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간세포암종의 액체 생검 현황과 전망

        강주미,김순선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2 No.1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globall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response monitoring of HCC are vital for improved outcomes. Traditional diagnostic methods rely on imaging, serum tumor markers, and invasive liver tissue biopsy. The advent of liquid biopsy has revolutionized cancer diagnostics and management. Liquid biopsy involves the detection and analysis of tumor-derived components, such as circulating tumor DNA, circulating tumor cells, and extracellular vesicles, in various body fluids. These components reflect tumor characteristics, genetic alterations, and functional changes,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for HCC diagnosis and treatment response monitoring. Liquid biopsy offers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its non-invasive nature, potential for repetitive sampling, and real-time monitoring of disease progression and treatment response. However, challenges remain, including the sensitivity of detection methods, and standardization.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method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liquid biopsy for HCC, highlighting its potential as a valuable tool in HCC management.

      • 오윤의 판화에 담긴 춤관 연구 -만물평등 사상을 중심으로-

        강주미 영남춤학회 2017 영남춤학회誌 Vol.5 No.2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Korean Dance in the Works of Oh Yun -Focused on Egalitarianism- Kang, Ju~Mi (Pusa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fforts of Oh Yoon(1946-1986) who pursued the restoration of language function in art. Because he has experimented to mediate and expand the world with artistic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his aesthetic ideology on dance and the dancing spirit he pursues based on his aesthetic attitude. It is to discover the aesthetic ideology of all beings' equality appearing in the works of Oh Yoon. This article demonstrates how the following are related to the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resentation of female, expanded frame, thought of "Not being so, and yet being so" , "Harmony as heterogeneity" , aesthetics of "Deot-baegi"(a kind of traditional dance in Busan), Incarnate "Ki"(Qi, the vital force), imagination of all beings' equality, and his most representative style, 'blunt touch and angular curve'.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y are based on "Donghak" thought. The ideas and messages that Oh Yoon wants to say are shaped by various techniques, and can be implied by the spirit of all beings' equality. Oh Yoon considered the artist's vitality in the works rather than form or technique. Because he thought that all things had vitality. He engraved the world of liberation in which all things(heaven, land, people, animals, things, etc.) were equal. In his view, printmaking is a present practice of the desire for the world of liberation. As Oh Yoon's work did, dance must also exert its linguistic functions and expand the world. His aesthetic language is in sync with dance. This study should be a starting point for deducing and restoring the linguistic func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path may begin with the restoration of imagination that equates all things. 이 연구는 오윤(1946~1986)의 미술에서 언어기능 회복의 숙고를 이해하는것에서 시작된다. 오윤은 미술 언어를 통해 세계를 재 매개하고 확충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오윤의 예술관의 연장선상에서 오윤의 춤에 관한 생각들과그가 추구하는 춤 정신이 무엇인가를 탐색함으로써 오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만물평등사상의 미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글은 작품 분석을 통해 오윤의 여성 재현과 프레임 활용의 확장, 불연기연과 화이부동의 사상, 덧배기춤의 미학, 육신화된 기(氣), 만물평등의 상상력, 그리고 오윤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 있는 ‘둔탁한 칼선과꺾인 곡선’은 우리 춤의 미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등의 내용을 논의한다. 또 이들은 동학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오윤이 말하고자하는 사상과 메시지는 다양한 기법들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만물평등의 정신으로 함축될 수 있다. 오윤은 표현 형식이나 기법이 그것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 자신의 생기를불어넣음으로써 작품이 생동하는 기운을 얻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 모든사물에는 영혼이 있다고 생각했다. 하늘과 사람, 동물, 사물 등 모든 것이 평등한해방세상을 꿈꾸며 만물평등사상을 판화에 새겨 내었다. 오윤에게서 판화 새김은 만물이 평등한 해방세상을 향한 비원의 현재적 실천이다. 이 글은 춤 또한 예술 본연의 언어기능을 유감없이 펼쳐 세계가 확대되기를 바라는 선상의 논증이다. 오윤의 확장적 언어는 확대된 세계에서 춤으로 만난다. 이 글이 춤을 소재나 주제로 많이 채택한 오윤의 작품을 깊게 들여다보고 우리 춤 언어의 기능을 역 추론해 보는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 그 길은 만물을 평등하게 사유하는 상상력의 회복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강주미,송은송,국진화,이형신,김소영,최영륜,Kang, Ju-Mi,Song, Eun-Song,Kuk, Jin-Hwa,Lee, Hyung-Sin,Kim, So-Young,Choi, Young-Yo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목 적 :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의 약 1/3에서 위장관 폐색 및 요로 기형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요로 기형을 발견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관습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실제초음파 검사상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출생 후 이학적 검사상 단일 제대 동맥이 있는 신생아에서 단일 제대 동맥이면서 증후군의 일부이거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고 건강한 신생아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배경과 출생 72시간 이후 신장 초음파를 실시하였고, 신장초음파상 이상이 있는 경우 지속적 추적관찰과 더불어 배뇨성 방광요도 조영술 및 technetium-99m-mercaptoacetyl-triglycerine(MAG3) 신스캔 검사를 실시하여 수신증의 크기, 폐쇄의 정도 및 신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0명의 남녀비는 1 : 1이었으며 평균 재태 연령은 $38.0{\pm}2.56$주, 평균 출생 체중은 $2,780{\pm}690g$이었다. 단일 제대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 30명 중 신장 초음파상 이상이 발견 된 례는 5명으로 16.7%이었고, 의미 있는 요로 기형은 1명으로 3.3%이었다. 이상이 발견된 5명 중 4명은 경도의 수신증으로 추적 검사상 자연 소실되었고, 1명은 심한 수신증으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상 역류는 없었고 MAG3 검사상 좌측 신장 기능 저하가 보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 론 :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상 발견된 신장 이상은 16.7%로 일반인에서 보이는 신장 이상의 빈도와 큰 차이는 없었고 1명을 제외한 4명(80.0%)에서 자연 소실되었으므로, 비용-이익 면에서 볼 때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관습적으로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 It is known that single umbilical artery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or urogenital anomaly, however, routine renal sonography has been debated in healthy neonate with isolated single umbilical artery.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routine renal sonography in apparently healthy infants with an isolated single umbilical artery. Methods : Thirty healthy neonates with a single umbilical artery without a major anomaly from January 1995 to July 2002 were enrolled.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clinical background of babies and their mothers after renal sonography after 72 hours of age. When the abnormalities were found at the first renal sonography, the severity of hydronephrosis and degree of obstruction and renal function were analyzed by follow up renal sonography,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and technetium-99m-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or technetium-99m-mercaptoacetyl-triglycerine (MAG3) scan. Results : Among the 30 healthy patients with isolated single umbilical artery, five patients(16.7%) showed abnormalities on first renal sonography with one major(3.3%) and four(13.4%) minor renal anomaly(minimal or mild hydroneohrosis). One major renal anomaly(severe hydronephrosis) showed severe decreased renal function on MAG3 scan without reflux, and the other four minor regressed spontaneously on follow up study. Conclusion : The value of routine early renal sonograpy for detecting renal anomaly in healthy infants with an isolated single umbilical artery remained unclear because most of the anomalies would regress spontaneously in the follow up study.

      • KCI등재

        영남장끼춤 「두꺼비춤」 연구 +

        강주미 무용역사기록학회 2023 무용역사기록학 Vol.68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roots of the "Toad Dance" that emerged in Dongnae, Busan and documents its music, costumes, and major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resonance aesthe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Toad Dance performed by Kim, Hee-sang (1924-1995) at the Small Theater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on June 22, 1984.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n interview with Kim, Onkyeong (1938-), the study reveals that the main performance space for the Toad Dance was Gibang (an indoor entertainment space). Kim also disclosed that the Toad Dance was performed by a male-female couple in the Gibang, but by one person in the outdoor space.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multiple performances of the Toad Dance from 1984-1998, as well as video and archival sources of the Toad dances documented by Park, Jinju (1936-1986), the study articulat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Toad Dance: 1) The dance movements of the Toad Dance are generated based on improvisation; 2) The performance spaces for the Toad Dance include both outdoor and indoor areas; and 3) The Toad Dance symbolizes 'play' and 'origin', represents unique mimic costumes, and utilizes the breathing method based on the Dongnae Deotbaegi rhythm. 이 연구는 부산 동래지역 두꺼비춤 의 연행배경을 추론하고, 음악과 의상, 주요 동작을 기록하고 감응미학적 해석을 통해 사라져가는 주요 장끼춤인 두꺼비춤 을 탐구한다.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은 1984년 6월 22일 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 제53회 무형문화재 정기 공연에 출연한 바 있는 김희상(1924-1995)의 두꺼비춤 이다. 이 연구에서 김온경(1938-)의 구술 증언을 통해 두꺼비춤 의 주요 연행장소가 기방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마당춤의 홀춤으로 추어졌던 장끼가 기방에서는 암수놀음의 쌍춤으로도 추어졌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 1984년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되었던 두꺼비춤 공연의 신문기사와 박진주(1936-1986)의 촬영본인 8mm 영상자료가 담긴 KBS 방영 영상본 및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및 해석하여, 즉흥성을 기반으로 하는 춤사위 특징, 실외와 실내를 오가는 연행장소성, 감응미학적 원리를 통한 ‘유희’와 ‘기원’의 새로운 상징성, 독특한 모의적 의상, 동래 덧배기 장단의 두꺼비춤 호흡 등의 특성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생성론적 관점으로 보는 한국춤의 역사적 전개: 최한기의 기론(氣論)을 중심으로

        강주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approach the history of Korea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theory. The generative perspective is to think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what has created and transformed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dance. A Silhak scholar Choi Han-gi's 'Gi' theory can be a major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Korean dance as resonance. When looking at dance as a generative theory, Korean dance is the desire of 'resonance'. There is a desire for natural unity to harmonize with the world. Originally, Korean dance was a resonating dance with ‘living’. From the stylistic beauty of 'Dengsil Dengsil' and'Nerul Nerul', which appear in Korean dance movements, we can feel the unique worldview of Korea such as 'vertical-horizontal resonance' and'vertical resonance'. Korean dance was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tilt balance' due to the entangl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sonance. This aspect can be well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Cheo Yong Mu”. Then, in the period of the modern dance, the resonance declined and it was narrowed down to 'dance to see'. As with the change in the history of art style, if the resonance of Korean dance is also experiencing repeated ups and downs, the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ra of nature-friendly stability and the dance of sensational impulse will come back again. 통상적으로 한국춤의 분류는 연행 주체, 연행장소, 연행의미 등으로 구획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춤의 본성을 담지하는 미적 초점화에 따른 운화론적 분류를 시도하고자 하는데, 춤은 고착된 사건이 아니라 ‘변화’와 ‘과정’이라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being)’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한국춤에 내재한 감응의 성질이다. 따라서 ‘춤이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넘어 춤은 어떻게 추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실존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이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의 ‘생성론적 관점’이며 그 해답으로서 ‘감응 원리로서의 춤’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한국춤의 역사를 생성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실학자 최한기의 기론은 감응으로서의 한국춤을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론이다. 춤의 생성론적 입장에서 볼 때 한국춤은 ‘감응’의 욕구이며 세계와 함께 어우러지려는 자연합일의 욕구가 내포된, ‘생기’가 살아 있던 감응의 춤이었다. 이 글은 ‘감응지향성’이 한국춤의 형태미와 어떻게 닿아 있는지에 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춤사위의 미학을 나타내는 채희완의 개념인 ‘덩실덩실’, ‘너울너울’ 등의 양식적 형태미로부터 ‘수직-수평감응’, ‘수직감응’ 등 감응지향성을 안고 있는 우리 고유의 감응적 세계관을 논의한다. 한국춤은 ‘감응지향성’의 얽힘 현상을 유지하면서 나아왔다. 이러한 양상은 처용무의 변천 과정을 통해 특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근대 춤 시기에 이르러 감응이 위축되어 ‘보여주는 춤’으로 전화되었다. 최한기는 경험(經驗)의 변통(變通)을 통해 추측(推測)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글은 감응의 한국춤 역사가 안겨준 경험의 흐름을 통해 미래 시대의 춤 양상을 추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고한다. 만약 보링거가 말하는 예술의 양식사적 변천처럼 한국춤의 감응 역시 반복적 부침을 겪는 것이라면, 이후에는 다시 자연 친화적인 안정의 시대, 감응 충동의 춤 시대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체의 전자간증이 35주미만 미숙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강주미 ( Ju Mi Kang ),김소영 ( So Young Kim ),김현희 ( Hyun Hee Kim ),이귀세라 ( Gui Se Ra Lee ),김유정 ( You Jeong Kim ),최성동 ( Sung Doug Choi ),성인경 ( In Kyung Sung ),이원배 ( Won Bae Lee ),전정식 ( Chung Sik Chun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1

        연구목적:모체의 전자간증이 태아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태아의 성숙을 촉진시키므로 미숙아의 유병률을 감소시킨다는 종전의 주장에 대하여 근래에는 상반된 결과와 자료들이 예시되고 있다. 특히 전자간증 산모의 태아에서 폐 성숙과 신경학적 발달, 혈액학적 변화 등에 대하여는 많은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35주미만의 미숙아들을 대상으로 산모의 전자간증이 출생 후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6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에서 재태연령 35주미만에 출산한 산모 567명과 그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들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전자간증 산모는 수축기 혈압 140이상, 확장기 혈압 90이상(6시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 단백뇨가 24시간에 300m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대조군 산모와 함께 나이, 임신력, 조기양막 파수, 태반출혈(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분만방법, 스테로이드 사용 등을 기록하였다. 다태아, 알려진 태아기형, 당뇨, 내과적 질병이 있는 경우는 제외되었다. 신생아에서는 출생체중, 재태연령, 1분·5분 Apgar 점수, 자궁내 성장지연, 호흡곤란증후군, 태아곤란증, 혈액 검사소견, 패혈증, 뇌실내 출혈, 신생아 사망, 재원일 수, 인공환기요법 기간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1) 35주 이전 산모의 비교에서 전자간증 산모(n=97)와 대조군 산모(n=470)간 연령, 초산율, 태반출혈, 스테로이드 사용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왕 절개율은 전자간증 산모에서, 조기양막 파수는 대조군 산모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2) 35주 이전에 태어난 신생아의 비교에서 전자간증 산모의 미숙아는 대조군에 비하여 출생체중이 유의하게 적었으며 자궁내 발육지연과 태아 곤란증의 빈도, 1분 Apgar score 6점 이하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재태 연령, 신생아 사망, 호흡곤란 증후군, 5분 Apgar score 6점 이하, 패혈증, 뇌실내 출혈, 인공환기요법, 입원일 수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학적 검사결과에서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제대혈의 PH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32주 이전 산모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도 24~35주 신생아와 유사한 결론을 얻었다. 특히 호흡곤란 증후군은 32주 이전 전자간증 산모의 미숙아에서 발생률이 더 높았다. 결론: 모체의 전자간증이 미숙 신생아의 출생시 체중에 영향을 주나 임상 경과와 예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neonatal outcomes according to laboratory and clinical features in preeclampsia before 35 weeks gestation.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delivered at the hospital from January 1, 1996 through March 31, 2002 were reviewed for the occurrence of preeclampsia before 35 weeks gestation. We compared their maternal medical and obstetric courses and neonatal outcomes with those in a group of non preeclamptic patients who delivered at similar gestational ages. Results : The preeclampsia group had lower mean birth weight, 1-minute Apgar score and umbilical arterial pH.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neonatal dea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grade 3 and 4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culture-proven sepsis. Results were similar when analysis was limited to infants born before 32 weeks. Conclusion : Maternal preeclampsia does not improve neonatal outcome of infants born before 35 weeks ges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