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의 철학에서 죽음과 배움의 관계: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강선보(Kang Sun-Bo),최승현(Choi Seung-H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1

        In the educational exploration of Deleuze, the argument of the apprenticeship takes a central position. If the perfect performance of English conversation and the butterfly skill are the completion of the apprenticeship, then we have the tendency to teach other people. For Deleuze, this way of thought is merely a result as a social oppression. Rather, an authentic apprenticeship is a proposition of ‘the problem.’ However, these levels cannot identify as empirical dimensions since these require a knowledge, a body and an object world as ‘the ideal objects.’ Death has the same problem. In terms of his argument of the time, we cannot experience the death itself. We can catch the meaning wholly, only thinking the death as the event always occurs; in other words it supposes ‘the problem.’ Thus, the apprenticeship and the death have a deep relationship, since the former refer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successively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existential transformation as the end of the formal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this relationship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his apprenticeship deeply;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we found his humanistic aspect. 들뢰즈를 교육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배움에 관한 논의는 그 핵심에 자리한다. 그는 기능이나 인식의 완성 상태에 다다른 것이 배움의 완료요, 이제 이것이 끝났으니 가르침이 시작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사회적 억압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오히려 진정한 배움이란 ‘문제’를 제기하는 일에 있다. 그러나 이 문제제기의 심급은 ‘이념적 객체들’로서 지식, 신체 및 대상을 바라볼 것을 요구하기에 경험적으로 확인 불가능하다. 죽음 또한 그러하다. 그의 시간론에 따르자면 우리는 죽음 자체를 경험해 볼 수 없다. 오히려 늘 벌어지고 있는 사건으로서의 죽음을 사유함으로써만 이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배움은 삶의 매 계기를 통한 인식의 변환을, 죽음은 그 인식의 변환에 잇따른 실존의 변환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관련을 맺는다. 양자의 관계를 이해하는 일은 그의 배움론을 풍요롭게 해주는 동시에, 그간 그의 방대한 사유에서 간과해왔던 인간론을 정초하는 역할을 해낼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 후기철학에 대한 성인 교육적 고찰: 테크네(technē)와 장인(dēmiourgous) 개념을 중심으로

        강선보(Kang, Sun-Bo),장지원(Chang, Chi-W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본 논문은 플라톤 후기철학에 등장하는 요소들을 바탕으로 플라톤의 성인교육론을 정립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플라톤 후기 저작에 등장하는 테크네(technē)는 오늘날 기술(technology)의 어원이 되는 단어로서 성인교육의 발달과 매우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티마이오스와 법률에 등장하는 테크네와 테크네의 주체인 장인(dēmiourgous)을 분석하였으며, 테크네와 장인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장인이 테크네와 인간에 대한 지식(epistēmē)을 터득하도록 하는데 있다고 본다. 이는 성인교육을 단순히 숙련공의 기술 터득이 아닌 완전하고 생산적인 삶을 영위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입장으로 간주하는 버거빈의 견해와 일치하게 된다. 플라톤의 성인교육론은 훌륭한 삶을 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영혼의 성장을 위해 절제를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상기설과 변증법이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al philosophy from the analysis on Plato's later works. The philosophy of Plato has many implication by clarify the meaning of techne, which is the origin of the term 'technology', and Demiourgous, which is the role model of the craft people. By doing this study, we can build the study of Plato's Adult Educati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Plato's Adult Education are as follows 1) The meaning of ‘techne’ is to build the new object by using the material in nature. 'New object' should be a real object in the world, not image. 2) Demiourgos is the subject that using the 'techne' as skills. It is the creator of the Cosmos. It is the role model for the craft people and It always looks for the Idea of Good. 3) The meaning of techne should be understand in the community where producing and exchanging the commodities. The citizen in the polis do his own role both as a craftman and as a political citizen. When the citizen do his own role correctly, he is a good person. It is the meaning of the episteme. 4) Plato is the first well-known philosopher which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Recollection(anamnesis) and Dialectics, which are the educational method for the adult people.

      • KCI등재

        인성교육의 담론으로서의 헤르바르트의 ‘교육하는 수업’ 이론

        강선보(Kang, Sun-Bo),김영래(Kim, Young-Ra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본 논문은 헤르바르트의 일반교육학에 나타난 ‘교육하는 수업’의 이론을 인성교육담론으로 해석하는 논문이다. 헤르바르트에 따르면 수업의 목표는 다면적 흥미를 양성하면서 명료하고 폭넓은 사고권을 형성시키는 데 두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고권은 경험과 교제를 통하여 생성되고 수업을 통하여 정돈되고 확장되는 개인의 관념의 체계이다. 헤르바르트는 도덕성도 또한 사고권이라는 토양에서 자라난다. 왜냐하면 사고권에서 도덕적 통찰이 생겨나며 이러한 도덕적 통찰이 의지와 결합하여 도덕적 성격으로 확립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업과 도덕교육의 불가분의 관계가 드러나며 따라서 헤르바르트의 교육하는 수업의 이론은 지식교육과 인성교육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수업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고 본 논문은 결론짓는다. 특히 헤르바르트가 강조한 다면적 흥미의 양성과 미적 감각의 계발을 통한 도덕성(인성)의 발달은 현대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 논문은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of Herbart’s ‘The Science of Education’ as a theory of ‘Human-Nature Education’. For Herbart the aim of teaching is the development of many sided interest and the cultivation of a clear and wide circle of thought. The circle of thought is an individual system of notions, that is created through experience and intercourse and is arranged and expended through teaching. For Herbart morality is raised also from the circle of thought, because the moral insight arises from the circle of thought, that is established as a moral character through union with will. Therefor we can say that teaching stand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moral education. And to conclude, Herbart’s theory of education in ‘The Science of Edud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theory of ‘Human-Nature Education’, that gives a teaching model that can develope knowledge and human nature in a balanced way. The writer emphasizes that the development of many sided interest and the culture of morality(Human-Na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taste(Geschmack) is still actual for the modern korean education.

      • KCI등재

        노울즈의 성인교육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 교육사상과 실천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노울즈의 성인교육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강선보(Kang Sun-Bo),변정현(Pyun Chong-H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6

          실천적으로 일반화되어 있는 개념인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영역은 성인교육(adult education)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성인교육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심화되고 있기는 하나 학문적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사상과 철학에 관한 논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는 ‘성인’이라는 대상을 학문적으로 인식 및 규명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된다할 수 있다. 성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성인의 학습권(right to learn)을 회복하기 위한 성인교육부문의 사상과 철학에 대한 연구는 성인교육학에 대한 기초적 토양을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BR>  본 논문에서는 성인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고 하나의 학문으로 체계화하는 데에 독보적 기여를 했다는 평을 받고 있는 노울즈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을 비롯하여 성인교육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특히 성인의 학습권에 대한 중요성과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담겨있는 실천적 교육사상인 ‘안드라고지’의 배경과 내용을 중심으로 그 철학적 토대와 실천적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울즈는 성인의 자발성과 주도성에 주목하여 경험을 통해 축적한 지혜들을 주체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의 과정과 방법을 제시하여, 인본주의와 실존주의 및 진보주의적인 교육사상이 어떻게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philosophy from the analysis on Knowles" thoughts and practices of adult education and learning. Lifelong education is practically generalized concept nowadays, and this is developed based on recognition of adult education. However, the concept of adult education is needed growth philosophically and theoritically. Although academic publications about adult education increase constantly, more studies should carry into the publications about thoughts and philosophy those are the academic groundworks in this field of study.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adult’ as an object of academic study. Studying thoughts and philosophy in adult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about ‘adults’ among people and to recover right to learn of adults, offer the academic foundation to andragogy. So Andagogists should review and reflect lots of thoughts and practices of thinkers and performers about adults education.<BR>  This article review and analyze Knowles" thoughts and practices of adult education and learning that is evaluated to build up adult education theory and to systematize andragogy as a science. And this treat Knowles" practical thought of adults education, especially andragogy, and analyz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process of that.<BR>  The result of study, taking notice spontaneousness and directedness of adults, Knowles offers useful and practical process and methods of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life through accumulation of experience. So Knowles" thoughts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practice educational thought of humanism, existentialism and progressivism.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강선보(Kang Sun-B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독일에서 발달된 대학의 연구이념, 영국에서 발달된 대학의 교육이념, 그리고 미국에서 발달된 대학의 사회봉사 이념을 합쳐 이 세 가지 이념을 우리는 흔히 대학의 이념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대학이념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특정 이념이 두드러지게 강조되기도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시대라 하더라도 각 대학이 처한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이념이 적절한 비율 배분으로 조화롭게 조합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지식기반사회가 선호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비추어 볼 때,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개혁의 이념은 수월성의 이념, 다양성의 이념, 자율성의 이념, 개방성의 이념, 전체성의 이념, 인간화의 이념, 계속성의 이념이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BR>  Universities have a key part to play in this new era. They have always been important centers for the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s knowledge and services become more significant products and as the technological underpinnings continually change, universities and their graduates become even more important. But universities also have an international outlook. We know that knowledge has never respected national boundaries. Leading academics have always worked internationally and they will collaborate with the other leaders in their fields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located. Knowledge transcends boundaries and, when the best people work together, knowledge can advance significantly.<BR>  Universities are expected to create knowledge, to improve equity, and to respond to student needs. They are increasingly competing for students, research funds and academic staff. Such changes inevitably create tensions. They need to a creative balance between academic mission and executive capacity, and between financial viability and traditional values. And also government have to balance the encouragement of excellence with the promotion of equity.<BR>  In an increasingly complex and interrelated policy environment, th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have to be established. Th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that we have to pursu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are as follows; idea of excellence, idea of diversity, idea of openness, idea of totality, idea of humanization, and idea of continuity.

      • KCI등재

        니체 자유정신의 교육적 의미

        강선보 ( Sun Bo Kang ),김영래 ( Young Rae Kim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니체에 따르면 태고 이래로 전승되어온 인식문화와 도덕문화 속에는 인간의 지적, 정서적 미성숙과 불완전성에서 기인한 많은 오류들이 섞여있으며, 한 번 생겨난 오류들은 전통이 되어 반복적으로 답습되면서 인간 삶을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오류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인식비판과 도덕비판을 통한 또 한 번의 계몽운동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니체는 주장한다. 니체적 의미의 계몽된 인간인 ‘자유정신’의 소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승의 인식문화와 도덕문화에 맹종하지 않고 이를 엄밀히 재검토하면서 오류들을 극복해 나가야 하며, 이렇게 교정된 인식에 근거하여 자신의 삶의 방향성을 스스로 부여할 수 있는 자주적 역량을 갖춘 인간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니체의 자유정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 숙고한다. 특히 니체가 주장하는 자유정신의 실현을 위한 역량 계발을 ‘역량(competence)중심 인성교육’의 담론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탐색하며, 이러한 역량중심 인성교육이 기존의 인성교육의 논의와 실천에 있어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치덕목중심 인성교육’을 보완 내지는 대체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Nietzsche, many errors from the intellectual and moral immature and incompleteness are intermingled with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and moral culture. These errors, which once appeared, become a tradition and are repeated as a dominant factor of human life. Nietzsche insisted that we need a enlightenment movement through a fundamental criticism of knowledge and morality once more in order to escape from these errors. An enlightened human being in the sense of Nietzsche is an owner of a free mind. He should not adapt himself to the epistemic and moral culture of forefathers. He has to examine and overcome the errors and become a man of independent competence, who can decide on the orientation of his own life. This article interpret the Nietzschean concept of man as a theoretical basis of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discuss on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such education,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the virtue-based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been the main stream in the discussion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until now. In conclusion, this article insists that a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is fitter for the demand of this age and that this type of education has to complete or replace the older type of virtue-based character education.

      • 「만남」의 교육가 김교신: 부버의 「만남」의 교육철학에 토대한 김교신 해석

        강선보 ( Sun-bo Kang ) 한국인성감성교육학회 2019 인성·감성교육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부버의 교육철학에 토대하여 김교신을 해석해 보고자하였다. 그 결과, 부버철학에 부합되는 김교신의 특질을 1)인격적 감화를 통한 사람됨의 교육, 2)구도적 동반자를 자임한 스승, 3)종교적 평화주의자로서의 피스메이커, 4)독특함을 강조한 개성 교육, 5)비에로스적인 교육의 구현, 6)세계자체가 교육의 마당, 7) 「영원한 너」로의 인도자, 8) 아가페적 사랑의 실천의 8가지로 해석해 보았다. 그는 암울했던 일제하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제자들을 교육하였다. 즉 사제 간의 인격적 교감을 통해 「나-너」의 「만남」의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제자들이 대오각성하고 새로운 삶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현대 사회 및 학교에서의 비인간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는 특히 인간화 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간의 참된 관계 확립이 문제해결의 실마리라고 본다. 그래서 인간화 교육을 위한 인간주의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것은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즉 인격적 만남이다. 김교신은 부버가 지적한대로, 자신의 교과에 정통하였고, 인간적인 품성을 지녔으며, 가르치고자 하는 바를 풍부한 인간적 활동을 통해 나타내 보이면서 제자들과 인격적 교감을 나누었다. 이러한 근거로 우리는 김교신을 「만남」의 교육가라고 칭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educator Kim, Gyosin from the perspective of Martin Buber's Philosophy of 'meeting'. Kim, Gyosin educated students by his own education method. That is the education through the personal 'meeting' of 'I' and 'Thou'. Many disciples of him changed to 'new' people because of his genuine education. In modern society we have been trying to overcome many dehumanization problems. We, however, can find the solution through pursuing the relation of 'I-Thou'. Kim, Gyosin, he knew well of the subject, had good character and had the genuine relation of 'I-Thou' with students. We can call him as the genuine educator of the relation of 'I-Thou' on the basis of these things.

      • KCI등재후보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형성배경

        강선보(Kang Sun-Bo),김희선(Kim Hee-S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5 敎育問題硏究 Vol.0 No.2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roots of Johann Amos Comenius(1592-1670)'s educational thought. The 17th century was a period of both great disorders and dramatical reforms.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is century became the background of Comenius's thought. He called his philosophical system Pansophy, a system which strived to integrate all knowledge for the betterment of mankind. It was a kind of an encyclopaedia, an integration of all knowledge that would combine everything that was necessary for a better life for all people. Most of all, the Unity of Brethren had a profound impact on Comenius Pansophy. Comenius was born in Moravia. He was Protestants and belonged either to the Unity of Brethren, a church founded on the principles laid down by John Huss. Comenius obeyed the percepts of the Unity of Brethren, the ideals and teachings of anti-dogmatical realign and morality. And the percepts were his educational aims and values. Second, Protestantism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Comenius's Pansophy. Luther and Calvin insisted that education was a universal subject and so all man had to have a primary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in Protestantism laid in the human reason to understand Bible, the Word. Comenius als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all Protestant to know all knowledge(Pampaedia) and he believed that the foundation of that education was Bible. Thir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Humanism also reflected Comenius's thought. The education of the 15-16th century European Humanistic tradition get intoCiceronianism, Verbalism. But also, Humanism made a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al reform to the new discovery of human, humanistic method of discipline, various curriculum and methodology of education. And this special features of humanism made Comenius to approach the more professional subject of education to reform the school system and curriculum. Fourth, Realism also great impression on Comenius thought. In Herborn, Comenius began to form his sensual realism. There were universities where Protestants could study and it was there that Comenius met figures who were influencing the 17th century scientific,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 Johann Heinrich Alsted, Wolfgang Ratke, and Francis Bacon. All of whom had a profound impact on Comenius's great emphasis on sense perception. Yet, ultimately the emphasis was to grow people to the children of God. After all, His complex philosophical underpinnings would get him to develop his ideas, which he would work into a system of philosophy of education, Pansophy. Comenius tried to emphasize Pansophy not to include only factual knowledge but an introduction into the knowledge about the whole world, Nature-Man-God. And his life, practice also come to be the critical factor that his thought had a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world stage. 17세기는 혼란의 시기임과 동시에 변화의 시기였으며, 이러한 시대적 특징은 코메니우스(J. A. Comenius) 사상의 배경을 이루었다. 무엇보다 코메니우스 사상의 기저는 기독교 신앙이었고, 형제단 교회의 비교조적인 종교적.도덕적 이상과 가르침에 따라 교육의 목적과 가치를 설정해 나갔다. 여기에 더해 그는 종교 개혁기를 대표하는 여러 사상가들의 영향에 힘입어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발달을 보장할 교육 토대에 대한 새롭고도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문주의 사상가들의 영향과 교사와 학교 운영자로서의 개인적 경험에서 학교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상의 개혁에 대한 문제들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의 시대의 과학발전을 반영한 교육의 실재주의적 흐름 속에서 교육방법의 혁신적 원칙들을 얻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론적 흐름은 코메니우스 사상의 바탕을 형성하여 그의 범지학(Pansophy)과 범교육(Pampaedia)의 성립과 실천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코메니우스의 범지학 체계는 이론적 종합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실천적 교육가이었기에 생명력 있는 실천적 체험의 산물들이 더해져, 후대의 교육 개혁가들에게 더욱 설득력을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들뢰즈의 배움론: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강선보(Kang, Sun-Bo),최승현(Choi, Seung-H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This study examines the pedagogical meaning of Deleuze's Apprenticeship. His Apprenticeship stresses the process of learning itself and includes the unconscious physical habits and deepens the problem of life(un vie) in terms of contemporary time theory. The beginning point of his Apprenticeship is the reversed Idée. In The Order of Things (Les mots et les choses: une archéologie des seiences humaines, 1966), Michel Foucault argues that the singular position of the human sciences(sciènces humaines) which make the crack between natural seiences(physics, mathematics etc), human-related sciences(linguistics, economics and distribution of labor) and reflective philosophy. Deleuze utilizes these scheme for his own virtuality(virtualité) as Foucault's logic. Then, Deleuze's apprenticeship is identified the practical example in the Olsson's “OHP machine pragram”(2009). In the educational program, children think how to play OHP machine freely and create their own story. Throughout these process, researchers find the possibility that receptible for Deleuze's thought into Education. Consequently, His apprenticeship give two indications. First, his apprenticeship requires that the composition of education needs to move from nature-nurture(traditional learning) to plane of consistence(plan de consistence, 混淆面). Second, It requires that structural analysis to the contemporary learning-economy. 후기구조주의는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열었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기존 사유의 한계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퇴락한 담론이라는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교육학에서 후기구조주의에 대한 평가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서의 교육에 관한 산발적인 논의를 기호의 배움론으로 재구성하였다. 그의 배움론은 무의식적 과정을 포함하는 기호의 배움론이자 신체를 포괄하는 배움론으로 궁극적인 목적은 새로운 삶의 창조에 있다. 잠재성을 바탕으로 하는 이 배움론은 기존의 ‘본성과 수업’이라는 교육학의 논쟁구도를 ‘혼효면(混淆面)’의 장으로 옮길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그의 배움론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더불어 ‘사이’를 사유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교육학이 행해오던 작업에 대한 문제제기적, 반성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KCI등재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강선보(Kang Sun-Bo),박의수(Park Eui-Soo),김귀성(Kim Gui-Sung),송순재(Song Sun-Jae),정윤경(Chung Yun-Kyoung),김영래(Kim Young-Rae),고미숙(Ko Mi-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0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은 현재 거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인성의 개념이 올바로 정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서양의 인성개념에 대한 철학적, 종교적 탐구를 바탕으로 하여 21세기 인간 삶의 상황을 고려한 인성의 개념을 새롭게 구상하고, 21세기형 인성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인성에 대한 이해는 다양하지만, 인성이라는 것은 인간이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인 인간다운 성품, 인간본연의 모습이다. 우리는 인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전통철학과 종교적 관점으로부터는 특히 초월성의 전망과 내면적인 변화를, 서양 철학의 현대적 관점으로부터는 특히 관계성과 전인의 측면을 추출해낼 수 있다. 21세기형 인성은 관계성, 도덕성, 전일성, 영성, 생명성, 창의성, 민주시민성을 두루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상호 연관적으로 조화롭게 발달되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21세기형 인성교육은 파편적이고 표피적인 측면에서 이해될 것이 아니라 본래의 마음을 회복하고자 하는 내면으로부터의 근본적인 변화에 근거해야 한다. 본 논문은 또한 21세기형 인성교육의 주요방향, 내용과 방법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tries to gain deeper understandings of human nature through investigating Oriental and Western notion for human nature in terms of historical, philosophical,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s; critically assesses the existing notion of human na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ries to find an appropriate meaning of the 21st century human nature; establishes the valid direction of education for human nature. This study deals with Confucius, Buddhist, Christian and Taoist understandings of the notion of human nature from the religious angle. The study also investigates both ancient and modern conception of human nature in terms of philosophical perspective. We can learn the aspect of transcendentality and the internal change of human being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uman nature from religious standpoint. And, we can obtain the aspect of relationship and wholeness from modern standpoint. The meaning of human nature is a truly human character which a human being must attain. The components of 21st century human nature are this: relationship, morality, wholeness, spirituality, life and creativity. The 21st century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is an intentional effort trying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human nature fully to form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