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기 내 간호대학생의 소진과 진로정체감의 변화

        강숙정,홍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기 내 간호대학생의 학기진행에 따른 소진과 진로정체감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40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소진(MBI-SS), 진로정체감 측정도구가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기 초의 소진의 점수가 37.17±8.04점이었던 것에 비해, 학기 말에는 41.29±7.44점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의 소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0.608, p=.000).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 냉소, 개인적 효능감 모두에서 또한 학기 말의 점수가 학기 초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진로정체감의 점수는 학기 초 10.40±4.95점에서 학기 말 8.23±5.1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t=3.369, p=.000).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은 학기 내 간호학과의 학기진행에 따라 소진을 경험하지만, 학기진행에 따른 경험을 통하여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of burnout and career identity during academic semester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For this study, 240 nursing students were involved. Data was collected in two time points,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end of the same semester,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ment of burnout and career ident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ore of burno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t=-10.608, p=.000) among nursing students. Also, the score of career identity at the end of the seme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3.369, p=.000). Nursing students are under a lot of stress from academic studies as well as clinical practices and therefore they feel burno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However nursing students have career identity after completing the academic semester.

      • KCI등재

        MMPI검사결과를 통한 새터민의 심리상담적 접근: 가양동 새터민을 중심으로

        강숙정,이장호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eteomin's psychological states and it's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through their MMPI results. For these, 69 Saeteomin in Gayang-Dong was studied.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Saeteomins were more experiencing signs of psychosis over that of neurosis. Secondly, it was revealed that Saeteomins had more problems about socibility. Thirdly, The women of them were suffering more clinical pain and showing excessive self -defence reaction compared to the me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ree interventions for Saeteomin: 1) it was needed to an urgent intervention in neorisis, 2) to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relationship-communication training for improving socibility, and 3) to an urgent interest for women saetemin. We expects that this study would give an important implications for helping Saeteomin's adjustment in South Korea and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of them. 본 연구는 가양동 지역 새터민(69명)을 대상으로, 새터민의 심리적응상의 문제 및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타 임상척도에 비해 편집증, 남성성-여성성, 건강염려증, 강박증, 경조증에 있어서 개입필요군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반사회성 척도 중 내적 소외, 내향성 척도 중 내․외적 소외, 정신분열증 척도 중 정서적 소외 요인에 있어, 개입필요군의 비율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 조사대상자의 상당수가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 새터민이 남성 새터민에 비해 남성성-여성성, 편집증, 반사회성, 경조증, 히스테리, 강박증, 내향성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정서적 문제증상을 더욱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심리상담적 개입방안을 모색할 때, 정신증에 대한 우선 개입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도입 그리고 여성 새터민에 대한 우선적인 관심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탈북 새터민에게 맞는 현실적인 새터민 상담개입 절차의 실천과 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LGBT 간호 교육의 효과

        강숙정,민혜영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9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5 No.4

        Purpose: As health care needs for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LGB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t has become imperative for the nurses to be attentive towards their health problems and provide nursing care with an open-minded attitude. Due to limited opportunity to provide direct nursing care to LGBT patients, it is hypothesized that simulation would provide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LGBT nursing care in a saf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simulation of LGBT nursing care to ultimately provide unbiased nursing care for LGBT population and prepare basic data for LGBT nurs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study for 57 seni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isting LGBT knowledge, general attitude towards LGBT, and nursing attitude towards LGBT before and after simulation. The scenario content included discussion of coming out issue, providing sexual health information, and supportive nursing care for LGBT population.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 rank. Results: Simulation education-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LGBT knowledge and nursing attitude.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general attitude towards LGB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GBT education using simulation may be effective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from the point of concern for LGBT population. It is hypothesized that future LGBT educational programs might need more detailed information from both care recipients and nurses. Finally, LGBT education needs to be included in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국내 간호대학생 대상 재난간호 연구의 동향 : 체계적 문헌고찰

        강숙정,하지혜 한국보건간호학회 2022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ross international and domestic electronic databases, and 13 of 506 studies were identified for this review. Results: The most commonly used variables in the study wer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23.5%)’ and ‘disaster awareness (20.6%)’. In addition,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as ‘disaster preparedness’. However, many tools were developed for the needs of researchers rather than those that were sufficiently valid and reliable. Also, most studies did not use the theoretical framework. Conclusion: There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strument with confirmed reliability and validity to measur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Finally, disaster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enhance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 KCI등재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강숙정,이재창,이장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3

        Self-power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Based on the pilot study, three steps were specified and included in developing the self-power program - the group therapy for critical emotion, the sensitivity training for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the potential capability development training - then self-power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discussion, demonstration and modification by the group of nine expert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ducation. The current stud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power program which was conducted 46 North Korean refugees in Gayang-dong. The self-Power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self-esteem, self-identity, adaptation flexibility and empower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was intended to initiate more studies in which more psychological adapt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s are developed and evaluated. 본 연구는 지역사회 새터민의 심리적응을 돕기 위한 ‘새터민 셀프파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총 연구대상은 서울시 가양동 거주 새터민 115명으로, 기초조사(69명)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에 이어 효과성 검증연구(46명)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MMPI검사와 새터민의 심리적응에 관한 FGI가 사전에 실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새터민의 심리적 특성에 도움이 되는 ‘위기적 정서중심 집단심리상담’, 의사소통 감수성 훈련’, ‘잠재적 역량 개발 훈련’ 의 3단계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의 골격을 설정하였다. 이후 심리상담 및 교육전문가 9명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맞는 새터민 셀프파워 하위주제 12개를 추출하였고, 이 주제들을 토대로 개발된 프로그램내용은 매주 1회씩 6개월간 전문가 그룹의 집단시연을 통해 수정 보완하는 절차를 거쳤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양동 거주 새터민 46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터민 셀프파워 프로그램은 새터민의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적응유연성, 임파워먼트를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사회 기반 모자보건의 활성화 방안: 방문간호의 활용 가능성

        강숙정 한국모자보건학회 2016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6 No.2

        배경 및 목적 지난 10년간 국가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1차와 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이루지 못한 만큼 새로운 전략은 끊임없이 강구해야 한다. 지역사회 기반 모자보건은 대부분 수요자가 보건소로 찾아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직접 수요자를 찾아가는 방문간호를 활용하는 방안이 하나의 비용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현 지역사회 기반 모자보건의 문제점, 방문간호 체계의 문제점, 그리고 선진사례 검토 등으로 통하여 방문간호를 활용한 모자보건 서비스 제공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현황 및 전망 현재 국내의 방문간호는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의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 의 방문간호사업 등으로 3원화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서비스 모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의료혜택 수혜자는 방문간호(home visiting service)를 어떤 경로로 받을 수 있으며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체계화된 정보를 받는데 제한점이 있다. 이에 모자보건 전달체계를 확대하여 방문간호를 활용한다면 더 많은 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미국의 45개 주에서 운영하는 Nurse-Family Partnership(NFP)이라는 프로그램은 저소득증의 초산모와 생후 1년 이내의 신상아들에게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많은 연구를 통하여 긍정적인 결과(저체중아 출산 감소, 아동학대 감소,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 아동의 물질남용 감소 등)를 내 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캐나다에서도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다. 결 론 현 방문간호 사업들의 현황 파악과 국내 어떤 모자보건 방문간호가 필요한지 수요조사가 우선되어야 한다. 그 후에는 현재 3원화되어 있는 시스템 안에서 어떤 보험제도 안에서 어떤 방문간호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수혜자에게 적합할지 재검토하고 그 장기적 발전방안 또한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숙정(Sook Ju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암 생존자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하여 안정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2010-20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암 생존자 610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진단경과 기간은 약 11년이었다.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활동제한 여부(β=.30, p<.001)였으며, 연령(β=-.20,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19, p<.001), 경제수준(β=.12, p=.004), 성별(β=-.08, p=.027)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혹은 사회활동 제약이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암 생존자들의 일상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 관리할 수 있는 인력 혹은 건강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in order to identify strategies for cancer survivors to go back to normal life and carry on stable and high quality life. This study us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4),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610 cancer survivors and their average time since diagnosis was about 11 year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were activity limitation(β=.30, p<.001), followed by age(β=-.20,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β =-.19, p<.001), and economic status(β=.12, p=.004). According to the result, limitation on daily activities or social activities due to physical or mental debilitation was a strong factor that lowers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Hence, there is a need for manpower and infrastructure that facilitates, supports, and manage daily activities of cancer survivors.

      • KCI등재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강숙정 ( Sook Jung Kang ),양민지 ( Min Ji Yang )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22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n pregnancy stress among pregnant women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8 pregnant women in Korea, recruited from online communities on pregnancy and/or childbirth, from June 2019 to April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were at average 18.25±8.28 weeks gestation, 56% were in the second trimester, 31% had one or more health issues in the current pregnancy (e.g., hyperemesis gravidarum), and 76% were first-time mothers. Participants had moderate levels of pregnancy stress (mean, 23.09±7.11 points out of 48) and maternal knowledge (mean, 14.42±4.67 points out of 21), whereas social support was somewhat high (mean 45.88±7.81 points out of 60). Pregnancy stress was weak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37, p<.001). Main source of pregnancy information (β=-.21, p=.011), marital satisfaction (β=-.18, p=.036), and social support (β=-.19, p=.038)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regnancy stress, and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2.7% for pregnancy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nurses should assess pregnancy-related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onsider main source of pregnancy inform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hen providing education or counseling. Moreover, strategies to reduce pregnancy stress through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regnant women.

      • KCI등재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강숙정(Kang, Sook-jung),김은미(Kim, Eun-Mi),손영미(Sohn, Young-Mi)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이하 하나원) 여성탈북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같은 날에 하나원에 입소한 55명의 여성탈북민(A기수)을 대상으로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을 받기 전과 받은 직후 그리고 1주일 후, 한달 후 이들의 정서와 지각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기수(83명)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재검증하였다. 그 결과, A기수와 B기수 모두 긍정정서에 있어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 1주일 후, 한달 후 변화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측정시기별 차이없이 긍정정서 수준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었다. 의사소통의 경우도 사전에 비해 사후에 지각된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부정정서의 긍정적 변화는 A기수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 변화는 B기수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을 토대로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elf-power program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Settlement Support Offic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Hanawon).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emo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 time interval between four measurement points(pretest, posttest, 1week, 1month).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self-power program to 55 North Korean female refugees(A group) entered in Hanawon at the same time. And then we re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ith different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Hanawon(B group, n= 70). It was revealed that self-power program was likely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 and significantly sustain it’s change across time in A group as well as B group. Regarding perceived communication level, the differences of pretest score and posttest score were revealed significant in two groups. However,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group and tha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we c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lf-power program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Hana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