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일기 쓰기 실태와 지도 방법 연구

        강형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for children's diary writing which Ins deserved a little less consideration compared to its great importanc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absence of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on its curriculum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its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about children's diary writing, this article is aimed at providing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hildren with the basic materials of diary writing, which will be very useful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writing skill. It also include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 series of diary writing guidance theori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ren's diary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Since the fifth revi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cused on method-oriented education rather tban content-oriented, one of the major goof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 been expect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hildren's language performance ability. It bas represented to encourage children to listen, speak, read and write on the basis of their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n daily lives instead of simply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i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style, diary might be considered as a kind of prose in terms of an easy availability of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pite of the similarities to other genre. Its unique features, - free expressions of children's own feeling and thinking of the surrounding world, regardless of writing forms, the harmony between one's own internal experience and the real situation cf the outer world, -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language performance ability. Under the current 6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lthough units related to diary writing are presented in the reading/writing textbook ranging from the 1st grade through the 3rd grade, they have relatively neglectfully been treated compared to its 5th revision. In addition to tint, most of the diaries in those textbooks consist of life-style ones except for 'obsenxuion diary' in the 3rd grade and 'wartime diary by Admiral Yi, Soon Shin' in the 6th grade. In coming 7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presenting of diary units of various themes will be demanded appropriate to the level cf each grade. Some researches indicate that children fail to do writing clearly demonstrating the logical evidences supporting their convictions in the artide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ich writing activity is extremely limited in other subjects but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rging children to write diaries on incidents they have experienced will make it possible to practice how to express their thinking and opinions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cording to its contents, the diary can be classified as the imaginary diary, the obseroation diary, the reading diary, the working diary, the animal-keeping diary and the plant-growing diary. And by its form, the diary can be classified as the picture diary, the life-style diary, the poetry diary, and the journey diary. Looking for the writing materials in our daily lives, trying to express our own thinking and feeling, and more importantly, making our efforts to write in an honest and sincere attitude without giving up are essential to keep a good diary. A total number of 773 people including 125 teachers of 5 elementary schools and 648 children of 3 schools were questioned about the diary writing, and up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result is tbat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on the necessity of the diary writing unit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of all grades. And more tban tint, they believed tbai diary writing Ins greatly contributed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writing skills in spite of the difficulty of teaching diary writing caused by their over-burdened school duties. In contrast, most children turned out to avoid keeping a diary everyday appealing the difficulty of looking for the writing materials. Nonetheless, they responded positively on diary writing itself in terms of the advantages of the writing practice in lower grades and the channel of dialogue with teachers and parents in upper grades. In order to encourage children to write a diary as a part of their pleasant lives ,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instruction should be made in the early stage of keeping a diary along with the teacher's help and guidanc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each grade. And regarding the fact tbat keeping a dia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hildren's balanced person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children's diary writing. 본 연구는 일기 쓰기가 그 중요성에 비추어 이론적 연구가 글짓기의 일부분에 한정되어 미홉할뿐더러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단원 분석 빛 이론 연구가 없었다는 점과 교사들의 일기 쓰기 지도 실태나 아동들의 일기 쓰기 실태 조사 분석이 극소수로 한정되어 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기 쓰기 지도에 대한 제 이론 및 아동 실태와 교사의 지도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아동들의 달짓기 능력향상과 정서순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기 쓰기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제 5차 국어과 교육과정 이후 내용중심의 국어교육에서 방법중심의 국어교육으로 변하면서 국어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아동들의 언어사용기능을 신장시켜 주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서는 교사의 설명보다는 아동들의 실제적 참여, 경험, 연습이 크게 요청되며, 말하고, 듣고, 얽고, 쓰는 아동들 자신의 언어사용이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이 될 것이다. 아동들은 주로 자신이 경험환 일에 대해 글짓기를 하는데, 쟁활경험을 제재로 삼는다는 점에서 보면 일기는 생활문과 유사하지만, 초등학교 전학년 아동들이 손쉽게 쓸 수 있다는 산문의 장르로 볼 수 있다. 즉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지식이나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글쓴이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드러내는 글의 종류이므로, 일기는 아동들이 속해 있는 외부 세계의 경험을 내적 경험과 조화롭게 결합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언어사용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현행 6차 국어과 교과서에서 일기 쓰기와 판련된 단원은 1 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읽기와 쓰기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5차 교육과정에 비해 소홀히 취급되고 있으며, 3학년의 관찰일기와 6학년 ‘난중일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생활일기 형식으로써 7차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각 학년 단계에 알맞으면서도 다양한 일기 단원이 수록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여러 연구들은 요즈음 아동들이 설득력 있게 자신의 신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글을 쓰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었다. 그러나 실체적으로 국어과를 제외한 다른 교과에서는 이러한 쓰기 활동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아동들에게 그 날에 있었던 사건들에 대해 일기를 쓰게 함으로써 자기의 생각과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표현 능력의 정밀성을 연습할 수 있으며, 사고에 대한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일기의 유형은 내용에 따라 사색일기, 관찰일기, 독서일기, 작업일기, 사육일기, 재배일기, 여행일기, 내용에 따라 그립일기, 생활문일기, 시 일기, 독서 감상문일기, 기행문일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기를 쓸 때 생활 속에서 글감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생각과 느낌이 잘 드러나게 써야하고, 형식에 맞게 계속적으로 쓰데, 정직하게 쓰는 습관형성 또한 중요하다. 일기 쓰기에 대한 실태 분석은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5개 초등학교의 교사 125명과 3개 초등학교 아동 648명을 대상으로 각종 문항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대부분의 교사들은 아동들의 일기 쓰는 능력을 낮은 것으로 보고, 전학년 교육과정 속에 일기 쓰기 단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일기 쓰기 지도의 어려움으로 많은 아동 수와 학교 업무의 과중함을 뜰었으나, 글짓기능력 향상과 정서순화에 도움을 준다고 옹답하였다. 아동들의 대부분은 매일 일기 쓰기가 귀찮으며, 글감 찾기가 어려워 쓰기가 싫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일기 쓰기는 생활반성에 도움이 되며, 특히 저학년 아동들은 글씨 쓰기, 고학년 아동들은 선생님이나 부모님과 일기장을 통한 대화를 원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학년부터 체계적이며 학년 단계에 알맞은 지도와 함께 일기쓰기가 생활의 일부분으로써 습관화되어 즐거운 마옴으로 쓸 수 있도록 교육적인 지도가 펼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일기 쓰기는 아동들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지대함으로 본 연구가 아동들의 일기 쓰기에 실질적 개선과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