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감염 ; 이뇨기에 양측 엉덩허리근 출혈이 발생한 신증후성 출혈열

        강승지 ( Seung Ji Kang ),정영선 ( Young Sun Jung ),박경화 ( Kyung Hwa Park ),정숙인 ( Sook In Jung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3

        저자들은 신증후성 출혈열로 내원한 환자에서 이뇨기에 발생한 엉덩허리근 출혈을 진단하고 혈액투석 및 보존적 치료로 호전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presents clinically with the triad of fever, hemorrhage, and renal failure. The hemorrhage varies from transient petechial lesions to fulminant, massive bleeding. Most of the hemorrhagic manifestations occur from the febrile stage to the oliguric stage, and rarely in the convalescent stage.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psoas and left iliacus muscle hemorrhage occurring during the diuretic stage in a patient with HFRS. Without surgical decompression, he recovered from the iliopsoas hemorrhage with hemodialysis and supportive care. (Korean J Med 76:385-388, 2009)

      • KCI등재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ji ),이연선 ( Lee Youn-s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온라인 데이터 수집 사이트 Textom을 활용하여 유아 영어교육과 유아 영어교육의 매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아+영어’, ‘유아+영어교육’, ‘유아+영어교육+매체’를 검색하여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과정을 거쳐 상위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아 영어’와 관련된 키워드는 교육과 관련한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으며, 유아 영어의 교육적 담론에 대한 우려의 키워드도 나타났다. ‘유아 영어교육’에서는 시작에 대한 우려의 키워드와 매체와 관련된 키워드가 분석되었으며, 사회연결망 정도에서는 ‘엄마’가 ‘유아 영어교육’의 중심적인 역할임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엄마’는 유아 영어교육 담론 목소리의 주인공이자, 자녀의 영어능력을 향상 시킬 교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제시하며 강하게 목소리를 내는 사람으로 ‘유아 영어교육’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영어교육 매체’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엄마들은 영어교육에 조바심과 우려를 보이는 엄마와, 영어교육 전문가로서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엄마로 분류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의 유아 영어는 교육의 한 영역으로 고려되고 있었으며 교육과 관련하여 관심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유아 영어교육은 모성 이데올로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부분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두려움, 시작시기와 같은 키워드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유아영어교육의 한계점으로 바라보는 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조기교육과 사교육이라는 논쟁에서 벗어나 정책에서 영어교육과 관련한 깊고 실질적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based on Big Data. To do this, researchers collected online text data using ‘children + English’, ‘children + English education’, ‘children + English education + media’.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inement process and 50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into matrix data to conduct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Childhood English’ was related to education and there were concerns and disputes about educational discourse about Early-Childhood English. In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keywords such as home schooling, educational media, and beginning were analyzed. In the social network, ‘mother’ was seen as a central role of ‘Early-Childhood English’. The ‘mother’ keyword meant shar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Early-Childhood English ability and giving a strong voice to them. Finally, in the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Media’, books, programs, visual media, and radio were shown. Comprehensive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nstant discussions about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n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ji ),이조은 ( Lee Jo-eun ),정혜영 ( Jung Hye-young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들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포스트휴먼이 가져오는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연구가 등장한 2002년부터 최근 2018년 2월까지의 포스트휴먼 연구물을 분석하여, 총 2,027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포스트휴먼 키워드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서 세계를 새롭게 인식하고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도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최근에 이를수록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넘어서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대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야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다른 분야에 비교하여 교육학 분야에서는 비교적 한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에서는 인간에 대한 재정의와 함께 교육 주체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through post - human related researches and draws implications for post - human education. Therefore, we analyzed post human studies from 2002 when post human research emerged until February 2018, and collected a total of 2027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t Human Keyword has a new view of the wor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long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yearly studies, it was found that post - human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subject of human - non - human coexistence beyond the fusion of human and machin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areas in this field, it has been relatively limi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fields and has not excee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important to redefine the human be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look at and understand the subject of education in a new way.

      • KCI등재

        유아 ‘놀이’ 및 ‘학습’의 관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 Ji ),손유진 ( Shon Yoo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는 부모가 생각하는 유아의 ‘놀이’ 및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아이들의 놀이와 학습의 관계성을 모색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부모 131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놀이와 학습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에 대한 부모의 메타포 분석 결과는 인간-존재의 필수적 이유, 학습적 효과를 기대하는 도구, 무한한 다양성을 가진 요소, 끝없는 몰입을 향한 행위, 타자와 관계 맺기를 위한 행위로 분석되었다. 학습에 대한 메타포 분석결과는 꾸준히 해야 발전하는 기술, 놀이처럼 즐거운 학습, 삶을 살아가기 위한 근원 및 전략, 미래를 위해 성취해야할 의무, 성인의 욕심을 내재한 위험한 학습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이 생각하는 놀이와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유아의 놀이와 학습은 역동적이고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유아들이 구성하는 놀이와 학습의 힘과 그 속에서의 모든 관계에 대한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필요를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oundaries of children's play and learning through the parents' ideas of 'play' and 'learning'. To that end, the researchers calculated the metaphor and rationale for play and learning from 131 parents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y was described as an essential motive for human existence, a tool to expect learning effects, an element with infinite variety, an act that instigates continuous immersion and foments relationship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learning was characterized as a skill that develops with steadiness, a pleasant activity as play, sources and strategies for living, an obligation to fulfill for the future, and a dangerous endeavor involving adult greed. This study suggests the revision of curriculum emphasizing playful elements and blurring the boundaries of the play and learning of the infant.

      • KCI등재

        존재와 감각의 혁명으로 유아예술교육의 진정성 읽기

        강승지 ( Kang Seung J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전통적 학교교육을 통해 유아예술교육과 예술의 가치를 인간의 주변부로 귀속시키려는 현상에 대해 고찰하여, 우리가 예술을 감각하는 것과 감각하는 존재에 대해 둔감해지고 있는 현상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보편적 원리에 종속시키려 하지 않는 들뢰즈의 철학에 기대어 예술의 생성론적인 가치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는 지금껏 소통이라는 명목 하에 이성에 종속시키고 있는 감각과 존재의 해방이며, 진정한 유아예술교육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이다. 따라서 예술과 존재에 대한 진정한 생성을 읽어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리얼리즘 시대의 예술에 대한 탐구를 시작으로 감각의 혁명의 시대로 나아가는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금까지 인간 존재와 예술의 존재를 지각의 영역으로 보던 좁은 관점에서 벗어나 존재에 대한 자유로운 해방으로 나아가는 시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본 연구의 관점은 우리가 지금까지 관습이나 관념, 개념이 이루어낸 틀로부터 벗어나고, 보이지 않는 존재를 있는 그대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으로 연구자의 이야기와 예술 활동 사례를 들뢰즈의 예술에 대한 존재론과 감각론의 시선으로 함께 읽어내고자 하였다. 예술에 대한 생성론적인 가치는 예술적 행위를 통해 유아들이 발산하는 감각과 이를 통한 감응과의 만남이었으며, 이들이 응결되고 응축되어 나타나는 힘으로 나타났다. 또한 존재와 예술에 대한 본질이 자유로운 예술교육 공간을 통해 유아들은 또 다른 새로운 존재를 불러내기가 가능해졌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감각과 이를 표현해내는 힘들이 인간, 비인간, 물질 등이 가지는 관계 속에서 자유로운 얽힘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감각과 감응의 응결로써 그 속에서 생성이 어떻게 드러나는 가에 대해 새로이 바라보는 것이 유아예술교육의 진정성을 찾아내는 방향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henomenon that pushes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art to the periphery of humans through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henomenon in which human beings are desensitized to the sense of art and the sense of being.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 the generative value of art, leaning against Deleuze's philosophy of not subordinate to universal principles. It was the liberation of the senses and ontology that are subordinated to the opposite reason, and was aimed at revealing true childhood art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ad the true creation of art and ont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starting with an exploration of the art of the realism era and advancing to the era of revolution of the senses. Also,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and ontology as a field of perception, it looked at the gaze toward free liber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can read the ontology that is invisible and deviates from the existing framework. This study reads the narratives and examples of researchers from Deleuze's point of view. So, the generative value of art was an artistic act, a sense that children emanate, an encounter of affection, and force. A space with this force makes it possible to evoke a new ontology. This study must focus on how Senses and affection meet in a relationship where humans, non-humans, and material, and how creation is revealed in them. It was the direction to find the authenticity of early childhood arts educa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놀이터와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 Ji ),정혜영 ( Jung Hye Young ),이연선 ( Lee Youn 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놀이터와 키즈카페의 구조적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공간 인식, 공간 기능, 공간 속 놀이, 공간 속 관계라는 4개의 프레임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유치원에 재원하는 유아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키워드를 분류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공간 인식과 공간 기능에 대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놀이터에 대한 부정적 심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키즈카페에 대해서는 요금, 중독, 협소공간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두 놀이공간 모두 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위험, 위생, 안전과 관련되어 나타났다. 공간의 기능을 보면, 놀이터는 유아를 위한 공간이자 놀이공간으로 인식하는 반면, 키즈카페는 유아와 부모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공간과 휴식공간에서 놀이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에서도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키즈카페라는 놀이공간 속에서는 부모들도 자신의 휴식 욕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놀이공간을 사회현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의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놀이와 휴식의 공적 공간들이 많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s at exploring parents’ perception of play space, focusing on playgrounds and kids cafes. Parents whose children currently go to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four frames, including space recognition, space function, play in space, and relations in space, were considered as a unit of the analysis to find ou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percept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 of space recognition and space function. Parents perceived playgrounds as good images, whereas they had negative images of kids cafes, in particular, the costs, addictions, and confined spaces. They thought negatively the environments of both playgrounds and kids cafes regarding hygiene and safety. In terms of space function, they conceived playgrounds as the space for children and play, while recognizing kids cafes as the space of children and parents. This study also found the difference in the viewpoints of social space and rest space. It indicated that parents thought kids cafes as the space for themselves to relax. These findings offer implications about the reason behind why the play space is conceived as a social phenomenon and the need to create the public spaces of play and rest for children and parents.

      • KCI등재후보

        감염 ; 최근 7년간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렙토스피라병의 임상적 고찰

        강승지 ( Seung Ji Kang ),이경주 ( Kyung Ju Lee ),박경화 ( Kyung Hwa Park ),정숙인 ( Sook In Jung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4

        목적: 렙토스피라병은 가벼운 호흡기 증상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감염 질환이다.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 렙토스피라병은 호흡기 증상 및 객혈 증상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발생하는 렙토스피라병의 임상양상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최근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렙토스피라병에 관한 임상양상과 폐침범형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임상경과 및 혈청학적 검사로 렙토스피라병을 진단받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성별과 나이, 활력징후, 기저질환, 임상증상, 검사실 소견, 치료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69.1%가 직업적 활동에 의해 노출되었고, 대부분의 환자는 8월에서 10월에 분포하였다. 주요 임상 증상은 발열(88.2%), 근육통(80.9%), 두통(69.1%), 객혈(55.9%), 저혈압(51.5%), 복통(55.9%) 등이었다. 흉부 방사선검사에서는 44명(64.7%)에서 비정상 소견을 나타냈으며, 흐릿하게 경계가 불분명한 반점음영(hazy ill defined patch)이 30명(44.1%)으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폐침범형군(44명)은 비폐침범형군(24명)에 비해 호흡곤란과 객혈 및 신기능 이상과 혈소판 감소의 소견이 흔하게 보였고, 혼합형과 인공호흡기의 사용 빈도가 높아 중증의 경과를 취하였다. 결론: 렙토스피라병은 다양한 임상양상으로 나타나고, 대체로 양호한 임상경과를 보이지만, 폐침범형의 경우 비폐침범형에 비해 좀더 심각한 임상경과를 취할 가능성이 크므로 집중적 감시와 치료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Leptospirosis is a zoonotic disease of global importance. In addition, pulmonary involvement of this disease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in recent decad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leptospirosis experienced during recent years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ulmonary involvement. Methods: Patients with serologically confirmed leptospirosis who visite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1 to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finding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leptospir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a total of 68 patients, 47 (69.1%) had a history of occupational exposure. Fever (88.2%), myalgia (80.9%), headache (69.1%), hypotension (51.5%), dyspnea (44.1%), and abdominal pain (55.9%) were commonly observed. The overall case fatality rate was 5.8%.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pulmonary involvement (n=44), dyspnea, hemoptysis, renal dysfunction, and thrombocytopenia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in patients without pulmonary involvement (n=24). Mixed type presentations and the use of mechanical ventilation were more commonly observed in patients with pulmonary involvement as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pulmonary involvement. Conclusions: Leptospirosis with pulmonary involvement is common and may have severe clinical outcomes. Therefore, close monitoring and intensive care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leptospirosis and pulmonary involvement. (Korean J Med 77:453-460, 2009)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승지(Kang, Seung-ji),이연선(Lee, youn-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의 사회적 인식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아+스마트미디어’, ‘유아+미디어교육’, ‘유아+스마트미디어 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와 2차의 정제 과정을 거쳐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주요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요 키워드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아 스마트미디어와 관련한 키워드는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육과 홈스쿨링, 중독에 관한 키워드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과도한 정보 과잉으로 인한 중독에 대한 우려를 넘어서 교육의 매체로서의 스마트미디어를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 미디어교육에서는 교육, 매체, 프로그램, 안전교육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안전교육의 영향력을 통해 여러 영역의 콘텐츠 개발의 필요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에서는 미디어와 교육에 관련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에 대해서는 사회연결망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유아교실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역량과 교육의 개발에 대한 요구를 살펴볼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유아 스마트미디어와 미디어 교육은 모두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와 함께 관련 교육프로그램, 교육방법, 교육매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awareness of children’s smart media and its education based on Textom Big Data. Researchers collected about 315MB of online text data using ‘children + smart media’, ‘children + media education’, and ‘children + smart media education’ as searching term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primary and secondary refinement process and 50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 words were converted into matrix data and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art-phone was the most socially recognized smart media for young children. Keywords were ‘education’, ‘home schooling’, and ‘addiction.’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people in Korea were concerned about smart media and education, particularly smart media as a medium of education, excessive and overloaded information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bsequent addiction issues. With regards to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education’, ‘media’, ‘programs’, and ‘safety education’ were the main keywords. Finally,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smart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highly related to media and education, and the social network was the lowest for teachers. Smart media for young children and media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s and pedagogies and teachers’ competencies. This results implied teachers’ needs and the importance of competencies in the classroom as well.

      • KCI등재후보

        감염 ; 파상풍 환자의 합병증 빈도와 원내 폐렴발생의 위험인자 분석

        이성지 ( Sung Ji Lee ),강승지 ( Seung Ji Kang ),장미옥 ( Mi Ok Jang ),정숙인 ( Sook In Jung ),박경화 ( Kyung Hwa Park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1

        목적: 파상풍 환자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의 빈도와 그 중 원내 폐렴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파상풍으로 전남대학교 병원에 입원 치료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방법,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APACHE II score와 Ablett score를 이용한 중등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환자들을 원내 폐렴 발생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폐렴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42명의 환자 중 29명(69%)이 여자, 13명(31%)이 남자였으며 평균 나이는 64.3세였다. 이 중 3명의 환자만이 파상풍 기본예방접종을 시행한 상태였으며 나머지 환자들은 기본예방접종 혹은 추가접종을 전혀 시행하지 않은 상태였다. 21명의 환자는 후두 및 호흡기 근육 경직에 의한 호흡부전으로 인공 기계환기를 시행하였다. 입원치료를 받은 38명의 자율신경계 합병증으로는 심한 혈압변동(31.6%), 부정맥(26.3%), 심정지(7.9%)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가장 흔한 감염성 합병증은 폐렴(47.4%)이었으며, 다음으로 혈류감염(15.8%), 요로감염(13.2%)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자율신경계 이상(OR=32.0, 95% CI 1.9~524.2.1; p=0.005)과 중환자실 입원기간(OR=1.145, 95% CI 1.02~1.29; p=0.024)이 원내 폐렴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파상풍의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질환에 대한 교육과 예방접종이 발병률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파상풍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질환의 특성을 고려한 치료 및 합병증에 대한 주의 깊은 감시와 치료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etanus is a fatal disease and various complications affect its prognosis. In Korea, tetanus cases have been reported, but no studies, thus far, have examined its complications. We investigated the complications of tetanus and analyzed th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pneumonia, one of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tetanu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complications of 42 patients diagnosed with tetanu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9 through June 2008. The severity of tetanus was assessed using the APACHE II and Ablett scores. We compared two groups, one with nosocomial pneumonia and the other without it, and analyzed th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pneumonia. Results: Forty-two patients (13 men, 29 women) were enrolled. Only three of them had received a primary tetanus vaccination; the others had not received primary or booster vaccinations. Twenty-one patients needed mechanical ventilation. The most common infectious complication was pneumonia (47.4%), followed by blood stream (15.8%) and urinary tract (13.2%) infections. Regarding noninfectious complications, dysautonomia was also common, including fluctuating blood pressure (31.6%), arrhythmias (26.3%), and cardiac arrest (7.9%). Nosocomial pneumonia was associated with autonomic disturbance (OR=32.0, 95% CI 1.9-524.2; p=0.005) and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OR=1.145, 95% CI 1.02-1.29; p=0.024)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Careful monitoring and treatment of complications are essential in managing tetanus, along with specific therapy for tetanus itself. Education and tetanus immunization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the disease, especially in high-risk areas. (Korean J Med 77:84-90, 2009)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사진 읽기

        김지현(Kim, Ji-Hyeon),정혜영(Jung, Hye-Young),강승지(Kang, Seung-J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행위로서 사진을 새롭게 이해하기 위하여 사진의 역사적 맥락과 특성을 고찰하고, 유아교육에서 사진의 존재론적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과 필립 뒤바의 ‘사진적 행위’를 고찰하고, 사진의 다양한 관점을 토대로 유아교육에서 활용하는 사진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사진의 존재읽기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비주얼 리터러시가 요구된다. 비주얼 리터러시는 사진에 이미 내재된 존재읽기를 통해 소통의 장을 열어줌으로써, 사진의 결과만을 읽는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고 실재의 흔적을 생성하는 존재론적 확장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연구에서 사진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다변화적 관점으로 사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연구 자료로써 사진은 단순한 결과의 닮음이 아니라 사진 속 대상의 존재론적 상황을 제시하는 것으로,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임으로써 열린 텍스트로 나아갈 수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사진이 존재의 흔적을 불러일으키는 실재성을 가진다는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에서 사진을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not only the historic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but also the ontological expansion possibility of photograph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To this end, we review Roland Barthes’s ‘Ia chambre claire’ and Philippe Dubois’s ‘L’acte photographique’, and draw the implication for new possibilities for photograph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First, this study points out visual literacy that creates new meanings through reading the existence of photograph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isual literacy can overcome epistemological limitations of reading only the results of photos, and it thus can move toward an ontological expansion that creates traces of reality, by opening a field of communication through reading the presence already inherent in photos.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ers must try to read photographs from a diversified perspective to explore new research methods through photographs. Photographs as research data are not simple resemblances of the results. That is to present the ontological situation of the object in the photo. It is also to move on to an open text by accepting that it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ints of view.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the various perspectives of photograph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viewpoint of photos as the reality that evokes traces of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