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3 No.-

        강원도의 〈논매는소리〉는 내부에만 있는 것도 있고, 외부에도 있는 것이 있다. 외부에도 있는 〈논매는소리〉는 강원도로 유입된 것이 있고, 또 강원도로부터 유출된 것도 있는가 하면, 유출입이 불분명한 것도 있다. 이 중 강원도 내부에만 있는 〈논매는소리〉는 거의 대부분이 영동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강원도 외부에도 있는 〈논매는소리〉는 미나리를 제외하면, 모두 영서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강원도 〈논매는소리〉는 영동지역은 자생된 노래가 중심을 이루고, 영서지역은 외지에서 유입되거나 유출된 노래가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기본적 국면은 내부적 존재 가운데 고성, 속초, 양양 등 영동 북부지역에 제창미나리가, 양양 남부와 강릉에 오독떼기가, 또 화천, 춘천, 홍천 등 영서 북부지역에 미나리가, 횡성, 원주 등 영서 남부지역에 단허리소리가 강하게 토대를 구축하고 경쟁과 대립하는 구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도 위에 외부에서 상사소리와 방아소리가 유입되어 영서지역 전반에 진출하였고, 특히 상사소리는 영서 북부지역 중 경기도와 접한 화천, 춘천, 홍천에서 기존의 내부적 존재인 미나리를 누르고 〈논매는소리〉 가운데 활성도가 가장 높은 존재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사소리와 방아소리는 영동지역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강원도 영서지역 〈논매는소리〉의 소통은 경기도 동부와 남부, 그리고 충청북도 서북부 등 중부지역으로 넓게 전개되었는데, 북한강과 남한강이 루트로 활용되었다. 곧, 상사소리와 방아소리의 유입은 북한강을 통해 이루어졌고, 또 미나리의 유출 또한 북한강을 통로로 전개되었다. 그런가하면, 단허리소리의 유출은 섬강 유역으로부터 남한강을 타고 전개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강원도의 〈논매는소리〉의 국면전개는 영동지역은 내부적 독자구역으로서 자리하고, 영서지역은 북한강을 중심으로 한 소통구역과 남한강을 중심으로 한 소통구역이 자리하는 구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런데 〈논매는소리〉의 국면이 해당 지역 민요의 기본국면에 해당한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면,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위와 같은 지역구도는 그대로 강원도 민요 양상을 형성한 문화지형의 기본구도로 이해할 수 있다. Nonmaeneun-sori is the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t has 29 kinds in Gangwon-do. Nonmaeneun-sori of Gangwon-do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ange of distriburion, large-scale, middle-scale, small-scale. And large-scale, middle-scale and small-scale group of Nonmaeneun-sori are 3 kinds, 3 kinds, and 23 kinds respectively. However this three groups take respectively 48.6%, 25.7%, and 25.7% of the area share. Therefore we can say that while song of small-scale according to the range of distribution is the majority in the kind of Nonmaeneon-sori of Gangwon-do, large-scale and middle-scale are the majority in the share of area. Nonmaeneon-sori of Gangwon-do is the song which is distributed only on the inside, or on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And the latter is the song which is flowed in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inversely flowed out in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as well. By the way the former is distributed on Yeongd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distributed on Yeongsu area. So we can understand that Nonmaeoeun-sori of Gangwon-do is a self-sustained aspect on Yeongdong area as well as a exchange aspect on Yeongsu area. Nonmaeneon-sori of Yeongsu area was exchanged along the Bukhangang and Namhangang. Sangsasori and Bangasori were flowed into Yeongsu area from Gyeonggi-do, also Minari flowed out into Gyeooggi-do along the Bukhangang. And Tanhurisori was flowed out into Gyeonggi-do from Sumgang Basin of Yeongsu area along the Namhangang. From this we can know that the distribution of Nonmaeoeun-sori of Gangwon-do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zones. These are one independent zone in Yeongdong area, and two exchangeable zones in Yeongsu area which are situated at the Bukhangang and Namhangang.

      • KCI등재

        〈모심는소리〉와〈논매는소리〉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03 韓國民俗學 Vol.38 No.1

        The folksong has a tendency to enlarge space of distribution continuously for the undulatory energy itself. And the folksong has a tendency to keep external aggression when another song is carried into the sphere. So, the distribution of folksong will present according to principle of extend and defend. The distribution of 〈Mosimneun-sori〉 and 〈Nonmaeneun-sori〉 was formed also by this principle. 〈Mosimneun-sori〉 is little kind of song.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Mosimneun-sori〉 makes up gigantic aspect with some kinds of song consist oligopoly system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o replace 'Hanasori', 'Arari', 'Jungjasori' and 'Sangsasori' in their rivalry. By the way, 〈Nonmaeneun-sori〉 is many kinds song. And 〈Nonmaeneun-sori〉 has the song which is imported song as well as self happened song.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Nonmaeneun-sori〉 has complicated form. One is cas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happened song, and the other is cas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a imported song and a self happened song. 〈Mosimneun-sori〉 and 〈Nonmaeneun-sori〉 was being distributed equally in all parts of korea. Since it is so, 〈Mosimneun-sori〉 and 〈Nonmaeneun-sori〉 was declined to mark of farming song's sphere in this text. On the result, the sphere of korean farming song will pigeonhole for solid composition and structural composition. The composition exist for various small sphere in each area. And it's formed for five great sphere of 'Hanasori-sphere', 'Minari-sphere', 'Arari-sphere', 'Jeongjasori-sphere', and 'Sangsasori-sphere'.

      • KCI등재

        경북지역 〈논매는소리〉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경북지역 〈논매는소리〉의 자료를 정리하여 각 시ㆍ군별 분포를 검토하고, 나아가 경북지역 〈논매는소리〉의 지역적 구도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목적이다. 경북에서 수집된 〈논매는소리〉의 자료들은 시ㆍ군마다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못하다. 상주처럼 170편의 자화 조사되어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자료가 10편도 되지 못하는 시?군도 15개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지금 경북의 〈논매는소리〉의 자료상황은 확충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고 하겠다. 경북은 2가보격 사설의 분포비중이 높고, 또 1가보격의 〈논매는소리〉가 가장 다양하게 존재하면서 그 분포비중도 다른 곳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경북 〈논매는소리〉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짧고 빠른 호흡이 발달한 데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북의 〈논매는소리〉로 분포가 넓은 것은 방아소리, 상사소리, 에-소리, 옹헤야소리, 잘도한다소리, 칭칭이소리 등 6종이다. 이 중에 칭칭이소리를 제외한 나머지 것들이 내부적으로는 자생노래끼리, 그리고 여기에 다시 내부노래와 외부노래가 대립의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내부노래끼리의 이같은 대립구도 위에 외부로부터 방아소리, 상사소리가 유입되었다. 이 노래들의 유입은 충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서부와 중부에서는 수용 되지 못하고, 동부의 산간지대를 타고 내려와 자리를 굳혔다. The research of Kyung-buk's 〈Nonmaeneun-sori〉 began in the 1960s. But the research of 〈Nonmaeneun-sori〉's data is concentrated 1985-1995. It is collected the 60% of 〈Nonmaeneun-sori〉's data within a this period. By the way, it must be research continually. Because the quality of research data is wide difference each and every SiㆍKun. The folksong has a enlarging tendency space of distribution continuously for the undulatory energy itself. And the folksong has a tendency to keep external aggression when another song is carried into the sphere. The distribution of 〈Nonmaenun-sori〉 was formed also by this principle. Therefore, the oppositional relationships of Kyung-buk's 〈Nonrnaeneun-sori〉 is expressed two kinds, too. One is cas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happened song, and the other is cas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a imported song and a self happened song. The song which is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happened song is ‘Jaldohanda-sori’ and ‘E-sori’. The imported song which is competition with a self happened song is a ‘Banga-sori’ and ‘Sangsa-sori’. The situation of Kyung-buk's 〈Nonmaeneun-sori〉 is making by this antagonistic relationships, and the antagonistic of ‘Jaldohanda-sori’ and ‘E-sori’ come out in the Nagdong-Kang's around. And the resistance an imported song looks in the Nagdong-Kang's around, too. The eastern part's mountainous area is weak an antagonistic of 〈Nonmaeneun-sori〉. So, It is held the import song like that. The 〈Nonmaeneun-sori〉's type of the eastern part was of small number than the western part. And the eastern part is widely distributed 2 Kabo-kyug, but the western part is not. The Kyung-buk is located at the eastern part of Korea. So It assumed same an aspect with the eastern part's 〈Nonmaeneun-sori〉. But, the type of Kyung-buk's 〈Nonmaeneun-sori〉 is most numerous in the eastern part. It is no less numerous than the type of Kyungki and Chung-nam that is of small number in the type of western part's 〈Nonmaeneun-sori〉. And the distribution of saseol's form is very high rate not only 2 Kabo-kyug but also Kabo-kyug. It is means that Kyung-buk's 〈Nonmaeneun-sori〉 looks dual circumstance. one is assumed same an aspect with the eastern part's 〈Nonmaeneun-sori〉, the other is dear individual aspect.

      • KCI등재

        자진아라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39 No.1

        자진아라리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그 인근지역에까지 나아가 분포되어 있다. 주로 태백산맥과 차령산맥의 줄기를 타고 나아가며, 위로는 광주산맥, 아래로는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대체로 강원도의 산맥 줄기를 타고 나아가면서 그 인근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의 민요는 종류를 다양화하기보다는 기능을 복합화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자진아라리도 나무하기, 나물뜯기, 밭매기 등 산간지역의 이러저러한 일거리와 노래 자체를 즐기는 노래판을 통해 전승되어 왔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자진아라리가 모심기를 하면서도 불려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산간노래로 존재하던 것이 뒤에 들노래로까지 나아가게 된 것이다. 자진아라리의 후렴은 넘어간다류, 넘겨주게류. 아라리야류, 얼었다가류, 놀다가세류. 왜요리아려류 등 6종으로 나타난다. 이 중에 이 노래의 대표적인 후렴은 넘어간다류이다. 그러나 자진아라리는 본래 후렴이 없던 노래이다. 현재의 후렴은 들노래로 진출하면서 작업의 필요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이른바 아리랑어사설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후렴으로 삼은 것이다. 자진아라리와 아라리는 노래의 생태적 양상이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두 노래는 사설의 교섭이 활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라리의 정서는 가볍기도 하고, 무겁기도 하지만, 자진아라리의 정서는 대부분 가볍다. 가벼우며 무거운 데 대해 가볍기만 한 것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특성화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사설의 공유가 보편적 현상으로 자리잡혀 있으면서도, 자진아라리로만 실현되는 것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아라리로 충족되기 어려운 측면을 자진아라리가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인데, 집약하면 그것은 흥취적 기능이다. 그러므로 자진아라리는 창자들이 아라리로 충족하기 어려운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는 역할을 하면서 함께 공존해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강원도아리랑은 자진아라리를 통속 민요로 변개시킨 노래이다 향토민요와 동속민요는 그 문화적 성격이 아주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강원도아리랑은 주요 소비공간인 도시에 합당한 정서를 담아내도록 새롭게 바뀌어야 했다. 이러한 변화가 사설에는 생태적 특성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또 후렴에는 유흥적 속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노래의 정체성이 문화적 생태환경과 맞물려 형성된다는 점을 새삼 확인 할 수 있다. 아리랑의 전개에 있어서 영화 아리랑의 주제곡, 곧 본조아리랑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아리랑의 전개 동력 가운데 하나는 민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영화 아리랑을 통해 아리랑에 민족이라는 기호가 입혀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조아리랑은 경기자진아리랑을 편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필자는 경기자진아리랑이 자진아라리를 본으로 삼아 만들어진 노래로 파악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진아리랑은 본조아리랑의 원본이 되는 노래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Jajin-Arari was being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Kangwon-do. This song was handed down in nearby the mountains. But it was sung work songs of rice farming in the later of Choseon, too. The ecology aspect of Jajin-Arari and Arari was nearly alike. So the both song could activity negotiation of words. But the emotion of Jajin-Arari has cheerful and light distintion than Arari's it. Jajin-Arari was created spontaneously genesis. And a musician specialist made a popular song Kangwondo-Arirang that it is arranged Jajin-Arari. Accordingly, the song of Kangwondo confirmed popularity, so the song was sung all over the country. We can tell that Jajin-Arari was made various shape according to environment was hand down or spread abroad. Since it is so, we are to be understand one of all aspect of the folk song that it is adapted endlessly put in to the ecology circumstance.

      • KCI등재

        21세기 민속학의 과제와 전망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민속학이 과거의 문제만 다룰 것이 아니라 당대의 문제를 다루어야 하며, 또 독립적인 분과학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그 동안의 논의를 통해 대강의 합의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면 이렇게 정립된 민속학의 학문적 범주와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려나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근대 이후 민속문화는 소시민과 서민의 생활문화가 중심이 된다. 종래 민속문화로 존재하던 예술 영역은 근대 이후에는 대중문화로 대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속학계는 앞으로 당대의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현대민속론의 논리와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는 노력을 진중하게 전개해야 한다. 민속학은 생활문화를 연구대상으로 하기에 여러 인접학문이 관계되는 종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속학은 결국 스스로의 문제의식에 충실하여 인접학문이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을 마련하여, 인접학문으로 하여금 민속학의 논리를 원천이론으로 삼아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또 거기서 얻은 성과가 민속학으로 되돌려지도록 순환구조를 구축해야 인접학문과 차별화되면서 독자적 분과학문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할 수 있다. The 21th century folklore have to study not only a matter of past but also a matter of present. And the folklore have to construct it's scientific personal. If so what dose the folklorist for it? Modem folk culture is composed of central culture for living of the lower middle class and the common people. Because of, an artistic sphere was replaced popular culture instead of folk culture. Therefore modem folk culture theory have to devise logic by means of culture for living of the day. The folklore have contiguity learning of different kinds. Because It is make culture for living an object of study. Therefore folklore must to supply to contiguity learning an instructive source theory. In a way, folklore must to development an abundant logic on reception study result of contiguity learning. And in that manner way, the folklore become a central axis of culture for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