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入學圖說』의 編刊 경위와 經學論

        강문식(Kang, Moon-shi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入學圖說』은 權近(1352~1409)이 金馬郡(현 전라북도 익산)에 유배되어 있던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초학자 교육용으로 편찬한 성리학 입문서이다. 권근은 익산 유배기 동안 책의 체재를 갖추고 주요 도설들을 만드는 등 『입학도설』의 초고를 작성하였고, 1390년 11월 유배에서 풀려나 충주 양촌에 은거한 이후 초고에 대한 보완·정리를 추진하였다. 하지만 권근이 1393년(태조 2) 3월 재출사할 때까지 『입학도설』의 보완·정리는 마무리되지 못했고, 뒷부분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양촌 은거기 중에 보완·정리가 마무리된 부분은 필사본으로 통용되다가 1397년(태조 6) 金爾音에 의해 진주에서 먼저 간행되었다(1397년 晉州本). 그리고 1397년 간행에서 빠졌던 부분은 권근 사후 아들 權蹈와 문인 卞季良 등에 의해 1425년(세종 7)에 간행됐는데(1425년 晉州本), 이때 기 간행된 부분도 함께 간행되면서 『입학도설』은 완성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입학도설』은 총 40개의 도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절반이 넘는 23개 도설의 내용은 권근의 다른 경학 저술인 『五經淺見錄』에도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입학도설』의 五經 관련 도설들을 검토해 보면 그 내용이 『대학』의 3강령·8조목, 『중용』의 天命 등과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는 이 도설들이 비록 전거는 五經에 두고 있지만 실상은 『대학』·『중용』의 핵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된 것임을 보여준다. 『입학도설』의 각 도설들은 권근 經學의 중심 이론인 ‘天人合一論’의 체계 속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天人心性合一之圖」와 「天人心性分釋之圖」에서는 천인합일의 이론적 측면을 종합·정리했고, 이후 도설에서는 경전 내용을 바탕으로 천인합일의 논리를 부연하여 앞의 두 도설을 뒷받침했다. 특히 『書經』과 『詩經』에 관한 도설들은 천인합일의 주체와 방법 및 그것이 실현된 이상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천인합일론의 실천적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Iphak doseol (入學圖說) is a beginner’s book about neo-Confucianism written by Kwon Geun (權近). In 1390 when Kwon Geun was banished at Iksan he made a draft of Iphak doseol, and after being free from banishment he complemented and corrected the draft. But until Kwon Geun entered Joseon government service in 1393, the compilation of Iphak doseol remained unfinished. The early chapters of Iphak doseol that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till 1393 were published by Kim E Um (金爾音) at Jinju (晉州) in 1397. And after Kwon Geun’s death Kwon Do (權蹈), son of Kwon Geun found the latter chapters which were not published in 1397 and published them with Byeon Gye Ryang (卞季良) in 1425. At that time the early chapters were also included in publication and the compilation of Iphak doseol became complete. Iphak doseol is comprised of 40 explanatory diagrams and 23 of them are also included in O-Gyeong Cheongyeon-rok (五經淺見錄), Kwon Geun’s writing on Five Classics (五經). The explanatory diagrams of Iphak doseol based on Five Classics have relevance to three doctrines and eight articles (3綱領·8條目) of Daehak (大學) and heaven’s imperative (天命) of Jungyong (中庸). It means that these explanatory diagrams, though based on Five Classics, were made for explaning the core contents of Daehak and Jungyong to beginners. The explanatory diagrams of Iphak doseol are linked closely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天人合一論). Kwon Geun gav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about the theory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 in the first two diagrams, “Cheon-in simseong hab-il jido” (天人心性合一之圖) and “Cheon-in simseong bunseok jido” (天人心性分釋之圖). And in the other diagrams he expanded on the main contents about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 on a basis of the Chinese Classics. Especially, the diagrams about Sigyeong (詩經) and Seogyeong (書經) showed that the prime mover and methodology of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and the figure of ideal society that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as realized.

      • KCI등재

        權近의 五經 인식 - 經學과 經世論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文植(Kang, Moon-shi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8 泰東古典硏究 Vol.24 No.-

        Kwon Geun(權近) defin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lassics(五經) and the relations of them based o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體用論). I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Function(用) has the practical character because it means the realization of basic principles of human society based on the law of nature. Kwon Geun paid attention to the side of Function(用) in the Five Classics. It means that Kwon Geun regarded the Five Classics as the texts for the theory of governance(經世論). As a result,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經學) connected closely with the theory of governance.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天人合一論) wa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theory of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but also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theory of governance. The key principle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the embodiment of the human morality coincided with the law of nature had the meaning of the realization of ideal administration and society, so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could be the most positive theory of governance. I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earched for the cases of embodiment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could be political models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he carried out research on those cases,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governance. The results of his research were the O-Gyeong Cheongyeon-rok(五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tated his principles of governance in Juyeok Cheon-gyeonrok(周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Change), and described the ideal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Li(禮) in Yaegi Cheon-gyeonrok(禮記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Rites). He also demonstrated the historical validity of his theory of governance in Si Cheon-gyeonrok(詩 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Poetry), Seo Cheon-gyeonrok(書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Documents) and ChunChu Cheon-gyeonrok(春秋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Spring and Autumn Annals) by showing the cases of realiz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were happened in ancient China. 권근(權近)은 체용론(體用論)에 입각하여 오경(五經) 간의 관계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用)’은 천리 (天理)에 기초한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을 현실에 맞게 구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경세적·실천적 성격을 갖는다. 권근이 오경의 내용에서 ‘용’의 측면에 주목했다는 것은 그가 오경을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뿐만 아니라 그것을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경세적·실천적 방법도 포괄하고 있는 경세론(經世論)의 텍스트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권근의 경학(經學)은 경세론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권근의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은 그의 경학 체계를 일관하는 핵심 이론일 뿐만 아니라 경세론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천인합일 론의 기본 원칙인 ‘천도(天道)에 부합하는 인도(人道)의 실천’은 곧‘이상적인 정치·사회의 구현’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자신의 경세론을 정립하 였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이다. 권근은 <오경체용합일지도(五經體用合一之道)>에서 규정한 오경의 체용 관계에 기초하여 각 《천견록》별로 특징 있게 자신의 경세론을 서술하였다.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서는 천인합일론에 기초한 경세의 원리·원칙을 피력하였고, 《예기천견록(禮記淺見 錄)》에서는 천인합일의 원칙이 구현된 이상 사회의 모습을 ‘예(禮) 의 확립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천견록 (詩淺見錄)》․《서천견록(書淺見錄)》․《춘추천견록(春秋淺見錄)》에 서는 중국 고대 역사에서 나타난 천인합일의 실현 사례들을 보여 줌으로써 자신이 추구한 경세론이 역사적 정당성을 갖는 것임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五臺山史庫의 운영

        강문식(Kang Moon-shi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장서각 Vol.0 No.27

        오대산사고는 실록을 비롯한 국가의 중요 서적을 보관하는 서고였으므로, 조선 정부는 오대산사고의 안전한 관리·운영에 만전을 기했다. 강원감사와 강릉부사를 통해 사고의 현황을 상세히 보고받았으며, 건물에 손상이 있는 경우 史官을 파견하여 수보하였다. 또, 사고 인근 주민들의 火田 경작으로 인한 화재 위험에 대비하여 강릉 지역의 절수지 혁파, 화전 적간, 사고 주변의 벌목 실시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정조대에는 효율적인 사고 관리를 위해 사각 건물 외부의 수보는 지방관과 사고 참봉이 담당하도록 했다. 오대산사고를 비롯한 외사고는 산 속에 있는 지형적 이유와 온돌을 설치할 수 없는 구조적 이유 때문에 항상 과다한 습기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습기 제거와 적절한 보존 환경 유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사관을 파견하여 曝曬를 실시하였다. 외사고 포쇄 주기는 2년 1회가 원칙이었다가 순조대 초반에 3년 1회로 변경되었다. 오대산사고의 일상적인 수직 업무는 사고 참봉과 수직 僧徒, 수호군 등을 차출하여 담당하게 했다. 사고 참봉은 강릉 거주 유생 중에서 2명을 선발하여 교대로 근무하도록 했으며, 차출된 이에게는 신역을 면제해 주었다. 수직 승도는 강릉과 양양의 승려들 중에서 차출되었고 역시 면역의 혜택을 받았다. 수호군은 처음에는 4~6명 정도였다가 18세기에 들어 60명으로 증가하였다. 수호군의 주된 업무는 사고 주변을 순시하며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었다.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located at Gangneung was the archives for the important books of stat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o the central government of Joseon made every efforts for good management of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The central government got reports about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from the provincial governor of Kangwon-do and the magistrate of Gangneung. And when the Archives' building was damaged, chroniclers(史官) were sent to repair the building. Chroniclers also dispatched to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for airing books. Airing was the fundamental method for taking moisture out of the books. As a rule, airing must be done every two or three years. But because of natural disasters or the understaff of chroniclers, this rule was not kept perfectly.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was at a long distant from Hanseong(漢城). So, for the daily protection duty of Archives' building, the central government selected caretakers of the History Archives(史庫參奉),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守直僧徒), and guardian soldiers among people who lived at Kangwon-do.

      • KCI등재후보

        圃隱 鄭夢周의 交遊 관계

        강문식(Kang Moon-shik)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1 No.-

        본고는 鄭夢周 및 그와 동시대에 살았던 인물들의 시문들을 통해 정몽주의 교유 관계를 검토하였다. 출사 이전부터 여러 선배·동료들과 교유 관계를 맺어왔던 정몽주는 1360년 과거 급제 이후 座主-門生 관계, 成均館에서의 교육 활동, 使行과 從軍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교유 범위를 확장해 나갔다. 이와 같은 정몽주의 교유 관계를 학문적·인간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으로 나누어 본다면, 전자는 恭愍王代 성균관에서의 교유 관계가, 후자에 禑王代 李成桂·鄭道傳과의 교유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정몽주는 성균관 교관 시절 李穡·李崇仁·金九容·朴宜中·鄭道傳·權近 등 여러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와 儒生 교육에 전념하였고, 이를 통해 그는 고려를 대표하는 학자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鄭夢周는 禑王代 이후에도 계속해서 성균관 시절 동료들과 서신 및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다. 즉 정몽주는 위화도회군 이후 공양왕대 초반까지 개혁 추진에 앞장서면서 정치적으로는 성균관 시절 동료들과 다른 길을 걷기도 하였지만, 인간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이들과 매우 깊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鄭道傳은 정몽주가 평생의 친구로 교유했던 인물이다. 1360년경 처음 만난 이후 성균관 시절 등을 거치면서 학문적 동지로서 깊이 교유했던 두 사람은 1383년(우왕 9) 이후 고려의 정치·사회에 대한 개혁을 추구하는 정치적 동지로 거듭났다. 그리고 여기에는 역시 정몽주가 젊은 시절부터 교유했던 李成桂가 함께 하였다. 그 결과 이 세 사람은 1388년 위화도회군 이후 한 동안 私田改革에 찬성하고 恭讓王 옹립을 주도하는 등 각종 개혁 추진에 함께하였다. 하지만 이성계·정도전이 易姓革命을 본격 추진하면서 반대파에 대한 숙청을 강화하자, 개혁에는 공감했지만 왕조 교체에는 동의할 수 없었던 정몽주는 결국 이성계·정도전과 결별하고 이들과 대립하였다. 그 결과 30년을 이어 온 정몽주와 정도전·이성계의 교유 관계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d on Jeong Mong-ju(鄭夢周)'s friendship by analyzing the poetry and prose essays written by Jeong Mong-ju and his friends. Jeong Mong-ju had associated with many fellows before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afte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360, he extended the boundary of his friendship through Jwaju-munsaeng-je(座主門生制, the system of examiners and successful examination candidates), and various activi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like lecturing at Seonggyun-gwan(成均館), going to China and Japan as an envoy, and so on. Jeong Mong-ju's friendship had two aspects one was the personal and academic relations, the other was the political relations. In the former, making friendship at Seonggyun-gwan in the reign of Gongminwang(恭愍王) was most important. And in the latter, the friendship with Jeong Do-jeon(鄭道傳) and Lee Seong-gye(李成桂) in the reign of Woowang(禑王) was the kernel of a question. When Jeong Mong-ju was, a lecturer in Seonggyun-gwan, he associated with many scholars such as Lee Saek(李穡), Lee Soong-in(李崇仁), Kim Koo-yong (金九容) and so on, and they became academic comrades. Jeong Mong-ju devoted himself to studying Neo-Confucianism and educating students in Seonggyun-gwan. As a result he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Koryeo dynasty. After Wihwado hoegun(威化島回軍, dramatic turnabout of 1388) Jeong Mong-ju led the reform of Koryeo's internal administration and differed from his friends who worked together in Seonggyun-gwan. But in the personal side, Jeong Mong-ju kept up the close friendship with them as ever by exchanging the poetry and prose essays. The first time Jeong Mong-ju met Jeong Do-jeon was about 1360 and from that time they had associated academically more than 20 years. Jeong Mong-ju also had kept company with Lee Seong-gye from 1363. In 1383, Jeong Do-jeon visited Hamju(咸州) where the troops of Lee Seong-gye and Jeong Mong-ju were stationed and they met together. At that time, they had the same opinion th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was urgently needed and they became political comrades. Consequently, after Wihwado hoegun they led the reform together such as land reform(私田改革) and enthroning Gongyangwang(恭讓王). Jeong Mong-ju consented to the necessity of reform but he was opposed to the dynastic revolution. So when Lee Seong-gye and Jeong Do-jeon tried to found a new country in earnest, Jeong Mong-ju parted from and had a political showdown with them. As a resur, their friendship lasted more than 30 years was finished tragically.

      • KCI등재

        정조 대 봉모당 운영과 장서 관리

        강문식(Kang, Moon-shi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奉謨堂은 1776년 정조가 규장각에 설치한 藏書 시설로, 역대 국왕의 御製 · 御筆과 왕실 系譜類 등 국왕 · 왕실 관련 자료들을 봉안 · 관리하던 곳이다. 봉모당은 소장 자료의 위상이 높은 만큼 다른 장서 시설들에 비해 세심하게 관리되었다. 정기적인 奉審을 통해 건물의 손상 유무를 점검했고, 장마 · 폭우 등으로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수시로 봉심과 수개를 실시하였다. 또 국왕이 직접 봉모당 내 · 외를 점검하는 展拜 규정을 두어 소장 자료들을 더욱 철저히 관리하였다. 정조는 봉모당 자료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소장 자료들을 분류 · 정리한 목록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 포쇄 실시 규정을 제정하여 자료들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하였다. 1782년 강화도 외규장각이 설치된 후 상당수의 봉모당 자료가 외규장각으로 이관됐는데, 영조의 御製類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른 기관에 있던 왕실 자료들이 봉모당으로 이관된 사례들도 많이 있는데, 특히 봉모당 설치 이전에 왕실 자료를 소장했던 종부시 규장각과 창덕궁 珍藏閣의 자료들이 대거 이관되었다. 또, 사도세자 관련 자료들이 봉모당에 봉안된 점도 주목되는데, 이는 사도세자의 위상을 국왕에 준하는 것으로 격상하려 했던 정조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Bongmodang (奉謨堂) was one of the archives belonged to Kyujanggak, which was for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King and royal family such as articles written by Kings(御製), Kings’ calligraphy (御筆) and genealogy of royal family. King Jeongjo (正祖) instructed Kyujanggak to make regulation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Bongmodang and it’s collections. Kyujanggak examined the condition of Bongmodang carefully (奉審) and if the building was damaged it was repaired immediately. King Jeongjo went to Bongmodang in person regularly for checking the building and it’s collections (展拜). Making Catalogs and regular airing for taking moisture out of collections (曝曬) were also carried out. In 1782 large numbers of Bongmodang collections were transferred to Oekyujanggak (外奎章閣) at Ganghwa island.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King and royal family which were housed at other archives and government office were transferred to Bongmodang. Especially Jeongjo transferred the materials of the crown prince Sado, his father to Bongmodang. I guess it was occurred from the intention of Jeongjo to raise the father’s status to the king’s level.

      • KCI등재
      • KCI등재

        金昌協의 朱子書 연구와 『朱子大全箚疑問目』

        강문식(Kang, Moon shik) 한국사연구회 2013 한국사연구 Vol.160 No.-

        This paper focused on Kim Chang Hyeob(金昌協)’s study on the books of Zhuxi(朱熹)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From 1686, Kim Chang Hyeob set to studying on the books of Zhuxi and compilation of Juja Daejeon Cha-eui(『朱子大全箚疑』) written by Song Si Yeol(宋時烈) in earnest. Kim Chang Hyoeb reported his opinion on Juja Daejeon Cha-eui’ to Song Si Yeol by letters. And sometimes Kim Chang Hyeob debated about the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of Juja Daejeon Cha-eui’ with Song Si Yeol. After the death of Song Si Yeol in 1689, Kim Chang Hyeob took in charge of proofreading and correcting Juja Daejeon Cha-eui with Kwon Sang Ha(權尙夏). At that time, Kim Chang Hyeob and Kwon Sang Ha had some different theoretical viewpoints. After the death of Kim Chang Hyeob in 1708, Kwon Sang Ha took the responsibility of proofreading Juja Daejeon Cha-eui alone. So there was high probability that the issues on which Kim Chang Hyeob and K won Sang Ha had different view were revised according to Kwon Sang Ha’s theory. It could be the typical example that the content which Song Si Yeol acknowledged Kim Chang Hyeob’s theory of perception (知覺說) as the definitive theory of Zhuxi was deleted in Juja Daejcon Cha-eui. Consequently Eo You Bong(魚有鳳) who was the disciple of Kim Chang Hyeob thought that his teacher’s comments and theory about Juja Daejeon were not reflected in full degree Juja Daejeon Cha-eui and compiled Juja Dacjeon Cha-eui Munmok(『朱子大全箚疑問目』) for handing his teacher’s theory of the Learning of Zhu(朱子學) to future generations and making up for the imperfection of Juja Daejeon Cha-eui. And in the hidden side of compilation of Juja Daejeon Gha-eui Munmok,. there was the academic competition for the main line of Song Si Yeol between the Nak school(洛學) and the Ho school(湖學).

      • KCI등재
      • KCI등재

        오대산 사고와 사고본의 가치 조선후기 오대산사고의 수직승도(守直僧徒) 운영

        강문식 ( Moon Shik Kang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The regulations of the management of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守直僧徒) at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were enacted in 1606. The fixed number of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was forty, twenty of them were from Gangneung(江陵) and the others were from Yangyang(襄陽). In 1686, the fixed number of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was increased by Sixty(30 from Gangneung and 30 from Yangyang).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had two parts. One was the watching and protecting of the Archives’ building. And the other was the carrying the books of the Archives to another place for the purposes of the airing of books and of repairing of the Archives’ building. There were three problems of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at the History Archives of Mt. Odae. First, besides the protection duty of Archives’ building, some other duties were imposed on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Second, the financial help didn’t given to the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as the regulation. These problems led to the lack of the numbers of Buddhist monks for protection duty. Third, the Buddhist monks from Yangyang considered that the protection duty of the Archives’ building was a hard work because they must come from such a great distance. So they made every possible effort for exemption from the protection duty of the Archives’ building, but their attempt ended in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