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공공 프로젝션 연구 - ‘말하는 기념비’를 중심으로

        강설미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폴란드 태생의 크지슈토프 보디츠코는 공적 공간이 지니는 의미에 주목하며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던지는 동시대 작가이다. 본 연구는 보디츠코의 여러 작업 중에서도 공공프로젝션에 해당하는 ‘말하는 기념비’에 관한 연구로써 작품을 통해 사회적 약자들의 발언이 갖는 의미와 기념비를 통한 반기념비 전략을 살펴보고자 했다. ‘말하는 기념비’라는 작업의 명칭은 연구자의 용어로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 기념비위에 참여자의 인터뷰 영상을 프로젝션 하는 보디츠코의 작업을 이처럼 명명하였다. 1996년 “시티홀 프로젝션, 크라쿠프” 작업부터 최근작 “나의 소원”에 이르기까지 보디츠코의 말하는 기념비에서 발화되는 증언을 그 성격에 따라 사회적, 개인적 발언으로 나누어 참여자들의 발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발언은 사회․정치적 문제를 대중 앞에서 고발하는 말하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발언은 민주주의를 실천하며 사회 변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개인적 발언은 그동안 말하기 힘들었던 자신의 상처를 고백하는 증언으로, 이를 통해 참여자는 개인의 트라우마와 맞설 수 있었으며 다시 사회와 연결되는 지점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발화의 장소이자 도구로 기능하는 역사적 기념비는 사회적 약자가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화 보철기’의 역할을 담당했다. 현대의 공적 공간은 승자의 역사로 점철되어 소외된 패자의 이야기는 배제되고 잊혀 지기 쉽지만 보디츠코는 말하는 기념비를 통해 패자의 발언을 이끌어내는 반기념비적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말하는 기념비가 갈등과 상처가 만들어 내는 다양한 목소리를 담으며 사회 변혁적 실천양식의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Polish-born Krzysztof Wodiczko is a contemporary artist who delivers a social critical message in attention to the meaning of public space. The study is about 'Talking Monument' which corresponds to public projection among various works of Wodiczko, and through this work, the author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marks which the weak speak in society and the counter-monumental strategy using a monument. The name of the work called 'Talking Monument' is the author's term, and the author used this term for the work of Wodiczko which performs the projection of the interview image of the participant on a monument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From the "City Hall Tower Projection, Krakow" work in 1996 to the recent work, the author divided the testimony uttered in Wodiczko's Talking Monument into social and personal testimonies according to their nature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participants’ remarks. Social testimonies mean speaking out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in public, and these remarks became a driving force for social change by practicing democracy. In addition, personal remarks are testimonials to confess one's own wounds which it has been difficult to say about so far. Through this, participants were able to confront individual trauma and find a point to be connected with society again.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 monument, which is a place of remarks and serves as an instrument, played the role of a 'cultural prosthetics' to help the weak to speak. The contemporary public space has been dominated by the history of winners, so the story of marginalized losers is easily excluded and forgotten, but Wodiczko established an counter-monumental strategy to draw the loser's remarks through Talking Monument. Thus, in this study, the author found that Talking Monument contained the diverse voices produced by conflicts and wounds, and presented a space for social transformational action mode.

      • KCI등재

        만삭산모에서 외적 진동성청음자극이 NST에 미치는 영향

        김원회,박정실,하명완,강설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2

        저자는 1988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2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산전진찰을 목적으로 내원한 임신 36주에서 41주까지의 만삭 전후의 건강한 산모 20례를 대상으로 외적 진동성청음자극과 용수자극이 nonstress tes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자극전에 비해 기준태아심박수는 청음자극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나(p$lt;0.001), 용수자극후에는 유의한 증가가 없었다(p=0.083). 2. 기준태아심박수의 최대증가치는 청음자그시와 용수자극후 모두 의의있게 증가하였다.(p$lt;0.01). 3. 태아심박수의 10분당 증가의 빈도는 청음자극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lt;0.001), 청음자극과 용수자극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p=0.127). 4. 태아심박수증가의 평균기간 및 총시간은 자극전에 비해 청음자극 및 용수자극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나(p$lt;0.001),청음자극과 용수자극간의 차이는 적었다.(p$gt;0.01). 5. 청음자극후 10분간의 태동의 횟수는 자극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lt;0.001),청음자극과 용수자극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88). Twenty healthy pregnant women between 36 and 41 weeks of gestational age, who visited out-patients department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 1988 to April 30, 1988, were studied to examine the changes of nonstress test after application of a fetal acoustic stimulator as well as manual stimulu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basal fetal heart rate (FHR)(146.4 ± 6.57 bpm) after acoustic stimulu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manual stimulus (p=0.083). 2. Maximum increase in basal FHR (149.2 ± 7.26 bpm) occurred after acoustic stimulus (p $lt; 0.001). 3. The frequency of FHR acceleration per 10 minu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oustic stimulus (p=0.001),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acoustic and manual stimulus (p=0.127). 4.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duration and total time spent in accelerations after acoustic stimulus as well as manual one (p $lt; 0.001), but less difference between acoustic and manual stimulus (p=0.0487). 5. The frequency of fetal movements per 10 minu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oustic stimulus (p $lt; 0.001),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acoustic stimulus and manual stimulus (p=0.0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