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주 이조리소재 崔震立神道碑 龜趺의 彫刻樣式과 編年問題 -統一新羅時代 龜趺의 樣式과 관련하여-

        강정근 경주사학회 2010 경주사학 Vol.0 No.32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에는 조선 영조 16년(1740년)에 건립되었다는 최진립 신도비가 있다. 이비는 龜趺와 碑身 그리고 螭首를 모두 갖춘 것인데 비신과 이수의 형태는 조선후기에 조성된 여타 신도비와 비슷한 반면, 귀부(이하 “이조리귀부”라 칭한다)는 신라 태종 무열왕릉비 귀부 형태와 매우 유사하여 이 귀부가 최진립의 死後인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인지 의문시 되어 왔다. 조선시대 신도비귀부 대부분은 목에 비늘이 있는 용머리 형태의 龜頭에, 연잎 문양의 넓게 펴진 碑座받침과 변형된 龜甲紋을 갖추고 있고, 다리의 형태도 용의 다리처럼 변했으며 비늘문이 새겨져있다. 동시기에 조영된 귀부 중 신라귀부형태를 모방한 귀부들 또한 모두 귀갑문 문양이 도식화되고 조각수법이 거칠고 조잡하여 이조리귀부 조각솜씨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므로 이조리귀부는 조선 후기에 조영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이조리귀부를 조선시대 작이라고 기록한 조선후기 사료 『문루일기』의 기사에 대해서도, 『조선왕조실록』, 『필원잡기』의 내용에서 왕릉을 移葬할 경우 못쓰게 된 옛 귀부를 땅에 묻은 사례가 있었음을 밝히고, 아울러 경주지역 현역 석공예 장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이 기사 내용 중에 신라시대귀부가 조선시대 귀부로 뒤 바뀌게 된 정황을 추론하였다. 또한 현존하는 통일신라 능묘에 세워져있는 귀부들과의 세부적인 조형비교를 통하여 이 귀부를 8세기 중반경의 작품으로 편년하였다.

      • KCI등재

        논문 : 화엄사 4사자석탑 앞 석등 연구

        강정근 ( Jung Keun Ka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지리산 화엄사 4사자석탑 앞에는 궤坐자세의 승상을 間柱石으로 삼은 石燈이 있어서 석탑 기단중심부에 세운 승 입상과 마주보고 있다는 사실이 오랫동안 주목받아왔다. 궤좌자세의 승상은 한손에는 持物을 들고, 燈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 그런데 궤좌자세의 승상이 燈을 머리에 이고 있는 이러한 형식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 지금의 현상이 원형이라면 승상의 손에 들려있는 지물과 머리 위에 얹혀 있는 燈의 도상적 근거는 무엇인가? 그동안 석탑의 승 입상과 석등의 승상에 대하여 『秋江集』을 근거로 緣起祖師創建說話를 표현한 조영물로 보거나, 4사자석탑의 僧像을 『華嚴經』의 獅子頻迅比丘尼로, 석등의 승상을 善財童子로 추정하는 그릇된 설이 나오기도 하였다. 궤좌자세의 승상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과 일본에도 선례가 있다. 右膝着地궤좌는 원래 인도의 예법으로서 공양하는 자세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동아시아 고대 불교미술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공양상의 모티프는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석 된다. 공양상의 지물을 찻잔과 寶器로 본 견해도 있었으나 보주형 꼭지가 달린 향로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공양상 도상은 중국이나 일본에도 존재하지만 화엄사처럼 향로를 손에 든 채 등을 머리에 이고 있는 도상은 어디에도 없는 통일신라의 독창적 조형물이다. 『大般涅槃經』에 의하면 불교에서 머리에 무언가를 이고 있는 행위는 공경하는 대상에 대한 지극한 공양을 의미한다고 한다. 등을 머리에 인 ``頂戴燈供養``의 경우, 『悲華經』 에 ``無諍念王``이 燈을 머리에 이고 ``寶藏如來``께 供養하였다거나 『大寶積經』에 "燈을 머리에 이고 있는 것이 부처에 대한 供養行爲이며 그리하면 業障이 깨끗이 없어진다" 는 내용도 있다. 나아가 『增一阿含經』에는 어떤 노비구가 ``보장여래``에 대한 지극한 燈供養을 통하여 마침내 ``燈光如來``가 된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悲華經』 에는 전륜성왕이, 『大寶積經』에는 보살이, 『增一阿含經』 에서는 비구가 여래에 대한 ``정대등`` 공양을 하고 있다. 즉 화엄사 석등의 頂戴燈供養像은 如來나 塔에 대한 燈供養을 통해 業障을 제거하고 成佛할 수 있다는 衆生制度的의미를 보여주는 불교적 조형물로 해석된다. 화엄사 석등에서 처음 시도된 정대등공양상은 이후 금강산 금장암지 석등 등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우리나라 불교미술 속에서 새로운 도상의 석등형식을 추구한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noticed for a long time that the stone lantern making the gyejwa(궤坐)(kneeling posture) priest statue as Ganjuseok(間柱石)(middle support stone of the stone lantern) in front of 4-Lion Stone Pagoda in Hwaeomsa(華嚴寺), Mt. Jiri has stood facing the standing priest statue at the center of stone foundation platform. The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carries a gimul(hand grabbed object) in his left hand and carries a lantern on his head. Then, where has the style of the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which carries a lantern on his head has originated? If it is the prototype of the style, what is the graphic basis of the jimul in the hand and the lantern on the head? Meantime, one theory has been presented to see the standing priest statue on the foundation platform and the priest statue as a formative object expressing foundation story of Yeongijosa (緣起祖師創建說話) based on the records of Chugangjip 『秋江集』. Other theories assume that the priest statue of 4-Lion Stone Pagoda as Sajabinsinbiguni(獅子頻迅比丘尼) showing up in 『Hwaeomgyeon g』 『華嚴經』 or the priest statue of the stone lantern as Seonjaedongja(善財童子)(St. Sudhana). A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appears not only Korea but also China and Japan. The kneeling of Useulchakji(右膝着地)(putting right knee on the ground) is an Indian courtesy and it was prevailing East Asian nations` ancient Buddhist arts. Kneeling itself can be construed as offering posture and the motif of the offering statue is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kneeling of Useulchakji. Jimul of the offering statue can be assumed as a lidded censer in a boju(寶珠)type, even thought some assumes as a tea cup or Bogi(寶器)(treasury bowl). The offering statue appeared also in China and Japan. However, the statue carrying a lantern and censer on the head and having jimul in his hand is the originative sculpture of the Unified Silla which can not be found any oth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scriptures of 『Daebanyeolbangyeong』(『大般涅槃經』), the action of carrying something on the head means supreme offering to the reverend object. Jeongdae lantern offering (``頂戴燈供養``) carrying a lentern on the head is also appeared in the scriptures. According to 『Bihwagyeong』 (『悲華經』), Mujeongnyeomwang(無諍念王) carried one lantern on the head and offered to Bojangyeorae (``寶藏如來``). Also, 『Daebojeokgyeong』(『大寶 積經』) says that offering to Buddha carrying lantern on one`s head cleans out obstacles. 『Jeungilahamgyeong』(『增一阿含經』) says that one old Buddhist nun finally reaches Deungwangyeorae(``燈光如來``) after extreme lantern offering to to Bojangyeorae Jeonryunseongwang(轉輪聖王) in 『Bihwagyeong』, bosal in 『Daebojeokgyeong』 and old Buddhist nun in 『Jeungilahamgyeong』 are offering to Buddha carrying lantern on one`s head. What is noted at those cases is that the stone lantern in Hwaeomsa is the Buddist sculpture which shows the meaning of saving the people by removing evils and becoming a Buddha through a lantern offering to Yeorae(如來) or Pagoda. A offering statue carrying a lantern on the head and having jimul in he hand was firstly tried in the stone lantern in Hwaeomsa which influenced on the stone lantern, Geumja ngamji(金藏 巖址), Mt. Geumgang. It can be concluded that it pursued the new style of stone lantern in the Buddhist art of Korea.

      • 경주남산 불곡마애여래좌상은 여래상인가?

        강정근(Jung keun Kang)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2023 전통미술융합연구 Vol.1 No.-

        경주남산 부처골(佛谷)에는 화강암 바위를 깎아 만든 감실 속에 “불곡마애여래좌상” 이라는 마애불이 있다. 이 불상은 머리에 두터운 두건을 쓰고 있어 탐방객들에게 할매부처 혹은 아지매부처로 불려지고 있다. 여래상은 부처의 신성함을 표현하기위해 경전에 나타나는 조영규칙이 존재하는데, 머리에 두건을 씌워 불상을 조영하기는 어려운 것이기에 불곡 조각상은 여래가 아닌 다른 상으로 보아야 한다. 두건을 쓴 조각으로 지장보살상, 빈도로존자상, 승가대사상 등이 존재한다. 승가대사상은 중국에 실존했던 포교승으로 교리에 밝고 송주에 능하며 계행이 높은 참된 승려였는데, 사후에 진승(眞僧)에서→관음보살→부처의 단계를 밟으며 존격이 격상되었다. 승가대사를 모시는 승가신앙은 중국에서 크게 유행했으며 우리나라에도 전래되었다. 불곡 조각상은 도상적으로 중국이나 북한산 승가상과 매우 흡사하다. 승가상은 국가에 발생하는 재난을 막아주고, 나아가 자식없는 사람이 기도하면 아들을 낳고, 병든사람이 간구하면 병이 나으며, 벼슬을 간절히 구하면 벼슬길이 트인다고 하는 영험이 있다고 하는데, 9세기 경 신라는 국가 전반에 걸쳐 극심한 혼란의 시기로 왕권쟁탈전과 호족세력들의 반란 등의 내우외환으로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지고 힘든 시기였는데 이런 사유로 경주남산에 승가상이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존명도 “경주남산마애여래좌상”에서 “경주남산불곡석굴승가대사상”정도로 재검토 되어야한다. At the Bulgok Valley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there is a seated Buddha in a shrine made of granite. Because this Buddha wears a thick handkerchief, it is often called the Granny Buddha or the Old Lady Buddha. There exist strict regulations for the Tathagata statue, with the handkerchief, none of the marks can be seen as attributes of this buddha. The Buddha in Bulgok should not be categorized as a Tathagata statue but rather a different kind of statue such as a Kṣitigarbha, Pindola Bharadvaja, or Monk Sengqie, which all feature a handkerchief. Monk Sengqie was a Chinese monk, after his death, he advanced from a virtuous monk to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until a Buddha. The Sengqie cult that worships Monk Sengqie was prevalent in China and was propagated to Korea The statue in Bulgok iconically resembles the Sengqie statues found in Bukhansan Mountain, and those found in China. Thus, the statue should be called Rock-carved Seated Sengqie in Bulgok Valley Namsan Mountain, Gyeongju, rather than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in Bulgok Valley Namsan Mountain, Gyeongju.

      • KCI등재

        습식 수중 용접봉의 피복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김민남(Min-Nam Kim),강정근(Jung-Gun Kang) 한국해양공학회 1999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3 No.4

        Wet underwater arc welding process is investigated by using experimentally developed flux coated underwater arc welding electrode and SS400 steel plate of 12㎜ thickness as base metal. Three kinds of different flux covered wet arc welding electrode of 4㎜ diameter (BK-01, BK-02, BK-03) are individually developed, and one of the improved underwater welding electrode (BK-03) may be put to practical use for underwater wet arc welding proces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br/> 1. Arc stability of developed underwater wet welding electrode is better than that of the domestic covered arc welding electrode.<br/> 2. Workability of welding electrode, remove ability of slag and bead appearances using improved underwater wet welding electrode are remarkably better than that of others.<br/> 3. Heat affected zone of test specimen welded in the underwater gets to become a lot smaller than that of test specimen welded in the air, and the maximum hardness of heat affect zone of developed underwater wet welding electrode is lower to that of domestic arc welding electr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