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와 민주주의

        강윤재 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학 Vol.21 No.3

        This essay aims to establish the role of democracy in governance of smart city in Korea. Especially, we try to find out the new way which democracy can be treated as a productive device or intermediary, not as a preventive medicine against the surveillance societ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First, we summarize background knowledge and literature review on smart city and governance of smart city. Second, it looks at the role of democracy in governance of smart cit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governance of smart city in Korea, we try to analyze some materials. And two cases of digital platform for citizen participation, each of foreign and domestic, is analyzed to examine the role of democracy. Wrapped up, we try to discuss two issu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city and surveillance society, and ways to form a produ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governance of smart city. 이 글은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 특히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에서 민주주의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시대에 민주주의를 감시사회의 예방책으로 박제화하여 다루려는 시도에서 벗어나 생산성을 담보하는 장치이자 매개물로 재정립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에 대한 배경지식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에서 민주주의의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서, 민주주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국내외 디지털 시민참여 플랫폼의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와 감시사회의 문제, 그리고 민주주의와 스마트시티의 공동생산 및 생산적 관계 형성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

        Light and Shadow of Technological Fix in the COVID-19 Pandemic: Centered on “Itaewon Corona Crisis”

        강윤재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21 에피스테메 Vol.- No.26

        May 2020 marked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Itaewon Corona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ies pursued a quick and drastic response, and “the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became the center of COVID-19 crisis governance in Korea. This has led to a debate over whether to prioritize community safety or privacy and human rights protection. This essay focuses on not only the social expansion of the surveillance system, but also the need to explore how dependent Korean society is on a ‘technological fix’ and what we gain and lose from it. Through the case of the “Itaewon Corona Crisis”, we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citizens easily accept surveillance technology in crisis and why surveillance systems are rapidly spreading in society. As for the former, concepts such as technological fix and risk perception are analyzed, and as for the latter, the role and performance of “the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s a surveillance system are highlighted.

      • KCI등재

        지역에 기반한 과학문화 정책의 재설계 방안 연구

        강윤재,김규태,이종임 한국과학기술학회 2022 과학기술학연구 Vol.22 No.2

        This article aim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scientific culture activities and policies and seek solutions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method of redesigning locally-based scientific culture policy. We try to analyze the material sourced from FGI and interviews with scientific culture activists and project managers, conducted in “A Research Paper on the Redesigning & Strategies for City of Sciences and Cultures” supported by KOFCA. The scientific culture “activity-policy space” is proposed as an interface between science culture activities and science culture policy, and the terrain of discourse in this space is explored. For this purpose, four discourse axes are presented: central vs local, scientific universality vs local specificity, experts vs citizens, and fun science vs problem-solving science. From that, four results by analysis are derived. 1) criticism on the centralized nature of scientific culture policy/ emphasis on the need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cal, 2) emphasis on local specificity/utilizing loc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ources, 3) the gap of status between scientific culture and scientific research/anticipation of opposing roles for experts and ordinary citizens, 4) emphasis on efforts to incorporate science into daily life problem-solving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activity patterns such as PaSTA.

      • KCI등재

        불확실성 시대의 기술영향평가, 새로운 모색

        강윤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이 글은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위험사회, 인류세, 대전환시대 등으로 표현되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TA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해 새로운 역할과 과제를 이론적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주로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먼저, TA의 개요 및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TA에서 불확실성의 문제가 던져주고 있는 파장을 위험평가의 연구에 비춰 검토하고 있다. 시민참여를 통한 TA의 개선책은 한계가 있으며, 불확실성의 정치는 그런 한계를 잘 보여준다는 점을 살펴보고, 이런 개념적 논의를 바탕으로 불확실성에 기초한 새로운 TA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깔롱의 시민참여와 관련된 세 가지 모형을 준거로 삼아 TA에서 시민과학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한다. 그 결과, 시민의 주도성 보장과 전문가-시민 협업의 활성화를 통해 TA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는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new roles and tasks of technological assessment (TA) in an uncertain era at the theoretical level.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TA in Korea is summed up, and its problems are derived. In addition, as in risk assessment, we can be realized that, if we want to deal with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 TA,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 politics of expertise or the politics of uncertainty operate, as well as the concept and contents of uncertainty deeper. Also, it is revealed that the input of citizen engagement approach to TA process cannot work well as we expect to it, and the politics of uncertainty shows the reason why that is so. Based on this conceptual discussion, we try to explore the new way of TA. By taking Callon’ three models, which constructed mainly on the degree of citizen engagement, as a reference, we try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citizen science (or PaSTA) in TA as a trigger for an alternative TA. As a result, we can find out that new possibilities of TA can be opened by ensuring citizens’ initiative and activating expert-citizen collaboration. Further research based on case studies remains a future task.

      • 코로나-19 사태에서 기술적 해결의 명과 암 : “이태원 코로나 사태”를 중심으로

        강윤재 한국과학기술학회 2021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2019년 5월, 서울 이태원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코로나 확산이 일어났는데, 제2차 코로나 파동으로 알려져 있다. 이 파동에서도 신천지 교회처럼 낙인효과가 일어났는데, 이태원의 클럽과 바가 코로나 확산의 진원지로 알려지면서 성소수자 혐오로 불똥이 튀었다. 현상적으로 공동체의 안전 vs 프라이버시 침해를 둘러싼 논란이 일었고, 확진자 추적시스템을 통한 감염병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아웃팅(Outing) 피해가 대립되었다. 특히, 확진자 동선파악시스템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 소위 “K-방역”의 핵심으로 손꼽히지만 민주주의와 감시사회의 도래라는 근본적 긴장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확진자 동선파악시스템을 백신과 함께 코로나-19 사태에서 기술적 해결(technological fix)의 대표적 장치로 보고자 하며, 휴즈(T. Hughes)의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s)이나 라투르(B. Latour)와 칼롱(M. Callon)의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의 핵심내용을 포괄하는 사회기술 아상블라주(socio-technical assemblage)의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주장의 핵심은 확진자 추적시스템은 일시적인 기술적 해결책으로 설정되었지만 사회-기술 아상블라주의 근본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감시사회의 도래라는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정부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3>를 바탕으로

        강윤재,정서화,조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1

        In the coming of technoscience society, the term of risk is mainly meant to be technological risk, that is to say, most risk issues are caused mainly by technologies or technological infrastructures. In the risk governance studies,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risk has been growing rapidly. If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in full length, we can take a good position to prepare for good risk governance. Firstly, we review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and build up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rust and risk perception, and present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Second, we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through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we try to look at the changing pattern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based on the six science-related risk issues. Finally, we expla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과학기술사회의 도래와 함께 위험의 성격도 크게 변했는데, 기술 위험이라는 용어는 그런 변화를 담아내고 있다. 거버넌스 연구에서도 기술 위험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 위험거버넌스 방안 마련에서 중요한 지점이다. 이 글에서는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섯 가지 기술 위험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정부신뢰의 수준에 따라 개별 이슈들의 위험인식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향적으로 정부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인식의 변화폭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위험 이슈에 따른 위험거버넌스 전략의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글은 먼저,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개념적 틀을 도출하고, 이러한 이론틀에 기초하여 이 논문의 연구 질문과 가설을 제시한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여섯 가지 위험 이슈들을 대상으로 정부신뢰의변화에 따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이 던져주는 의미를해석하고, 그로부터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