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강기창,박성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diated effects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ithi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ego resiliency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by setting ego resiliency, gri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as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on 178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health and medical science specialized school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ll sub-variables of ego resiliency, gri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positively impacted each other except for the three cases. Seco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ego resiliency’s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s confirmed valid. Thir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grit’s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s confirmed valid. Fourth,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n academic achievement is confirmed valid. Fif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diates between ego resil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Six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diates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그릿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 대학생활적응이 갖는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특성화 대학에 재학 중인 17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와 호기심, 호기심은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응을 제외하고는 자아탄력성, 그릿,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의 모든 하위변인 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탄력성, 그릿,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릿, 자아탄력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회귀분석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는 학생 개인의 수요를 파악한 학생 맞춤형 학습 지원과 심리 상담, 신체적 건강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함양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결장직장암에서 Nuclear Factor-κB p65와 Nuclear Factor-κB p50 단백 발현과 임상병리학 인자와의 연관성

        강기창(Gi Chang Kang),김범규(Beom Gyu Kim),박준석(Jun Suk Park),최유신(Yu Sin Choi),차성재(Sung Jae Cha),박성준(Sung Jun Park),장인택(In Taik Chang),박성일(Sung il Park),이태진(Tae Jin Lee),최영철(Young Cheol Choi) 대한외과학회 2008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5 No.2

        Purpose: Nuclear Factor-κB p65 (NF-κB p65) and nuclear Factor-κB1 p50 (NF-κB p65) have been shown to play roles in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cytokine production and oncogene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NF-κB p65 and NF-κB p50 proteins in premalignant lesions and colorectal adenocarcinoma. Methods: Paraffin sections of 20 normal mucosa specimens, 20 low grade tubular adenoma specimens, 20 high grade tubular adenoma specimens and 64 adenocarcinoma specimens were analyzed immunohistochemically for the expressions of NF-κB p65 and NF-κB p50 proteins. Results: The expressions of NF-κB p65 and NF-κB p50 protei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enocarcinoma tissue compared with that in the normal mucosa, the low grade tubular adenoma and the high grade tubular adenoma tissues. The frequency of a NF-κB p50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ic grade specimens, in the presence of nodal metastasis and in the high stage specimen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NF-κB p65 and NF-κB p50 proteins. Conclusion: The expressions of NF-κB p65 and NF-κB p50 proteins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olorectal carcinoma.

      • KCI등재후보
      • 유산소 운동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

        박래준,강기창 대한물리치료학회 1998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change of bone density by partial weight bearing and non-weight bearing exercise. Twelve female volunteers in good health (between 20 and 30 years of age) were studied as subjec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1(n=4 swimming group), group 2(n=4 bicycle group) and control group(n=4). Before and after 11weeks(five times a week), the subjects were examined for change of bone density using 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increase in bone density of femoral neck in the group that swa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umbar, femoral neck and femoral ward's triangle region (P$lt;0.05) 2. There was increase in bone density of femoral ward's triangle in the group that swa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umbar, femoral neck and femoral ward's triangle region(P$lt;0.05) 3. After a aerobic exercise by partial weight bearing and non-weight bear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art of excessive muscle's exercise but there is the increase of the bone density in figures.

      • 중앙행정부처의 갈등관리 방안

        박재희,정유진,강기창,김남석,하미승 한국행정연구원 2004 기본연구과제 Vol.2004 No.-

        정부의 형태와 상관없이 갈등은 모든 정부조직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정된 국가 자원으로 기관에 따라 서로 이질적이거나 상충되는 목표를 추구하는 경우 갈등은 거의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조직 내 갈등은 상황에 따라 역기능적인 측면과 순기능적인 측면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는 만큼 갈등 발생자체를 무조건 부정적인 시각에서 볼 필요는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정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처간 갈등이 발생하느냐 않느냐는 문제의 핵심이 아니며 그보다는 갈등의 역기능은 최소화 하는 대신 순기능은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갈등관리를 여하히 할 것인가에 문제의 핵심이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민정부 출범이후 급속히 진전된 민주화와 시민단체의 정치참여 증대, 정책문제의 복합화 · 전문화 현상 등으로 최근 국가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관련부처 간 그리고 관련이해집단 간의 대립과 갈등 사례가 전례 없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부 내 조정수단이나 메커니즘의 미흡으로 정책혼선과 그로 인한 국민적 혼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관부처들이 각기 자기 부처와 관련된 사항들만을 부분적으로 다루게 됨으로써 `전체(entirety of the problematic situation)` 맥락 속에서 `부분(parts)`을 보는 균형감각과 종합적 시각이 결여되어 있다. 특히 예기치 못한 대형사고 등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파급효과가 큰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구심점이 없다보니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에서 관련 부처들간 갈등이 장기화되거나, 혹은 갈등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조정결과가 정책의 합리성과 종합성에 대한 배려보다는 부처간 `힘겨루기`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정책 결정과 집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관 간 갈등의 주요 요인과 갈등관리 및 조정체계의 실태를 분석, 현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중앙정부의 갈등관리·조정 기능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국내외 사례조사, 관련 공무원과의 면담 및 설문조사 방법을 병행하였다. 즉 갈등의 개념, 갈등관리유형의 이론적 근거 및 분석틀 도출을 위하여 문헌조사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고, 주요 갈등요인과 우리나라의 갈등관리 및 조정실태 파악, 그리고 현 갈등관리체계의 문제점 파악과 이에 대한개선방안 강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하여 면담 및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15개 중앙행정부처 소속 5급이상 공무원 6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항들 (major findings)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위직공무원의 부처간 인사교류제도가 부처간 정책조정 및 갈등해소에 기여한 정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2.6%(276명)가 `크게 기여(2.3%)` 또는 `어느 정도 기여(50.3%)라고 답변하였으며, 응답자의 47.1%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거나(45.0%) `오히려 장애요인으로 작용(2.1%)`하였다고 답변함으로써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이 거의 반으로 나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의 실시기간이 아직 1년 미만임을 감안할 때 이 제도가 비록 실시기간은 짧지만 부처간 정책조정 및 갈등해소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 제도가 갈등해소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단기간 근무로 책임의식 결여 및 업무 연속성 부족`, `교류에 따른 파견기관업무에 대한 전문성부족`, `부처의 배타적 자세`,` 조직문화의 차이`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따라서 이 제도가 향후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지금보다 증진된 효과를 창출해 내기 위해서는 파견 근무기간연장 및 보장, 선발시 파견부처 업무에 대한 전문성 배려, 파견자에 대한 배타적 자세 지양을 위한 새로운 조직문화 창출 노력 등을 통하여 위에 지적된 장애요인을 완화 내지는 제거할 필요가 있다. -부처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주요 요인으로는, `문제를 보는 시각차`(266명), `부처이기주의`(211명), `업무중복 또는 불분명한 관할권`(160명)이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앙부처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주요 정책조정회의체의 효용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관계차관회의,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 4대정책분야별 관계장관회의에 대해서는 각기 응답자의 53%, 41%, 32%가 `대체로` 또는 `매우` 도움이 된다고 답변한 반면, 국가안전보장회의에 대해선 긍정적인 답변과 부정적인 답변이 각기 22.8%와 20.7%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정책분야별회의체 조정결과에 대한 만족정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에서는 대체로 경제정책조정회의와 사회관계장관회의에 대한 만족도가 인적자원개발회의와 통일관계장관회의에 대한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정결과의 합리성/타당성 여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6.3% (348)가 `빈번히` 또는 `매우 빈번히` “힘센 부처의 뜻대로 조정이 이루어졌다“라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조정결과가 ”자신의 소속부처에는 불리하였으나 국익차원에서는 합리적“이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 또는 `빈번히` 일어난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9.6%인데 반해 `가끔` 또는 `아주 가끔` 일어날 뿐이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84.3%로 나타나 비록 조정 또는 합의는 이루어졌지만 국가차원에서 볼 때 조정결과가 반드시 합리적인 경우가 아닌 때도 다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외에 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의 성격상 부처간 갈등조정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6개 기관 즉, 청와대, 국무조정실,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법제처, 행정자치부가 실지로 부처간 갈등조정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청와대, 국조실은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수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자수보다 많이 나타난 반면 재경부, 기획예산처, 법제처, 행자부는 `도움이 안 된다`는 응답이 도움이 된다는 응답보다 많이 나왔다. 위의 설문조사결과와 중앙행정부처간 갈등사례분석, 그리고 우리나라의 조정체계 현황 분석 자료 등을 토대로 본 보고서에서는 불필요한 갈등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서 부처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①부처간 유사중복기능의 통폐합, ②복합적 정책사안들만을 다룰 수 있는 조정전담기구의 설치와 부처간 조정담당관제 도입, ③부처간 정책정보공유시스템의 활성화, ④집단의사결정시스템의 활성화, ⑤현행 부처간 인사교류제도의 개선 등을 제시하고 있다. Coordination among departments has always been a problem for government, but it has become a more prominent concern in recent years. It is because public policy problems are cross-cutting, so that actions of one department or organization affect the programs of others, making it difficult to contain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conventional ministerial structures. As policy issues coming into governments became more complex and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e needs for coordination grew exponentially. Given that the cross-cutting problems are largely unprecedented, there are not the institutional structures available to cope with them directly. The usual case is that there are a number of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a part of the problem or another, but none responsible for it in its entirety. This presents the problem of coordination. It also presents the problem of obtaining a more holistic conceptualization of the problem that is more than a piecing together of the partial definitions presented by each department. Governments therefore must develop innovative mechanisms for coping with these issues. In particular, these issues appear to call for putting issues and institutions together, while much of the policy thrust for the past decade has been to disaggregate policies and administrative hierarchi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jor causes of intergovernmental conflict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hape of public policy, and to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coordination ability among departments and problems of the central government.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or a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survey sample, 640 civil servants from 15 departments of the central government were randomly sele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ome of SPSS subprograms such as Frequencies, Cross-Tabs, and Discriminant Functions. Based on findings of the survey results along with the case study results, it is recommended, among other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policy makers with policy relevant information in a readily usable form in accordance with policy issues across departments. Having right information in right place and right time reduces uncertainty and risk in decision making. Likewise,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to policy makers in a readily usable form would enhance quality of policy making as well as coordination capabilities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 KCI등재

        결장직장암에서 종양세포 발아, 종양 결절 및 림프절 캡슐외 침습과 암 관련 유전자 발현과의 관계

        강현종,조항주,강기창,김기환,강원경,김지일,박종경,오승택,김정수,안창혁 대한대장항문학회 2009 Annals of Coloproctolgy Vol.25 No.1

        Purpose: Despite the similar lymph node metastasis observed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 (CRC), there was a different clinical outcome. The relationships between tumor-related gene expression and prognostic factors such as tumor budding, tumor nodule and extracapsular extension (ECE) of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CRC remain unclear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molecular marker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E-cadherin and the tumor budding, tumor nodule and ECE of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stage III CRC. Methods: The tissue of 87 patients with stage III CRC were investigated for expressions of molecular markers us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s. Results: VEGF and MMP-9 expression in tumor tissu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lorectal cancer prognostic factors such as tumor budding, tumor nodule and extracapsular lymph node extension (P<0.05). But, MMP-2, EGF and Ecadherin expression were of no value with regard to them.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olecular markers, in particular VEGF and MMP-9, may provide additional prognostic information regarding tumor budding, ECE and tumor nod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