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강화쑥의 온실 주년 재배 특성 분석 및 환경 처리를 통한 유파틸린 성분 증대

        강우현(Woo Hyun Kang),한지수(Zeesoo Han),이승준(Seung Jun Lee),신종화(Jong Hwa Shin),안태인(Tae In Ahn),이주영(Joo Young Lee),강석우(Suk Woo Kang),정상훈(Sang Hoon Jung),손정익(Jung Eek S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1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다. 광합성은 상대적으로 고광도인 1,200μmol·m<SUP>-2</SUP>·s<SUP>-1</SUP>에서도 포화되지 않았다.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종류의 스트레스와 1종류의 eliciter를 처리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수확 전 5, 6, 7, 8 일간 관수을 중단하였고, 염류 스트레스는 수확 3일전 양액에 염화나트륨 추가하여 2, 4, 6, 8dS·m<SUP>-1</SUP> 농도로 하였고,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수확 3일전 12.5, 25, 50, 100μM 농도로 엽면 시비하였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구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경우와 메틸자스모네이트를 25μM 엽면 시비한 경우 유파틸린 함량이 증가하였다. 염류 스트레스 처리구에서는 유파틸린 함량증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처리를 통해 유용 성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의약 원료로써 강화쑥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Mugwort (Artemisia princeps) is a medicinal plant that has a substance called euphatilin, which is effective for cell damage and gastritis recove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nual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princeps in greenhouse and to increase the eupatiline content by environmental stresses.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of the plants were compared after 6 weeks of seedling and subsequent 8 weeks of greenhouse cultivation. Photosynthesis of mugwort plants did not saturate even at a relatively high light intensity of 1,200μmol m<SUP>-2</SUP>·s<SUP>-1</SUP>. Growth rate of the plants reached its highest at two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began to decrease since 8 weeks after transplanting. The plants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as they were sensitive to seasonal changes. In particular, the plants showed high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in spring and summer as vegetative growth periods, but flowering and wintering caused considerable decreases in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in fall and winter. Therefore, application of night interrup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cultivationof the plant. Two stresses and a elicitor were treated: drought stresses by stopping irrigation at 5, 6, 7, and 8 days before harvest; salt stresses with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s of 2, 4, 6, 8, and 10 dS·m-1 by adding sodium chloride at 3 days before harvest; and foliar applications of methyl jasmonates of 12.5, 25, 50, and 100μM at 3 days before harvest. Significant increase in eupatilin content was observed at drought stresses of 7- and 8-days of irrigation stop and foliar application of 25μM methyl jasmonate, while no significant increase observed at salt stresses.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treatments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Artemisia princeps as a phamaceutical raw material.

      • KCI등재

        LED 식물공장에서 산란 유리 이용에 의한 상추(Lactuca Sativa L.)의 군락 광분포, 광합성 및 생장 향상

        강우현(Woo Hyun Kang),장범(Fan Zhang),이준우(June Woo Lee),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1

        인공광 식물공장은 조명에 많은 전력이 소요되므로 광이용효율의 향상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의 LED 광원에 산란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광이용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Haze factor 40%와 80%의 산란 유리가 적용된 두 가지 처리구와 산란 유리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를 두었다. 3-D 광선추적기법을 이용하여 상추 작물의 군락 광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군락 광합성률은 밀폐 아크릴 챔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처리구 별로 16주의 상추를 수경재배 방식으로 28일간 재배하여 생장량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작물의 상단부에 광량이 집중되었고 대조구에서 작물 상부에 광량 핫스팟이 발생하며 처리구에 비하여 광이용효율이 감소하였다. 총 광 흡수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효 광 흡수량은 처리구에서 더 높았고 산란광의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작물의 군락 광합성률과 생장량은 산란 유리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란 유리의 이용을 통해 상추의 군락 내 광분포가 개선되었고 군락 광합성률 및 생장량이 증가하여 식물공장의 광이용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s require a larg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for lighting; therefore, enhancement of light use efficiency will decrease the cost of plant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light use efficiency by using filters to diffuse the light from LED sources in plant factory conditions. The two treatments used diffuse glasses with haze factors of 40% and 80%, and a control without the filter. For each treatment, canopy light distribution was evaluated by a 3-D ray tracing method and canopy photosynthesis was measured with a sealed acrylic chamber. Sixteen lettuces for each treatment were cultivated hydroponically in a plant factory for 28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ir growth was compare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light absorption wa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ttuce canopy in treatments and control. The control showed particularly poor canopy light distribution with hotspots of light intensity; thus the light use efficiency decreased compared to the treatments. Total light absorp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however, the amount of effective light absorption was higher in treatments than the control, and was highest in treatment using filters with a haze factor of 80%. Canopy photosynthesis and plant grow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diffuse glass filters enhanced the canopy light distribution,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the plants under LED lighting, resulting in enhanced the light use efficiency in plant factory conditions.

      • KCI등재

        일괄보상협정과 국제법상 강행규범의 관계

        강우현(Woo-hyun KA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국가들 간의 양자적, 상호주의적 법률관계의 집합으로 관념되어 오던 국제법은,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보호를 위한 강행규범(peremptory norms of international law; jus cogens) 개념의 발전으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이하 VCLT) 제53조에 따라 그와 배치되는 내용의 법규범을 무효화시킬 힘을 갖게 된 강행규범 개념이 국제법에 본격적으로 소개되게 되었고, 국제공동체 내에서 강행규범의 취지를 보다 확실히 실현하기 위한 목적론적 해석의 경향이 학계 내에 자리잡게 되었다. 상기 국가 위주의 국제법질서에서 외교적 보호는 국가의 간접손해, 즉 국가의 구성원인 개인의 손해에 대한 국가 고유의 권리로 관념되어 왔고, 이와 같은 맥락에서 피해국의 국적국은 이른바 ‘일괄보상협정(lump-sum agreements)’를 통해 자국의 국민이 타국에 대하여 입은 손해배상청구권을 자신의 임의대로 변제받고 소멸시킬 수 있었다. 국제인권법의 도입으로 개인 국제법에 따라 인권을 보장받는 주체일 수 있음이 확인되면서 국가가 개인의 청구권을 임의로 소멸시킬 수 있다는 관념 역시 도전의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강행규범이 보호하는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으로 관념하는 관점에서 보면, 일괄보상협정의 실정성과는 별개로 이것이 개인의 인권을 지나치게 침해함으로써 결국 강행규범을 위반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은 충분히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제법상 강행규범의 법적 성격, 형성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해 학계 그리고 실무계에 치열한 논쟁이 존재하고 있는 점, 강행규범으로 흔히 지적되는 의무들이 1차규칙과 관련된 의무인 반면 이로 인해 초래되는 손해배상의무는 2차규칙상의 의무라는 점에서 양자가 차원을 달리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강행규범과 일괄보상협정의 관계를 고찰함에 있어서는 조금 더 정교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그 전제로서 강행규범이 형성되는 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한 일반론을 보다 정교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한 검토를 전제로 하여 일괄보상협정과 국제법상 강행규범과의 관계를 다각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강행규범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보장하는 규범 그 자체가 국제법상 강행규범을 구성하는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강행규범을 보호가치를 중심으로 관념한다면, 강행규범 위반으로 인해 가치가 훼손되었을 때 야기되는 손해를 전보할 의무 역시 그 강행규범이 요청하는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논리도 전개해볼 수 있다. 반면 강행규범을 그 효과를 중심으로 관념하는 견해에 의한다면, 손해배상에 관한 국제법규들에 (실체적 금지규범과는 별도로) 이탈불가능성이라는 특성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별도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강행규범 위반으로부터 야기되는 국가책임에 관한 2차규칙들, 내지는 강행규범의 내용을 이루는 여타 국제인권법 규범으로부터 일괄보상협정의 내용을 통제할 방법은 없는지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인권의 본질을 침해하지 아니할 의무, 그리고 국가의 기본적인 인권보호의무로부터 일정한 통제규범을 도출하려 시도할 것이다. The traditional bilateralist conception of international law is indeed showing signs of chang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alled “peremptory norms of international law”, a set of non-derogable norms designed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the traditional bilateralist world, diplomatic protection was thought of as a unique right of states on the basis of the damages of its constituents, and governments were able to dispose of rights of individuals to compensation through so-called lump-sum agreements. With the advent of individual rights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its emergence a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so-called “fundmental val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me argue that these lump-sum agreements, state-centric in nature, are indeed violations of jus cogens norms guaranteeing basic human rights. However, a more subtl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us cogens norms and lump-sum agreements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variety of opinions that exist on the legal nature of international peremptory norms and its effects,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norms. This paper aims to 1)undertake a thorough examination of how jus cogens norms are formed and what its effects might be, and 2)and embark on a mult-faceted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us cogens norms and lump-sum settlement agreement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 to reparation by victims of jus cogens violations are themselves jus cogens will be addressed, as well as the question of whether even if these rights are not per se jus cogens, the way governments limit them through lump-sum agreements may sometimes be violations of jus cogens.

      • KCI등재

        우주자원의 탐사·채취·이용에 대한 국제법적 규율 관련 주요 국제법적 쟁점과 관련 논의 동향

        강우현(Woo-hyun KA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21 서울국제법연구 Vol.28 No.2

        지구상의 자원의 고갈 그리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우주에 있는 자원을 활용해보고자 하는 구상이 최근에 대두되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서는 대규모 자원채취를 경제성 있게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추후 기술 발전에 따라 이는 또 하나의 경제적 게임체인저(game-changer)로 대두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우주자원의 탐사, 채취, 이용을 국제법적으로 규율할 필요성은 미국이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Commercial Launch Competitiveness Act)’을 제정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동법의 제4편인 ‘우주자원의 탐사 및 이용’편(Space Resource Exploration and Utilization)에서, “이 절에 따라 소행성자원 또는 우주자원의 상업적 채굴을 한미합중국 국민은 취득한 모든 소행성자원 또는 우주자원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그러한 권리는 미합중국의 국제적 의무를 포함하여 적용가능한 법에 따라 획득한 소행성 자원 또는 우주자원을 소유, 운송, 사용 및 판매할 권리를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이는 우주자원의 전유금지원칙을 규정한 기존의 외기권조약(Outer Space Treaty)에 부합하는지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가능하다고 했을 때 어떠한 국제법적 규율의 틀이 적용되고 있고 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근본적인 외교적, 규범적 질문을 던지는 주제이다. 본고에서는 우주자원의 탐사, 채취, 이용 등은 그 자체로는 외기권조약상 전유금지원칙 등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활동은 외기권조약 제IX조상 타국의 상응하는 이익을 고려할 의무 등 외기권조약상 제반 의무의 제약을 받게 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원칙(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와 연계지어 이를 해석해보면 국가들은 상기 우주자원 관련 활동의 장기지속성을 도모하기 위해 일반적인 주의의무를 부담함을 논증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UN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UNCOPUOS)를 비롯한 관련 국제사회의 논의도 이러한 흐름에 따르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s)의 서명국이자 UNCOPUOS 회원국으로서 우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우리의 입장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depletion of resources on ear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emerging, the idea of using resources in space is emerging recently.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economically realize large-scale resource extraction with the current technology,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emerge as another economic game-changer cannot be ruled out as technology develops in the future. Amidst this backdrop,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Luxembourg and Japan, are adopting national legislation allowing private entities to engage in space-resource related activities, raising legal questions as to the compatibility of such legislation with international law, such as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on non-appropriation of outer space. This also raises difficult diplomatic and legal questions on how to regulate such activities, which leads to the question of how one should define the legal nature of outer space. This article argues that even though the exploitation, exploit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cannot be deemed as itself unlawful under existing international law, the principle of sustaianble development, read together with other obligations under the Outer Space Treaty, imposes upon States an obligation to ensure that activities under their jurisdiction are conducted in a way that ensures long-term sustainability of such activities. The relevant discussions in the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UNCOPUOS) also basically follow this logic. Korea should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when forming its position on this issue,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international for a such as the Working Group on the Potential Legal Models for the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established under the Legal Subcommittee of UNCOPUOS at its 60th Session in 202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