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 사회 변화

        강성훈(Kang, Seong-H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7 No.-

        루소에게 있어서 역사란 인류가 우연한 환경변화에 적응한 결과물이다. 인간의 자기개발능력은 그와 같은 적응의 능력으로 등장한다. 그로인해 독존으로부터 사회상태로 이행한 인류는 상호간의 종속을 심화시켜가며 궁극적으로 일인에 대한 만인의 종속상태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혁명은 인류를 다시금 최초의 사회상태로 회귀시키며 최악의 상태를 향한 종속의 심화가 다시 전개된다. 루소의 사회계약은 혁명을 이상적인 정치체제 수립에 연결시킴으로써 역사라는 악순환을 중단시키는 작업이다. 반면 칸트에게 있어서 역사는 자연이 인간에게 부여한 본성에 의해 추동되는 것으로 필연적인 과정이다. 그 과정 자체가 류적 존재로서의 인류가 자기를 교육시켜나가는 과정이며 그것의 끝은 기존 역사와의 단절이 아니라 그 과정의 완성이 된다. ‘완성능력’이야말로 그 본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를 통해 인간은 악으로 나아갔다가 선으로 돌아오는 거대한 과정을 완성하게 된다. 양자에게 교육은 현재의 정치 체제를 변혁하는 수단이 아니다. 루소에게 체제 변혁은 ‘종교’를 통한 입법자의 역할이며, 교육은 그를 통해 수립된 이상적 정치 체제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칸트에게 그와 같은 이상적 정치 체제는 인류의 자기 교육의 완성을 통해 달성되는 것인데, 현존의 정치 체제는 그 교육의 결과가 아니라 조건이다. 인류의 자기 교육은 자유의 보장을 통해 가능하며 그 자유를 보장하는 정치 체제는 인류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배자에 의해서 수립된다. 따라서 양자를 ‘교육을 통한 사회변화’라는 기획의 근거로 삼아왔던 사유들은 재고가 필요하다. According to Rousseau, history is a result of human adaptation to changing circumstances. Perfectibilite (the faculty of self-development) of man is one such faculty of the adaptation. Individuals live in isolation but shift to a social state by means of this faculty, dominance and subordination between individuals deepen, and finally all people become subordinate to one person. The people then return to the first social state (isolation) by revolting against this state of subordination. Rousseau"s The Social Contract seeks to give humankind a framework for breaking out of this vicious cycle that defines human history by connecting the revolution with the ideal political body. According to Kant, though, the aforementioned cycle defines history because it is the inevitable product of human nature. The process is a self-education course for mankind as a species, and the end of it is not severance from history but the perfection of history. The perfectibility (the ability to achieve perfection) of human nature completes the process of mankind turning to evil but then returning to the good. In both, education is not a solution by which the existing political body can be changed. For Rousseau, change is the vocation of the lawgiver by special religion and education is a solution that maintains the ideal political body established by the change. For Kant, the ideal political body is not a result but a condition of education. Political freedom allows the self-education of mankind to take place; a free political body is then established by a ruler, not the people. In conclusion, the notion that Rousseauian and Kantian thought can serve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thesis “social change through educ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한국의 근대적 교육개념 형성: 『교육입국조서』와 개화 지식인

        강성훈 ( Seong-hun Kang ),최승현 ( Seung-hyun Choi ),조문숙 ( Moon-sook Jo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현재까지 다수의 국내 연구들은 조선시대의 개념세계에 존재했던 다양한 교수-학습 관련 개 념들이『교육입국조서』의 등장을 전후하여 ‘교육’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통합되어 갔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그 통합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 분석을 시도한 것인데, 특히 근대 시기 조선의 국체개혁 와중에 정부주도의 새로운 주체형성 정책을 진행하면서 이를 ‘교육’이 라는 특수한 개념으로 표현한 결과로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육입국조서』는 발표자의 명의만이 확인될 뿐 집필자가 특정되지 않은 문서다. 이 조칙이 출현할 당시 조선정부는 2차 김홍집 내각이 집권 중이었던 바, 박영효, 유길준, 박정양으로 각각 대표되는 개화당파 간 갈등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교육입국조서』의 작성 및 발표와 관련된 갈등이 없었다는 것은 이들 개화파 정치인들이 새로운 국체에 걸맞 는 주체형성 정책에 관한한 그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갑오개혁 이전 집필된 그들의 저작을 통해 확인되는데, 그들은 공히 메이지 유신을 거치며 형성된 일 본의 교육개념을 수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국체개혁 방안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교육입국조서』의 등장은 갑오개혁 이전 상당수의 조선 지식인들이 일본의 근대 적 교육개념을 수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이며, 그들의 집권 이후 전개된 조선의 정치사가 개념세계에 미친 영향을 짐작하게 해주는 근거가 된다. The many existing researchers show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 changes from many diverse meaning in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to that of a single conception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has not the name of author. Because some enlightenment parties among Park young-hyo, Yoo gil-jun and Park, jung-yang under Kim, hong-jip’s cabinet escalate into a deadly conflict at that time. Nevertheless, there is not a fricative in related to the writing and the presentation on it, so we can interpret that they form a political consensus on the problem of nation-building. We can see this viewpoint by their works before the Gabo Reform also, in which some enlightenment parties accept the concept of education after Meiji Reform in Japan and express their ideas through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e appearance of The Royal Doctrine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ducation throws a sidelight on the fact that some educated person accept the concept of education in Japan already. Lastly, we guess that the political world in Chosun dynasty causes influence to the academic world.

      • KCI등재

        랑시에르의 교육학 비판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랑시에르는 대혁명기 지식인이자 교육자였던 조제프 자코토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것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코토의 테제를 급진적인 정치적 테제로 읽는다. 즉, 그 테제는 교육을 정치의 조건으로 상정하여 교육이 완료될 때까지 정치를 미루는 근대의 ‘진보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의 성격을 갖는 것이다. 랑시에르는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현대 교육학의 테제야말로 그와 같은 진보 이데올로기의 전형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랑시에르(그리고 자코토)의 테제를 마르크스의 테제, “교육자 역시 교육받아야 한다”는 테제와 관련 지으면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마르크스의 테제 역시 최초의 교육자의 출현을 의문에 부침으로써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계몽주의의 테제를 해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양자의 테제들은 특수한 조건 속에서 이데올로기로 전화할 수 있는 ‘교육학’ 자체의 성격에 대한 비판이기도 한데, 따라서 이는 ‘비판적 교육학’이 아니라 ‘교육학 비판’으로 오늘날의 교육학을 성찰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anci?re, in study of Joseph Jacotot who was a scholar and a teacher in age of French Revolution, reads Jacotot`s thesis - “We can teach what we ourselves were ignorant of” - as a radical political thesis. The thesis is a critique of ``Progress Ideology(Progressivism)`` that delays the politics(le politique) by regarding education a precondition of the politics. He defines the very thesis of the modern pedagogy - ``social change by education`` - as a archetype of such an ideology. This study starts with revealing the meaning of Ranci?re(and Jacotot)`s thesis by thinking it in the relation of Marx`s thesis that “the educator must himself be educated”. Marx`s thesis deconstructs also the project of progress through bring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ducator into question. As a result, these of Ranci?re and Marx are critiques of character of pedagogy itself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the ideology under some condition. So they may be mirrors of pedagogy of today as not ``critical pedagogy`` but ``critique of pedagogy``.

      • KCI등재

        루소사상에서 정치적 이데올리기로서의 “종교”: 플라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성훈 ( Seong Hun Ka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루소의 사상체계는 하나의 아포리아를 안고 있다. 이상적인 정치체제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일반의지에 대한 인민의 동의(‘사회계약’)가 필요한데, 인민의 대부분은 일반의지의 합리성을 인식할 능력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루소는 이 난관을 일반의지에 대한 ‘이해’를 ‘믿음’으로 대체하는 것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인간의 행동을 추동하는 의지는 이성의 작용인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정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해결이 가능해진다. 『사회계약론』에 제시되고 있는 ‘종교’는 바로 일반의지에 대한 ‘믿음’을 갖도록 하는 수단이며, 현대적인 개념을 사용한다면 하나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해당한다. 이 ‘종교’는 그 기능을 ‘사회계약’ 당시에만 한정적으로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도 ‘시민종교’의 형태로 계속해서 새로 수립된 정치체제의 유지를 위해 기능한다. 정치체제의 변혁과 관련한 이와 같은 루소의 사유는 플라톤에 의해 이미 숙고된 바의 것이다 플라톤은『국가』에서 진리(이데아에 대한 ‘앎’)에 대한 동의를 필요로 하는 이상국가의 수립과 이데아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결여한 인민 사이의 모순을 ‘Gennaion Pseudos’라는 ‘신화’를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 이는 ‘사회계약’의 수단으로서의 ‘종교’에 대응하는 것이다 아울러『법률』에서 논구되고 있는 ‘법의 전문’은 ‘사회계약’ 이후의 ‘시민종교’ 에 대응한다. 정당한 정치체제의 유지를 위한 시민의 양성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과 비이성적 영역에 관여하는 종교의 연계를 통해서만 달성가능하다. 따라서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종교에 대한 루소의 사유를 이해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루소의 사유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Rousseau`s political thought has a aporia. It is that the ideal political body needs the people`s agreement(social contract) with General Will, but the majority of the people have no intellect for it. Rousseau tried to overcome the aporia by replacement `understanding` of General Will with `belief` in it. Because he thought that will of behavior did not derive from knowing by reason but the passion, `Religion` in Du Contrat Social is `political ideology` as the way which makes the people believe in General Will. This `Religion` functions in social contract and futhermore in the shape of `Civil Religion` maintains new political body constituted by social contract. Plato had already thought about the aporia related to change of political body. In Politeia, he tried to overcome the discrepancy between two theses, one is that constitution of the ideal political body needs the people`s agreement with Truth(logos of Idea) and the other is that the people have no intellect for understanding it, by Myth(`Gennaion Pseudos`). It corresponds to `Religion` as the way of social contract. And `Prooimion(Preamble)` in Nomoi corresponds to `Civil Religion` after social contract. Only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develops intellect and `Religion` related to non-intellectual area can make the citizen for maintenance the ideal political body. Therefore, understanding of Rousseau`s thought of `Religion` as political ideology is a key of understanding of his thought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존재에서 연역된 윤리학: 플라톤과 루소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1

        루소의 윤리학은 기독교와 당대 철학에 의해 형해화된 도덕 관념들을 존재론적인 환원을 통해 재규정하려는 작업이다. 이는 소피스트들에 의해 세속화 및 형해화된 도덕 관념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재규정하려 했던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작업에 유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유일최고 존재인 ``있음``의 상태로서 ``좋음``과 ``훌륭함``의 의미를 규정하며, 아울러 그의 유지와 관련하여 ``올바름``을 규정한다. 루소 역시 최고 존재인 신을 상정하고 그 의지에 따르는 상태로서 ``좋음``을, ``좋음``을 추동하고 유지하는 동기로서 ``선``과 ``올바름``을 규정하고 있다. 그들의 존재론적 윤리학의 목적은 기존의 도덕 관념들이 단절시킨 도덕과 행위의 관계를 복구하기 위한 것인데, 일단 도덕과 관련된 개념들을 존재론적으로 재규정한 후 ``존재``에 대한 ``앎``을 통해 행위와 연결한다. 그런데 이는 대부분이 인간의 인식능력으로는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되며, 따라서 일반적인 교육을 통한 양자의 연결은 불가능하다. 그로 인해 그들의 윤리학은 정치학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초월적 존재론으로부터 분리된 현대 윤리학의 개념들로 루소를 이해하는 것은 그의 윤리학과 정치학의 관계를 왜곡시킬 소지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루소의 존재론과 윤리학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그와 같은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Rousseau`s ethics is a work to redefine moral concepts abstracted by Christianit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It is a analogy with the work of Socrates and Plato to redefine those abstracted and secularized by Sophist. Socrates and Plato define ``the goodness(to agathon)`` and ``arete(virtue) as a state of ``to be`` which is only ``being`` and ``dikaiosyne(justice)`` in relation with keeping the state. Similarly, Rousseau define ``the goodness(le bien)`` as a state to act on God`s will which is absolute being, ``the goodness(la bonte)`` and ``justice`` as two motives to make act on the will. The end of their works reducing ethics to ontology is to restore the relation between act and morality disconnected by existing moral concepts. They redefine epistemologically moral concepts and make knowing of ``being`` link moral to act. But because this knowledge is defined as the object that most of the people can not acquire, the link by general education is impossible. Thus their ethics extend politics. Consequentially, reading Rousseau through concepts of modern ethics separated from transcendental ontology can make mis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Rousseau`s ethics and politics. This study trie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investigating relation between Rousseau`s ontology and ethics.

      • KCI등재

        교육철학: 교육학에 대한 학(學)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최근 교육철학 내에서 하나의 경향을 형성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의 전환``의 흐름은 새로운 교육철학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철학 내에서 이 흐름을 주도해왔던 영국의 교육철학자 Carr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론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육적 실천에 대한 단일한 연구를 지향하는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은, 그것이 보증하는 교육학에 대한 긍부정을 떠나,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실천철학론을 주도하는 연구자들의 이와 같은 카의 연구에 대한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카의 기획이 현존의 교육철학들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존의 교육과학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그로 인해 카의 작업이야말로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임을 또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카의 연구에 대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 실천철학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실천철학의 필요성을 현존하는 교육철학들이 교육적 실천을 연구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한 교육적 실천에 대한 영향력 상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자칫 이론의 진위를 실천으로 검증하려는 조야한 도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할 여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천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철학은 교육학에 대한 학이 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Nowadays ``a current of conversion to practical philosophy`` making a tendency in philosophy of education is not new philosophy of education, but aims at new science of education. It can be ascertained in the studies of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Carr at the head of this tendency. This Aristotelian project, separating from the realm of theoretical philosophy and intending a sol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has showed the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Such understanding of Carr`s study that domestic scholars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have showed seems implicit errors in two aspects. Firs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Carr`s project was not converting existing philosophi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but existing scienc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Second, they also could not know Carr`s work is trul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scholars who are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criticize existing philosophies because they don`t study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ult in loosing influence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doing that this approach reproduces vulgar instrumentalism which verifies the truth of theory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e above stated problems of the domestic scholars leading practical philosophy and prove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come science of educational science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