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삼론학에서 공성을 깨닫는 방법

        강찬국 ( Chan Guk K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의 동일성을 사유의 원칙으로 삼는 반면 중국 삼론학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성에 천착한다. 이 논문의 앞부분에서는 나카무라의 견해에 동의하는 차원에서 삼론학에서 공과 중도 개념의 차이성에 천착하는 이론의 대표적 실례인 三種二諦說을 분석한다. 삼 종이제설의 깃든 理敎釋의 의미는 제일의제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부정성이라 요약되는 바 제일의제인 공의 개념은 스스로의 진리값이 부정됨으로써만 비유비공인 불이중도의 실상을 구현하는 단계적 구조 속의 한 방편적 계기로서 정위된다. 이 논문의 뒷부분에서는 나카무라의 견해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공성에 대한 삼론학적 이해가 용수의 원의를 얻고 있음을 주장한다. 삼종이제설에서 나타나는 공성에 대한 깨달음의 내용이란 단순히 제일의제로서 정위되는 공의 개념에 대한 집착이 아니라 제일의 공의 개념을 능동적으로 자기 부정하는 실천 그 자체를 의미한다. 삼론학에서는 용수가 주창하는 공과 중도의 동일성이라는 원칙을 제일의 공에 대한 자기부정적 실천의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According Nakamira Hajime, Chinese Sanlun`s 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mptiness(sunyata) and the middle way(Madhyama-pratipad) doesn`t coincide with Nagarjuna`s original meaning. In brief, Indian Madhyamaka has the principle of the identity between the emptiness and the middle way, while Chinese Sanlun inquiries the difference of the two concepts. The first half on this paper is the context of agreeing with Nakamura`s idea. This part is the analysis of San-zhong-er-di(three kind of two truths) theory, which shows the difference of the two concepts. The theoretical focus of the relation between Li(理, logos) and Jiao-di(敎諦, truth to be in accord with Buddha``s teaching) in San-zhong-er-di theory converges on continuous self-abnegation of the highest truth(paramartha-satya). The concept of the emptiness as the highest truth here is comprehended as a methodical concept embodying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 by self-negation. The second half is the context of disagreeing with Nakamura`s idea. This part is an asser

      • KCI등재

        원효의 모순 통섭 논리에서 나타나는 연기법의 의미

        강찬국(Kang, Chan-Gu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원효는 「종체문」의 초반 2구절에서 모순 통섭의 논리를 전개한다. 모순 통섭의 논리란 이른바 중생심인 일심의 지평에 적용되는 총체적 포섭[攝]의 논리와 진여문과 생멸문의 지평에 적용되는 연기적 소통[通]의 논리를 두 축으로 삼는다. 이 두 가지 논리적 축은 마치 두 바퀴로 운동하는 수레처럼 서로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면서 대승의 지평을 무한히 개방한다. 모순 배제의 논리로는 대승의 총체성을 포섭할 수 없다. 이 대승적 총 체성의 구현을 위한 포섭 활동의 주체는 중생심인 일심이다. 일심인 중생심은 연기법에 대한 각성에 따라 타자적 지평을 자기 존재의 근원으로서 정당하게 대접하는 연대의 사유 활동에서만 진여문과 생멸문으로 나뉠 수밖에 없는 이문 분별적 사유 구조를 온전히 소통시킬 수 있으며, 그런 한에서 대승적 총체성의 이념 또한 연기법의 각성과 그 실천에 의해 구현된다. 단적으로 원효가 구사하는 모순 통섭의 논리는 연기법을 근거로 전개 되는 것이다. 아울러 대승기신론 이 대승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려는 논서이고 원효의 「종체문」이 대승의 본연됨에 대한 핵심적 기술이라면 그리하여 「종체문」에서 표현되는 대승의 본연됨의 실질적 내용이 연기법이라면, 대승에 대한 믿음이란 곧 연기법에 대한 믿음이라고 규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Wonhyo develops the logic of solving contradictions in the two front phrases of the most important base[宗體]. The logic of solving contradiction is composed by the logic of embracing totality and the logic of communicating duality. This two logic with the inevitable correlation open the horizon of Mahayana infinitely like two wheels of a vehicle. The totality of Mahayana cannot be embraced by the logic of eliminating contradiction. The subject embracing totality for realizing the totality of Mahayana is the mind of all sentient beings which regards all creatures as the same. This mind can fully communicate the barrier constructed in dualistic mind. According to the enlightenment on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this mind accepts the otherness as the base of the self. In this sense, the totality of Mahayana also depends on the enlightenment on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Plainly, Wonhyos logic of solving contradictions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 이생문(二生門)에 대한 원효의 이해에서 나타나는 깨달음의 위상

        강찬국 ( Kang Chan-guk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8 불교 철학 Vol.2 No.-

        일신의 나고 죽음에 연연하여 남을 무시하는 것이 생사(生死)의 이생문(二生門)이라면 자신의 나고 죽음에 연연하지 않고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 열반(涅槃) 묘각(妙覺)의 지평이다. 거꾸로 말해 대승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적 깨달음의 뜻이 한낱 자기긍정의 몽환적 적멸(寂滅)에 있는 것이라면 이생문(二生門)에서 전개되었던 엄혹한 수련의 과정들 역시 사사로운 이익 추구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게 되고 만다. 분단생사(分段生死)와 변역생사(變易生死)라는 이생문(二生門)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궁극적 깨달음의 이념은 단적으로 무소유(無所有)의 이타행(利他行), 가장 낮고 소외된 곳으로 무한히 하강하는 실천의 완성이라고 정위되어야 한다. Two kinds of the samsara is the horizon that neglects others on clinging to one’s birth and death. On the other hand, the ultimate enlightment of nirvana is the horizon that respects others on sacrificing one’s birth and death. If the meaning of the ultimate enlightenment were only the illusionary extinction of self-purification, the process of rigorous training on two kinds of the samsara would fall into the means for pursuing selfish profit. The idea of the ultimate enlightenment revealed in Wonhyo’s understanding on two kinds of the samsara is defined as non-possessive altruism going down endlessly to the most alienated place.

      • KCI등재

        吉藏의 小乘二諦說 비판

        강찬국(Kang Chan-guk)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吉藏이 서술하는 이제학설사의 기본적 구조는 이제설의 뜻을 알지 못하는 부류들을 비판하는 형식으로 짜여 있다. 그 부류들은 크게 외도와 내도로 나뉘고 내도는 다시 소승과 대승으로 구분되는데, 이제설의 뜻을 올바로 알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똑같은 비판의 대상일 뿐이다. 길장은 각종 부류들의 그릇된 견해들을 비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龍樹 이제설의 올바른 뜻에 접근하려는 서술방식을 채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薩衛와 方廣에 대한 길장의 비판으로부터 살위와 방광 이제설의 소승적 성격을 규정하는 한편 길장 이제학설사의 간접적 서술방식을 존중하는 한도 내에서 용수 이제설의 대승적 성격을 추론하고자 한다. 소승 살위와 방광에 대한 비판을 통해 길장의 독자는 용수 이제설의 올바른 뜻을 수직적 위계의 형식에서 기인하는 차별적 폐쇄성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아차릴 수 있다. 제일의제와 세속제의 차이를 수직적 위계 구조로서 이해하고 그리하여 제일의제에 독존적이고 폐쇄적인 자기긍정의 권능을 부여하는 한 세속제는 항상 제일의제에 의해 부정되거나 기껏해야 스스로의 정체성을 상실한 채 제일의제의 지평으로 편입될 수 있을 뿐이다. 살위와 방광으로 대표되는 소승이제설의 구조를 이렇듯 수직적 차별성으로 규정한다면 용수의 이제설은 개방적 평등성의 구조를 가지리라 추론할 수 있겠다. 용수의 이제설에 이르러 세속제와 제일의제의 평등성이 대승적 이념으로 설정됨으로써 이제학설사는 새로운 전환점을 형성한다. The basic structure of two truths theory's history which Ji-Zang describes is getting formed in the type of criticizing the schools which cannot know the meaning of two truths theory. The schools are classified into heretical and orthodox schools. The orthodox schools are classified into Hīnayāna and Mahāyāna. All of them are only the object of criticism on that point they cannot know the meaning of two truths theory. Ji-Zang adopts the indirect description method that approaches the correct meaning of Nāgārjuna's two truths theory with the method of criticizing the incorrect views. The criticism against Sarvāstivādin and Vetulyaka leads the readers of Ji-Zang to the point that Nāgārjuna's two truths theory should not be understood with the meaning of exclusive discrimination. As long as we take the difference between Paramārtha Satya and Saṃvṛti Satya for the structure of vertical hierarchy and then give Paramārtha Satya an authority to assert itself exclusively, Saṃvṛti Satya is just negated by Paramārtha Satya. At most Saṃvṛti Satya is included among the level of Paramārtha atya with loss of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that the property of Hīnayāna's two truths theory is exclusive discrimination, we may reason that the property of Nāgārjuna's two truths theory is open equality(samatā). Nāgārjuna's two truths theory changes the direction of two truths theory's history by setting Mahāyāna's principle to the equality between Saṃvṛti Satya and Paramārtha Saty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