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강창화 ( Chang Hwa Kang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 유적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2012∼2013년 현지조사를 통해 선흘곶자왈에는 다양한 역사문화유적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숯가마 80기(돌숯가마 2기, 1회용 숯가마 78기)를 비롯하여 숯막(움막) 50기, 노루텅(석축함정) 7기, 경작지 20개소, 물텅(통) 10개소가 주를 이루며, 이외에 신앙 유적(신당 및 포제단) 2개소와 동굴 유적 1개소도 포함된다. 이들 유적은 인위적으로 축조하여 사용한 시점은 다르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과거 또는 현재를 살아가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관련 유적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선흘곶자왈 내에서도 역사문화유적이 특정지구에 대거 밀집된 곳이 말하자면 단위생활지구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돌숯가마 1기를 비롯하여 1회용 숯가마 12기, 숯막 1기, 경작지 6개소, 머들, 머들 + 경작지 경계 돌담 41개소, 노루텅 3기 등이 분포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적은 조선시대 말∼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에 축조하여 사용한 것이 있는 반면, 조선시대말∼1960년대 중반까지, 혹은 해방 이후∼1960년대 중반 사이에 축조하여 사용해온 유적들도 있다. 그리고 경작지는 1894년 이후부터 1950년대 말 사이에 주민들이 직접 개간하여 사용해온 유적이다. 이처럼 단위생활지구에는 사용 시기가 서로 다른 역사문화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사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셋째로, 선흘곶자왈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들 중에서 대표성과 원형 유지의 정도를 고려하여 5종류의 유적을 세부 측량과 함께 실측하였다. 이들 유적의 측량과 실측을 통해 유적별 단면도, 평면도 및측면도를 제시한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동시에 이들 유적의 실측 자료는 앞으로 제주의 여러 곶자왈에 분포하는 동일한 유적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piece together an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rical cultural heritage in Seonheul Gotzawal, Jeju,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main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n-site inspection(2012∼2013) discovered many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Seonheul Gotzawal in Jeju. The historical sites mainly include 80 charcoal kilns, 50 charcoal burner`s sheds(hut), 7 stone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20 units of farmlands, 10 ponds(well), as well as two religious remains(shrine and community altar) and one cave site. The obvious fact is that the historical sites are the living heritage of the residents of Seonheul-ri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lthough the remains have been used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when they were established. Second, the particular district whe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were concentrated within Seonheul Gotzawal can be considered to be the living unit district.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strict had one stone charcoal kiln(the charcoal kiln made of stone), 12 disposable charcoal kilns(the charcoal kiln to be discarded after using one time), one charcoal burner`s shed, six units of farmlands, Meodle(the pile of stones and pebbles stacked at one place, which were useless for farming), 41 units of stone walls that served as boundaries of Meodle and farmlands and three stone work traps(snare) for wild roe deer. The historical remains include those established in the perio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s well as those established and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id-1960s or during the period after liberation to the mid-1960s. The farmlands were also historical sites that were cultivated and used by the residents from 1894 to the late 1950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mains used in different periods are concentrated in the living unit district, the district serves as critical evidence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one side of the life of the residents in Seonheul Gotzawal. Third, the study actually surveyed and measured five types of remains on the spot in detail, given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distributed in Seonheul Gotzawal. This holds great significance as the research revealed the section, floor plan and side view with measurements and actual survey of the historical sites for the first time. The actual measured values of the historical sites are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basi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ame types of historical remains distributed in many Gotzawal areas in Jeju.

      • KCI등재

        제주(濟州) 고산리유적(高山里遺蹟) 출토(出土) 석족(石鏃)의 형식(形式)과 변화(變化)

        강창화(Chang Hwa Kang)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제주 고산리 초기신석기문화의 유물조합상은 후기구석기 최말기(12.000 B.P.)에서 신석기초기문화로 이행되는 전환기의 문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고산리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세석인문화가 지속되면서 초기신석기의 산물인 양면박리 석촉과 원시형 고토기가 출현하는 복합적인 문화양상을 띠고 있다. 고산리신석기문화는 크게 3단계의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기(11,000~10,000 B.P.)는 고산리식섬유질토기[高山里式土器]와 좀돌날[細石刃]·좀돌날몸돌[細石核]·유엽형 첨두기 등이 석기가 공반되고, 2기(10,000~9,000 B.P)는 고산리식토기·압날자돌문토기와 삼각형 첨두기·무경식석촉 등이 함께 나타나며, 3기(9,000~8,000 B.P)는 세선 융기문토기가 출현하고 유경식 석촉은 잔존하지만 좀돌날몸돌은 소멸하는 단계이다. 고산리 석기유물의 형식분류와 통계를 통해 특히 주목되는 것은 후기구석기에서 신석기초기문화로 이행되는 전환기에 등장하는 궁시문화(弓矢文化)의 결정체인 석촉이 전체 성형석기 중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다. To establish a sequence from excavated archaeological evidence in Gosan-ri, Jeju Island, both stratigraphic principles, that is, the law of superposition and the law of strata identified by their contents are applied. Due to unconformities in the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site that resulted from volcanic mold and trass, however, this thesis depends on differences in the various kinds of objects and associations, and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with which the various cultural materials occur. It also compares cultural assemblages in Gosan-ri with those in other archaeological sites in Jeju Island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Cultural assemblages in Gosan-ri show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11,000-10.000 B.P.), the second phase (10,000-9.000 B.P.), and the last phase (9,000-8,000 B.P.). Cultural assemblages in the first phase. like those in Priamur and Primorye in Russia, indicate the transition from Late Quaternary to Early Holocene: micro blades in Late Quaternary are accompanied with arrow points by bifacial pressure retouching and earthenware in Early Holocene. The flake scar burin, that is, typical burin of Late Quaternary is not excavated in Gosan-ri, even though there are few burins with an indeterminate form. Particularly, arrow points, which are so characteristic of bow-arrow cul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Late Quaternary to Early Holocene, are over 70 percent of all lithic tools excavated.

      • KCI등재

        제주도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창화(Kang Chang Hwa),김종찬(Kim Jong Chan)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6

        현재 제주도내에서 확인되는 신석기시대 유적의 수는 60여 개소에 이른다. 제주도 본섬을 포함한 부속도서에 이르기까지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되는 추세이다. 제주 신석기시대 고고학은 증가하는 자료의 축적으로 단순한 토기문양의 분류에 따른 편년단계에서 벗어나 발굴된 유구와 유물의 종합적인 해석이 필요한 단계에 있다. 이에 그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제주도 신석기시대를 초기, 조기, 전기, 중기, 후기, 만기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우선 고산리유적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일본의 유적을 비교하여 고산리 신석기 초기문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초기 고산리식토기단계 이후에 나타나는 남부지방 토기단계의 흐름, 즉 조기 융기문토기(신암리식토기)단계 - 전기 자돌압인문토기(영선동식토기) 단계 - 중기 태선침선문토기(수가리1식토기)단계 후기 퇴화침선·압인·압날점열문토기(봉계리식토기) 단계 - 만기 이중구연토기(율리식토기) 단계로의 전개 흐름이 과연 제주도에서는 어떻게 전개되는지 정리하였다. 또한 단편적이나마 지질학 등의 자연과학과의 연계를 통한 제주 신석기시대 고환경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There are more than 60 Neolithic sites throughout Jeju Island including neighboring islets. Neolithic archaeology in Jeju Island needs to interpret artifacts and features thoroughly beyond a sequence dating by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By reviewing the studies on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we classify Neolithic age in Jeju Island into 6 phases like the beginning, earlier, early, middle, late, and the last phase. We examine Gosan ri site as the beginning phase of Neolithic culture, by comparing it with the sites in Russia and Japan. We also order the phases of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by applying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in southern Korean Peninsular. Gosan- ri style pottery is followed by Sinam ri style (the earlier phase), Yeongseon-dong style (the early phase), the first Suga-ri style (the middle phase), Bonggye-ri style (the late phase), and Yul-li style (the last phase) pottery. Lastly, we examin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eolithic age by interpreting ecofacts through natural sciences including geology.

      • KCI등재

        제주도 종달리패총유적 4지구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비교해부학적 관찰

        김황룡,강창화,신태균,Kim, Hwang-Lyong,Kang, Chang-Hwa,Shin, Tae-Kyun 대한수의학회 2002 大韓獸醫學會誌 Vol.42 No.3

        Animal bones that were excavated with earthenware at the Jongdal-ri shell mound archaeological site IV o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morpholgically and osteometrically. This archaeological site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Tamra period to the unified Shilla Dynasty (A.D. 7C) based on the type of earthenware. The number of animal bones was 3,430 pieces(Quarter B : 758, Quarter C : 2,672). The animal species consisted of Cervus spp., Sus spp., Bos spp and Canivore. The animal bone pieces excavated at Quarter B consisted of those of Cervus(53.3%), Bos(2.8%) and Sus(13.7%). The bones of Cervus(53.3%), Bos(2.8%), Sus(13.7%) and Canivore(4.6%) were found at Quarter C. The greatest number of heads was unearthed as a whole,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imal species showed that the heads were more visible than other bones. Forelimbs and hindlimbs were distributed evenly on the part of Cervus. The skeletons from Bo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heads, forelimbs and hindlimbs, while nearly all the Sus bones were found to be heads. These data suggests that Cervus, Sus and Bos are major fauna at the estimated period.

      • 상모리패총에서 산출되는 이매패류 패각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예비연구

        김정숙,우경식,홍완,강창화,Kim, Jeong-Suk,Woo, Kyung-Sik,Hong, Wan,Kang, Chang-Hwa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상모리패총에서 채취한 조개패각(밤색무늬조개과 투박조개, Glycymeris albolineata) 시료(JSM-B01)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이 조개가 살던 시대의 해양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패각의 지화학적 조성은 서식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 패각인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성장기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잘 반영하였지만 성장이 거의 멈추는 노년기에는 주변 환경 변화를 거의 반영하지 못 하였다. 투박조개의 성장기(장년기)에 기록된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적 주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절변화는 여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인 저염분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동위원소 조성 역시 여름시기에는 저염분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낮은 값을 보이고, 겨울시기에는 해수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의한 영향을 받아 여름보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적인 변화패턴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는 과거 해수환경을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해수환경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주변 해수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밤색무늬과조개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leo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hallow sea around Jeju Island during the Late Holocene using geochemical contents of the bivalve (Glycymeris albolineata) collected from the Sangmori Shell Mound. The bivalve shell used shows the archaeological age of 2,300 yr BP. Stable carbon and oxygen isotope compositions show that growth rates decreased with aging. Coeval trends of both isotope compositions can be observed: heavier values during winters and lighter values summers except for their young and old growth stages. The seasonality of bivalve shell appear to reflect seasonal variations of paleotemperature as well as paleosalinity. Especially China Coastal Water with low salinity was transported into the southern Jeju Strait from Changjiang River during summer periods. Heavier carbon isotope values during winter indicate higher productivity, and this is supported by high density of phytoplanktons and higher chlorophyll contents during winter time. For accurate interpretation, monitoring of present-day conditions of shallow marine water as well as additional geochemical analysis of the same Recent bivalve may be necessary.

      • KCI등재

        반도부의 숯가마 실태와 숯 생산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연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과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을 사례로

        정광중(Jeong Kwang-joong),강창화(Kang Chang-hwa),강성기(Kang Seong-gi),부혜진(Bu Hye-jin)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6 No.-

        본 연구는 제주도의 숯가마 형태와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도부의 숯 생산지역을 탐방하여 실마리를 얻고자 시도되었으나, 현 시점에서 그 단초를 찾기에는 이른 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소 부족하지만 이번에 현지 조사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은 1960년대 이전부터 숯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조사 시점에서는 13개 농가가 일정한 부지 내에서 참나무 숯을 생산하고 있으며, 한 농가를 제외한 모든 농가가 검탄이고 이들은 전국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진천군 백곡면의 숯가마는 일정한 부지 내에 고정시켜 연중 생산하는 개량된 숯가마 형태라 할 수 있는데, 과거와는 달리 숯가마의 규모가 다소 커진 상태로서 여러 개의 숯가마를 연계시켜 동시다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과거와 비교할 때 숯가마의 구조에서 달라진 점은 아궁이의 위치 정도이고, 그 외에는 숯가마를 지탱하는 내·외벽 재료가 현대화(철제 빔, 철제 연통 등)됨에 따라 크기와 위치가 변화한 정도이다.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은 백탄 위주의 생산지역으로 추측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숯 생산농가의 정량적 실태 파악은 물론 과거의 숯가마와 현재의 숯가마 사이의 변회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현지 조사한 농가의 숯가마와 숯 생산정보를 토대로 생각해 보면, 영월군 상동읍도 과거보다는 숯가마의 규모가 다소 커지고 동시에 현대로 오면서 여러 개의 숯가마를 연계하여 대량 생산화를 꾀하는 과정만큼은 분명하게 걸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현재 상동읍에서 백탄을 생산하는 농가의 사례와 함께 숯가마를 활용한 현대식 숯 치유센터를 만들어 활용하려는 사례에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제주지역 숯가마의 원류를 찾기 위한 반도부와 국외지역과의 비교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gain dues by inspecting charcoal production areas on the peninsula as a means to identify the form and structure of charcoal kilns on Jeju Island. The results are inconclusive at this point but the following findings summarized in the field research below do provide indicators. Baekgok-myeon, Jincheon-gun in Chungcheongbuk-do has been widely known as a charcoal producing area before the 1960s. 13 farms were producing oak charcoal within a certain scope of these areas at the point of research, and all farms, except for one, were producing black charcoal and selling it for multiple purposes nationwide. Charcoal kilns in Baekgok-myeon, Jincheon-gun can be referred to as improved forms that make charcoal year around by being installed within the parameters of certain types of areas. These charcoal kilns increased in size from those in the past with systems of mass production by connecting several charcoal kilns simultaneously. Compared to the past, what changed in the structures of charcoal kilns are furnace locations as well as the size and place of charcoal kilns, due to the modernization of inner and outer wall materials that support these charcoal kilns. Sangdong-eup, Yeongwol-gun in Gangwon-do is estimated as an area that mainly makes white charcoal. Due to the lack of relevant data, it is difficult to discuss in detail the actual quantitative conditions of charcoal producing farms in conjunction with their past/present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is research. However, given the information of charcoal kilns and charcoal production information farms researched, the size of charcoal kilns in Sangdong-eup, Yeongwol-gun had increased from the past, and there was a dear process of pursuing the mass production of charcoal by connecting several charcoal kilns as of late. This is sufficiently apparent in the case of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ized charcoal healing center used in combination with charcoal kilns, as well as in the case of white charcoal production farms in Sangdong-eup. Lastly, it is recommended to continue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peninsula and overseas areas to find the origins of charcoal kilns located on Jeju Island.

      • 척수 손상 환자에서의 자율 신경 이상항진증의 마취 관리 - 증례 보고 -

        류승아 ( Seung-ah Ryu ),이찬희 ( Chan-hee Lee ),강창화 ( Chang-hwa Kang )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2018 慶熙醫學 Vol.33 No.1

        Autonomic hyperreflexia (AHR) is one of the clinical symptoms that may occur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in the fourth to sixth thoracic vertebrae. Sudden hypertension, bradycardia, headache and other symptoms may occur. If not properly treated, AHR can lead to arrhythmia, myocardial infarction, cerebral hemorrhage, etc., which can be life-threatening. In this case, the patient was a 57-year-old man with tetraplegia due to fracture of the cervical vertebrae 3-4, and underwent an abdominoperineal resection of rectum to remove rectal cancer. Regarding concerns of prolonged surgery and intermittently occurring high intensity stimuli that might induce AHR, we expected that the control of depth of general anesthesia will not be enough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HR. Therefore we performed epidural drug injec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successfully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AHR during surgery. Additiionally, norepinephrine was injected from the beginning of surgery because of the concern of hypotension that might be caused by the interruption of efferent sympathetic nerves and the decrease of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due to vagus hyperactivity. As a result, blood pressure remained normal until the end of the operation, thus we submit a case rep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