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에너지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강경현(Kyung Hyun Kang),김수정(Sujeong Kim),정광수(Kwangsue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B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는 배터리 파워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각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용을 위해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소비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뮬레이터는 데이터 송, 수신에 따른 에너지 소모와 하드웨어에서의 에너지 소모를 반영하여 구현하였기 때문에 센서 노드의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주자학 연구의 두 시선 -철학자 주희 혹은 유학자 주희-

        강경현 ( Kang Ky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한국 전통에 대한 해석 문제와 결부된다. 이는 주자학적 이념에 충실했던 “조선”이라는 공간과 그곳의 학자들이 한국의 현재와 과거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지점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의 사상적, 문화적 주요 토대를 이루고 있는 주자학에 대해 근대 이후 한국의 연구는 서양 철학적 해석의 색채를 강하게 띠며 진행된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과의 단절이라는 한국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며, 동시에 주자학의 함의를 지금의 사유와 언어로 해명하기 위해 선택된 방법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유학의 주요 문제의식이라고 간주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즉,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철학(philosophy)”을 통해서 주자학의 보편적 의미를 발굴하기도 하며, “유학(儒學)” 안에서 주자학의 정체성을 규명하기도 한다. 이 글은 근대 이후 한국 주자학 연구의 두 가지 접근 방식에 대해 전통 유학의 시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 하나는 주자학이 서양 철학적으로 분석되었을 때 유학적 문제의식과 다소간의 간극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주자학을 유학 전통 안에서 해석하더라도 여전히 유학의 중요한 문제의식 가운데 일부를 놓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 유학에 보다 충실히 입각함으로써 주자학에 대한 이해는 명료해질 것이며, 이로부터 한국의 주자학 연구는 조선주자학을 주요 전통 자원으로 하는 한국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연속적, 정합적 이해의 토대에 자리하게 될 것이다. Since the modern age,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has been deeply concer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 This is because "Joseon", which was faithful to the Zhu-Xi studies, is one of the points to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and past of Korea. However,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which constitutes the main ideological and cultural foundation of tradition, have progressed in the color of Western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trongly since the modern age. This approach is due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 which is a severance of tradition, and simultaneously it is the method chosen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Zhu-Xi in the present thoughts and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is centered on the subject considered to be a traditional issue of 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explored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Zhu-Xi studies through "philosophy" and established the identity of the Zhu-Xi studies within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k questions that can be rai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Confucianism regarding the two viewpoint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since the modern age. Firstly, when the study of Zhu-Xi is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the Western philosophy, it would cause the gap with the issues of Confucianism. Secondly, even if interpreting the study of Zhu-Xi within the range of tradition of Confucianism as much as possible, it is still possible that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of Confucianism are mis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y of Zhu-Xi will be clearer b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Zhu-Xi in Korea will be the basis of a continuous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Korea's past and present, which regarded Zhu-Xi studies of Joseon Dynasty as the main traditional resource.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天命圖」에 대한 분석 -天命圈을 중심으로-

        강경현 ( Kyung Hyun Kang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1 No.-

        본 논문은 天命圈을 중심으로 退溪 李滉의 기존 「天命圖」에 대한 수정을 검토함으로써, 이를 통해 退溪가 드러내고자 하였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退溪는 기존의 「天命圖」에서는 하단에 위치하여 위로 향하는 흐름으로 그려진``命``을, 상단으로 옮겨``天命``으로 표기하고 아래로 향하는 흐름으로 수정하였다. 이는 윗자리에 자리하는 上天·上帝가 仁·義·禮·智를 命令과도 같이 만물에 부여하는 과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진행되는 그림으로 구성한 것이다. 둘째, 退溪는 그림 상단으로 옮긴``天命``을 하나의 권(○)으로 만들고, 주변에``理氣妙凝``이라는 글자를 명기하였다. 이는 天命의 뜻에 理氣妙凝의 의미를 결합시킴으로써 仁·義·禮·智가 부여되는 과정 속에서 개체의 형체 역시 함께 형성된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退溪는 이처럼 기존의 「天命圖」에서 도상화 되었던``天命``을"그림 상단에 위치한 妙凝圈으로서의 天命圈"으로 수정함으로써"仁·義·禮·智를 실현해야만 하는 구체적 존재가 생성되는 근원"을 표상화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작용이 上天·上帝의 만물에 대한 主宰와 運用의 능력과도 같음을 도상화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圖」: Chunmyungdo) through the examination of T`oegye`s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T`oegye made a few core modifications to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Specifically, he expressed his view of the Mandate of Heaven through repositioning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圈) and refining its element`s meaning.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obtains the meaning of the Lord on High(上天·上帝: sangchun·sangje)`s mandate by taking higher position on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also represents the circle of wondrously uniting and consolidating li and gi(理氣妙凝) on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太極圖」: Taegeukdo). Accordingly it takes a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all things which have the original nature of benevolence(仁), righteousness(義), propriety(禮), wisdom(智) and the form and body. These considerations suggest that T`oegye`s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shows the his understanding of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He thought that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represents a root of creating concrete entities which ought to carry out virtuous conduct and also has the meaning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all things is regarded as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Lord on High.

      • KCI등재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의 구성과 의의

        강경현 ( Kang Ky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宋季元明理學通錄』은 宋季元明 시기 여러 학자의 언행 및 관련 언급을 수록한 책으로, 退溪는 이를 “理學”이라는 범주로 포괄한다. 그리고 退溪는 朱子學을 宋季元明 시기 학문의 淵源이라고 보는 동시에 朱子를 시작으로 이 시기 학자를 계보화하고자 한다. 退溪의 주안점은 주로 『宋季元明理學通錄』 「太師徽國文公朱先生」과 「朱門諸子」에서 발견되며, 이는 「朱子行狀」과 朱子書, 『朱子語類』의 수록으로 구체화된다. 그리고 그 가운데 「朱門諸子」에 인용된 『朱子語類』의 내용을 살펴보면, 退溪는 「持守」편에 특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退溪가 敬 工夫에 주목하여 朱子의 언설을 선별하고 재구성한 문헌이라는 측면에서 『宋季元明理學通錄』을 해석함으로써, 이 책이 敬 工夫 중심의 학문을 정립하고자 한 退溪의 사유 궤적에서 주요한 위상을 갖는다는 점을 밝혀보았다. SongGyeWonMyungLiHakTongLok(『季元明理學通錄』) is a record of the sayings and doings of approximately 560 confucian scholars from the Southern Song, through to the Won and Myung. Yi Hwang gave a title of Lihak(理學) to their study and thought the confucian scholars during that period pursue the course of learning advocated by Chu Hsi(朱熹). Therefore he tried to list them starting with Chu Hsi, and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Chu Hsi’s life, doctrines, and his pupils. Yi Hwang’s important point of compiling the SongGyeWonMyungLiHakTongLok is found in the chapter of “Chu Hsi” and “Chu Hsi’s pupils”. Considering the passages quoting from Chu Hsi’s works, we can find that Yi Hwang’s emphasis is on Chu Hsi’s explanation of Jing(敬) as a way of self-cultivation. Accordingly, SongGyeWonMyungLiHakTongLok shows that Yi Hwang organize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centering on Jing. This observation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on understanding Yi Hwang’s philosophy based o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經筵에서 『尙書』 강독의 의미 - 조선 전기 경연 자료를 중심으로

        강경현 ( Kang Kyung-hyun ) 퇴계학연구원 2022 退溪學報 Vol.151 No.-

        유가적 이상 정치가 구현되었던 三代를 기록하고 있는 『尙書』는 당시의 훌륭한 임금들과 신하들의 언행을 수록함으로써 유가 통치의 이상적 주체로서 聖君과 賢臣의 전범을 제시하고 있다. 『상서』라는 유가 경전이 독해된 조선의 經筵은 조선의 군주와 신하가 삼대의 성군과 현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존재이면서 동시에 다분히 위태로운 존재라는 유학의 전통적 인간 이해 위에서, 仁政이라는 유가 정치의 목표와 그것의 실현을 위한 君臣共治라는 방법적 지향을 확인하고, 현실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 왕정의 두 도덕적 정치 주체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생각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조선 경연에서의 『상서』 강독은 유가 왕정의 이상과 이념을 숙고하고 논의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상기함으로써 유가적 인정과 공치를 구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Book of Documents, which records the era when Confucian ideal politics was embodied, sets an example for holy monarchs and wise subjects as ideal participants in Confucian politics by including the words and actions of great kings and subjects at the time. The Classics Mat(經筵, also interpreted as the loyal lecture) of Joseon, where The Book of Documents was read,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of all, the rulers and subjects of Joseon shared the human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that each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good ruler and a wise servant, and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being swayed by desires. They also identified the goal of the benevolent politics, and thought about the institutional orientation of co-governance by the ruler and the subject to realize it. In other words, the Classics Mat in Joseon was a place to think about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two moral political actors of the royal government participating in real politics. The rulers and subjects of Joseon discussed the ideal of confucian politics in the Classics Mat, and the reading of The Book of Documents was a method of realizing confucian benevolent politics and co-government by continuously confirming it.

      • KCI등재

        조선시대 경연에서 『서경』 「우공」편 강독의 의미

        강경현 ( Kang Kyung Hyu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8 No.-

        조선시대 경연은 유가 경전을 군주와 신하가 함께 읽으면서 유가적 가치에 입각한 나라를 구축하기 위한 이념과 이상을 공유하고자 시행된 제도이다. 유가의 모범적 군신인 삼대의 성군과 현신에 관해 기록하고 있는 『서경』은 조선시대 경연의 주요 텍스트로서, 수기와 인정 그리고 군신공치라는 유가 왕정의 이념이 독해되었던 문헌이다. 조선시대 경연에서 『서경』은 인조, 효종 대에 집중적으로 다뤄지며, 특히 「우공」편이 본격적으로 진강되기 시작한다. 공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대동법의 시행이 제안되었던 조선의 17세기에 「우공」편은 조세 제도의 근거로서 경연을 통해 재성찰된다. 더 나아가 조선의 경연에서 「우공」편은 인정을 지향하는 군주와 신하의 마음을 바탕으로 국가 공간에 대한 개발과 파악, 생업의 제안과 진작이 이뤄지고, 이를 통해 풍성한 국토와 풍요로운 민생에 최적화된 공간이 완성되었던 하나의 전범으로 해석된다. 조선의 경연에서 「우공」편이 왕정과 성학의 전형으로 해석됨으로써 조선의 경연은 유가 경전을 통해 경세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모범과 통찰을 얻는 경세학으로서의 경학의 면모를 보인다. The Classics Mat of Joseon is an institution where the monarch and his subjects met to read Confucian Classics together, discuss the contents, thereby sharing the ideology and ideals to build a country based on Confucian values. The Book of Documents records the exemplary Confucian monarchs and subjects, and is also a major textbook of The Classics Mat in Joseon. In this book, Joseon's monarchs and subjects find the core principles of Confucian politics: self-cultivation, benevolent politics, and co-government by the ruler and the subject. In the Classics Mat of Joseon, the Book of Documents is intensively discu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nd King Hyojong, and in particular, the “Tribute of Yu” chapter began to be read in earne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Law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lition of the public payment system, the “Tribute of Yu” is discussed again in The Classics Mat and understood as the basis for the tax system. Furthermore, in Joseon's Classics Mat, the “Tribute of Yu” is interpreted as an ideal Confucian political example: It is based on the minds of the king and his servants who are oriented towards benevolent politics. To be specific, from this ideal they see territorial development, geographic research, industrial proposals and promotions, and the realization of the “fertility of the land and the comfortable life of the people.” The way they read the chapter in question provides an example that the Classics Mat of Joseon was a place to read the Confucian Classics with statecraft in mind.

      • KCI등재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

        강경현(Kang, Kyung-hyu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6

        『명유학안』은 17세기 황종희의 양명학적 시선에 따라 명대 학자들의 행적과 사상이 서술된 학안류 문헌이다. 『명유학안』이 제공하고 있는 양명학 중심의 명대 유학 이해의 시야는 동아시아 사상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큰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16세기부터 양명학을 수용한 조선에서도 『명유학안』은 수입되어 읽혔다. 물론 주자학을 근간으로 하던 조선 학술계에서 『명유학안』에 대한 논의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다만 그들 역시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과 문제의식에 따라 『명유학안』을 독해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첫 번째 『명유학안』 독해 양상은 “명대 인물과 사상 이해”이다. 이것이 조선시대 발견되는 가장 이른 시기(19세기)의 『명유학안』 독해 양상이다. 명대 인물의 언행과 사상을 싣고 있는 『명유학안』을 통해 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 것으로, 『명유학안』을 일종의 전기류문헌으로 파악한 것이다. 두 번째 활용 양상은 “양명학 비판”이다. 16세기 이황으로부터 시작된 조선의 양명학 비판 흐름은 『명유학안』을 읽는 데에도 이어졌다. 일군의 학자들은 주자학적 입장에 바탕을 하여 『명유학안』을 독해하였고, 『명유학안』에 수록된 양명학적 인물들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물론 주자학적 인물들에 대한 우호적 평가와 병행된다. 마지막으로 『명유학안』은 왕수인의 생애와 학술을 재구성하거나 양명학을 재해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특히 양명학적 시선에 따라 왕수인의 사상과 중국 양명학의 계보를 다시 구성하여 조선 양명학사를 체계화하고, 그에 기반을 하여 당대의 시대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명유학안』은 독해되었다. The Records of Ming Scholars(『明儒學案』) is a scholarly literature written in the 17th century, describing the history of scholars in the Ming Dynasty and their ideas in the observation of Huang Zongxi with perspectives prevalent i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In trying to understand the Confucianism centered around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provides views that have become major influence for comprehending the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after the acceptance of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since the 16th century. As one would expect, little attention was given for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s scholastic field in Joseon Era based their views in the teachings of Zhu Xi. However, they still perceiv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n their own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issues arising thereof. First interpretation tendency of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n Joseon is “understanding scholars and their ideas”. This is the earliest discovery of tendency(19thcentury) for interpret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They classifi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s a type of biographical record in deeply understanding the Ming Dynasty through which people and their history of behaviors and ideas are described. Second tendency for interpret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is as “criticism o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Criticism on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has began with Yi Hwang in the 16th century, still remained in reading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A group of scholars interpreted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ith the basis of teachings of Zhu Xi and multitude of people in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ith influence of Wang Shouren recorded had become grounds for criticism. This is, of course, in parallel to amicable evaluation on people in the teachings of Zhu Xi. Lastly,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used to re-evaluate the teachings of Wang Shouren. More specifically, The Records of Ming Scholars was apprehended to re-construct the pedigree of Wang Shouren school. This was to systematize the chronicles of Wang Shouren school and to provide solutions to issues predominant in the times of Joseon Era.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혼잡 패턴을 고려한 전송률 조절 기법

        강경현(Kyung Hyun Kang),정광수(Kwangsue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12

        이벤트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주기적인 센싱 데이터에 비해 높은 전송률과 우선순위를 갖는 이벤트 데이터가 병목 구간에 집중되면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한다. 혼잡이 지속되면 대부분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네트워크 붕괴 현상이 나타난다. 전송률 조절 기법은 이러한 네트워크 붕괴 현상을 막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를 위해 각 노드에서 혼잡 패턴에 따라 자식 노드의 전송률을 조절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효과적으로 혼잡을 제어하고, 기존의 전송률 조절 기법들보다 더 많은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함을 확인하였다. In event-driven wireless sensor networks, network congestion occurs when event data, which have higher transmission rates than periodic sensing data, are forwarded to bottleneck links. As the congestion continues, congestion collapse is triggered, so most of pacpackets from source nodes are failed to transmit to a sink node. Rate control schemes can be a solution for preventing the congestion collapse problem. In this paper, a rate control scheme that each node controls child node’s data rate based on congestion patterns is proposed.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effectively controls network congestion and successfully transmits more event data packets to a sink node than existing rate control schemes.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Bounded Delay를 보장하는 Adaptive Back-off 기법

        강경현(Kyung Hyun Kang),송병훈(Byunghun Song),정광수(Kwangsue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D

        모니터링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각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양과 지연 시간의 차이를 줄이는 것이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응용은 트리 구조의 멀티 홉 통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가장자리에 놓인 노드는 비교적 큰 데이터 지연 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싱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노드에게 데이터 전송 확률을 높여주는 Adaptive Back-off 기법을 제안하였다. Adaptive Back-off 기법은 센서 노드가 대부분의 데이터를 Bounded Delay 시간 안에 싱크로 전달하도록 보장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의 최대지연 시간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의 공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