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에 나타난 대승선정의 요체와 중생구제

        강명희 ( Kang Myeong-H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대승불교의 선정은 개인의 마음의 평온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중생을 돕기 위하여 바라밀을 실현하는 것이다. 선정은 반야경을 위시한 많은 대승경전과 같이 중생을 돕는 보살도로서 기술된다.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은 「정려바라밀다품」에서 선정바라밀을 자세하게 기술하는데, 이 품은 13교문으로 대승 선정의 특징들을 밝혀낸다. 첫 교문에 중생구제가 대승의 진정한 선정임을 밝히고 정정(正定)임을 선언한다. 뿐만 아니라 이승(二乘) 선정과 대승 선정의 차이점을 밝히고 보살은 중생이 있는 현실에서 중생을 구제하기 때문에 번뇌를 끊었더라도 열반에 취향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이승 선정은 진정한 선정이 아니라고 비판한다. 무엇보다도 소승과 대승의 선정의 차이점을 나타내어 보살은 열반에 취향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왜냐하면 보살은 중생을 돕기 위하여 중생의 삶 속에서 살며 중생의 세계속에 있기 때문이다. 선정바라밀다품은 소승의 선정은 올바른 선정이 아니라고 비판하고 4무량심이 대승선정의 실천적 모습이라고 주장하며 중생과 함께 하는 바라밀의 실현이 진정한 선정의 목적이라고 한다. Dhyāna in Mahāyāna is not to get peace of mind, only is to realize pāramitās and to help live beings. Dhyāna is written as bodhisattvas who help live beings in many Mahāyāna sutras including Prajñāpāramitā sutras. 『Mahāyāna Essence Six Pāramitās Sutra(大乘理趣六波羅密多經)』 explains in detail dhyāna-pāramitā in Chapter of Dhyāna-Pāramitā. This chapter is divided to 13 parts, and explains about the characters of dhyāna in Mahāyāna. The first part of this chapter announces that the salvation of live beings is dhyāna in Mahāyāna and the right dhyāna. The first part also explains the differences of dhyāna between Hīnayāna and Mahāyāna, and insists that bodhisattva don’t go to nirvāṇa, because it is in the world in which live beings live that he helps live beings. Chapter of Dhyāna-Pāramitā criticizes that dhyāna of Hīnayāna is not the right dhyāna, and asserts that 4 immeasurable minds are practical forms of dhyāna in Mahāyāna, and that the realization of pāramitās with live beings is the true aim of dhyāna.

      • KCI등재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계차별관의 유형과 특징

        강명희 ( Kang Myeo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유가사지론』 계차별관은 「성문지」 중심으로, 5문(門) 수행 즉 5정심관의 하나로 기술되며, 불교의 수많은 수행법 중 유일하게 자연환경을 일심(一心)의 수행으로 체계화한 것이 그 특징이다. 그러므로 계차별관은 자연명상을 통하여 심리를 치유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기제들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의 계차별관은 여타의 경론들과 비교해 볼 때, 체계적이고 다양한 유형들을 선보이고 있다. 첫째, 번뇌를 깨끗이 하는 정행소연(淨行所緣)의 하나로 계차별관이 기술된다. 『유가사지론』은 정행소연의 계차별관을 닦으면 `아만`의 번뇌심리를 치유할 수 있다고 한다. 둘째, 정행소연에 포함되는 5정심관은 모두 6종 위빠사나 즉 의미[義], 현상[事], 모습[相], 품류[品], 시간[時], 도리[道理]로써 심사(尋思)해야 한다고 하며, 6종 위빠사나의 형식은 계차별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유가사지론』 관법의 특징은 6종 위빠사나와 같이 다각도의 유기적 관법을 활용함에서 나타난다. 번뇌심리를 치유하는 단계에서는 하나의 위빠사나로 관찰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6종 위빠사나로 관찰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셋째, 계차별관은 가행(加行)과 함께 닦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때의 가행은 사마타의 정(定)과 삼매와 밀접하게 관계하며, 계차별관은 『유가사지론』의 9종가행 중 상응가행(相應加行)과 관습가행(串習加行)과 관계한다. 상응가행을 통하여 `아만`이라는 번뇌심리를 치유한다고 하며, 이때 소연에 합일해 나가는 삼매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상응가행 다음의 관습가행은 소연에 일치하려는 사마타와 삼매의 연습을 의미하는데, 『유가사지론』은 이로써 5개(蓋)를 끊어낼 수 있다고 한다. `아만` 번뇌심리를 치유하는 상응가행의 계차별관은 대승경전에서 이미 밝힌 수많은 대치법(對治法)의 계차별관 유형과 거의 일치한다. 넷째, 『유가사지론』의 계차별관은 유가사(瑜伽師)의 3단계 중 처음 업을 닦는 자[初修業者]의 수행이라고 국한한다. 처음 업을 닦는 자가 닦는 계차별관은 내외(內外)의 6계관찰을 승해심소로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확대되는 과정에는 유정 뿐 아니라 비유정에게도 적용되며, 계차별관의 내외관찰 중 처음의 관찰순서는 드넓은 자연을 포괄하는 외계(外界)로부터 출발해야 함을 주장한다. Dhatu-prabheda-smrti(界差別觀) is explained as one of the five gates practice(五門修行), that is to say,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in sravakabhumi(聲聞地) of Yogacarabhumi-sastra. In many buddhist practices, Only dhatu-prabheda-smrti systematizes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practice of One Mind(一心). So we can say that dhatu-prabheda-smrti has many psychical healing mechanisms which use the natural environment. dhatu-prabheda-smrti is explained as 4 kinds of forms in Yogacarabhumi-sastra. The first, dhatu-prabheda-smrti as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which removes klesas is explained.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the practice of dhatu-prabheda-smrti as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can remove the klesa of ahamkara. The second,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 心觀) which is a part of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should be contemplated as 6 kinds of vipasyana: meaning(의), phenomenon(事), figure(相), form(品), time(時), reason(道理). This is the distinct feature of organic meditations in Yogacarabhumisastra.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in the step that removes klesas, we should contemplate using not one vipasyana but all 6 kinds of vipasyana. The third, Yogacarabhumi-sastra says that dhatu-prabheda-smrti should be practiced together with prayoga which means dhyana and samadhi here. The process of samadhi that unites practice objects along with each klesas is regarded as important in samyukta-prayoga(相應加行). The next thing, abhyasta-prayoga(串習加行) means the practice of samatha and samadhi for the unite with a object(所緣), can remove 5 kinds of Cover(五蓋). The practices suited to klesas is a kind of Dechibop(對治法), or the healing way suited to klesa of Mahayana buddhism. The fourth, dhatu-prabheda-smrti is limited to the practice of the beginner of practice (初修業者) among the three stages of Yogacarya(瑜伽師) The feature of dhatu-prabheda-smrti which the beginner of practice exercises is a enlargement to adhimoksa(勝解) of the contempl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內外) of six categories(六界). The process of a enlargement refers to not only living thing, also lifeless matter, and the first step of the contempl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is the outside world that includes a vast natural environment.

      • 태권도 성인품새 풍류의 수련효과

        김중헌 ( Jung Heon Kim ),곽택용 ( Taek Young Kwak ),임태희 ( Tae Hee Lim ),강명희 ( Myeong Hee Kang ),조규보 ( Kyu Bo Cho ) 국기원 2012 국기원태권도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성인들의 태권도수련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성인품새의 개발과, 개발된 품새수련을 통한 체격, 체력, 생리·심리적 수련효과검증을 통하여 태권도수련을 통한 실질적인 체력증진과 건강유지에 대한 수련효과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조사대상자 성인 197명, 수련효과 검증을 위한 피험자 30~50대 성인여성 31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착수하여 12주간의 수련과 3차에 걸친 검사에 모두 참여한 최종 7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자료처리는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 Design)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인들의 태권도수련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동기유발요인은 건강증진이며, 그 다음으로 흥미·재미, 균형발달, 한국문화의 함의가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수련욕구성향은 건강을 제외한 많은 부분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 12주간의 태권도수련은 성인들의 체지방률 감소와 제지방량 증가, 유산소·무산소파워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체형개선효과와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근지구력을 비롯한 전반적인 체력향상에 매우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스트레스해소, 생활활력, 건강유지, 신체균형, 체력증진, 일상탈피, 사회성, 몸매관리 등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bstantial evidence of training effects of newly developed Taekwondo(TKD) Poomsae for adult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ability, biological·psychological condition to motivate new adult participa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investigators selected 197 adults for collecting preferred training techniques, and 31 (30~59 years old) females for testing 12 weeks of training effects and post-psychological effects, However, the results of only 7 females who participated all 12 weeks of training was us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 Design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PASW Statistics 18.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motivating factor for concerning new adults` TKD training was Health, followed by fun, improving balance, and containing Korean culture. The attitude of training preference could be vary by gender and age. There were significant 12 weeks training effects found on reducing body fat ratio, increasing muscle-mass, body balance, physical ability, such as, aerobic·anaerobic power, flexibility, agility, muscle endurance; and helping mental health, such as, relieving stress, giving energetic and get-way from daily life feeling, and improving social attitude.

      • KCI등재

        흉부대동맥박리와 급성심근경색환자의 임상적 비교분석

        강명희,깁갑득 대한응급의학회 200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1 No.4

        Background: Acute dissection of the thoracic aorta can mimic the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with pain, elevated serum creatinine kinase levels, and electrocardiographic abnormalities suggesting myocardial ischemia.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a thoracic aortic dissection and 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ethods: The cases of 72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f the 72 patients, 32 were thoracic aortic dissections and 40 were acute myocardial infarctions. The parameters analyzed were epidemiology, pain character and associated symptoms, simple X-rays, EKGs on arrival.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ature, location, and duration of pain, the radiation, the neurologic symptoms, the chest X-rays, and the EKGs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at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severity and abrupt onse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suspect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hould be provided an appropriate, accurate technique, such as CT, MRI, or TEE, if the nature, location, and duration of pain, the radiation, the neurologic symptoms, the chest X-ray, and the EKG are consistent with a thoracic aortic dissection.

      • KCI등재

        원격영상강의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학습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김서영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199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원격영상 강의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한국방송대학교'의 2개 강좌-사회과학 계열 1개 과목과 인문과학 계열 1개 과목-를 모국과 자국 모두 관찰함으로써 원격교육에서 상호작용이 어떠한 빈도와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Flanders의 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비디오로 촬영한 강좌 상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 계열의 과목이 인문과학 계열 과목보다 교사 대 학습자 (T-S), 학습자 대 교사(S-T), 학습자 대 학습자(S-S)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2) 모국과 자국의 비교에서는 모국이 자국에 비해 일반적으로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며, 그 유형은 교사 대 학습자(T-S) 상호작용이 주를 이루었다. (3) 상호작용이 많은 것이 학습자의 동기를 전반적으로는 유발하지 않았으나. T-S 유형은 학습자 의 주의력에 S-T 유형은 학습자의 자신감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equencies and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gain insight on the student motivation regarding interaction through two video conferencing courses being implemented at Korea Open University during the fall semester of 1995. The results revealed the lecture K provided much more interaction than lecture M. In lecture K, teacher-student interaction was prevalent. On the other h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was more observed in lecture M. The on-site location showed more interaction than remote-site in both lecture. On-site locati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was shown more in remote-sit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pattern and student motivation reveal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 pattern and student motivation. All pattern of interaction could not be directly correlated to overall students motivations. However, it was elucidated that the Teacher-Student pattern enhanced attention of the students and the Student-Teacher pattern positively influenced confidence of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