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질에서 발생한 악성 흑색종의 Papanicolaou 도말의 세포학적 소견 - 1례 보고 -

        강명숙,김봉희,박재훈,김윤화,박용구,이주희,양문호,Kang, Myung-Suk,Kim, Bohng-Hee,Park, Jae-Hoon,Kim, Youn-Wha,Park, Yong-Koo,Lee, Ju-Hie,Yang, Moon-Ho 대한세포병리학회 1995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6 No.2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vagina is a rare tumor which is easily misinterpretated in routine cytologic examination. We lately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vagina with direct cervical extension diagnosed by Pap smear. The cervicovaginal smear showed variable sized clusters of epithelial cells or singly scattered abnormal epithelial cells. Most of the tumor cells had round hyperchromatic nuclei with prominent nucleoli and brownish pigments in cytoplasm. The cytologic findings are compared with histologic features of resected specimen.

      • KCI등재

        개인연구 : 6-3-3-4제 단선형 학제 도입의 이념적 성격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4 한국교육사학 Vol.26 No.2

        In this study, the processes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of a single-track 6-3-3-4 school system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were discussed.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there was much discussion about how to establish the school ladder systems ; for instance, the single ladder school system or double ladder school system, 3-3 pattern or 4-2 pattern as secondary school system and the number of school years for higher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ported the 6-3-3-4 single ladder system, including six years of elementary school,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three years of high school, four years of university. while the opposites supported the double ladder school system in which the 6-4-2-4 pattern and 6-4-4 pattern are both used. After all, the 6-3-3-4 pattern as a single track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was not a consistent effort to justify the introduction of the 6-3-3-4 single ladder school system during the discuss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the introduction of the 6-3-3-4 single ladder school system met with strong opposition. During this process, the justification for the 6-3-3-4 single ladder school system changed from the interest-centered to ideological justification, that is, the 6-3-3-4 single ladder school system is a democratic system which ensures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liquidates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윤치호와 미국 남감리교 선교

        강명숙(Kang Myung-sook)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4

        1885년부터 1893년 가을까지 중국과 미국 남부에서 유학한 윤치호는 귀국 후 개성상인들의 풍부한 자본과 상재(商材)를 조선의 산업발전에 이용하기 위해 남감리교의 개성선교를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그러나 남북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지 못한 미국 남감리교는 남부의 발전을 위해 흑인선교와 아프리카 선교에 몰두하였으므로 아시아 선교는 소극적이었다. 중국 선교부와 윤치호의 노력으로 조선 선교가 시작되었으나 남감리교 선교본부의 지원은 여러 가지로 부족하였다. 더구나 조선에 파견된 남감리교 선교사들은 중국 선교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중심 말씀 중심의 선교를 고집하여 윤치호가 계획한 조선 근대화를 위한 개성 선교는 크게 진전되지 못하였다. 윤치호는 남감리교 중국 선교부의 선교정책을 극복하기 위해 개성으로 이주하여 ‘한영서원’을 설립하고 농업중심의 실업교육에 나섰다. 윤치호의 실업교육은 농업을 육성하여 생산을 증진하고 그를 바탕으로 조선의 산업화를 추진하려는 중농주의 산업화였다. 그러나 농업중심의 실업교육(반공과)은 일제가 제정한 ‘사립학교령’과 ‘개정 사립학교령’에 의해 공업부로 재편되어 일제가 요구하는 노동자 교육으로 변질되었다. 또한 한영서원의 실업장은 선교사들의 주도로 근대 공장으로 변모하였으나 조선의 산업화를 견인하지 못하고, 가난한 학생들의 학비를 제공하는 선교부의 공장으로 전락하였다. 1907년 안창호와 손잡은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을 민족자본가로 결집하려는 ‘신민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윤치호는 모범촌을 만들고 개성상인들을 모범촌에 참여시킴으로 ‘신민회’ 회원을 모집하려 하였다. 그러나 선교본부의 지원이 미진하여 모범촌을 설립하지 못했고 산업화의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여 이재에 명민한 개성상인들의 참여를 도출하지 못했다. 그래도 윤치호는 미국을 방문하여 선교본부의 지원을 호소하고, 학생 YMCA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개성상인들의 ‘신민회’ 참여를 끝내 유도하지 못했다. 윤치호가 추진한 개성상인들의 민족자본가화는 실패하였고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루어야 했다. 윤치호가 파트너로 설정한 개성상인들이 조선의 근대화운동을 외면한 이유는 개성상인들의 자본이 토지와 대부업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개성상인들은 일제의 조선미 수탈정책과 인삼전매제도 그리고 금융경영에 편승하여 인삼과 미곡 중심의 토지 경영과 고리대금업에 안주하면서 산업자본가로의 변신을 외면하였다. 그러므로 개성상인을 근대화의 파트너로 선택한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촉구하는 종교운동과 교육운동 사회운동 등을 전개하면서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기다렸다고 하겠다. 윤치호는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고 민족 발전에 투신할 기독교 자본가의 출현을 남감리교 선교를 통해 도모하였으나 선교와 변혁의 대상이었던 개성상인들은 윤치호의 노력을 외면하였다. 윤치호는 유학시절 입장료를 내면서 쫓아다녔던 존스(Samuel P. Jones :‘남부의 Moody’로 불림)의 부흥운동이 조선에서도 재현되어 라이먼(T. G.Ryman)과 같은 희생적인 자본가가 나타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윤치호가 간절히 바라던 조선의 근대화는 이기적인 식민지 토착자본의 논리와선교사들의 자기편의적 선교정책 그리고 일제의 탄압에 둘러 싸여 갈 길을 잃었다고 하겠다. After studied in China and America from 1885 to 1893, Yun Tchi-ho(Yun) came to Korea and promoted the Mission of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MECS) in Gaeseong. Through the Mission of MECS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with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ay in other words, in order to develop the agriculture and industrialize the Korea, Yun chose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to utilize their capital and abilities of management. But the South(America), defeated in Civil War, wanted to reconstruct the economy of the South. In oder to develop the economy and prevent the Blacks’ emigration, the South made an investment in Black and Africa mission. Since the resources of MECS were exhausted and they hated Chinese, the Mission of Asia were difficult and Korean Mission were more difficult. Besides korean mission in Gaeseong region was more difficult for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Missionaries wanted to take mission in Seoul and evangelize instead of setting up the schools and dispensaries. In oder to enlarge the mission of MECS in Gaeseong, Yun emigrated to Gaeseong and erect the Anglo-Korean School. Through teaching the agricultural and the industrial skill,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By the way Japanese ‘Law Governing Private Schools’ was distorted the education of skills in Anglo-Korean School. Skill for agriculture was changed into skill for factory. Also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were distorted the skill education. C. H. Deal(teacher in Anglo-Korean School) changed the manual factory into machine industry. In spite of exporting the cotton textile, the machine industry was not developed the korean cotton textile industries. And Yun Participated the New People’s Society to gather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Also Yun wanted to make them into national capitalists. But they disregarded the Yun’s efforts and went on board japanese’ appeasements in production of rice, ginseng, and loan markets.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did not want any economical damage. By the japanese’ colonial oppression,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elf-centered minds and the egoistic missionaries’ policies, Yun’s efforts of korean modernization were failed.

      • KCI등재

        영화 「수업료」를 통해 보는 전시체제기 교육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2

        이 글은 최근 1940년 제작된 영화 「수업료」의 발굴을 계기로, 식민지기 학교교육의 현실을 이해하는 자료로「수업료」를 소개하였다. 영화 「수업료」는 경일소학생신문 글쓰기 작품 공모에서 수상한 광주북정심상소학교 4학년 우수영의 작문을 토대로 영화화한 것이다. 초등학생 글쓰기 공모는 제3차 조선교육령 제정과 일본어 교육의 강조라는 정책적 배경에서 학무국 후원으로 이루어진 의도된 기획이었다. 수상작은 일본의 조선 통치와 교육의 성과로 선전되며, 모범 작문집의 배포, 아동극화, 영화화되었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바탕으로 식민지기 수업료에 관련된 교육 현실을 소개하고, 영화를 통해 재현된 현실의 의미, 당시 현실과의 괴리, 아동작문과 영화화의 간격 등을 논의하였다. 영화 「수업료」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식민지 교육의 다중성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아동 작문, 문학 작품 등과 비교하며 교육사 수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film “Tuition” which was produced in 1940, and found out recently. The film’s scenario was based on a composition of a primary student, who was a prizewinner of Writing Competition organized in 1938 by the Gyoungil Primary Student Newspaper(경일소학생신문). The background of Writing Competition was the enactment of the Thir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which focused on strengthen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 Competition was supported by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Honor prize-winning essay was touted as an accomplish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was made into a film and a play for children. This paper explains the system of school fe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film, then analyze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eir difference from the reality at the time and, finally, the gap between the original composition and its adaptation into the film. Film “tuition” could be a good material to study colonial education, and could be useful in the History of Education lessons as compared to children writing, literature.

      • KCI등재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인 관료 연구

        강명숙 ( Kang My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20 한국교육사학 Vol.42 No.1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인 관료의 규모와 인적사항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논의하였다. 1941년까지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근무한 조선인 관료 74명을 조사하고, 사무관 편수관 시학관 등의 조선인고위 관료 20명의 면면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조선총독부 학무국은 유일하게 조선인 국장을 배출했고, 조선인 고위 관료와 조선인 관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서였다. 학무국 내의 과별 조선인 고위 관료 상황을 보면 학무과에는 조선인 고위 관료가 없었고, 편집과에는 장기 근무의 조선인 편수관이 1~2명 있었으나 1명은 시학관 겸직이었다. 사회과에는 제국대학 졸업 혹은 고등문관 시험 합격 등의 배경을 가진 학력 엘리트 조선인이 과장으로 근무했다. 그리고 1921년 이후 전문적 교육을 받고 풍부한 교육 경험을 가진 조선인 시학관이 매년 1명씩 있었다. 그러나 조선인고위 관료들이 조선인의 입장에서 조선 사정을 고려하며 정책을 실행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 결과 영향력이나 파워가 없는 “양념용” 이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웠다. 해방 후에도 이들이 교육계에서 청산되지 않았음은 경계해야 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size and features of Korean educational bureaucrats in the Chose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It surveys 74 members of staffs who work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Chose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until 1941 and examines the features of 20 high-ranking Korean bureaucrats such as deputy directo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the only ministry which had Korean heads an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its staff was Korean. As to high-ranking Korean bureaucrats in each department within the ministry, there was no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 in the department of academic affairs, one or two long-serving Korean editorial director in the department of editorial, one of whom is also academic supervisor(Sihakwan). In the department of social affairs, there were many promising Korean directors who graduated from Imperial College or passed the higher civil servant examination. Additionally, every year after 1921, there was one Korean academic supervisor(Sihakwan) who got professional training and had plentiful experiences in education. It is hard to say that Korean high-ranking bureaucrats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heir own nationality. However, it needs a precautious approach that they were not settled out even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고전의 재발굴 :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와 일제시기 한국교육사 연구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5 No.-

        본 연구에서는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조선의 근대교육)의 한국교육사 연구에서의 연구사적 의미 및 학술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H. H. 언더우드는 미국 북장로교회 파견의 선교사로 1934년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고, 미군정기에는 고문관으로 교육정책을 조언한 한국에서 태어난 선교사 2세이다. 1926년 뉴욕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고 책으로 출간한 것이 『Modern Education in Korea』이다.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의 근대적 학교교육체제 도입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부각시킨 연구서로, 근대교육학적인 방법과 이론으로 연구된 최초의 우리나라 교육사 연구서로 평가받는 책이다. 하지만 선교사관에 입각하였고, 각종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히 교육현황을 정리 기술한 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하지만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선교사의 입장에서 또 1920년대의 조선 교육 연구 경향에 비추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출간 당시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교육의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그동안의 선교교육에 대하여 내밀하고 자세하게 정리하였고, 또 조선 교육 연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고 평가받았다. 1920년대는 조선 교육에 대한 연구 관심이 제기되는 시기로서,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을 대변하는 식민지 관료들의 역사적 연구가 나오고 있었고, 연구라기보다는 논설문에 가까운 조선인들의 저서가 출간되는 형편이었다. H. H. 언더우드는 『Modern Education in Korea』에서 조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을 제공하고자 "관찰자"의 입장에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을 살펴보고, "능동적인 참여자"의 입장에서 조선에서의 선교교육을 정리하였다. 또 조선 정부와 조선인의 근대 교육 도입과 운영 노력도 다루었다. 결론에서는 "교육에서의 멋진 실험을 위한 실험실"로서 조선총독부, 선교사, 조선인 모두에게 다양한 기회가 있음을 제안했다. H. H. 언더우드의 연구는 선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할지라도 한국 근대교육체제 형성에서 기독교계 교육의 역할에 대한 탁월한 사실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academic significance of H. H. Underwood``s book Modern Education in Korea. Underwood was a missionary with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America and served as the principal of Chosen Christian College from 1934 and as an educational advisor in the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He obtained a Ph.D. from New York University in 1926 and published a doctoral thesis titled Modern Education in Korea. Modern Education in Korea is a study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aries and is considered the first research on Korea``s education history using modern educational methods and theories. However, it is based on a missionary``s view of history and has been criticized as merely arranging the state of education with several data. However, Modern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and research trends of the 1920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it was seen as a study of missionary education in Joseon by an active participant that broke ground in a new field- Korean Studies. In the 1920s, there were already some studie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were done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academism by Japanese researchers in normal schools and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by Koreans who had studied education both in Korea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were devo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educational theories and were less interested in the study of Korean education per se. H. H. Underwood endeavore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spectator and active participant. He looked at the policies and educational works of the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in Korea, and summarized Korea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He also proposed many opportunities for the Japanese government, Korean private education, and missionary education, suggesting that Korea could be a laboratory to experiment with education for all. Although his research was aimed at mission education, Modern Education in Korea was an excellent piece of research on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role , and it opened the way for historical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 연구

        강명숙(Kang, Myoung-S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에서 조선인들의 교육 요구,일본 본국 정부의 식민지 통치 정책,조선총독부 학무관료들의 정책 시행이 서로 대립 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에서 조선인들의 교육 요구는 실질적으로 반영되지는 못했지만 교육칙어 조항 폐지,교육목적 조항 누락,일선공학의 소극적 도입 등에 영향을 미쳤다.식민통치의 이상과 원칙이라는 입장과 식민지 교육현실과 특례라는 입장의 차이로 인해 일본인과 조선인을 동일한 교육제도로 같이 교육한다는 일본 본국 정부의 내지연장주의 방침은 이름뿐인 원칙에 머물렀다.그 결과 조선 교육령 개정을 통해 조선에는 일본인 학교와 조선인 학교가 별도의 계통으로 존재하는 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flict and adjustment in the law making process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enac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was made as a result of mediation between the Japanese Cabinet and officials of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between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and the intention of Japanese rule.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was not accepted but had slightly effected on the policy such as abolition of provision about Imperial rescript concerning education and provision about need of the times and condition of the people. The difference in standpoint between the Japanese Cabinet and officials of the Education Bureau of General Government in Chosen was resulted in making the separate educational system. As a result, the idea of the same school system and co-education between Korean ad Japanese people were remained unrealized.

      • KCI등재

        1910년대 사립보통학교의 성격 연구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1910년대 초등보통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 운영된 공립보통학교의 70%가 기존의 사립보통학교를 공립으로 전환하는 형태로 설립 운영된 사실에 주목하여, 1910년대 사립보통학교의 설립과 폐지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1910년대 초반 사립보통학교의 학교제도사적 성격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1910년대 사립보통학교는 개인 독지 기부에 의한 신설형, 기존 사립학교의 재인가형, 지역민의 거출에 의한 사립보통학교화 추진형, 종교단체 후원의 설립형 등으로 다양한 설립 형태를 보이나, 대부분은 기존 지역민의 토착 교육기관이 일제의 조선교육령과 보통학교규칙이라는 법적 근거에 의해 거듭 인가받은 보통교육기관으로서, 학교로서의 제도적 위치를 확보하였다. 1910년대 사립보통학교 설립과 유지는 지역민의 공공적 사업으로 인식되어 내내 일정 규모를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의 학교 설립 열기를 대변하고 있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primary school establishment and abolition in the 1910s. The Public primary schools were established to give common education opportunity for Koreans in the 1910s, but 70% of the Public primary schools were converted from the private primary schools. This paper researched the mechanism of private primary schools` 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vate primary schools in 1910s divided into 4 types. They are foundation from individual donation, permission of private schools already existed, accreditation on private primary school foundation through donation from locals, and foundation by religious groups. However, all of them were based on the thought that education is one of public affairs. Even though the private primary schools were difficult to develop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succeeded to maintain certain quality and amount, representing the local people`s enthusiasm for school establishment.

      • KCI등재
      • KCI등재

        1960~70년대 대학과 국가 통제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1960~70년대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관리 통제의 실상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4ㆍ19혁명 직후 대학의 자발적인 자정 노력과 민주적 대학 운영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은 대학자치의 가능성, 정부의 대학 통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61부터 시작된 대학정비 정책에서는 대학교육의 질을 확보한다는 명분아래 교수의 정년 단축, 연구실적 검사제도, 학사자격고사 등이 도입되었으나 유명무실해졌다. 대학 통폐합과 대학 정원 조정 역시 실패로 끝났다. 국가 주도의 대학 정비 정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국가 주도의 대학개혁 기획과 대학에 대한 국가 통제는 점차 정당화되었다. 1970년대 들어 대학의 자발적인 개혁을 유도하는 정책으로 실험대학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국가에 의해 인큐베이트된 개혁에 지나지 않았다. 오히려 군사훈련 및 국민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강제휴교와 휴업, 교수와 학생에 대한 검열과 감시, 교수 해직과 학생 제적 등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폭력적 통제로,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은 침제되어갔다. 대신 비판적 정신과 사회적 실천은 제도 밖의 학술장의 몫으로 남겨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ional control on university which was the institutionalized academic arena in 1960~70s. Right after 4ㆍ19, the efforts by universities to reform themselves and to find democratic principles of university governance showed the possibilities of university autonomy. In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started from 1961, early retirement of professor, competition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y faculty and graduate requirements test were introduced in the name of secur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ut they became nominal. University unification policy and university enrollment quota policy also failed. Despite the failures of state-dominated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governmental planning of university reform and national control of university were justified gradually. In 1970s, pilot college project was implemented as the project for inducing self-reform, but it was no more than an state-incubated reformation. Rather, military training and national ethics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university as institutional academic arena became stagnant, because of repressive controls on university by nation such as the compulsory closing of school and layoff, the censorship and surveillance on faculty and students, professor dismissal and student expulsion. Instead, academic arena outside of university, which put an emphasis on critical mind and social practice was bui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