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개념 발달과 상보적 교수-학습

        강창숙 ( Chang Sook K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2

        Vygotsky`s dis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can only be acquired as a result of delibrate and systematic instruction in an educational activity setting. Its development is by focusing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D). From this it follows that the reciprocal teaching-learning studied as a more effective method theoretically to develop the geographical concepts of the students. First of all, The everyday concepts are spontaneously developed in a dialectical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concepts, which are mediated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re is a double mov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Thus teacher must guide instruction on the basis of reciprocal teaching-learning. The everyday concepts development depends upon systemically organized geographical concepts of a high degree of generality, so the geographical concepts must be systemized as a knowlege structure. For this I shall propose a systematic frame such as superordinate theme concepts-basic element concepts-subordinate element concepts-concrete facts based on the relation of generality of concepts. A student is individual, its individualities have a ZPD as the sensitive zone of learning. To work with the ZPD in classroom teaching implies that the teacher is aware of the ZPD of student and must be use as a tool to plan for qualitative changes. The concepts development of student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their own ZPD. Therefore they can maximize the interaction through instructional conversation in the environment of peer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participate in cognitive structure reconstructing more actively. Consequentiy, it is important to constructs fo activity setting fo rthe interaction. Although the recipocal teaching-learn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pts development process, we can explain it properly only when the study on the geographical concepts development is being performed empirically.

      • KCI등재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

        강창숙(Chang-Sook Kang)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6

        학생들의 지리적 이해와 개념 발달 그리고 기능 습득 등이 복합적인 배경 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복합적인 배경 변인 중에서 성별 차이는 오랫동안 지리학자와 심리학자들의 관심 대상이었다. 최근 지리적 지식과 공간적 능력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는 성적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사회문화적 요인들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고려되는 성별 차이는 단순한 차이 그 자체보다는, 다면적인 젠더에 대한 과정 변인으로 진술되고 탐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이 지리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지역과 학습 내용 그리고 학습 활동에 대한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지리 학습에서는 성별 차이보다는 유사성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젠더별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절한 것은 단순한 성별 차이보다는 좀더 구체적이고 다면적인 젠더 특성임을 시사한다. 더불어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 효율성을 장려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면, 지리 교육을 증진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student mastery of concepts and skills in geographic education is based on a complex set of variables. Sex and gender are the key variables. Much has been written about biological sex differences in learning,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acts of socio-cultural gender on learning geography. As such, the aim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to examine theories which seek to explain why males and females might differ in their geographic and spatial knowledge or skill. Second, to examine the extent of sex differences and gender traits in the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of study illustrate clearly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Therefo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preferences of regions, contents, activities in the secondary geographic learning. The results also provide insights into improving contents and method of geographic education.

      • KCI등재

        일본 중학교 사회과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의 주요 변화와 2017년 개정 내용의 특징

        강창숙 ( Kang Chang-soo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3

        일본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은 미군정청이 고시한 1947년 시안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10여 차례 고시, 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 내용구성에서 나타나는 주요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중학교 지리교육의 변천은 크게 사회과 지리분야의 학습지도요령이 고시되기 전과 후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지리교육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사회과 지리분야 시기는 지리학습 성립기와 지역학습 전개기를 거쳐 최근의 지리교육에 이르고 있다.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의 내용구성은 국가·사회적 요구를 전향적으로 수용하면서, 지역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꾸준히 반성하고 개선해 왔다. 최근 2017년 개정의 중점은 학습자의 지리적 지식 및 기능의 습득과 지리적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및 언어능력을 질적, 실천적으로 강화하는 데 있다. 그리고 영토 및 국토교육 강화와 함께 독도에 대한 학습내용 왜곡을 학습지도요령에 명시하였다. The course of study(curriculum) for middle school education in Japan started in 1947 wh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declared it for implementation, and was revised about 10 times by 2017.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changes in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section. The major change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was largely divided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section was published.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in social studies has developed through the initial formation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 regular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The geography curriculum proactively accepted national·social needs, and it has continued to reflect and improve the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The focus of the recent revision in 2017 is for learners to acquir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think, judge, express themselves using high-quality language and practice.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n national land and territory, distortion of Dokdo i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청주시 도농 통합 과정 및 지명 선정에서 나타난 주민인식

        강창숙(Chang-Sook K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본 연구는 청주시와 청원군의 지명 변천 및 도농 통합 과정을 분석하고, 통합 청주시 지명 선정 과정에서 나타난 주민인식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농 통합 이전까지 청주는 국가수준에서 행정구역이 개편되고 지명 위계가 승격되거나 강등되는 변화를 피동적으로 경험해 왔다. 둘째, 1994년부터 20여 년 동안 4차례 시도되었던 청주·청원 도농 통합은 2014년 주민자율의 상향식 추진으로 성공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시 지명 선정에는 청주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으며, 압도적인 지지로 ‘청주’가 선정되었다. 반면, 4개 구 지명 선정에서는 청원군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으며 읍, 면 단위 중심의 소지역주의 갈등이 나타났다. 새로 선정된 시와 구 지명은 모두 역사적 상징성을 갖는 옛 지명들이다. In this study, place name changes of Cheongju-Si (市)·Cheongwon-Gun (郡) and the process of the urban-rural consolidation of this region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selection of the new place names of consolidated Cheongju-Si and residents’ perception were examined. Major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 the urban-rural consolidation, Cheongju has passively experienced changes such as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elevation or degradation of the scales of place name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The Cheongju-Cheongwon consolidation that had been attempted four times for 20 years from 1994 was successfully made in 2014 through the residents’ autonomous bottom-up promotion. Finally, Cheongju-si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of place name of the consolidated city and ‘Cheongju’ was determined with overwhelming support. However, the residents of Cheongwon-Gu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of the place names of four gus (區) and conflicts occurred due to the regionalism of the residents of small regions such as Eup (邑)·Myeon (面). All the new place names originate from the old place names with historical symbolism.

      • KCI등재

        『中等萬國地誌』 판본의 서지사항과 외래 지명 표기 양상 비교

        강창숙(Kang Chang Soo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3

        『中等萬國地誌』는 근대계몽기 학부편집국에서 新刊本(1902년)과 重刊本(1907년)을 발간하였으며, 외래 지명 표기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이다. 이에 新刊本과 重刊本의 주요 서지사항과 외래지명의 표기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新刊本과 重刊本은 같은 활자체, 같은 내용의 1帙 3冊으로 발간되었다. 13행28자로 구성된 新刊本은 국한문혼용체에 외래 지명과 인명 등을 괄호 안의 영문으로 병기하였지만, 14행35자로 구성된 重刊本은 영문 지명을 괄호 안의 한글로 변용 표기하였다. 둘째, 新刊本에서 영문으로 표기되고 있는 지명은 인문 지명(대륙·국가·지역·도시), 자연 지명(산지·하천·해안 지형), 인명 및 기타의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인문 지명의 수록 비중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외래 지명의 표기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중국식 한자 지명의 계속적인 수용과 한글 지명 표기를 통한 자국어화 현상이다. Jungdeongmangukjiji(中等萬國地誌) is a world geography textbook whose first edition and revised edition were published in 1902 and 1907, respectively, by Hakbu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editions hav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of foreign place names. Accordingly, the major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of the first edition and the revised edition were compared and reviewed. The aspects that appeared in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foreign place names notation were examined.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edition and the revised edition used the same typeface and had the same contents and were published each in three volumes. In the first edition composed of 13 lines and 28 letters, Korean- Chinese characters mixed up style were used. Foreign place names and person names were written in English and enclosed in parentheses, but in the revised edition composed of 14 lines and 35 letters, English place names were written in Korean and enclosed in parentheses. Second, the place names written in English in the first edition were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human·physical place names, person names and other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erms of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foreign place names involve the phenomenon of foreign place names becoming native place names through the continuous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 place names and the notation of Hangeul place names.

      • KCI등재

        좋은 수업을 위한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 관찰과 반성

        강창숙 ( Chang Sook K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1

        효과적인 수업 관찰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19명의 예비 지리교사들이 자신들의 모의수업과 수업실습에서 무엇을 어떻게 관찰하고 평가했으며, 반성적으로 실천했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들의 모의수업에서는 평가방법 개발, 수업자료 개발, 수업목표·의도제시, 교수학습방법 활용을 잘 관찰하였고, 교과과정 재구성, 수업설계, 수업목표·의도달성, 교육적 변환은 상대적으로 잘 관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관찰·평가는 중립적이고 의도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관찰·평가 능력의 개인차는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의 모의수업 수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관찰·평가되었다. 셋째, 모의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와 그에 대한 반성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반성의 초점은 수업의 부분적인 구성 요소에 집중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수업모형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는 것에 집중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실습에서는 수업의 전체적인 분위기나 흐름을 관찰하기 시작했으며,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찰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반성적 실천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The so important aspect of a geography teacher`s training is being able to observe effectively teaching practices for their practical knowledge developmen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19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observation and reflection on their micro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for a good teaching. Major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hey are good at observe on assesment method development,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teaching aims presentation, and use of teaching models. While they are poor at observe on reconstruction of subject matter, reach a teaching aims, teaching design, and didactic transposition in peer`s microteaching. Second, their attitude of observation·evaluation was neutral·intentional and their individual variation was considerable difference. Relatively, female`s teaching levels was more high than males. Third, they have a positive about assessment result and attitude of reflection. Their self-reflection were focused on teaching components as a teaching model and weak of interaction. Finally,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ey began to observe on a classroom climate and they are attained observations and comprehensions on students in actual context. Moreover, they are experience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very difficult.

      • KCI등재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강창숙(Chang Sook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2

        지리는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이해를 증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갖춘 도구 교과이지만, 중국의 지리교 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에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인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리교육과정은 정치적 이념과 사회적 변 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번창→위축→진흥→발전의 과정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최근의 지리과정표준은 종합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내용표준 중심의 개혁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중심 그리고 지리적 지식과 기능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 중심으로의 변화가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지리과정표준은 크게 서언, 과정목표, 내용표준, 실시건의 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초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지구와 지도, 세계지리, 중국지리, 향토지리 4영역 의 기초적인 지리 지식과 기본적인 지리 기능을 강조한다. 다섯째, 고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은 3개의 필수과목과 7개 의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직업과 지역 실정을 고려한 지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Geography is a core subject for mutual understanding a relatio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But the research and report on the Chinese geography education are poor progress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GC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political ideology and changes of society could lead to serious influences on the geography education. It is change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prosperity→withdrawal→promotion→development. Second, most recently, Chinese GCS carried out a drastic reform of their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needs and activity,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synthesis, practical value of the geography. Third, the organization of GCS consist of an introduction, curriculum objective, contents standard, performance rules. Fourth, the middle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basis of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4 subjects(the earth and the maps, world geography, Chinese geography, regional geography). Finally, The high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occupational course and consideration of regional circumstances.

      • KCI등재

        근대계몽기 세계지리 교과서 『中等萬國地誌』의 내용체계와 근대 지식의 수용과 변용

        강창숙(Kang, Chang-Soo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2

        『中等萬國地誌』(1902, 1907)는 근대식 학제에 의거하여 학부편집국에서 발간한 3권의 세계지리 교과서이며, 일본 矢津昌永의 『中學萬國地誌』(1896)를 번역, 편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만국지지』(重刊)의 내용체계와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근대 지리 지식이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책의 서문과 발문에서는 ‘대한제국의 주권수호와 자주독립 인식의 확립’을 위해서 ‘학생들에게 세계지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잘 가르치는 일’이 시급하기 때문에 책을 번역, 발간한다는 배경을 밝히고있다. 둘째, 책의 주요내용은 근대지리학의 계통적 주제들과 120여개 국가와 지역을 씨줄과 날줄로 엮은 신지식이다. 마지막으로, 유럽과 서구 제국주의 중심의 내용체계와 대륙 중심의 지지 구성 방식은 번역 저본의 형식을 그대로 모방하고 수용하였지만, 내용 서술에서는 변용이 이루어졌다 『Jungdeongmangukjiji』(1902, 1907) is a world geography textbook published by Hakbu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is book was translated from 『Junghakmangukjiji』(1896) that was written by Japanese geographer 矢津昌永. This study sought to discuss its contents organization an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geographical knowledg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introduction and postscript in the book, this textbook was written to cultivate a the systematic knowledge of world geography. Its goal wa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sovereignty protection for the Korean Empire an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Second, The main content of the book, covers systematic subjects of modern geography and new knowledge with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for more than 120 countries and linked territories. Finally, it accommodates and just imitates the format of the original books’ contents organization of Eurocentrism and Western imperialism, but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is made in the narrativ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