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양각탕(羚羊角湯)이 뇌혈류량(腦血流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강성현,윤용갑,Kang Sung-Hyun,Yun Young-Gab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2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0 No.1
Yongyanggaktang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 therapeutic agent for cerebral disease and eclampsia for many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Yongyanggaktang and its exception of Cornu Saigae Tataricae(羚羊角) in YYG about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in rats. 1. rCBF was increased by Yongyanggaktang in dose dependently. 2. rCBF was increased by exception of Cornu Saigae Tataricae(羚羊角) in YYG at high dosages. 3. rCBF was decreased by Yongyanggaktang pretreated propranolol. 4. L-NNA did not affect rCBF. 5.ODQ did not affect rCBF. Above the results. Yongyanggaktang relates to the symphathetic action.
SIMD 아키텍처 기반의 효율적인 정렬 합병 조인 처리
강성현,이훈순,김창수,민준기 한국정보과학회 201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2 No.2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architecture is the architecture containing the set of instructions each of which handles multiple data in parallel located in a SIMD register considered as a vector. There are great deal of research about utilizing SIMD instruction set on various operation in databases. In particular, joi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operation in relation database needs to improve performance for fast operation. Generally, hash join and sort merge join are used for join operation frequ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rt merge join using SIMD instruction set for data-parallel operation and minimizing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branch prediction miss on CPU, and we improve join performance by extending our SIMD algorithm to multiple thread structure. Also, our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various environments show the efficiency of our SIMD algorithm.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아키텍처는 하나의 명령어로 SIMD 레지스터에 담긴 여러 데이터를 벡터와 같은 형태로 취급하여 병렬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명령어 셋을 갖는 아키텍처를 말한다. 현재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연산처리에 SIMD 명령어 셋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관계형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연산인 조인은 빠른 연산 수행을 위해 성능 개선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조인 연산으로 해쉬조인(Hash Join)과 정렬합병조인(Sort Merge Join)이 많이 사용되며, 본 논문에서는 CPU에서 분기 예측 실패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수준 병렬화를 활용하기 위하여 SIMD 명령어 셋을 사용한 합병조인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제안한 SIMD 알고리즘을 다중 스레드 구조로 확장하여 조인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IMD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보였다.
일반논문 : 1945~50년 "검찰사법(檢察司法)"의 재건과 "사상검찰"의 "반공사법(反共司法)"
강성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1 기억과 전망 Vol.0 No.25
이 글은 ``검찰사법``의 재건 및 검찰권 강화에 ``사상검찰``의 부활과 이를 통한 ``반공사법`` 확립이 어떤 역할과 기능을 했는지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해방`` 이후 식민지 사상검찰은 붕괴했다. 주한미군정은 점령통치의 효율을 위해 경찰 등 여타 식민통치기구를 존속시키는 조치를 취했지만, 검찰에 대해서만큼은 식민지 검찰사법의 해체 방침을 세우고 시행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인 검찰은 형사사법 전반을 지배했던 이전의 막강한 권한을 빼앗긴 채 경찰 및 법원과 경합·갈등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검찰이 뽑아들었던 히든카드 중 하나가 사상검찰의 부활 시도였다. 미군정기 당시에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은 시도였지만, 정부 수립 이후에는 국가보안법의 성립과 맞물리면서 사상검찰의 재조직화와 검찰권 강화의 토대가 되었다. 그 결과 1949년에는 오제도 검사의 서울지검 정보부를 중심으로 전국의 사상검찰 진용이 구축되기 시작했고, 경쟁적 위치에 있던 경찰과 헌병(군수사기관), 육군 방첩대(군정보기관)와의 주도권 싸움에서 상대적 우위를 확보하면서 사상전 활동을 벌여나갈 수 있었으며, 이른바 ``반공사법``의 주축이 되었다. 식민지 사상검찰의 부활이자 한국 공안검찰의 역사적 형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