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은 복지국가인가 고용국가인가?

        강수돌 ( SuDol Kang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7 경상논집 Vol.37 No.1

        에스핑-앤더슨(1990)의 복지국가 3가지 축에 대한 이론은 한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 내지 동아시아의 복지국가 논의에 있어 상당한 한계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런 문제의식 위에 1987년 민주화 이후 최근까지 한국 사회가 노동복지의 확장 측면에서 어떤 발전 경로를 걸어왔는지 역사적 접근법으로 검토한다. 본 연구는 2부에서 이론적 논의를 약술한 뒤에, 3부에서는 두레나 품앗이 등 아래로부터의 복지 공동체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붕괴된 과정을 추적하고 1987년 민주화 과정에서 노동복지에 대한 요구가 상승했음에도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으로 말미암아 복지사회로의 발전이 지체된 역사적 경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에, 현재 반주변부 국가인 한국에서는 복지국가가 아니라 ‘고용국가’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는 소결론을 얻는다. 4부에서는 그 여파로 한국 사회엔 현재 다차원의 차별적 이중구조가 생성되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5부에서 결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그간 사회과학 분야에서 등한시되었던 노동복지의 구조를 역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향후 한국 사회의 진정한 개혁 과제가 무엇인지 해명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만이 아니라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This paper assumes that the Esping-Andersen’s typology or the stance to emphasize the particularities of ‘East Asian Welfare regimes’ is not able to adequately expla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working peop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ing theories, we need to take a broader analytical perspective. Instead of a static, institutional and core-country-focused approach, we should have a dynamic, historically-focused, and global perspective to fully explain the welfare regime in Korea.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processe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South Korea is rather a workfare state than a welfare one. This semi-peripheral workfare state is a form of social governing or crisis management. Consequently, the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multidimensional dualizations in the whole socio-economic life processes. Its implications and further tasks are also discussed.

      • 일중독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강수돌 ( Sudol Kang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9 경상논집 Vol.39 No.1

        본 연구는 일중독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그 방법론은 다양한 학문 분과를 초월적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경제사와 사회심리학을 통합하고 문화인류학과 심리분석을 통합하며 비판적 정치경제학과 연관 분야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일중독의 정의만이 아니라 그 역사적, 사회적 근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가한다. 그 결과 일중독의 사회적 귀결과 지양에 대한 방법 역시 기존 연구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제시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도 논한다. This paper tries to develop a new interpretation of work addiction that is becoming more and more prevalent in workplaces, by integrating economic history with social psychology, combining cultural anthropology with psycho-analysis and intermingling critical politico-economics with relevant fields. Not only the definition of work addiction but also the historical and societal root of it is brought under quite a new light in terms of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As a result, the social consequences of work addiction is also differently understood from previous researches. Som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a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관계 만족과 일중독 : 정서적 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관종(Rho Kwanjong),강수돌(Kang Sudol) 한국노동연구원 2020 노동정책연구 Vol.20 No.4

        오늘날 기업과 사회 전반의 고용불안정 상황에서 일중독은 예외적 · 일탈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 · 대중적 현상이 되었다. 일중독을 긍정적으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 학자들은 일중독이 개인, 조직, 사회에 해로운, 행위중독의 일종이라 개념화한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WAQ로 한국의 일중독을 측정한 제17차 KLIPS 자료(N=3,941)를 활용, 간소화된 측정지표를 사용, 일중독의 선행 변수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했다. 일중독의 원인에는 개인적 · 가족적 · 조직적 · 사회적 배경이 있으나 본 연구는 특히 가족적 · 조직적 변수에 주목했다. 가족관계 만족과 일중독의 인과성, 그 과정에서 조직몰입(정서적 몰입)의 매개작용, 그 매개작용의 과정에서 고용형태(노동유연화)의 조절작용 등을 통계적으로 검토했다. 분석결과, 1) 가족관계 만족이 높을수록 일중독은 낮아졌고, 2) 정서적 조직몰입은 가족관계 만족과 일중독 간 관계를 ‘부분 매개’했다. 3) 고용형태(노동유연화)는 정서적 몰입과 일중독 간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했다. 4) 통합 모형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은 가족관계 만족과 일중독 간 관계를 매개하되 고용형태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한다. Although the study of work addiction has increased markedly in the past decade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is)satisfaction and work addiction. This study examined this relationship an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employment forms. The research samples were drawn from the 17th KLIPS panel data in Korea.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by Hayes (2013) found support for four hypotheses: First, the negative causality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rk addiction is supported. Second,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two variables is also confirmed. Third, the employment form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addiction.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rk addiction is supported.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from the empirical analys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