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도아리랑의 보존과 진흥 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

        강등학 ( Deung Hag Kang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The cultural roots of the song Arirang, leading to the rural folk songs, urban popular folk songs, pop songs, a song adapted to the tastes of each era, as well as thepersistence and diversity gain came in today. But, after the deadline has evolved as a folk song, Arirang let legacy continue on heteroplastid. I mean to say that Arirang is culturally developing to let legacy continue with loss of transmission as folksong. In addition to the song Arirang, was transferred to a variety of genres as a source of creative recycling. These recycling from the start in 1926, the film Arirang throughout the culture, pop music, poetry, fiction, dance, theater, and appeared until now. By the way, Arirang has been culturally develpoed on next two ways; to transmit traits or to symbolize meaning. And now the latter is leading cultural development of Arirang. Specially festival and business to carry the banner for Arirang mostly make to symbolize meaning of the song. While pop music have a tendency to symbolize meaning, also those are greatly transmitting traits of the song. In recent years, growing the Arirang demand by external factors. Things affected by this demand focus on making Arirang the symbol of Korea, or on enhancing symbolic meaning of it.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 of Arirang through putting forward symbolic meaning. Thus, administrative works for Arirang will do better to focus on fulfilling its cultural trait, namely on culturally realizing the trait of Arirnag. Though there are diverse songs of Arirang, it is their essential trait in the sociocultural role that Arirang is the song of the weak, or person faced life’s difficulties. Because people who have sung Arirang are nonperson by status system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by military for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view development of Arirang must revive the cultural soul and practice sociocultural role of the song. In other word let make Arirang culture for nonperson, or person faced life’s difficulties.

      • KCI등재

        특집논문 : 아리랑의 문화형질, 그리고 아리랑의 공적 관리와 사업의 문제

        강등학 ( Deung Hag Ka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아리랑의 문화적 힘은 실상 거의 대부분 본조아리랑으로부터 나온다. 이른바 아리랑이 민족을 상징하는 노래라고 하는 것도 엄밀히 따지면 본조아리랑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런데 본조아리랑의 문화적 힘은 세상살이, 고난, 약자 등을 동인으로 하는 문화형질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본디 향토 민요 아리랑이 지니고 있던 문화적 요소이다. 나운규가 영화 <아리랑>을 통해 아리랑의 본원적 문화형질에 일제 강점기 시대상황을 입힘으로써 본조아리랑은 약자의 세상살이와 민족적 고난을 아울러 담아내는 노래로 민족성원의 가슴에 내면화 하게 된 것이다. 이후 본조아리랑은 아리랑을 견인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아리랑은 실상 민요로서의 맥이 단절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면은 그 원류에 해당하는 향토 민요 아리랑이 더욱 두드러진다. 상황이 이러하기에 향토 민요 아리랑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제도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지역은 정선, 강릉 등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 향토 민요 아리랑은 백두대간과 그 지맥이 미치는 인근지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고, 각 분포지에는 생활 속에서 아리랑을 자연스럽게 익힌 자연전수자들이 아직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은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다. 다수의 자연전수자를 도태시키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몇몇 기능보유자들이 소수의 전수자를 인위적으로 양성하는 것은 분명 모순이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아리랑의 공적 관리 시각을 종목보호로부터 국면보호로 전환해야 한다. 국면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자연전수자들을 제도권으로 수용해야 한다. 아울러 각 지역의 향토 민요 아리랑을 관광과 축제를 위한 문화자원으로 활용하여 자연전수자들의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사업적 지원과 배려를 해줘야 한다. 아리랑의 공적 사업의 문제의식은 기본적으로 기반보강, 형질실현, 의미표상의 세 가지 시각에서 모색할 수 있다. 기반보강은 아리랑의 존재국면을 유지하거나,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며, 형질실현은 아리랑의 형질을 이어 문화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일이다. 그리고 의미표상은 아리랑의 상징성이나 의의를 기리고 선양하기 위한 일이다. 이 중 근래 아리랑의 공적 사업을 이끌고 있는 문제의식은 의미표상이다. 아리랑의 문화적 가치는 그것을 인식하고, 개념 짓고, 주장하는 것으로는 유지되기 어렵다. 그러한 가치를 지니게 된 실상에 맞도록 아리랑을 문화적으로 실천함으로써 비로소 그 가치가 실존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아라리는 물론, 본조아리랑 역시 스스로의 의미와 가치를 노래하지 않았다. 이루고자 하거나, 이루어야 하는 바, 또는 마음이 지향하는 바와 관련된 일과 정서를 말하고, 노래했을 뿐이다. 처음에는 향촌사회의 성원들이 그러했고, 뒤에는 국난에 처한 민족성원들이 그러했다. 그러므로 아리랑의 문화적 전개는 아리랑의 형질을 지닌 문화를 만들며 그 맥을 이어가는 일이 중심을 이루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아리랑의 국면 자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통소리꾼들의 가창기회도 늘려 기반보강을 꾀해야 한다. 아리랑이 단지 민족, 또는 한국을 뜻하는 기호로서 존재하지 않도록 아리랑의 문화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리랑의 공적 사업이 기반보강과 함께 형질실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문제의식을 가져야 할 소이가 여기에 있다. Even though Arirang is influential in Korean culture to this age, we rarely enjoy the rural folksongs of Arirang. The rural Arirang folksongs are more serious than the urban popular Arirang folksong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e appreciated by the public. For this reason, rural Arirang folksongs have been preserv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This law designated some singers as representative bearers, who are formal heirs of rural Arirang folksongs. However, people who can benefit from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re very rare even though there are a large number of bearers who naturally mastered rural Arirang folksong through their daily lives over a wide area of Gangwondo and the surroundings. There are two situations: the one which the natural bearers of rural Arirang folksongs are disappearing outside the protection system, and the other which several representative bearers are artificially fostering few heirs. They are I contradic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 we need to change the concept of protecting Arirang. In other words, we must expand the concept to retaining the cultural condition and not just the apprenticeship training to protect Arirang. Therefore we can make let more bearers and wider areas be protected by the legal system. In this respect, it requires that we should work out a new system of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rirang. In recent years, administrative work for Arirang have gradually increased. These efforts focus on making Arirang the symbol of Korea, or on enhancing symbolic meaning of it.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 of Arirang by putting forward the symbolic meaning. Administrative works for Arirang will do better it they focus on fulfilling the cultural trait, namely on culturally realizing the trait of Arirang. 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t versions of Arirang, it is their essential trait in the sociocultural role that Arirang is the song of the weak, or those who face life`s difficulties. Because people who have sung Arirang are lay persons by status system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by military for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view development of Arirang must revive the cultural soul and practice sociocultural role of the song. In other words, Arirang culture is for lay people and people facing life`s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