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PE 참여자의 사회인지이론기반 변인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강미연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SNPE 참여자의 사회인지이론 기반 변인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운동처방 및 건강운동관리 전공 / SNPE 트랙 강미연 본 연구는 SNPE 참여자를 분류하여 SNPE 자격과 SNPE 운동변화단계에 따 른 SNPE 도구 사용 및 운동시간, 사회인지이론 기반 변인과 회복탄력성과의 차 이 및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SNPE 참여자는 자격에 따라 일반회 원, 예비지도자, 지도자로 분류하고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관심·준비단계, 행동단 계, 유지단계로 분류하였다. 사회인지이론요인인 의사결정균형, 운동방해요인, 자 기효능감을 체육전문가와 SNPE 지도자와의 회의를 통해 SNPE의사결정균형, SNPE 운동방해요인, SNPE 자기효능감으로 수정·보완 후 각 집단간의 비교를 통해 SNPE 운동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SNPE 자격과 운동변화 단계에 따라 회 복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질문지를 선정하고 체육전문가 와 SNPE 지도자와의 회의를 통해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보안 하여 사용 하였다. 사용된 질문지의 구성은 SNPE 운동변화단계 및 SNPE History 11문항, SNPE FITT(ACSM, NSCA기반) 33문항, SNPE 의사결정균형 15문항, SNPE 운동방 해요인 24문항, SNPE 자기효능감 12문항, 회복탄력성 53문항, 삶의 만족도 5문 항, 운동 자기효능감 5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9문항, 총 167문항으로 구성하였 다. 이를 2023년 7월부터 10월까지 SOFTWARE SURVEY MATRIX(ThinkTree, 2023)를 이용하여 질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SNPE 자격과 SNPE 운동변화단계 집 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Mann Whitney U 검정과 Kruskal Wallis H 검정을 실 시하였고, 사후분석은 Bonferroni를 활용하였다. 각 변인의 상관관계는 Spearman rho를 계산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으로 설정하였고, 자료 처리는 EXCEL (MSsoft,) 와 IBM SPSS 28.0 (Chicago, IL)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SNPE 자격별(지도자, 예비지도 자, 일반회원)에 따른 사회인지이론 기반 변인 간의 사후분석 결과 불이익에 서는 SNPE 지도자, SNPE 예비지도자가 일반 SNPE 회원 보다 높게 나타났다. SNPE 자기효능감에서는 SNPE 운동변화단계(관심·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 단계) 세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관 심·준비단계 와 행동단계에 비해 유지단계 집단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다. SNPE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집단 간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 결과는 회복탄력성 전체와 회복탄력성 자기조절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점수는 관심·준비단계보다 행동단계에서 높 게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자기조절능력에서는 관심·준비단계보다 행동단계 에서 높게 나타났다. SNPE 자격에 따른 집단 간 도구사용량 차이 분석 결과는 족궁 보조구 미착 용 후 걷기 총 운동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도구사용 및 운동 시간의 경우 집 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제언점으로 표본 모집 과정에서 SNPE를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환 경에 놓인 참여자 위주로 구성되어 SNPE 운동변화단계 중 유지단계에 편항되 게 모집되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SNPE 무경험자 등 운동변화단계 분포 를 고려하여 보편적인 결과를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 에게 필요한 신체활동과 운동변화의 통해 SNPE 참여를 권장하는 바이다. 주요어: 운동변화단계, 바른자세척추운동 도구사용,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운동방해요인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rrelation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Social Cognitive Theory-based Variables and Resilience in SNPE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participants depending on classification levels and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SEBC). SNP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general members, prospective instructors, and instructors based on their certification levels as well as Contemplation & Preparation, Action,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SEBC. Social cognitive theory-based variables were including decision balance, exercise barriers, and Self-Efficacy, and those variables were modified into fitting in SNPE.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1 questions about SNPE SEBC and SNPE History, 33 questions about SNPE FITT(ACSM,NSCA-based), 15 questions about SNPE decision balance, 24 questions about SNPE exercise barriers, 12 questions about SNPE Self-Efficacy, 53 questions about resilience, 5 questions about quality of life, 5 questions about Exercise self-efficacy and 9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consisted of 167 questions in total. All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OFTWARE SURVEY MATRIX (ThinkTree, 2023) from July to October 2023.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Mann Whitney U test and Kruskal Wallis H test were employed to examine differences of variables among the SNPE certification groups. When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s, Bonferroni technique was applied for post-hoc analysis. Spearman rho was calcul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05, and EXCEL (MSsoft,) and IBM SPSS 28.0 (Chicago, IL) were utilized. Research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ocial Cognitive Theory based variables according to SNPE certification levels (instructors, prospective instructors, and general members), SNPE instructors and SNPE prospective instructors revealed higher decision balance disadvantage than general SNPE members. It also showed a higher difference in the Maintenance stage group compared to the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and the action stage. 2) In SNPE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SNPE SEBC (Contemplation & Preparation, Action, and Maintenance stages). 3) Resilience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SNPE SEBC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resilience and resilience self-control ability. In detail, the overall resilience was higher in the action stage than in the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and self-control ability were higher in the action stage than in the contemplation & preparation stage. 4) SNPE certification leve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ool-use and exercise time, excluding the total exercise time for walking without SNPE shoe ensole. There w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which was a sampling bias of experienced SNPE participants.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been participating in SNPE regularly longer than 6 months. In future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ily considered to include the wide range of the SNPE experience, especially novice. Finally, it encourages to develop a individualized SNPE program depend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exercise behavior changes.

      • 온실가스 환경영향평가 방법 연구 : 고속도로 건설사례를 중심으로

        강미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는 IPCC 보고서와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홍수, 가뭄, 이상기후 등 위기상황을 초래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되었고, 개별 국가에서는 적응 및 완화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정책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적 계획으로서도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으며, 개정된 환경영향평가법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대해 온실가스 항목을 추가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시 도로사업에서 적용 가능한 온실가스 항목의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온실가스 중 사업특성과 관련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만 대상으로 하였다. 환경영향평가에서 온실가스 항목을 평가시 계획노선 및 주변지역을 평가대상지역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현황조사에서는 대상 사업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사업을 대상으로 한 원단위 파악, 환경보전대책의 조사,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설비기기의 이용여부 등을 수행한다. 사업시행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원으로는 공사 시 건설장비 사용 및 재료 사용, 운영 시 시설물의 운영으로 인한 에너지 사용과 운행 차량이 있다. 공사 시 배출량 산정을 위해 건설장비 및 재료에 대해 2006 IPCC 가이드라인과 탄소배출계수를 활용하였으며, 운영 시는 차종분류 기준에 따라 국립환경연구원(2001)에서 발표한 배출계수 및 교통수요 예측 결과를 이용하였다. 단,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세부사항까지 수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시설물 혹은 공정에 대한 원단위 배출량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공사 시 저감방안으로는 에너지 사용량 저감, 저탄소 에너지 사용, 저탄소 재료 사용 등이 있으며, 운영 시는 교통 효율화, 신재생에너지 사용 및 에너지 고효율 시설 설치, 탄소흡수원의 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원단위를 이용하여 시범구간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본 결과, 공사 시 원단위의 경우 교량구간이 가장 높았으나 당해 고속도로의 입지상 터널구간 연장으로 인해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운영 시는 운행차량으로 인한 배출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배출량이 가장 높은 시설물은 터널이었다. 공사 시 원단위 배출량이 높은 공정을 실시하는 구간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저감방안이지만 환경영향평가 절차상 입지에 대한 재검토나 변경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도로 입지 대안별 비교·분석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가 높은 공종을 줄일 수 있도록 검토하는 보완책이 필요하다. 또한 운영 시 운행차량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하나 차량은 통제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환경영향평가시 이에 대한 저감방안을 수립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감축이 어려운 경우에는 탄소흡수원의 확보를 통해 상쇄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현장에서 공법 별 비교·분석을 통해 저탄소 공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링 등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산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항목을 평가시 재료 등에 관한 전과정 평가를 함께 고려하는 것을 제안한다.

      • 음악극 제작 동아리 활동이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강미연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지만 또래들과 친구관계를 맺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음악극 제작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장애학생은 경기도 소재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남학생이다. 동아리 활동 시간은 10시간이며 2시간씩 격주로 진행되었다. 동아리원은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5·6학년 학생 총 21명이었다. 음악극 제작 동아리 활동 내용은 월드비전 단체에서 주관하는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에 참여하기 위해 음악극을 공동으로 기획하는 것이다 종속변인은 친구관계로, 친구관계 질 척도 검사, 또래지명검사, 면담, 접촉빈도 관찰기록표, 소감문과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장애학생은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의 질이 향상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장애학생은 같은 동아리원인 또래 남학생과 접촉 빈도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관계의 성숙도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비장애학생간의 관계의 성숙과 확장도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는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발표에 이르기까지 학생중심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성피해 유형별 성 통념과 성피해 귀인 간의 관계

        강미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피해를 경험한 피해자들은 성피해의 원인을 가해자에게 돌리기보다 자기 자신에게 돌림으로써 더 많은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귀인 양식의 바탕에는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되어, 내면화된 성통념 양식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성통념은 성피해를 입은 피해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에 의한 2차 피해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피해를 보고하지 못하도록 하며, 스스로를 비난하는 양식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피해를 경험한 피해자의 심리적인 후유증의 주요 변인인 성피해 귀인 양식이 성통념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느냐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성적 추행을 경험한 피해자와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의 성통념 및 성피해 귀인양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성적 추행을 경험한 피해자와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의 성통념과 성피해 귀인 양식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성통념의 하위 요인들 중 성피해 귀인 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아, 성피해를 경험한 피해자의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의 여대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부하고 회수된 297부 중, 성피해의 경험이 있는 74명의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처리에는 대상자의 성피해 경험과 성통념, 성피해 귀인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성적 추행을 경험한 피해자보다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의 성통념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또한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성적 추행을 경험한 피해자보다 성피해 귀인 양식에서 자기귀인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타인귀인 점수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 추행의 경험과 성피해 귀인 요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상황적 자기귀인, 기질적 자기귀인, 우연/일반적 자기 귀인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상황적 타인귀인과 기질적 타인귀인 간에서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성적 추행의 경험과 성통념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성폭력의 경험의 경우는 성통념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통념의 하위 요인별로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비일반적 피해자’, ‘여성 행동에 대한 오해’, ‘성피해에 대한 허위 조작’ 요인이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성피해 귀인 간에서도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는데, 상황적 자기 귀인, 기질적 자기 귀인, 우연/일반적 자기 귀인에서 모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성통념의 하위 요인 중 성피해 귀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 본 결과, ‘강간의 불가능성과 피해자 책임’을 수용할수록 자기 귀인 점수는 내려가고, ‘성피해에 대한 허위 조작’과 ‘문화적 통념’을 수용할수록 자기 귀인 점수가 올라갔다. 결론적으로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타인 귀인 점수보다 자기 귀인 점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성폭력의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 돌리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자기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성통념의 요인으로는 ‘비일반적 피해자’, ‘여성행동에 대한 오해’, ‘성피해에 대한 허위 조작’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s attribute the responsibility to themselves instead of an offender. The attributions have the sex-related belief which is built up by social-culture and inhered. These sex-related belief result not only second harms to the survivors by societal perspective but also blame themselves and make them not to report their experience. This study was planed and performed to make clear some researchable questions. First, how do the sex-related belief factors influence the sexual violence attribution styles? Second, What is different the sex-related belief and the sexual violence attribution between sexual harm and violence? Third, how is the relationship the sex-related belief and the sexual violence attribution in sexual harm and violence? For these question, University students who lived in GyeongGi-Do were participated. All of them were women.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nalyzed 74 after make an exception of no experience sexual viol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had high sex-related belief and the self-attribution compare to the survivors of sexual harm. In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Other-Attribution between them.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related belief and sexual harm, the sexual violence attribution especially Situational Self-Attribution, Dispositional Self-Attribution, Random/Global Self-Attribution,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Situational Other-Attribution and Dispositional Other-Attributio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didn't show between sexual harm and sex-related belief. In the sexual violence cas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x-related belief such as the Unusual Victims, the Misunderstanding of Women's Attitude, and the Manufactured Sexual Harm. And also,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xual violence attribution: Situational Self-Attribution, Dispositional Self-Attribution, Random/Global Self-Attribution. Third, as accept the Impossible Rape and the Responsible Victim which are factors in the sex-related belief, the Self-Attribution declined. And as accept the Manufactured Sexual Harm and the Cultural Thought, the Self-Attribution increased. Base on the study stated as above, it shows that the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tend to blame themselves thereby attributing the responsibility to themselves. And the main factors of the sex-related belief which influence the Self-Attribution are the Unusual Victims, the Misunderstanding of Women's Attitude, and the Manufactured Sexual Harm. Finally, the limitations this study and the theme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로버트 글래스퍼의 크로스오버적인 음악어법 연구

        강미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현대의 재즈 신과 대중음악계는 빠른 변화의 과정 중에 있다. 음악 장르 간의 크로스오버 시도는 그 경계를 넘나들며 끊임없이 진화하 고 있으며, 그러한 움직임은 기존의 음악들과의 차별성을 두고 새로운 장 르의 음악을 만드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1970년대 퓨전 재즈를 시작으로 재즈는 락, 힙합, 알앤비, 소울 등 대중음악의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시켜 동 시대의 사운드를 모색하며 발전해 왔으며 그러한 시도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재즈 피아니스트 로버트 글래스퍼는 재즈와 힙합, 알앤비를 결합한 크로스오버 앨범으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재즈 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재즈와 대중음악의 장르 크로스오버에 대한 개념을 알 아보고 그 융합의 시도로 만들어진 새로운 장르들의 특징들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나아가 재즈와 대중음악의 성공적인 크로스오버의 결과를 보 여주고 있는 로버트 글래스퍼의 음악적 생애와 배경, 작품,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의 음악적 어법을 분석하였다. 그의 음악 중 크로스오 버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5곡의 작품을 선정하여 형식, 선율, 화성, 리듬과 더불어 악기 구성, 보이싱, 연주 기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통해 그가 서로 다른 장르의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융합하였는지 연구하였다. 로버트 글래스퍼의 작품 분석을 통해서 그의 크로스오버적인 음악 어 법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보고 그 연구가 새로운 사운드를 찾고 있 는 재즈 아티스트들 뿐만 아니라 대중음악 전반에 걸친 장르 크로스오버 현상에 발맞춰 가려는 모든 음악가들에게 실질적인 활용을 통해 도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재즈피아노, 크로스오버, 퓨전음악, 음악어법, 재즈힙합, 네오소울 Today, modern jazz and pop music are among the processes of rapid change. The crossover attempts between the genre of music are constantly evolving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genre, and such moves make it an effective device to draw new genres of music. Starting with fusion jazz in the 1970s, jazz has developed contemporary music by modern sense of combining popular music such as rock, hip-hop, R&B, soul music. While those attempts continue to follow, the jazz piano player Robert Glasper presented a new direction for jazz by winning Grammy as a crossover album combining jazz and hip hop, R&B. In this thesis, we explored the concepts of genre crossover in jazz and pop music and analyzed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res created by fusion. In addition, Investigate career,background, works, and musical features of Robert who show the successful crossover of jazz and pop music, and analyzed his musical style and skills. Among his music, I selected five piece of work that clearly has a crossover pattern and explored how he arranged and merged the elements of different genres with the overall analysis of musical form, melody, harmony, rhythm, etc. Through analyzing Robert Glasper’s work, I explored how his crossover music techniques were made. I hope that the study can be helpful not only jazz artists who looking for a new sound but also all the musicians who adheres to the crossover concept across popular music. keyword: Jazz Piano, Crossover, Fusion Music, Musical Language, Jazz Hiphop, Neo-soul

      •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미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iscussion about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improvement. The following study issues were set for the objective. To achieve these goals,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ings: First, What effects do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have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Second, What effects do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writing ability? This study focused on 52 young children, who are four years old and attend 'S'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26 children from 2 classes of kindergarten were sampled respectively, who were born around the same time and whose ratio of gender were balance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for children's reading ability revised by myself and complemented by Ok Bun Kim(1994),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Hae Kyung Park(1988) in her research of Letter Guide for Preschool Children, was used as a reading research tool, and the evaluation for children's writing ability adapted and used by Eun Soon Hwang(2010), which was Hilsreth(1963) and SchicKedanz(1983)'s 'writing development stage', was used as a writing research tool. This study was arranged in order : select a picture book, preliminary experiment, pre-test, and total 40 experiments(5 times per week for 8 weeks). Application effects have been obtained by t-testing the average of the prior and ex post facto tests on reading writing abilit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ability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was more improved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effects than the comparison group, on 'written perception', 'word comprehension', 'sentence comprehension', which are sub-factors of the children's reading ability test. Second, The writing ability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was more improved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and the book lending program connected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s designed to help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f children. 본 연구는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교수방법을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 모색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그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에 미치는가?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 만 4세반 2학급 실험집단 26명(남아, 여아), 비교집단 26명(남아, 여아)의 유아 총 52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 간의 연령, 거주 지역,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유사하고, 유아의 읽기, 쓰기 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 도구는 유아의 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시각변별, 문자지각, 의미이해의 읽기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박혜경(1988)이 취학전 유아의 문자지도에 관한 연구에서 개발한 읽기 검사(가형)의 문항을 김옥분(1994)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쓰기능력 검사는 Hilsreth(1963)와 Schickedanz 등(1983)의 쓰기 발달 단계에 기초하여 이영자와 이종숙(1985)이 수정 보완한 쓰기발달 도구를 황은순(2010)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절차는 동화선정,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 졌다. 실험집단은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비교집단은 도서대여와 연계한 총체적 언어활동을 총 8주 동안 주 5회씩 총 40회 실시 하였다. 도서대여를 활용한 균형적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대여를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총체적 언어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읽기 능력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도서대여와 연계한 총체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읽기능력 검사의 하위요인 중 ‘시각변별’을 제외한 ‘문자지각’, ‘낱말이해’, ‘문장이해’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도서대여를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총체적 언어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쓰기능력 비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쓰기능력이 비교집단의 쓰기능력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도서대여와 연결한 총체적 언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한글은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문학적인 접근과 함께 문해에 대한 기술, 즉 자 ․ 모음의 조합과 획순, 올바른 발음, 부호 등을 알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유아의 흥미에 기초해 제시한 교육방법이 실시되었을때 좀 더 효과적인 접근법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도서대여와 연계한 균형적 언어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수방법의 하나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해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 安東 地域 高等學校 國史授業에서의 地域 文化遺産 活用 方案

        강미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ach local community holds an amount of cultural assets much more than local resident estimate. However, not to mention the people at large, even experts does not exactly understand the class, location, and contents of cultural assets. Beyond simple utilizing of widespread knowledge about cultural assets, we should make the best use of cultural assets to our real life with taking an active interest in cultural assets which a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e should do is to complete right historical knowledge by supplementing insufficient text-book description about local history and understanding local community through history education. A local history is more useful than a national history in terms of revitalization of history education since local history offer direct identify of the history by permitting a filed study and make it easy to utilize various type of data. A history education which utilize cultural assets that include local history and culture can increase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have interest in what had happened in their living space. The methods which utilize local cultural assets to class consist of experience learning of filed, tour learning of museum, and utilizing learning of ICT. If we utilize these methods actively in history class, beyond memory-type history class which engrosses rote learning of history knowledge, we may offer historical material to students and student think themselves. Then, with this process, student may deepen historical understanding. Moreover, it’s a meaningful work that makes students to elevate themselves historical behavior and capability. 각 지역 사회는 지역민이 인지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은 물론이고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조차 문화유산의 자세한 종류와 위치, 내용을 모두 파악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는 단순히 문화유산의 위치나 종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넘어서 지역에 산재해 있는 문화유산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현행 교과서의 지역사에 대한 부족한 서술을 보완하고, 역사 수업을 통해 지역사를 이해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올바른 역사 인식을 완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사가 국가사에 비해 역사 교육의 활성화 측면에서 유용한 점은 현장 답사를 통해 역사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 유형의 자료를 활용하기 쉽다는 것이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있는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 교육은 자신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일어났던 일에 많은 흥미를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문화유산을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에는 현장 체험 학습, 박물관 견학 학습, ICT 활용 학습 등이 있다. 이런 방법을 국사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단순히 역사 지식만 외우기에 급급한 암기식 역사 수업을 넘어서 학생들에게 사료를 제공하고 학생 스스로가 사고하며, 그 과정 속에서 역사적 이해를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역사적 태도와 역사적 탐구 능력을 신장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원전 형상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발전소 구조물, 계통, 기기별 중요도 평가

        강미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상관리는 1950년대 미 국방성에서 시작되어 군수, 항공우주, 소프트웨어, 건설, 토목 등의 분야를 거쳐 원전산업에 적용되기 시작했으나, 국내의 경우 2006년을 시작으로 일부 계통에만 국한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원전 형상관리 연구가 활발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프로젝트에 적용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상관리를 활용하고 있는 6개 산업 (군수, 항공우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건설(건축/교통), 원전)에서 형상관리 활용목적, 관리기법, 생애주기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원전 형상관리 Framework 요소를 도출하여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형상관리기법/생애주기단계별 형상관리 기능리스트를 작성하여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형상관리기법별 평가요소를 도출하여 발전소의 구조물, 계통, 기기 (SSCs) 중 계통 Level 1을 기준으로 중요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도 평가를 통해 원전 형상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실제 원전 프로젝트에 형상관리를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형상관리를 적용하여야하는 계통 (System)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형상관리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모든 Level의 구조물, 계통, 기기 (SSCs) 및 생애주기, 형상관리기법 3축에 대한 구체화된 평가요소를 도출하여 상세한 중요도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좀 더 체계적인 형상관리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1950s, configuration Management (CM) was started by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DOD). Later, it has begun to be applied in aerospace, software,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nuclear power industry. In Korean nuclear industry, configuration management was first utilized in 2006. However, configuration management (CM) is in its conceptual stage in Korean nuclear industry because of ambiguous CM meaning, lack of CM professional manpower, non-computerization, inadequacy of CM procedures and processe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s, six industries (defense, aerospace, software, engineering,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nuclear power industry) that utilize configuration management (CM) compared and analyzed from CM purpose, technique, lifecycle perspectives. By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developed a framework of configuration management (CM) for the nuclear industry. And also, CM activity lists of lifecycle stages and function lists of CM techniques are developed for clarifying CM framework in nuclear industry. Finally, by expert interview, this paper proposed importance evaluation of facility structures, systems, components (SSCs) based on CM techniques. This evaluation results will provide SSCs priorities and guidelines for conducting CM in nuclear power plant projects.

      • 지역 문예회관 운영활성화에 관한 연구 : 천안예술의전당 프로그래밍 전략을 중심으로

        강미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1988년부터 1997년까지 10년 동안의 고도성장 시기에 시민들의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각 지자체별로 하드웨어 건립 경쟁에 나선 결과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260개가 넘는 문예회관이 운영 중이다. 이처럼 지역의 문예회관이 다수 건립되면서 운영에 대해 경쟁구도가 생기기 시작했고, 점차 문화시설의 건립보다는 운영에 더욱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얼마나 크게 그리고 얼마나 많이 짓느냐보다 얼마나 제대로 운영되고 있느냐가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건립되어 운영 중인 문화시설이 지역민들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문화시설 간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차별화 운영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문예회관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공간은 공연장으로, 공연장 운영 활성화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은 프로그램을 꼽을 수 있다. 공연장에서 프로그램은 관객들에게 제공되는 모든 공연을 포함하며 가장 크고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문예회관이 공연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전략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예회관 및 공공 공연장 등의 활성화 방안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전에 다양하게 있지만 중·장기적인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는 연구들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재 5~10년 이상 운영 중인 문예회관이 중·장기적 운영 활성화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사를 통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공연장의 중·장기적인 운영 활성화 계획 시 프로그램 전략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조사 대상 공연장의 기본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연구 대상 공연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연구 대상 공연장의 10년 동안의 프로그램 현황 및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번째 조사에서는 전체 프로그램 중 기획사업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기본현황 및 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통해 공연장 활성화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슈를 도출해 내용을 정리하였고 이슈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획공연과 대관공연의 공연 비중의 적절성 둘째, 기획공연사업의 기본방향 설정의 필요성 셋째, 공연장을 대표할 만한 대표 브랜드 사업 개발의 필요성, 넷째 각 공간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이슈에 대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각 이슈에 대해 기획공연과 대관공연의 전략적 결합과 기획공연 사업의 차별적인 포지셔닝과 지속성, 시즌운영 및 엔진 프로그램 개발, 베뉴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하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장의 운영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래밍의 분석을 통해 지역 문예회관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끌어내고 중·장기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또한 향후 지역 문예회관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적 계획 시에 참고할만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만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중심으로 운영을 활성화 해야하는 필요성을 연구의 배경으로 하였기 때문에 자세한 프로그래밍 현황분석을 위해 연구의 대상을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범위 및 대상을 확대하고, 프로그래밍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 문예회관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적 계획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uring the decade of rapid growth from 1988 to 1997, as citizens' desire for cultural life increased, each local government competed to build hardware. As a result, more than 260 cultural centers are currently operating in Korea.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many cultural centers in the region, competition began to aris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operation of cultural facilities than to the establishment of them. Rather than how big and how many are built, it is important that it is being operated properly. It suggests that the cultural facilities currently built and operated not only satisfy the cultural needs of local residents, but also require a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that can give them an edge in competition among cultural facilities. The most central space of the cultural center is the performance hall, and it is the program tha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vitalization of the performance hall operation. This is because the program in the concert hall includes all the performances offered to the audience and occupies the largest and most important part.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program strategy so that the currently operating cultural center can refer to mid- to long-term plans for revitalizing the performance hall.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vitalization plans for cultural center and public performance halls, studies that can be referred to for mid- to long-term planning are somewhat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ference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planning for mid- to long-term vitalization of cultural center that have been in operation for more than 5 to 10 years. Through the following survey, the contents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when plann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hall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were summarized. The first, by examining the basic status of the target performance hall, we tri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performance hall. The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programs for 10 years in the study venues were examined for program trends. The third, the current status was grasped by subdividing and analyz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lanning project among the entire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asic status and program status, issues expected to have an impact on the vitalization of the performance hall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were organized, and the issues were as follows. The issues are : fir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o of planned performances and rental performances, second, the need to set the basic direction of the planned performance business, third, the need to develop a representative brand business that can represent the performance hall, and fourth, the identity of each space. In this study, in order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above issues,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It is an activation plan based on the strategic combination of planned performances and rental performances, differentiated positioning and continuity of the planned performance business, season operation and engin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venue. This study aimed to draw out the limitations of local cultural center through the analysis of programming that affects the vitalization of the operation of performance halls, and derive an operating plan that can be revitalized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in mid- to long-term plans for revitalizing the operation of local cultural center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need to revitalize operation centered on programming,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for detailed programming status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subject of research through follow-up studies, and to conduct various studies for mid- to long-term plans to revitalize the operation of local cultural center through more diversified analysis of programming.

      • Program Annotation :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23 f minor, op 57, R. Schumann Kreisleriana op.16, S. Prokofiev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1

        강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인 「L.V.Beethoven Piano sonata no.23 f minor, op 57」, 「R.Schumann Kreisleriana op.16」, 「S.Prokofiev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1」에 대해 작곡가 및 작품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Piano sonata no.23 in f minor, op.57은 세 악장으로 이루어진 고전 시대의 피아노 소나타로 제1악장은 Allegro assai의 소나타 형식으로 이루어진 f minor 곡이다. 제2악장은 Andante con moto의 변주곡 형식으로 D♭ Major 곡이며 마지막 제3악장은 Allegro manon troppo의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으로 이루어진 f minor의 곡이다.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Kreisleriana op.16는 1838년도에 작곡된 슈만의 성격 소품곡으로 총 8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곡에는 슈만의 두 자아인 ‘플로레스탄’과 ‘오이제비우스’가 등장한다. 2, 4, 6곡은 B♭ Major로 구성되어 있으며, 3, 5, 7곡은 g minor의 곡으로 상반된 조성이 나타난다.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1은 원래 1907년에 3개의 악장으로 이뤄진 소나타이나, 1909년에 개작하며 2개의 악장을 삭제함으로써 단일 악장으로 이뤄졌다.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으로 이루어진 f minor의 곡이다. 서주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코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주부가 끝난 후 제시부는 제1주제, 경과구, 제2주제, 종결구로 구성되어있다. 그 뒤로 제1주제와 제2주제의 발전부가 진행되고, 재현부에서는 제1주제 재현, 경과구, 제2주제 재현을 하며 코다로 곡을 마무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V.Beethoven Piano sonata no.23 f minor op 57", "R. Schumann Kreisleriana op.16」, It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ers and works about S. Prokofiev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1. Piano sonata no. 23 f minor, op 57 by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is a classical piano sonata consisting of three movements, and the first movement is a f minor song in the form of Allegro Assai's sonata. The second movement is D♭ Major in the form of a variation by Andante comoto, and the last movement is f minor in the form of sonata allegro by Allegro manon troppo. Kreisleriana op.16 by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is a character prop composed by Schumann in 1838. Two egos appear Kapelmeister Kriesler, which projects the author Hoffman's ego, and Kriesler, which projects Schumann's own ego. 2, 4, and 6 songs consist of B♭ Major, and 3, 5, and 7 songs have opposite compositions around g minor. Piano Sonata no.1, in f minor, op.1 of Prokofiev (1891-1953) was originally a sonata of three movements in 1907, but was adapted in 1909 and made into a single movement by deleting two movements. It is a song by f minor in the form of sonata allegro. It consists of a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and after the end of the introduction, exposition consists of the first theme, transition, the second theme, and terminator. After that,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hemes proceeds, and the recapitulation completes the song with a coda by reproducing the first theme, the transition phrase, and the second t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