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왜 그들은 ‘술방’을 보는가? : 소셜미디어 음주 1인방송 시청동기와 협찬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강승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술방(술 마시는 방송)’은 먹방의 하위분야 중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영상 콘텐츠 장르이며 이미 수십만 또는 수백만 조회 수를 올릴 만큼 인기가 많다. 술방과 같은 특정 제품이 주가 되는 영상 콘텐츠는 제품의 판매와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류 산업에서 술방을 활용한 마케팅을 적극 활용 중이다. 더욱이 주류광고 규제로 인해 광고에 자유롭지 못하던 주류 광고주들은 술방을 활용한 협찬 광고 마케팅을 늘려가고 있다. 2021년 6월 30일부터 보건복지부의「국민건강증진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술 광고 규제가 확대 시행될 예정이나, 유튜브 술방과 같은 소셜 비디오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소셜 비디오에서 주류제품 광고 마케팅이 더욱 늘어날 것이 전망되는 가운데, 규제 부재로 인한 음주 조장, 뒷광고로 인한 진정성 논란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술방의 사회적 영향력과 마케팅 함의를 고려할 때 술방 기초연구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술방 시청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술방 시청동기를 탐색하고, 술방 시청동기, 술방 콘텐츠 태도, 술방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 콘텐츠 진정성 변인이 술방 광고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1에서는 심층 면접 및 설문조사를 거쳐 술방 시청동기를 탐색했다. 연구결과, ‘정보탐색’,‘음주 생동감’,‘시간때우기’,‘사회적 상호작용’,‘대리만족’,‘재미’ 등 6개 요인으로 분류됐다. 연구2에서는 술방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술방 시청동기, 술방 콘텐츠 태도, 술방 광고에 대한 태도, 술방 광고제품 구매 의도, 광고 콘텐츠 진정성의 구조 모형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연구1에서 확인된 술방 시청동기 6개 요인 중 시간때우기, 대리만족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술방 시청동기(정보탐색, 음주 생동감, 사회적 상호작용, 재미)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방 콘텐츠 태도는 술방 광고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술방 광고제품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방 광고에 대한 태도는 술방 광고제품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술방 광고에 대한 태도는 술방 콘텐츠 태도와 술방 광고제품 구매 의도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고 콘텐츠 진정성에 따른 구조 모형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광고 콘텐츠 진정성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은 정보탐색 술방 시청동기, 음주 생동감 시청동기, 재미 술방 시청동기가 각각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소셜 비디오를 활용한 광고학 및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에 학술적 통찰을 제공할 뿐 아니라 소셜 비디오를 활용한 주류제품 마케팅 및 관련 정책 방향 설정에 있어서 실무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Sulbang(drinking broadcasting)', which is considered a subfield of Mukbang, is a new video content genre that is popular enough to raise hundreds of thousands or millions of views. In the sense that video content featuring specific products directly links to product sales, the alcoholic beverage industry actively carry out marketing strategies using Sulbang. Moreover, alcohol advertisers, who were not free from alcohol advertising regulations, are increasing sponsorship advertising marketing using Sulbang. From June 30, 2021,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Enforcement Decree and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regulations on alcohol advertising will be expanded. Still, social videos such as Sulbang YouTube are excluded from the regulation. While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of alcoholic beverages on social videos will increase, concerns arise, such as the lack of regulation and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advertising behind the scenes. Considering the social impact and marketing implications of Sulbang, primary research and discussion on Sulbang are urgent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Sulbang watching motivat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lbang watching motivations, Sulbang content attitudes, attitudes toward Sulbang advertisements, authentic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nd purchase intention of Sulbang advertisement products.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ulbang watching motivation in Study 1 and research of Sulbang watching effect in Study 2. In Study 1, Sulbang watching motivations were explo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The findings identified six factor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time-passing, social interaction, vicarious satisfaction, and entertainment. In Study 2, to analyze the advertising effects of Sulbang, the structural model (Sulbang watching motivations, Sulbang content attitudes, attitudes toward Sulbang advertisements, purchase intentions of Sulbang advertisement products, and authentic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was verified. The result showed that four motivation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were positively affected Sulbang content attitudes. It was found that Sulbang content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Sulbang advertising and had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Sulbang advertising products. It was found that attitude toward Sulbang advertisem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f Sulbang advertisement produc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toward Sulbang advertise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lbang content attitude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Sulbang advertisement produ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uthenticity of advertising content,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advertising content authentic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on attitude toward Sulbang content, respectively. Research implications are that it 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understanding Sulbang watching motivation in an integrated way. Overall, this paper provides academic insight into advertising and communication and helps practitioners discus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marketing alcohol products.

      • 우울증 진단을 위한 정신과 상담과 상담 권고에 대한 태도 :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사회 자본의 효과

        강승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정신과 상담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태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울증 진단을 위한 정신과 상담 및 상담권고에 대한 태도에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결속형·교량형 사회자본이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20대~50대 남녀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울증상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한국판 CES-D 우울자가진단을 함께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우울증상이 있는 집단에서는 정신과 상담 태도를, 우울증상이 없는 집단에서는 정신과 상담 권고의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정신과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진 성별, 연령, 학력, 소득과 기존에 본인의 정신과 상담 경험 여부, 주변인의 정신과 상담 경험 여부, 그리고 정신과 상담에 대한 관여도를 나타내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정도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식 설문 응답을 통해서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공적자아인식과 정신과 상담과 상담권고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공적자아인식이 정신과 상담 및 상담권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을 주는 이유로 정신과 상담에 대한 한국사회의 편견과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정신과 상담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된 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정신과 상담 및 상담 권고를 할 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우울정도와 공적자아인식 간 상호작용 효과가 발생해 정신과 상담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각한 우울집단의 경우는 공적자아인식의 크기에 따른 정신과 상담 태도 차이가 없었지만, 우울정도가 경미한 경우 공적자아인식이 클수록 정신과 상담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증 진단을 조기에 검진하고 상담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울증 초기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타인의 시선에 민감할수록 병원 방문을 꺼린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우울증상이 있는 집단의 경우 정신과 상담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결속형·교량형 사회자본 중에서 결속형 사회자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결속형 자본이 건강증진행위를 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부분이다. 즉, 한 개인이 가족, 친치, 친구 등 자신과 유사한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과의 친밀도와 의존도, 신뢰도가 높을수록 정신과 상담이라는 건강증진행위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우울증상이 없는 집단의 경우 각각 결속형 사회자본에 대한 정신과 상담권고 의도와 교량형 사회자본에 대한 정신과 상담권고 의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비슷한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인 결속형 자본과 이질적인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인 교량형 사회자본에 대한 태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각각의 권고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적자아인식과 결속형·교량형 사회자본 중에서 결속형·교량형 사회자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절대적인 자본의 크기가 정신과 상담이라는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 권고할 의도에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비슷한지 이질적인지와 관계없이 해당 자본에 속한 구성원과의 친밀도, 신뢰도, 적극성의 크기가 권고의도에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과 상담’이라는 건강증진행위에서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결속형, 교량형 사회자본의 크기의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아직까지 한국 사회에서 정신과 상담에 대한 편견이 실제적으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개인이 정신과 상담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만드는 것은 가까운 주변인들, 인구사회학적으로 한 개인과 비슷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인 결속형 사회자본임을 밝혀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권고의사에 미치는 영향에는 사회자본 내의 구성원간의 친밀도, 신뢰도, 적극성의 크기가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차원에서 ‘정신과 상담’이라는 이슈가 보다 보편화되기 위해서 결속형·교량형 자본의 활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교량형 자본을 중심으로 정신과 상담을 사회적으로 공론화시키는데 활용하고, 결속형 자본을 중심으로 정신과 상담 방문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정신과 상담에 대한 문턱이 낮아져 사회경제적 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on attitude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and counseling recommendation for depression diagnosis. In this study, 349 people from age 20 to 59 in Seoul were surveyed. With the main survey, Korean CES-D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classify peopl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group of people who had depressive symptoms, the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were measured. 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recommendation were measured in the group of people who did not have depressive symptoms.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recommendation were divided into two sections; recommendation to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he present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control variables included sex, age, level of education, income, experience of psychiatric counsel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ve symptom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were significant. It showed that people with lower depressive symptoms were likely to be affected by public self-consciousness when they formed their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It meant that in the group of people with lower depressive symptoms, the more they had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less they a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group who had depressive symptoms, only the size of bonding social capital was significant on the attitude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Third, the size of bonding social capital plays a significant role when forming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recommendation to bonding social capital. Similarly, the size of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recommendation to bridging social capital.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health campaign to increase bonding social capital in order to persuade people to have a psychiatric counseling for depression diagnosis. Moreover,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to lead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psychiatric counseling.

      •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승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Baron and Kenny's analysis methods and examined meditate effect verified the effect of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on adult media immersion by mediat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estee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freshmen with experience using adult media looked at gender, parents' age, parents' final education, economic level, family composition, and computer use. It also identified the emotional behavior,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 effects of self-esteem, which are parameters for freshmen at universitie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university freshmen as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seventh year (2016)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sampl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is longitudinal survey model for understand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was graft into the final survey among the data selected by the survey participants as stratified-multilevel-sampling collection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the SPS WIN 24.0 program by means of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and adult media immersion shows that adult media immersion increases when college freshmen are emotional behavior, thi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ß=.199, t=3.920,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ir emotional behavior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exposed to adult media, therefore you can see that you are immersed in adult media. Second,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ß=-.635, t=-16.070,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is, you can see that you come down their self-esteem. When a freshman in college has shyness, inability to express his or her opinion, a lot of anxiety, a desire to die, etc, It can be explained that self-esteem is reduced by not discovering one's merits and not being able to feel valued. Third, emotional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tatic impact on smartphone dependency and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240, t=4.823,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ly on smartphones. The more college freshmen have social atrophy and depression, They can explain that without smartphones, people feel more anxious, isolated and uncomfortable. Fourth, self-esteem i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ing between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adult media immersion through simultaneous input of emotional behavior and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and that it was also statistically(ß=-.149, t=-2.272, p<0.05). And emotional behavior didn't affect adult media immersion, it was not also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emotional behavior affects adult media immersion through self-esteem. After all, college freshmen have less self-esteem as their emotional behavior is negative, but higher self-esteem reduces their desire to use adult media until late at night. Fifth, dependence on smartphones is found to be partial medtiaing in terms of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adult media immersion by applying emotional behavior and smartphone dependence at the same time, smartphone dependency i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276, t=5.440, p<0.001). And emotional behavior has a static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133, t=2.634, p<0.001). However, its influence has been shown to b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nd its dependence on smartphones has partial medtiaing widened between the two. In other words, emotional behavior increase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increases college freshmen's immersion on adult media. This increases the chances that college freshmen will be immersed in adult media as they will be exposed to pornographic material without realizing it, as they have plenty of time with smartphones all the time. In this study,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was analyzed in depth to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esteem on adult media immers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self-esteem of college freshmen in the influence of new university students on adult media immersion has been identified as a protective factor for adult media immersion, and thu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has been achieved to promot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by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ollege freshmen.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Baron & Kenny의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성인매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교 신입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부모 연령, 부모 최종학력, 경제 수준, 가족구성, 컴퓨터 사용 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립변수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과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의존도,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파악했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청소년의 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7차(2016)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 신입생들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로 선정했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의 표본은 아동․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조사 모형으로, 층화다단계집락표집 방식으로서 조사대상자를 선정한 자료 중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의 패널을 최종 조사에 접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했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높으면 성인매체 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ß=.199, t=3.920, p<.001). 즉, 대학교 신입생들은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성인매체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성인매체에 몰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ß=-.635, t=-16.070, p<.001). 즉,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자신의 자아존중감은 많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학교 신입생이 부끄러움,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함, 걱정이 많음, 죽고 싶다는 생각 등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고 느끼지 못하게 되어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정서행동은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240, t=4.823, p<.001). 즉,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확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신입생이 사회적인 위축과 우울감 성향을 갖고 있을수록 그들은 스마트폰(휴대전화)이 없으면 불안과 고립감 및 불편함을 더 많이 느끼게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 간에 있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과 자아존중감을 동시에 투입해 성인매체 몰입과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성인매체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149, t=-2.272, p<0.05). 그리고 정서행동은 성인매체 몰입에 영향이 없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ß=.104, t=1.587, p>0.05). 즉, 정서행동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성인매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대학교 신입생은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만,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늦은 밤까지 성인매체를 이용하고 싶은 생각이 감소한다. 다섯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 간에 있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과 스마트폰 의존도를 동시에 투입해 성인매체 몰입과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의존도는 성인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276, t=5.440, p<0.001). 그리고 정서행동은 성인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ß=.133, t=2.634, p<0.001). 하지만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과의 관계만 볼 때보다 그 영향력이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의존도가 둘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이다. 즉, 정서행동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높여주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대학교 신입생의 성인매체 몰입을 높여준다. 이는 대학교 신입생들이 항상 스마트폰을 지니고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음란물에 노출될 환경에 놓여 성인매체에 몰입할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학교 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이 성인매체 몰입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파악됨으로서, 대학교 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심리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려는 연구목적을 성취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 산초나무 효율적 증식과 산초유의 특성 및 최적 생산 공정 구명

        강승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Z. schinifolium, a useful traditional tree, was not intensively investigated as a guaranteed resource for income. Even though there were a demand of techniques for supplying Z. schinifolium, efficient techniques for supplying high quality varieties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In addition, scholar researches about Sancho oil were not developed enough for industrialization although this oil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raditional ways. In this study, both sexual propagation methods using seedlings and non-sexual propagation methods using grafting and cutting for mass propagation of Z. schinifolium were researched. Furthermore, efficient methods for oil extraction and storage were not only established, but also stability and features of biological activity of Sancho oil were investigated. Part I. Sexual and non-sexual propagation methods of Z. schinifolium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81.9%) at 1st year occurred after seeds were soaked with used water from washing rice for 24 hours and then soaked with 1000 ppm GA3 for 3 hours. A method of directly sowing on seed beds, which obtained 40 % more seedlings than a method of transplanting on seed beds after sowing, was efficient for obtaining high quality seedlings. On the method of directly sowing on seed beds, a method of sealing seed beds by vinyl mulching showed twice higher growth and diameter growth than a method of non-vinyl mulching at seed beds. For propagation using grafting methods, 12.5% more plants were successfully survived when 2 years old splicer were used instead of 1 year old splicer. For hardwood cutting methods, the efficiency of cuttings in room regulated with 25℃ temperature was higher than out of room. And a method using axillary buds on cuttage beds, which were sealed with vinyl, was essential for enhancing cuttage efficiency. The most efficient cutting slips were 16 cm length and 10 mm diameter of stems. The most efficient depth was 1/2 length of cutting slips - it was shown that 40 % higher rooting rates and 5 times higher survival rates were occurred in 1/2 depth than 2/3 depth. For enhancing rooting rates in the hardwood cutting method, both treatment of stress and phytohormone were effective. Physical stress treatment on lower part of cutting slips showed 46.7% higher rooting rates compared to non-treatment. The highest rooting rates was 60 %, and it occurred when 500 ppm IBA treated for 24 hours. For greenwood cutting methods, it was more efficient in room instead of out of room. Lignification were processed as much as 40 %, were treated by 1000 ppm IBA, the rooting rate was 86.7%. The efficient depth for rooting in greenwood cutting methods was 1/2 depth. When residual leaves were a quarter, the rooting rate was 83.3%. On soil bed combinations of sand (1), medium (1), perlite (1) and vermiculite (1), the rooting rate was 90 %. The most efficient growth occurred on the soil bed containing sand (1) and medium (1). On the first stage of hardening, which were on beds sealed by vinyl, 92 % of plants were survived, and 70 % of plants were survived in green house for the second stage hardening. The survival rates of hardened plants in field was 85 %, and the greenwood cutting method by sealing with vinyl was more efficient than a cutting method. Considering the efficiency for propagation based on each growth feature, the most efficient method was grafting followed by rooted cuttings and seedlings. Plant growth was high by grafting method compared with the seedlings. Part II. The characteristics of Sancho oil and the optimization for use For obtain Sancho oil from seeds, pressing method was more efficient than roasting or steaming method. The oil yield on pressing method was 409 ml/kg. The highest fatty acid contents was 534.2 g/l, which was obtained by applying roasting method. Among extraction methods using organic solvents, the most effective solvent was ethyl acetate for extracting fatty acid (515.39g) per 1 kg seeds. The highest contained volatile compound in Sancho oil was cyclododecane, and it composed 74 % of volatilities in Sancho oil which extracted by ethyl acetate. The highest contained compound in fatty acid of Sancho oil was oleic acid (30 %) followed by linoleic acid (27 %), linolenic acid (20 %) and then palmitic acid (14 %). It was considered that Sancho oil is not appropriate because acid value was dramatically increased when the oil was heated up to 100 ℃ in stability test of Sancho oil. On the test of stability on light, acid val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light intensity. Among heavy metals, Fe2+ increases on acid value, and it also was proportional to concentration of treated Fe2+.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ies of Sancho oil,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ere tested. The test of anti-microbial activity were performed on harmful food-born organisms, dermatomyces and phyto-pathogens. Among harmful food-born organisms, Sancho oil wa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s result of the test on dermatomyces, Sancho oil which has low level of acid value was efficient. On the test on phyto-pathogens,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was shown on Fusarium, and the its activities was in inversely proportional to its acid value.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was showed in Sancho oil with lower level of acid value, and it can be obtained by degummimg using phosphoric acid instead of acetic aci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ncho oil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anti-inflammatory agents even though it was increased depending on oil concentration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ncho oil was confirmed in that Sancho oil was effective to reduce nitro oxygen formation from Raw 264.7 cell line. After purification of Sancho oil by degumming and deoxidation, changes in color,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fatty acid content were investigated. When phosphoric acid and acetic acid were applied for degumming, phospho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phosphoric acid and acetic acid were 0.15 % and 0.05 %, respectively. As 10ml 2 N sodium hydroxide was applied for deoxidation, the highest efficiency was obtained. Higher intensities of purification were applied, more transparent colors were shown; however,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decreased. By applying sodium hydroxide for deoxidation,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reduced whereas only a few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 were reduced. For enhancing storage quality, adding up to 5 % canola oil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eatable oils. Treatments of tocopherol and propolis delayed acidification 15 hours later than control in 35℃ dark condition. BHT, a commercial antioxident, showed twice better effect than tocopherol and propolis. Acidification was quickly proceed in purified Sancho oil more than non-purified Sancho oil, but treating sodium hydroxide for deoxidation was not affect to acidification. By treatment of sodium bicarbonate, the acid values in Sancho oil were decreased by time dependent although reliance on concentrations were not fou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ult are able to contribute to propagation of Z. schinifolium for large scale supply and extension of utility of Sancho oil.

      • 제주도내 노인 복지·여가 시설에서의 음악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강승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의 속도는 선진국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머지않아 노인 교육, 노인 복지, 노인 여가 및 질병 등에 대하여 미리 대처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어 많은 혼란을 가져올 것이다. 사회화 과정에서 지위와 역할을 상실하고, 소득 감소로 인한 빈곤문제를 갖고 있으며, 노화에 따른 생리적, 신체적 약화로 각종 질병에 걸리며 사회적으로 무력해진 노인들은 자아상실감을 갖고, 소외와 고독을 느끼며 삶에 무기력해진다. 음악은 이러한 문제를 지닌 노인들에게 다양한 감정들을 불러일으키며, 음악을 통해 즐거움과 행복, 자아실현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선과 선행연구 논문자료를 통해 노인의 특성과 노인의 주요 문제를 다루고 제주특별자치도 노인장애인복지과의 도움을 받아 2008년 제주특별자치도의 노인 복지 정책과 노인 복지 시설, 노인 여가 시설 등의 음악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 하고,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음악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여 노인 음악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음악활동을 통하여 노인들의 신체적인 질병을 낫도록 하며, 사회적으로 음악활동을 통하여 역할을 찾고 자아 성취감을 느끼며 음악 봉사활동을 통하여 젊은이들의 모범이 되고 앞으로 닥칠 고령화 사회의 혼란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내의 노인 복지 시설, 노인 여가 시설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음악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부족, 음악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과 시설의 부족, 노인 음악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의 부족, 노인들의 음악활동 기회의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노인 음악 교육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시설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로당을 전문적인 음악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곳으로 재정비하여 예산 낭비를 줄이며, 시설의 보강으로 노인들에게 음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계획하도록 하여 노인들에게 음악의 다양성과 음악이 주는 즐거움, 음악의 필요성을 알게 하고 수준별 수업을 통해 노인들이 음악교육을 좀더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한다. 셋째, 노인 음악교육 전문 강사를 양성하여 노인들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음악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연주활동과 노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한다. 넷째, 노인들에게 음악활동의 기회를 많이 주어 노인들이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며 노인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며, 음악을 통한 사회 봉사활동을 통해 남은 생을 즐겁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모든 노인들이 음악을 즐기며 바르게 이해하고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는 계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인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짜임새 있는 음악 프로그램들을 끊임없이 연구, 개발하고 이를 위한 전문인을 많이 양성하며, 노인들이 사회에서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경제적으로 정책적으로 많은 뒷받침을 해야 한다. 보다나은 21세기 이후의 노인들의 삶을 위해 효율적인 음악 프로그램들이 많이 연구되어지길 간절히 바란다. The pace of the aging society in Korea has been rapidly faster than that of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sooner or later, elderly people's educations, welfare, leisure and diseases can cause a big social problem in Korea where any preventions are not being prepared. Senior citizens have lost their positions and duties as it is time for them to be retired from their work and as a result, they get in trouble regarding a financial matter and they are susceptible to diseases and end up being a state of a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making them feel powerless over their own life. Music could be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causing a variety of emotions for the aged and make them feel happy, pleasure and a sense of their self thorough it. In this study, old people's characteristics and main issues are being covered through the previous dissertations related to them. With the supports of the department of the aged disabled welfare in the self-governing province, this study surveyed fact-finding regarding the 2008 Jeju self-governing province's welfare policy and the music program of the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for the aged. A questionnaire research from the aged who live in Jeju Island has been carried out to draw up a better plan of effective music education. Further, with the help of the music, it can help the aged cure their physical disease, feel a sense of self and take the active role of his life. Their music activities also set a good example to young people and it can help prevent the social problems from the aging society. Currently, there are lacks of contents of musicprogram, space, facilities, music activity opportunities and special trainer in the music programs for aged which self-governing province holds. Firs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o change a malfunctioning senior citizen's recreational hall for the space of specialized in their music education which saves the budgets and help them gives a good lesson of the music for them with the better facilities. Second, with a variety of music programs, it needs to show how great the musicgives us and why we need it. Differentiated music Curriculum helps them take music education better. Third, it needs to produce a special music trainer to give the senior citizen good lessons by various their different needs which can cause their performance and lead them to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voluntarily. Fourth, through the music, more music activities and confidence, community service can be provided and help them spend in the rest of their life. The community,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groups need to realize and should be involved to study, develop the music program and raise specialists and in this role of making the aged understand the real value of the music and being a person who are not outsider of the community. There should be a big supports from them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Hopefully, there are lots of continuous studies and researches for the senior citizen to have a better life in the future.

      • 결핵전문병원 근로자의 결핵감염불안과 결핵감염예방 자기간호행위 간의 관계

        강승미 경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and self care behaviors for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among workers of a specialty hospital for tuberculosi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99 workers in the specialty hospital for tuberculosis, including doctors, nurses, medical technicians, administrative staff, and other employee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4 to January 14, 2018. The instrument wer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Gorsuch and Lushene(26),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risk situation of tuberculosis infection and self care behaviors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which were developed by researche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state anxiety was 2.10±0.48 (range 1-4). The mean of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risk situation of tuberculosis infection was 2.95±0.63 (range 1-4). 2. The mean scores of self care behavior for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was 4.14±0.51 (range 1-5). In subcategories, the mean scores of respiratory infection management was 4.57±0.56, hand washing was 4.26±0.68, environmental management was 3.23±0.75, personal health management was 3.92±0.56. 3. In term of state anxiety and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risk situation of tuberculosis infection,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uberculosis infection related characteristics. 4. The self care behaviors for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t=-2.13, p=.040), age (F=6.92, p=.002), spouse (t=-4.07, p<001), education level (F=5.25, p=.002), occupation (F=4.54, p<.001), clinical experience (F=3.98, p=.010), tuberculosis hospital clinical experience (F=5.29, p=.001), reading the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t=2.28, p=.025), compliance with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F=14.49, p<.001) and colleague’s compliance with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F=11.67, p<.001). 5. The state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risk situation of tuberculosis infection (r=.35, p<.001). The self care behaviors for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e anxiety (r=-.36, p<.001) and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risk situation of tuberculosis infection (r=-.21, p=.037). 6. Influencing factor on the self care behaviors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were gender (β=.30, p<.001), age (β=.40, p<.001), reading the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β=.24, p=.004) and compliance with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β=.41, p<.001). Those demographic and tuberculosis infection related characteristics explained about 40.6% of a self care behaviors of TB infection prevention (F=24.58, p<.001, R2=.406). In conclusion, the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was confirmed to correlated with self care behaviors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anxiety of tuberculosis infec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elf care behaviors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lf care behaviors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Tb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is recommended to be done considering gender, age, reading the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and compliance with Tb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 치매노인을 위한 간호사정도구 개발 : 장기요양시설을 중심으로

        강승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 간호제공과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서 치매노인을 사정하는데 필요한 간호사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치매는 진행적이고, 장기적인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노인들을 위한 간호사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사정도구는 치매노인이 장기요양시설에 첫 입소할 때 이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진행경과 사정도구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연구기간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과 치매 전문 요양시설 4곳에서 현재 사용 중인 사정도구의 고찰을 통해 개념적 준거틀을 형성하였고, 형성된 개념적 준거틀에 따라 초기 사정도구와 진행경과 사정도구 2가지의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예비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2차에 걸쳐 총 8인의 전문가에게 도구사용 시 문제점이나 불편한 사항, 이해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 더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수정해야 할 부분에 대해 의뢰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진행경과 사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서울시내 소재 일개 치매 전문 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0인에 대해 2인씩 쌍을 이루게 하여 입소 중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환자에 대해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도구를 이용한 간호사정을 실시하게 하여 5쌍의 결과를 통해 채점자간 신뢰도 검증 후, 최종도구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 사정도구는 일반 정보, 건강관련 정보로 나누었고, 진행경과 사정도구의 개념적 준거틀은 인지, 감각- 지각, 의사소통, 행동문제, 기분, 수면, 기동성, 자가간호, 영양, 통증, 배설, 성, 피부, 안전, 사회적 관계의 15개 영역으로 형성되었다. 2. 각 개념적 준거틀의 각 영역별 사정에 필요한 하위개념을 분류하고, 기존의 도구를 참조하여 각 항목을 위한 척도를 구성하였다. 진행경과 사정도구는 하나의 도구로 3회의 사정이 가능하게 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대상자의 상태와 간호요구 변화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3. 예비도구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1차 타당도 검증 후 어휘에 대한 수정과 초기 사정도구의 5개 항목, 진행경과 사정도구의 1개 항목이 수정, 보완되었다. 2차 타당도 검증 후 초기 사정도구의 11개 항목이 수정, 보완되었고, 진행경과 사정도구는 7개 항목이 수정, 보완되었으며 '감각- 지각'의 영역이 '감각'으로 수정되었고, '성'의 영역이 삭제되고 '행동문제'영역의 항목으로 포함되어 14개의 개념적 준거틀로 수정되었다. 4. 진행경과 사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전체 의견 일치율은 83.24%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 과정에서 나타난 실제 도구 이용시의 문제점에 대해 일부 수정하였다. 5. 초기 사정도구는 71항목, 진행경과 사정도구는 14개 영역의 105항목으로 구성된 최종도구를 확정하였다. 이로써 새로 개발된 도구는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한 도구라 할 수 있으며 치매노인의 총체적 사정에 적합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치매노인의 간호를 위한 개념적 준거틀을 제공하며 진행경과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간호요구를 일정한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적 재평가가 가능함으로써 각 영역별 개별적 간호계획의 수립, 갱신, 수정이 용이하고, 사정의 결과를 통해 간호실무의 결과를 평가하고, 수가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prehensive and holistic nursing assessment tools to be used withelderly Korean patients with dementia, in order to adv ance the efficacy of nursing car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This study focused o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order to reflect the chronic progressive nature of dementia. Two nursing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an initial one to be completed on admission and an on going one to be used for continuous reappraisal of the individual's chan ging nursing care needs. The research was done between September 1999 and April 2000.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xisting in struments including four as sessment tools which are currently being using in nursing homes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er developed two preliminary tool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ool, two panels of experts, from academia and the clinical area, evaluated the tool and suggested additions or revision of the items. To assess reliability, the ongoing as sessment tool was tested by five pairs of nurses withexperi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Each pair of nurses used the tool to independently complete an assessment of the same patient. Differences between the raters were tested for interrater reliability. After this process was completed,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tool were fina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itial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two parts : general information and health related informa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ongoing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include the following fifteen domains: cognition, sen sation/perception, communication, behavioral problem, mood, sleep, mobility, self-care, nutrition, pain, elimination, sexuality, safety, skin and social relation ships. 2. The preliminary tool as developed with the specified items in each domain coming from the conceptual framework. In the on going assessment tool, the response category was one that reflected the commonality of existing tools. The on going a ssessment tool was developed so that three assessments could be recorded together to facilitate detection of change in nursing care needs over time. 3.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1) The first expert panel revised or added five items to the intial assessment tool and one item to the on going assessment tool, 2) the second expert panel revised or added eleven items to the intial assessment tool and seven items to the on going assessment tool. In the on going assessment tool, the domain of sen sation/perception was revised to the sensation and the domain of sexuality was deleted but its item was in cluded in the behavioral problem domain. 4. On the interrater reliability test of the ongoing assessment tool, the total percent agreement for the tool was 83.24%. Revisions were made to address practical problems which appeared during the reliability test. 5. The nursing assessment tools was finalized with 71 items for the initial assessment tool and 105 items in 14 domains for the ongoing assessment tool. This study concludes that this new assessment tools is reliable and valid and is suitable for a holistic assess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This nursing assessment tools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care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facilitat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in dividualized care plans for each domain. The results of the as sessments done using the ongoing assessment tool will provide reference to nursing outcomes and to estimate nursing fees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아이스플랜트(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용매 분획물의 항당뇨 효과 및 3T3-Ll 전지방세포에 대한 분화 억제 효과

        강승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이스플랜트(Mesembryanthemum crystallinum)는 번행초과(Aizoaceae) 솔잎채송화속의 1년생 초목으로 줄기와 잎에 얼음결정과 같은 모양(bladder cell)이 있어 아이스플랜트(ice plant)라고 불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스플랜트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이스 플랜트의 무기질 함량은 K와 Na이 각각 1213.33±2.52과 545.53±12.01 mg/100g으로 다른 무기질에 비하여 많았으며, 다음으로 S, Ca, P 및 Mg의 순으로 높았다. 분획별 총 페놀은 chloroform > ethyl acetate > butanol > hexane > water 분획 순으로 각각 35.80±1.33, 23.70±0.62, 10.28±0.99, 7.69±1.52, 4.52±0.08 mgGAE/g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아미노산은 총 62.25 mg/g이었으며, 이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은 38.72%를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3.61 mg/g이었으며, L-alanine이 4.64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γ-amino butyric acid (GABA)는 2.60 mg/g을 함유하고 있었다. 아이스플랜트는 혈당강하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pinitol의 함량이 4.04±0.08 mg/g, myo-inositol 0.25±0.01 mg/g, chiro-inositol은 2.82±0.01 mg/g을 함유하고 있었다. 아이스플랜트의 용매 분획별 항산화효과는 DPPH, ABTS, FRAP assay, Lipid/MA assay 모두에서 Hexane 분획을 제외하고 분획용매의 극성이 높아질수록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각각 4.83±0.74~65.52±0.33%와 4.66±0.81~65.74±0.70%로 활성이 비교적 높았고, butanol, hexane 및 water 분획에서는 각각 2.25±0.89~21.02±3.21%, 2.20±0.00~8.47±0.43% 및 0.91±0.64~8.58±0.83%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chloroform 분획에서 26.75±1.75~83.44±0.14%로 가장 높았고,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에서는 각각 19.09±1.57~83.12±0.00%와 12.56±0.75~82.22±0.28%로 나타났다. Hexane과 water 분획의 활성은 각각 8.81±0.51~61.50±1.21%와 5.63±0.14~50.33±1.12%이었다.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에 의한 항산화활성 또한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각각 25.99±2.20~81.71±0.03%와 16.81±0.72~79.73±0.13%로 높은 활성으로 나타났고, butanol, hexane 및 water 분획에서 각각 4.80±1.39~48.46±1.14%, 1.71±0.58~26.59±0.65% 및1.37±0.66~17.76±1.08%로 나타났다. Lipid/MA (malonaldehyde) assay에 의한 항산화활성은 chloroform 분획에서 67.24±4.33%로 가장 높았고,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에서 각각 58.50±1.94와 56.12±2.28%로 비교적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hexane과 water 분획은 각각 44.48±3.07과 45.68±2.70%의 활성을 보였다. 아이스플랜트의 분획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는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여 알아보았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90.33±0.40%로 가장 높았다. Butanol, chloroform, hexane 및 water 분획은 각각 87.98±0.16%, 86.38±0.51%, 72.24±2.97% 및 54.82±4.67%를 나타내었다. α-Amylase 저해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60.34±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hloroform, butanol, hexane 및 water 분획에서 각각 50.37±0.77%, 37.95±2.52%, 37.51±1.05% 및 25.63±1.45% 순으로 나타났다. 아이스플랜트의 항고혈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용매분획물의 ACE 저해활성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와 chloroform 분획에서 각각 33.17±3.20~88.19±3.20%와 23.72±2.89~86.78±2.24%로 양성대조군인 captopril® (19.51±3.44~84.72±1.06%)과 enalapril® (24.93±1.12~91.32±3.62%)의 활성과 유사하였다. 한편 butanol, water 및 hexane 분획에서는 각각 8.86±1.20~41.21±2.49%, 3.24±1.50~36.01±1.38% 및 –2.46±0.37~31.28±2.86%로 나타났다. 항비만 효과는 아이스플랜트의 3T3-L1 지방전구세포 지방구 생성억제정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에서 53.00±0.45~65.75±0.31%와 44.16±0.29~63.32±0.36%로 지방구의 형성이 가장 적었고, chloroform과 hexane 분획에서는 38.33±0.09~56.55±0.50%과 31.17±0.50~55.10±1.93%, water 분획에서는 26.32±2.27~49.48±0.05% 감소하였다. 따라서 모든 용매분획물에서 처리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이스플랜트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 張愛玲 소설의 문학적 특징 연구 : 여성의식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강승미 淑明女子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confliction with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and May Fourth idealism, Eileen Chang’s works brought her to the attention of many Chinese critics and readers in 1943. Her fictions focused on the Chinese people and especially Chinese women’s life in Shanghai and Hong Kong, the flourishing international cities where were a ‘melting pot’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raditional and modern life, nationalities, beliefs, and the like. Although her works carefully described the real lives with their traditional relationship amongst modern Chinese people, they included the emptiness and sadness from the crossover of ambitions amongst people. Because of the focusing on the real nature of human life, her works became popular in Shanghai in 1940s and spread in Hong Kong, Taiwan, Chinese, and other countries until 2000s. These phenomenon was called as ‘Eileen Chang’s boom’. When Eileen Chang published her fictions, major narrativ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was anti-e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depicted the women’s terrible life in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country. On the contrary, Eileen Chang tried to show her personal awareness and realistic feminism in her works using the narrative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sm and narratives in Eileen Chang’s fictions.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Chapter 1, Various literary criticisms about Eileen Chang published in China, Taiwa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are ext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In Chapter 2, Eileen Chang’s bibliography is deeply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background as a strong foundation of her works. With these backgrou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sm in her works are analyzed in Chapter 3. In final chapter, her narrative style is characterized in the aspect of aesthetics, popularity, and objectivity. Although Eileen Chang admitted the difference of sexual characteristics and affirmed the female subjectivity, she directly faced the negative aspect of female nature in her works. Secondly, she broke the dichotomous thought on female image that was traditionally recognized as a holy woman vs. a fallen woman. Thirdly, she demonstrated that the status of women lost their comparability with men because the love of female character was egoistic and dependent on male character. From the experience of failing a true love with man, women showed the extremely sadistic and egoistic tendency. Eventually, she did not protect her children but revenge them for the compensation of her life. Fourth, Typical feminine image expressed in Eileen Chang’s fictions was Femme fatale. Although their characters lived in harsh living environments, they showed the strong sexuality and maintained the female individuality. As Eileen Chang emphasized the extreme discrepancy between traditional patriarchy system and modern society, her shape of Femme fatale denied the women’s obligation of mother role as a social requirement. Although ordinary women in times of crisis like a war helped their lover’s success, they turned into being normal and egoistic in a peaceful life. Thus, the shape of women repeated the tragic cycle in her works. In this aspect, Eileen Chang paid her attention to the negative tendency in female nature. She emphasized the social discrepancy in Chinese modernity by liberating the traditionally pent-up female sexuality. In the Eileen Chang’s narrative characteristics, both the uneven and randomized time contrast emphasized the real Shanghai's environments so that the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value in her works. As she considered the Shanghai people(上海人) as her major readers, the Shanghai unique style to tell the story with objectivity endowed the popularity, especially the third dimension mixed with first-person intimacy. In her later works, her narrative was changed into autobiographical. Compared with her early works, the uneven overlayer of background and the intermingle of time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her late works. In the results of switching the narrati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whole story was diverse enough to dismantle the heterosexual and parental love. In this sense, the general impression on her early works was grotesque and disorder, while the peaceful and natural narrative was prominent in her later works. 장아이링張愛玲은 현대 중국인의 고독한 삶을 반영하는 독특한 소설을 창작하였다. 장아이링의 소설은 대체로 1940년대 중/서, 고/금이 착종하는 상하이와 홍콩 등의 국제적인 대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장아이링이 그린 소설 세계에는 세계적인 현대성과 전통적인 인간관계에서 전개되는 일상생활의 물질적인 디테일이 풍성하다. 하지만 이러한 일상생활의 사소함 너머에는 여성 인물을 위주로 하는 인생의 공허와 삶의 비애가 애잔히 담겨있다. 장아이링은 소설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 사랑, 고독 등 인간의 실존 문제를 탐구하였다. 이런 연고로 장아이링의 소설은 1940년대 상하이, 1960년대 홍콩과 1970년대 타이완, 1990년대 중국 대륙, 2000년대 중화권을 넘어선 ‘장아이링 붐’을 일으키며 시대를 초월한 공감을 얻고 있다. 중국의 현대소설은 ‘국가현대화’를 위한 도구가 되면서 소설 본연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중국현대소설의 주류는 ‘반反제국주의·반反봉건’을 표방하며 대체로 국가의 곤경 상황을 여성의 비참한 처지와 연관 짓곤 하였다. 이러한 시류와 달리 장아이링은 개인적인 자각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여성의식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장아이링의 고민은 전통소설을 차용한 소설의 내러티브를 통해 완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아이링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내러티브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의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 되었다: 첫째, 장아이링의 여성의식에 관하여 ‘장아이링의 여성관은 어떠한가?, 장아이링의 소설에서 여성 인물의 주체성은 어떤 양상으로 재현되는가?’, ‘장아이링이 그린 여성들의 여성성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장아이링이 추구한 여성성은 과연 무엇인가?’, ‘이러한 여성성은 국가주의와 어떤 연관성을 맺는가?’, ‘장아이링의 여성들은 현실에서 어떤 양상으로 ‘사랑――이성애/모성애――’을 구현하는가?’, ‘이러한 사랑의 양상은 장아이링의 여성의식을 어떻게 체현하는가?’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둘째,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특성에 대하여 ‘장아이링의 소설은 왜 전통으로 회귀하였는가?’, ‘장아이링의 작가의식은 어떠하였는가?’, ‘장아이링의 독자인 ‘상하이 사람들’이 원하는 소설의 내러티브는 무엇이었는가?’, ‘장아이링의 소설은 전통소설과 어떻게 차별되는가?’ 등의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네 개의 장을 제시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국어(한국어) 논문과 중어(중국어) 논문 그리고 영어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장아이링이 여성의식을 형성하고 소설 내러티브를 구축하는데 배경이 되었던 장아이링의 삶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은 남녀의 성별 특징을 ‘인정’한 바탕에서 여성의 주체성을 긍정하였다.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대체로 주체적인 발언을 하고 있으며 상당히 자각적이다. 그러나 장아이링은 여성이 비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까닭을 전적으로 가부장제라는 외부적인 요소의 탓만으로 돌리지 않았다. 이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장아이링은 여성 인성의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뿌리 깊은 의존성과 통제하기 어려운 정욕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둘째, 장아이링은 가부장 사회에서 ‘성녀聖女/탕녀蕩女’로 이분화한 여성성을 해체하였다. 이로써 장아이링은 전통 사회가 억압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해방시켰다. 셋째, 장아이링 소설에서 여성은 인간이 지닌 이기심을 바탕으로 사랑을 구현하였다. 이성애에서 여성은 대체로 남성에게 의존함으로써 ‘여성’으로서 남성과 건강하게 양립하는데 실패한다. 이성애에서 실패한 여성은 대개 인성이 왜곡된 결과 어머니가 되어서는 가학적이고도 이기적인 모성애를 보이게 된다. 결국 여성이 봉착한 성별 문제의 관건은 여성이 남성과의 관계에서 ‘여성’으로서 건강하게 양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아이링은 새로운 여성성으로써 팜므파탈femme fatale 형상을 부각시켰다. 장아이링은 이들을 통해 여성의 생명력을 도드라지게 했으며, 가부장 사회가 지닌 불합리한 사회모순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들 장아이링의 팜므파탈은 강한 섹슈얼리티를 지니고 ‘여성’으로서 생명력 있게 살아간다. 이들은 국가를 위해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하여 삶을 영위한다. 장아이링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여성의 형상은 말세에도 굴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살아가는 팜므파탈이다. 결과적으로 장아이링은 여성이 주인공이 되어 여성의 삶을 살아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장아이링은 여권주의의 입장이 아니며 여성중심의 관점에서 여성을 관조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장아이링 소설에 나타나는 내러티브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은 강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상하이 사람들’을 자신의 독자로 규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장아이링은 ‘상하이 사람들’이 애호하는 소설의 내러티브를 구축하였다. 장아이링 소설의 내러티브의 특징은 중국의 전통소설을 현대적으로 변용하는 것이었다. 장아이링은 독자에게 적합한 소설의 내러티브를 구축함으로써 소설의 대중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장아이링이 구축한 소설의 내러티브상의 특징을 전통소설인 『홍루몽紅樓夢』과 비교하여 시점과 대조법 그리고 이미저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아이링의 소설은 제3인칭 시점과 제1인칭의 친밀성을 적절히 융합함으로써 인물만의 고유한 인간성을 사실적으로 구현하였다. 둘째, 장아이링의 소설은 장아이링이 독특하게 구축한 대조법인 ‘참치參差 대조’를 사용하여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시공時空의 구축에 쓰인 참치 대조는 여성 인물의 ‘현실’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들의 현실적인 자각을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아이링의 소설은 다양한 이미저리를 통해 소설이 과도하게 감상주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로써 장아이링의 이미저리는 시점과 더불어 소설의 보편타당성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