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조선 연구의 신지평 기원전 9~7세기 초기 스키토-시베리아문화와 비파형동검문화권의 대형무덤 비교연구 -러시아 투바 아르잔고분과요령 대련 강상묘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인욱 ( In Uk Kang ),조소은 ( So Eun J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8

        In this study, authors compare the appearance of big tombs in Southern Siberia and Liaodong peninsula. In 9th~7th cen. BCE, Although these regions is located far from each other with different geographic situation, big tombs with group burials, which formed similar in plan, occurred almost simultaneously. In 2, 3 chapters, authors compared these tombs and point out similarity in inner and exterior scheme of construction, centralization of leader`s burial in tomb and concentration of accompanied artefact. It is hardly believed that direct interaction or migration of culture in these two regions. But, the coincidence of big tomb with group burial shows that Scyhto-Siberian cultures of Easter Eurasia and Lute-shaped dagger culture of Liaoning could be linked into a wide ranged system. In 9th cen. BCE, when new nomadic economy, so called Scytho-siberian cultures appeared in Eurasian steppe, Lute-shaped dagger culture also occurred. These culture shows concentration of leadership and appearance of warrior with bronze dagger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big tomb.

      • KCI등재
      • KCI등재

        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 · 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

        강인욱(Kang In U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최근 고구려의 연구가 다양화되면서 그 북방 이웃지역과의 관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삼연(三燕) 문화로 대표되는 모용선비에 대하여 한 · 중 · 일 여러 학자들의 논의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구려의 성장시기와 관련된 북방지역의 선비 · 유연 · 돌궐 등이 어떻게 유라시아 초원 일대의 유목국가형성에 이바지했는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흉노의 발흥 이후 선비와 유연 시기에 해당하는 서기 1~5세기의 남부 시베리아의 알타이 · 몽골 · 프리바이칼 · 자바이칼 지역의 고고학적 문화를 살펴보고 그 특징과 유라시아 고고학에서의 의의를 다루었다. I장에서는 유라시아 동부의 초원지역에서 선비 문화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II장에서는 그간 공백으로만 알려져 있던 서기 1~5세기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줄 수 있는 최신 발굴자료들을 소개했다. 이후 III장에서는 각 지역의 선비·유연 시기의 시공적인 범위, 지역적인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고구려의 북방 이웃으로서의 선비족에 대한 관점을 탈피하여 고대 북방사라는 거시적인 안목에서 선비와 그를 이은 유연의 의의를 재평가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북방 유라시아 일대의 선비 · 유연 시기의 유적을 일별한 결과, 이들은 흉노 이후 유목사회의 발달을 지속하여서 투르크가 등장하기 이전의 유목문화의 발흥에 기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비 문화의 경우 동쪽으로는 말갈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연제국으로 계승되는 점을 살펴보아서, 고구려와 북쪽으로 이웃한 선비가 초기 중세시기 북방지역 유목문화를 이해하는 핵심되는 점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유라시아 역사 편년 상에서 민족의 대이동시기로 대표되는 시기(서기 3~5세기)에 고구려의 발달과 북방지역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fter the collapse of Xiongnu in the first century, the rise of Xianbi has been one of the most interesting subjects in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of East Asia and Eurasia.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Xianbi replaced most of the Xiongnu boundary from Manchuria to Altai, and from Baikal to the Great Wall region of China. In the fifth century, the Rouran empire occupied most of Eastern Eurasia. To date, the succession of nomadic states (or empires) from in the early medieval age of East Asia have been mainly discussed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raditionally, this period is regarded as “the Great Migration period” in western history. However, because of a lack of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eastern part of Eurasia was poorly discussed. Thus,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eks to examine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Altai, Mongolia, and Baikal area in southern Siberia during the second century to the fifth century. Recent archaeological findings in Mongolia and Southern Siberia show that in this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Xiongnu, Xianbi’s influence extended to Altai. The Rouran tombs also show the succession of Xianbi cultural elements. Let us take a glimpse at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As the author has mentioned in previous works, it is worth pointing out that the stirrups and the horse harness of Altai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Goguryeo horse harness. This could be also explained by diplomatic alliances of Goguryeo and Rouran in the second half of the fifth century. However, here the author shows that the archeological findings of the third century to the fifth century share more similarity with the Xianbi. This means that the Rouran-Goguryeo relationship and alliance had just started in the late Rouran empire period and coincided with the rise of ancient Turkic (Tujue) peoples in Altai. In this way, recent archaeological findings of the Xianbi-Rouran period in the eastern Eurasia Steppe give us new perspectives on the early medieval history of East Asia, including Goguryeo.

      • KCI등재

        V.V.포노소프의 발해 상경성 발굴과 동아고고학회

        강인욱(KANG In-uk)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48 No.-

        본 고에서는 1931년 9~10월에 이루어진 포노소프(V.V.Ponosov)의 발굴을 통해 발해 고고학의 성립에서 하얼빈 고고학자들의 숨겨진 역할을 재조명했다. 포노소프의 上京省 발굴은 급박한 정치상황과 어려운 재정상황에서 하얼빈의 고고학자들이 전력을 다해서 일구어낸 최초의 발해 고고학에 대한 정식 조사사업이었다. 하지만, 그 조사이후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滿洲國의 성립으로 발해발굴은 일본의 어용조직인 東亞考古學會 측으로 넘겨졌다. 이에 동아고고학회에 의해서 포노소프를 비롯한 러시아 발굴단의 노력은 의도적으로 축소되었다. 그 이유는 바로 만주지역의 조사를 전담하여 만주를 일본의 역사에 연결시키고 滿鮮史觀을 증명하기 위함이었다. 포노소프의 조사는 상당히 정확한 유구평면도와 트렌치를 통한 유구확인, 출토 유물의 박물관 전시 등 시대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에 매우 수준 높은 연구였다. 또한, 그의 뒤를 이은 동아고고학회의 조사는 포노소프의 자료와 조사에 기반하여 이루어졌다. 포노소프의 상경성 발굴로 상경성은 발해 고고학을 대표하는 유적이 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20세기 초 중반 동아시아 고고학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발해 발굴의 시작을 만주국의 성립과 함께 이 지역에 진출한 동아고고학회의 발굴로 인식했던 과거의 인식은 시정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아울러, 포노소프를 비롯하여 20세기 전반기에 하얼빈을 중심으로 활동한 러시아 고고학자들은 흑룡강 지역의 고고학적 문화편년체계를 세움은 물론, 이후 신중국의 만주지역 고고학연구에 공헌했음이 분명하다. 향후 발해고고학은 물론, 중국 동북지역의 고고학사 연구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In this study, author reexamines Ponosov’s archaeological expedition on Shangjingcheng(or Dongjingcheng), the capital of Bohai State at Ning’an, Heilongjiang in September 1931 y.. His excavation is a part of achievements, made by Russian archaeologists and Association for Studies of Manchu Province(ОИМК) in the first part of 20 century. His excavation was carried out to reconstruct the medieval history of Manchuria, following up Tolmachev’s excavation on fortress of Dynasty Jin(Baicheng). His excavation was intended to accomplish a preliminary survey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capital of Bohai. To make it clear the plan of Shangjincheng and detail architectures, his team dig up 7 trenches on various points of Inner Palace. Short after his excavation, Japan built ‘marionette’ Manchu Empire in Manchuria. Following up colonization of Manchuria, the Far Eastern Archaeological Society(Toa-Kokogagukwai), motivated by Harada Yoshito and Hamada Kosaku, advanced into Manchuguo to historically justify Japanese colonization into Manchuria. As for example. they choose Bohai site of Shangjingcheng. subsequently Ponosov’s further plan on Shangjingcheng was ignored simply. Since 1933 y, excavation on Shangjingcheng was continued by Harada Yoshito’s team. If we compare the Ponosov’ plan of inner palace with Toa archaeological team’s one, and the contents of excavation, we can easily conclude that Ponosov’s excavation definitely influenced on Toa archaeological team. In spite of his contribution, Ponosov’s excavation was thoroughly ignored by Japan, China and Soviet archaeologists with various reasons. Japanese wanted to emphasis themselves as pioneers of Manchu history, and Chinese emphasis on autonomous academic tradition on Bohai. In the other hand, Soviet russia also ignored because Harbin archaeologist belonged to white army and was tabooed to refer. Ponosov’s excavation is significant for east-asian archaeology for some reasons as below. Firstly, archaeologists in Harbin implanted archaeology to Manchuria for the first time. Most of them was educated by imperial russian archaeological school, so that they could show up most advanced archaeology into East Asia. Secondly, they showed up bohai archaeology of Manchuko was a mean tool for colonialism archaeology in Manchuria. Contrast to Toa archaeological society, Ponosov’s excavation was intended wholly for academic interests for Manchu history. Like this, we should rewrite the historiography of Bohai archaeology and reexamin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Russian archaeologist in Harbin.

      • KCI등재

        17-20세기 러시아 만주학 연구의 시작과 전개과정 -북경교회사절단을 중심으로

        강인욱 ( Kang In U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고에서는 북경교회사절단을 중심으로 만주학의 연구를 일괄하고 그 전후 러시아의 만주족 연구에 대한 학사적 검토를 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난 300여 년 간의 러시아 동방학연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하고 중요하다. 한문 중심의 중국사가 아니라 그들과 외교관계를 맺은 청나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빨리 만주어 연구에 돌입했고, 그 이해 수준도 매우 높았다. 즉, 극동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인식되는 대부분의 만주연구와 달리 러시아에서는 청나라와 국경을 접하는 첨예한 외교관계 속에서 발달되었으며, 한문의 보조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정식 외교언어로 만주어가 연구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18-20세기 초반 사이에 제정러시아의 북경교회사절단 및 그들이 양성한 학자들의 의해서 상당수의 만주는 물론 중국 전반에 관한 역사와 언어가 번역되어서 러시아 동방학의 기초를 수립했다. 이후 제정러시아의 동방학은 20세기 이후 고고, 역사 등으로 확대되어서 독특한 러시아 동방학의 전통은 물론, 구 사회주의권의 동방학 형성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와 같이 조선이 나선정벌로 대표되는 러시아의 극동 진출은 북경교회 사절단으로 이어졌고, 러시아는 물론 사회주의권의 만주학을 발달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서 북경교회 사절단의 역할은 국내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바, 본고에서는 북경교회 사절단의 주요한 업적을 소개하고, 그들이 20세기 이후 러시아의 만주학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author analyses the beginning of Manchu study in Russia from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 BCE. It is worthwhile to notice that Sino-Russian borderline conflict and diplomatic relation with dynasty Qing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anchu study in Russia. After the Albazin ostrog was stormed by Qing troops in 1685, some of Cossacks moved to China and relocated to Dongzhimen of Beijing. In spite of relocation, these Albazinian strongly withheld their own belief. Since 1713 year, Russia sent Russian Orthodox Church Missionary to Beijing to serve Albazinian. Contrast to catholic missionaries in China. Russian Missionary in Beijing didn`t engage in evangel to chinese and most of time they spent in translating manchu language to russian and occupied in researching chinese history and culture. Like this, manchu language was not regarded as a secondary, but official language for Russia. Until the Boxer Rebellion of 1898-1900, Russian Orthodox Missionary functioned as main source of manchu(=Jurchen) study in Russia. Although most of manuscript still remained unpublished, archive materials widely used during Soviet Era. Recently Larichev V.E. had been edited and published `Liaoshi(History of Liao Dynasty)`, `Jinshi(History of Jin Dynasty), `Yuanshi(History of Yuan Dynasty) and etc..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Jurchen was also motivated by this Manchu study of Russian Orthodox Church Missionary. Ducher of upper basin of Amur river and Jurchen culture of lower basin of Amur river are identified as material remains of Jurchens(=manchus).

      • KCI등재

        기원전 4~서기 1세기의 고고학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강인욱 ( In Uk Kang ) 중앙아시아학회 2010 中央아시아硏究 Vol.15 No.-

        Apparently, Xiongnu studies in recent years are awesomely increased. From 1990 to present many international cooperative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eople`s Republic of Mongolia, and Chinese scholars also autonomously investigate the Southern Xiongnu sites(mainly Inner Mongoila of China). Besides, the researches on Cis-baikal area are relatively diminished compared to the period until 1980s, when the Cis-baikal was one of most distinctive areas for Xiongnu studies. Although man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Xiongnu archaeology, the connection between Xiongnu and East Asia have been poorly researched for reasons as below. 1) historical researches are mainly based on the Chinese historical records, written actually on the diplomatic and martial actions with Xiongnu in the background of Chinese determinism. 2) most of Xiongnu excavations are concentrated on Mongol and Cis-Baikal, actually these regions belonged to Northern Xiongnu. In contrast, Southern Xiongnu are poorly researched and definition of Northern vague because of strong influence of Chinese mortuary tradition. 3) In relation with spacial inclination, most of Xiongnu tombs are dated from middle of 1st century B.C. to 1st century A.D. It means that the materials. accumulated up to now are just concerned after the spilt of Northern and Southern Xiongnu. These reasons also concern to the matter why the relation between Xiongnu and East Asia have been poorly researched.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Xiongnu archaeology, author suggest to actively include 4th~3th B.C., of Chinese Northern region included in Ordos Bronzes in Xiongnu archaeology. Since the Ordos bronzes could be used as the evidence of Eurasian nomad`s influence to ancient Chinese culture, the research on the Ordos Bronzes became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nd in Chinese archaeology. Interests on the Ordos bronzes by Western and Japanese researchers did not involve serious archaeological analysis. That`s the reason why Northern Chinese zone so poorly contributed to Xiongnu archaeology. Generally, according to Chinese chronicles about Xiongnu, they formed a prominent complex society on the borderline of Northern China in 4-3th B.C. In 4-3th century B.C., in spite of absence of big barrows or fortresses, Ordos plateau, Southern Siberia(Altai region) and Western Turkestan has strong similarities in gold prestige goods as crown, diadem, and monstrous animal style ornaments. We can assume that if we include Northern Chinese regions in 4-3th B.C. centuries, then we could manage to discuss the whole cultural change of Xiongnu. Furthermore, this conception of `widened` Xiongnu area could shed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Xiongnu and East Asia. Most of researchers on the Xiongnu archaeology concentrate on the barrows in Mongolia dated from 1th B.C., but Kochosun(Old Chosun). which was believed to have close relation with Xiongnu, were collapsed by Han Dynasty in 108 B.C., until the flourish of nowaday well-known Xiongnu tombs. So, in this article, author suggest to expand Xiongnu chronological range until 4th century B.C., and spacial range to Ordos plateau and neighboured steppe region of North China. In this case, we can trace the relationship between Xiongnu, dynasty Yan, and Kochosun(or lute-shaped dagger culture of Manchuria). Xinzhuangtu tomb No.30 in Yanxiatu revealed many steppe style gold plaque and gold gilt daggers with Korean style spear of halberd type Ge. Like this, new perspective on Xiongnu studies could be founded if we give more contributions on Xiongnu and East Asian relations. After the power of Xiongnu dissolved in 1st century A.D., previously subordinated peoples as Xianbi, Wuhuan, Wusun rose in the Eurasia steppes and opened medieval age in Eurasia. As long as "Northern type" materials found in Korea are dated to Xiongnu age or slightly later, we need to give more attention to contemporary studies on Xiongnu.

      • KCI등재후보

        완주 상림리 유적으로 본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교류와 전개 - 동주식검(東周式劍)의 매납과 청동기 장인의 이주를 중심으로

        강인욱 ( In Uk Kang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4 No.-

        상림리 유적은 동아시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중국 동주식검이 대량으로 매납된 유적으로 동검을 통한 세 형동검 시기 동북아 일대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하지만 그 의의에 대해서는 `도씨검`이라는 애매한 명칭의 사용과 함께 원론적인 논의만 진행되었을 뿐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원전 1천년기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확산과 소멸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상림리 유적을 재해석하였다. 먼저 상림리 동검의 관찰결과 실용적인 의미 는 거의 없는 의례용이며 주조 직후 곧바로 매납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아시아 일대 청동장인 관련 유적과 마 찬가지로 청동기 장인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 보았다. 상림리 매납유구는 중국(아마 산동지역)에서 장인이 한반도 서남지역을 이동해서 지역사회에 동화되었고, 청동검의 주조와 관련한 의례를 하고 남긴 결과이다. 이러한 청동기 매납현상은 기원전 1천년기에 동아시아 일대에서 널리 보이는 것으로 장인들은 자신만의 제작기법에 대한 노하우를 유지하며 제사와 매납행위를 통하여 자신들의 청동기 주조를 신성시하고 사회적인 위치한 것에 따른 결과이다. 상림리의 주 연대는 전국시대 동검의 수요가 급감한 이후이며 평양 석암리 출토의 동주식검보다 이른 시대이기 때문에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초반으로 편년된다. 이 시기에 중국 동주식 동검의 장인이 한반도로 이주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 내부의 전국시대 말기에서 진대에 이르면서 중국 내에서 동검의 수요가 급감하고 철검으로 대체되는 때와 일치한다. 또한, 동검 장인들의 사회 변동에 따른 이주행태는 오월지역의 동검 장인에 대한 역사기록을 통하여 유추하였다. 또한,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는 점은 전통적으로 황해를 둘러싸고 한국과 중국 의 교류가 빈번했기 때문에 중원식 동검이 유입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bronze daggers discovered from Sangrim-ri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the contexts of ancient bronze metallurgy and development of bronze culture across northeast Asia during the first millenium BC. Most importantly, the author notes that the Sangrim-ri daggers bear no evidence of practical uses. These artifacts were presumably manufactured for rituals and interred immediately after they were made. This suggests the presence of bronze craftsmen near Sangrim-ri in Wanju. The period of the late 4th to the early 3rd century BC is the time when the demand for bronze daggers decreased in China. The manufacturers of the Sangrim-ri daggers presumably migrated from China around this time period. The so-called Chinese style daggers are rarely found in Korea and the current findings are distributed only in the southwestern region, while the nomad style bronze goods were much more popular across the southeastern region. The rather restricted distribution of the Chinese style daggers reflects the reduced demand for these items, which was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ry and the influx of diverse prestige goods such as Chinese swords, bronze mirrors, lacquer wares, and garments. The presence of diverse items that could be used as prestige goods possibly led to a reduced demand for bronze daggers.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북한 고조선 연구의 기원과 성립 :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 와 조중고고발굴대 -顧힐剛(고힐강)의 자료를 중심으로-

        강인욱 ( In Uk Kang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5 No.-

        한국학계에서 리지린은 1980년대 촉발된 고조선의 영역문제로 회자되었지만, 사실 그의연구는 북한은 물론 러시아의 연구가 유.엠.부찐에게도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바, 사회주의권을 대표하는 고조선의 연구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영역과 관련된 소모적인 논쟁에만 그의 연구가 인용될 뿐, 그의 연구가 태동하게 된 배경 및 중국과 북한의 연구에서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가 되지 못했다. 본 고에서는 리지린의 의의는 단순하게 영역 논쟁으로 그칠 수 없으며, 1960년대에 지속되었던 북한 학계의 첨예한 학문적 갈등 속에서 만들어지고 등장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했다. 필자가 본 고에서 밝혀낸 바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로 고힐강의 일기와 북한의 자료들을 대조한 결과 리지린의 연구와 고조선의 강역을 둘러싼 논의가 사실상 이미 1950년대 말부터 북한 학계 내부적으로 치밀하게 준비되었다는 점을 밝혀냈다. ‘고조선에 관한 과학토론회’는 사실상 이러한 북한학계가 재편된 것을 공표하는 것에 불과했다. 두 번째로는 리지린의방중목적은 이미 상당부분 완성된 고조선 연구를 고힐강 지도하의 박사학위를 통해서 공인받으려는 했다고 보인다. 고힐강의 지도는 형식적인 측면이 강했지만, 리지린의 연구에는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계심을 표했다. 이와 같이 리지린의 유학은 북한-중국간의 역사갈등의 단초가 되는 역작용도 초래했다. 세 번째로 리지린이 북경유학을 한 또 다른 목적은 이후조직된 조중고고발굴대를 위한 준비에 있었다. 리지린의 박사학위논문 목차를 이후 출판된 고조선연구 와 대조한 결과, 고조선연구 에는 박사학위논문과 비교해서 고조선 영역 내의 고고학적 자료에 대한 보완이 대폭되었음을 확인했다. 리지린이 박사학위논문 작성 이후 조중고고발굴대를 인솔해서 중국을 다시 방문할 것을 대비하여 북경 체재기간에 중국 동북지역의 고고학적 자료 집성에 힘을 기울였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리지린의 모습은 중국문헌을 통해 고조선의 영역을 증명하려는 문헌사학자의 모습만 부각되었다. 하지만, 실제 리지린은 자신의 설은 궁극적으로 고고학적 자료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이에는 한반도 자체의 고고학자료로 당시 헤게모니를 장악하였던 도유호를 견제하려는 의도도 포함 되었던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In this study author reexamine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Lee Ji-Rin’s study on Old Joseon based on newly published Ku Jiekang’s diary data. According to Ku Jiekang’s writing, Lee Ji-rin studied in Beijing University from 1958~1961 y. by Ku Jiekang’s instruction. In spite of short period, Li Ji-Rin started to submit his dissertation orderly since Jan. 1961 y. It means that Li Ji-rin already prepared his work before staying in China, and the defence in China was a mere better than a symbolic ceremony. Author argues that the reason for Li Ji-Rin’s defense in China resul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around the location of Old Joseon. So far, it is believed that Liaoning theory of location of Old Joseon was confirmed in 1963 y, after colossal discussion on the Old Joseon. But, if referred Lee Ji-Rin’s studying and acting in China started since 1958 y., we can conclude that the controversy over Old Joseon started from middle of 1950’s years, and the public discussion in 1963 was nothing but symbolic gesture to purge Do, Yoo-Ho. In this context, we can also figure out how the Koren-Chinese joint excavation of Old Joseon sites in 1963~1965 years started. After the discussion on Old Joseon, Lee, Ji-Rin organised joint excavation to prove his theory, but in the other hand, it arises serious conflict with China. So far, historian in South Korea just valued Lee, Ji-Rin just for supported of Liaoning location theory of Old Joseon. But, in this study author argues that his appearance cause not from mere academic discussion, but from inner conflict of North Korean Acad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