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장결핵으로 인한 성인 장중첩증

        강혜선 ( Hye Sun Kang ),강지영 ( Ji Young Kang ),강현희 ( Hyun Hui Kang ),김현진 ( Hyun Jin Kim ),임근준 ( Keun Joon Lim ),김승경 ( Seung Kyoung Kim ),이상학 ( Sang Haak Lee ),문화식 ( Hwa Sik Moon ),박종경 ( Jong Kyung Park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0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9 No.3

        Intussusception primarily occurs in children and is uncommon in adults. Moreover, intussusception caused by intestinal tuberculosis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intussusception induced by intestinal tuberculosis. A 53-year-old man presented to our hospital with complaints of cough and sputum for 2 weeks. We started anti-tuberculosis medication as the patient`s sputum acid-fast staining was positive. After 4 days of treatment, the patient developed abdominal cramping pain. Imaging studies showed ileo-ileal type intussusception. The patient underwent segmental resection of the small bowel and intestinal tuberculosis was confirmed on histological examination. He recovered after surgery and was discharged on anti-tuberculosis medication.

      • KCI등재

        정조의 문체반정과 경화문화(京華文化)

        강혜선 ( Hye Sun Ka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문체반정에서 정조가 겨냥한 문체 비판의 대상은, 개인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문예문 보다 공적, 제도적인 글쓰기인 관각문이었다. 표면적으로는 주자학과 당송고문의 재정립을 표방하였지만, 정조가 실제로 더욱 강조한 것은 국가를 경영하고 정책을 펼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문체, 궁극적으로 ``실용을 추구하는 글쓰기``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확장하여 정조가 당대의 문화를 선도해간 경화사족에 대하여 취한 비판적 시각과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른바 京華文化는 서울과 경기도를 생활 근거지로 삼고 전대의 사림이나 동시대 鄕班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간 京華士族의 문화를 범칭한다. 정조시대의 경화사족은 도시적 생활, 물질적 토대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유입한 문화를 대단히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던 바, 소설과 소품의 성행, 서화골동, 원예와 같은 심미적, 예술적 취향이 그 대표적인 양상이었다. 정조는 ``唐學``이라 하여 중국 열풍의 부정적 현상을 비판하였는데, 특히 실용, 실질과 무관하다는 관점에서 명청의 소설과 공안파의 소품을 가장 비판하였다. 정조는 자신의 측근 관료들부터 실질이 있는 문체로 국정에 실익이 되는 글쓰기에 힘쓰기를 요청하였다. 직접 주도한 각종 서적 편찬, 책문, 중국 서적 금지령 등을 통해 정조는 적극적으로 문체정책을 펼쳐 나갔다. 또, 문체반정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경화사족에 대한 정조의 대응을 살펴보면, 당색과 신분을 초월하여 정조의 측근 관료들 중 소설과 소품, 서학 등에 경사된 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각 사례마다 비판의 강도와 정치적 조처의 수위를 달리 하였는데, 여기에도 실용을 중시하는 정조의 관점이 일정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literary movement performed by King Jeongjo which is called "Munchebanjeong"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King Jeongjo made so many comments on literary style critically and tried to change writing style of his officials. He criticized new types of writing like the Essays and nobles. He sought for contents and literary style of Ku-wen. He sometimes made political issues about literary style.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King Jeongjo put much emphasis on practicality in official writing or systematized writing, not in private literary works. Many nobilities of the time of King Jeongjo enjoyed aesthetic or artistic tastes and immersed themselves in impractical knowledge or literary works. King Jeongjo criticized those trends and wanted to lead his officials into practical writings.

      • KCI등재

        여성 관리자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

        강혜선(Kang, Hyesun),이청정(Lee, Cheong Jung),구자숙(Koo, Jaso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여성 정체성이 관리자로서의 정체성을 방해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정체성 방해 현상에 미치는 요인과 정체성 방해가 직무만족이나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성별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은 여성에게 있어 두드러질 것을 가정하여 중국 소재 5개 기업의 여성 관리자 1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ㆍ관리자 정체성간의 방해가 개인의 주요한 성과변인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검증하고, 성별ㆍ관리자 정체성간의 방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성별 정체성 수준, 성별 지위에 대한 합법성과 안정성 변인을 식별해냈다. 또한 정체성간 방해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관리자 정체성의 중심성 정도의 역할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성 정체성 인식은 여성 정체성이 관리자 정체성을 방해하는 정도와 부적으로 관련 있었으며, 여성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간 방해를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이나 개인성과가 낮아졌다. 또한 관리자 정체성 중심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만족이나 개인성과에 대한 정체성 방해의 부정적 효과가 약화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성별 정체성과 관리자 정체성이 충돌하는 현상과 관련한 여러 변인의 영향을 식별함으로써 여성 관리자가 성공적으로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밝히고자 했다. This paper focused on female identity interference with manager identity in workplace. Specifically, our result revealed that work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sonal performance were negatively related to interferences between female identity and manager identity. Also, we proposed female legitimacy, female status stability, female categorization, female esteem and female commitment were the antecedents of female and manager identity interference. Supporting our hypothesis, the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dentity interferenc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r identity centrality. The result for moderating effect showed when female managers had high manager identity centrality, the negative effect of the interference between gender identity and manager identity was reduced. For the result of our study, we concluded that making manager identity salient would be helpful to perform managerial role as female manager. But for male mangers, there could be different relationship among manager identity, gender identity and work performance,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different results between men and women manager's identity conflicts. Employees in modern organizations have been required to meet multiple identity demands. And it is not easy to avoid identity conflicts in workplace. We hope that this study can expand the discussions regarding negative stereotype for female managers and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t work.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과 김려의 한시

        강혜선(Kang Hye-Sun) 한국문학회 2006 韓國文學論叢 Vol.43 No.-

          This essay illuminate the relatedness between the notable features of Kim-Ryo"s Chinese poetry and the trend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wrote a great variety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Kim-Ryo interested in this trend also wrote categorical explanations of fishes. That book"s name is Uhae-ieobo.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interesting. He recorded the ecology of fishes and the local customs in the Uhae-ieobo. While he was exiled in Buryong and Jinhae, he took interest in wide encyclopedic knowledge. Especially he had a vast stock of knowledge in the living necessaries. After he returned from the place of exile, he grew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his farm and garden. Manseonwainggo, the collection of poems is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addition he wrote the poems on the theme of the living necessaries. In thi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the poems in his own way which was annotated. Annotations of the poems have a strong resemblance to kinds of Mulbo, categorical explanations of things. Kim-Ryo"s poems are lyric and sensitive on the theme of his every day lives. He expresses vegetables and fruits which he had grow and eaten every day. He expresses flowers which he had grow and watched every day. He expresses living necessaries which he had used every day. These poems show the change of lyric poem under the influence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and practical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김려의「만선와잉고(萬蟬窩媵稿)」에 나타난 일상성

        강혜선(Kang Hye-sun) 돈암어문학회 2007 돈암어문학 Vol.- No.20

        이 논문은 김려의 시선집인「만선와잉고」의 시작품들에 나타나있는 일상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핀 글이다. 김려는 부령과 진해에서 10년의 유배생활을 하였다. 유배에서 돌아온 뒤 출사하기 이전까지 김려는 서울의 삼청동에서 작은 셋집을 얻어 살았다. 이때 그는 직접 채소와 과실, 화초를 기르며 살았는데, 이때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김려는 독특한 방식의 연작시를 집중적으로 남겼다. 「만선와잉고」의 시작은 그가 자신의 집에서 심어놓고 즐긴 꽃들, 자신의 집에 딸린 남새밭에서 길러 먹었던 채소들과 과실들, 그리고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였던 각종 생활용품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는 모든 시마다 각각 대상물과 관련한 실용적인 지식정보들을 정리해 주석으로 달아 놓았는데, 이는 마치 조선후기 성행하였던 물보(物譜)나 백과사전식 저술과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 특히 그의 주석은 단순히 지식정보들을 모아 놓은데 머물지 않고, 자신의 체험, 예컨대 식용법이나 기호, 사용 소감 등을 포함하고 있어, 김려 자신의 일상을 잘 반영해 주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만선와잉고」의 시작들은 서정적이면서도 동시에 풍부하게 자신의 일상생활의 면모들을 구체적으로 묘사, 서술해 놓았다. 상추쌈과 곰취쌈을 맛있게 먹는 일상이나 자신의 몸이 사용하는 기물들에 대한 실용적 관심 등이 시의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와 있는 것이다. 이러한「만선와잉고」의 한시작품들은 서정적 한시의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또한 한시작가의 의식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김려 같은 한시작가들은 생활하는 일상인으로서의 자신들의 모습과 함께 일상의 의미들을 새롭게 발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essay examined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everyday life in the Kim-Ryo's the collection of poems named “Manseonwainggo”. Kim-Ryo had been exiled in Buryong and Jinhae for ten years. After he returned to Seoul from the place of exile, he lived in a small rented house which was named “Manseonwao” and he grew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his garden. The poems of “Manseonwainggo” were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s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addition, he wrote unique poems on the theme of the living necessaries. He annotated, to all poems. Each annotation is practical information in relation to a subject for a poem. These annotations have a strong resemblance to kinds of Mulbo, categorical explanations of things. Kim-Ryo's poems are lyric and sensitive on the theme of his everyday life. He expressed vegetables and fruits which he had grow and eaten everyday life. verse. He expressed living necessaries which he had used every day in verse. These poems showed the change of lyric poem 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Kim-Ryo's self-consciousness.

      • KCI등재

        조희룡(趙熙龍)의 임자도 유배기 한시 연구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조희룡 회화의 예술적 성취와 예술론(시서화론)이 일찍부터 조명받은 것에 비해, 그의 한시는 해설 차원에 머문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본고는 한시 작품론의 측면에서 그의 유배기 한시를 재조명하였다. 조희룡은 만년에 전라도 임자도에 유배되어 3년 동안 살았는데, 유배기의 한시를 수록한 『우해악암고』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 조희룡은 조선 후기 성행한 절구 연작시를 선호하였다. 유배 도중과 유배지에서 직접 바라본 풍경을 그린 사경시(寫景詩)에서 소폭의 산수화 같은 정경을 만들어 보였으며, 회인시(懷人詩)의 전통을 계승한 <회인절구>에서는 특히 화가의 안목으로 대상 화가의 본령을 서정적으로 품평하였다. 한편, 조희룡은 유배 생활의 일상 정감을 유쾌한 어조로 토로하였는바, 스스로 희작(戲作)이라 칭한 작품들을 주목해 보았다. 희작 성향의 한시에서는 불교의 언어가 농담과 해학의 언어로 바뀌는 등 시어의 활용이 돋보였는데, 이는 암울한 유배지에서도 즐겁고 유쾌하게 살려고 한 그의 삶의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배지에서 조희룡이 몰두한 세계는 바로 시화(詩畫)였다. 그가 주장한 시화일체론(詩畫一體論)의 핵심은 화의(畫意)로 시정(詩情)이나 시경(詩境)을 만드는 창작 방법이라 할 수 있고, 그는 그러한 실례를 자신의 한시 창작에서 구현해 보였다. 조희룡이 문인의 시와 차별되는 화가의 시를 추구하였던 것이라 보인다. 유배지에서 시화에 몰두하여 자유자재로 창작하는 희열을 조희룡은 유희삼매(遊戲三昧)라는 말로 지칭하였으며, 그러한 경지에 이른 자신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Cho Hee-ryong's artistic achievements and art theory have been under the spotlight from an early age. On the other hand, I think that his Chinese poems stayed at the level of commentar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re-examine his exile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is of works. Cho Hee-ryong was exiled to Imja-do, Jeolla-do in his later years and lived there for three years. I analyzed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his exile poetry using 『Uhaeakamgo』, which contains the works of poetry from this period. He preferred to write a series of short poem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his poems depicting the scenery he saw during his exile and directly from the place of exile, he made a small landscape like a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in < Hoein Jeolgu (懷人絶句) >, which inherits the tradition of his Hoein poetry(懷人詩), he especially lyrically evaluates the essence of a specific painter based on his own perspective as a painter. His poems narrated in a pleasant tone the daily feelings of exile, and he called himself a playful poem. Even in his poems, Buddhist language was used for jokes and humor. This seems to reflect the attitude of his life that he tried to live happily in exile. The world that Cho Hee-ryong was immersed in in exile was poetry and painting. He insisted on the traditional theory that poetry and painting are one, and further suggested a creative method of writing poetry through painting. This is a method of borrowing the meaning of a painting(畫意) and creating a poetry scene(詩境). He embodied such a creative method in his own poetry. Cho Hee-ryong pursued the poetry of a painter th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a writer. He referred to the joy of creating freely by immersing himself in poetry and painting with the word 'Playing Sammae(遊戲三昧)', and he also embodied himself in such a state of joy in his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