 위한 노력으로서 BIM 3D 시각화 콘텐츠를 활용한 포스코 A&C의 안전 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포스코 A&C는 건축물에 대한 정보들을 시각화하고 디지털화해 건축 프로젝트의 이해관계자들이 정보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기억하도록 만든다는 BIM 콘텐츠의 이점을 활용해 현장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안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IM 교육 대상자와 일반 근로자 간 비교 분석(t-test)을 통해 BIM 콘텐츠가 교육 경험자의 교육 만족, 안전 지식, 현장 지식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작업자가 조직 내 안전 이니셔티브에 대한 높은 인식을 가질 수 있게 함을 확인했다. 또한 조직이 안전에 대해 높은 이니셔티브를 가진 것으로 작업자들이 인식할 때 안전 행동과 일 만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통한 효과임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기업이 바람직한 사회적 모델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는 맥락 하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건설사의 기업시민행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introduces POSCO A&C s safety training program and analyzes its effectiveness. POSCO A&C conducts safety training for field workers using 3D BIM visualization. The BIM process generates and manages the digital representation of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hich can help stakeholders understand relevant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This study finds that the BIM content-based training program not only heightens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ir base of knowledge and their training, but also increases workers’ awareness of the commitment to safety of their organization. In addition, when workers perceive that the organization puts a high priority on safety initiatives, safety-conscious behavior can spread and job satisfaction can increase, and this is an effect of their psychological awareness of safety issues. This study s main contribution is to demonstrate a mechanism whereby safety-related practices lead to safety-conscious behavior through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