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습관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분석

        강경숙(Kang, Kyungsook),노정은(Noh, J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본 연구는 학습습관과 학업성취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아 학습습관을 지도할 때 어떤 내용을 지도하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 또 어떠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습관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사한 국내 논문 32편을 선정하여 학습습관의 교육내용 점검 및 효과 분석, 학습자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분석 기준인 학습습관의 하위 내용 지도를 점검하기 위해서 먼저 학습습관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습관의 하위 영역을 정리한 후 각 하위 영역별로 어떤 내용들을 지도하고 있는지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검사도구 분석을 통해 학습습관의 하위 영역을 주의집중 영역, 학습행동 영역, 동기 및 태도 영역, 개인 및 환경 영역으로 나누고 이를 기준으 로 학습습관 형성에 필요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교육내용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습습관 영역 중 습관의 형성 정도가 빠르게 향상되는 영역과 습관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학습습관 향상과 관련 된 학습자 집단을 분석하여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학습습관 형성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특히 학습부진아 집단 또는 중하위권 학습자에게 학습습관형성이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학습습관 향상 에 필요한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 부분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factors of ‘study habit’, and examined the education contents needed for improving study habit, assuming that ‘stud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closely related. And the student groups who need to acquire ‘study habit’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32 domestic researches which studi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study habit’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4 sub-factors of ‘study habit’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Educational contents were reviewed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quisition of ‘study habit’. As a result, some ‘study habit’ categories that are easily developed and other ‘study habit’ categories that are difficult to be developed are identified. Additionally, stud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study habit’ were analyzed, and the effect of the acquisition of ‘study habit’ through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was reviewed. It is confirmed that academic underachievers, low, and middle levels students require additional ‘study habit’ acquisi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improving ‘study habit’ in the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nalysi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물매개중재가 시설 거주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경숙 ( Kang Kyungsook ),이명희 ( Lee Myonghee ),우진경 ( Woo Jingy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반려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Animal-Assisted Therapy: AAT)가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성인 3명을 선정하여 주 1회씩 총 21회기에 걸쳐 동물매개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각 대상자별로 반려견 1두, 동물매개중재 활동사 1명, 관찰자 2명이 함께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기술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행동관찰표를 이용하여 매회기별 행동빈도 변화를 단일대상연구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래프로 제시하고, 더불어 연구자의 기록을 종합하여 사회적 기술의 질적 변화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반려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를 통해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고, 사회적 기술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안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AAT) with companion dogs on social skills developme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stitutionalized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completed the experiment throughout the 21 sessions, once a week. Each study participant was accompanied by one companion dog, one animal handler, and two observer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pre-and post-treatment scores measured by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were compared, and during each session, the participants` behavior frequency was measured through the behavior observation record. The results were exhibited on the graph of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and the behavior observations of social skills change were provided by integrating the researcher`s repor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AT with companion dogs had a positive impact on an increase in the scores of social skills as well as on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which were subcategories of social skills, amo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cores of SSRS in post-test were higher than in pre-test, and the frequency of socially skilled behaviors, which was operationally defined, was increased in post-test. After the program, the degree was somewhat decreased, and the improvement in terms of quality varied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However, this can be resulted not only from their own life styles established for a long time as an adult but also from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showing the applicability of AAT as on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 개별화평생교육계획(ILEP) 요소 고찰: 특수교육 IEP 및 ITP 연계 기반

        김영준 ( Youngjun Kim ),강경숙 ( Kyungsook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의 IEP 및 ITP 연계에 기반하여 장애인 개별화평생교육계획(ILEP) 요소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 간 절차를 병행해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특수교육에서 활용하는 IEP 및 ITP 문서의 정보 내용과 연계하여 장애인 개별화평생교육계획 문서에 대한 요소 내용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개별화평생교육계획 문서 요소 내용에는 특수교육 교과교육과 연계한 평생교육 교과교육 관련 학습 정보요소뿐 아니라 평생교육 교과교육의 학습과정과 협업되어야 할 서비스 관련 정보요소가 함께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이 성인기장애인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 지원체제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원론적으로 개별화평생교육계획의 문서가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한다는 측면을 분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vidualized lifelong education plan (ILEP) components for the disabled based on IEP and ITP linkage of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composed of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 procedure.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related to the information contents of IEP and ITP documents used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mponent contents of the individualized lifelong education plan documents for the disabled were presented.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component on the individualized lifelong education plan for the disabled included not only the learning information element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linked to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ut also the service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to be collaborated with the learning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aspect that the document of the individualized lifelong education plan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principle in order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o be established as a long-term support system for the whole life of the adult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현행의 평생교육사 양성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사」자격화 제도 통합 방안

        김영준 ( Youngjun Kim ),강경숙 ( Kyungsook K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현행에 양성·배치되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자격화 제도에 기반해 「장애인 평생교육사」의 자격을 가칭으로 설정하여 그 제도화 방안을 통합적으로 모색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연구 문제인 「장애인 평생교육사」양성을 위한 자격 범주 설정 방안과 자격 취득 이수 과목 편성 방안이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장애인 평생교육사」양성을 위한 자격 범주 설정 방안에서는 현행 국가 수준의 평생교육사 자격과 새롭게 양성되어야 할 장애인 평생교육사 자격을 통합적으로 반영하는 데 구축 가능한 자격 표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써 ‘구분(독립)형’, ‘통합형’, ‘심화형’, ‘자율형’이 제시되었다. 두 번째로, 「장애인 평생교육사」양성을 위한 자격 취득 이수 과목 편성 방안에서는 현행의 국가 수준의 평생교육사 양성을 위한 자격 취득 이수 과목이 편성된 교육과정 기반을 기초로 하는 가운데 장애의 특수성 요소와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기반 차원을 통합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사」양성 수준의 교육과정 기반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가 기능적으로 시시하는 바와 현실적으로 시행되기 위해 수반되어야 할 조건을 통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integrated systemization of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qualification programs based on the current programs for lifelong educators. For that purpose, it established two study topics: categorization of qualification programs for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and listing the courses required for qualification. First, categorization of qualification programs for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focused on establishing the marks that can represent the national qualification of the current lifelong educators and the new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 As a result, it suggested ‘identified (independent) type’, ‘integrated type’, ‘intensive type’, and ‘autonomous type.’ Second, the courses required for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ors for disabled」was based on the current programs for qualification of nationally licensed lifelong educators, while reflecting the special factors related to the disabled and the programs for nurturing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d and implied the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the conditions required to ensure realization.

      • KCI등재

        자격 차원에서 본 직업특수교육의 평생교육적 통합 접근

        김영준 ( Youngjun Kim ),강경숙 ( Kyungsook Kang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이 연구는 자격 차원에서 직업특수교육이 평생교육의 범주로서 통합될 수 있는 접근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차원에서 직업특수교사의 자격 취득 구조 방안을 탐색하는 내용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탐색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직업특수교사의 자격 취득을 위한 양성 교육과정 이수 내용이 일반 교과 기반의 특수교사 및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자격 취득을 위한 양성 교육과정 이수 내용과 통합 구성체계를 확보한 후 현행의 평생교육사 자격화 제도 및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정과 역시 통합될 수 있는 방법론적 적용모델이 모색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직업특수교사와 전공과 간 정합성 측면이 장애인 평생교육 관점에서 재구조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결론적으로 시사하였다. The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approaches where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as a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at a qualification level. A major problem for research purposes is the search for ways to rescue vocational special teachers from being qualified as professional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 process of parallel literature exploration and expert meetings. The content of completion of a positive education program for the qualification of special vocational teachers was also secured with the content of completion of a positive curriculum for the qualification of special teachers based on general curricular and disabled veterans and the integrated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i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consistency aspect between vocational special teachers and major course could be re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융복합 자격체계 구조 탐색

        김영준 ( Youngjun Kim ),강경숙 ( Kyungsook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 관련하여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융복합 자격체계의 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융복합 자격과 관련하여 기초 자격, 중점 자격, 협업 자격의 세 가지 구성체계가 제시되었고, 세 가지 체계의 자격은 상호 융복합 맥락과 구조에 의해 고찰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은 특정 한 가지의 자격에 의해서 개설되기보다는 표면화된 학문적 정체성 및 자격의 차원과 직결되는 평생교육학 분야를 비롯하여 장애의 특수성을 교육적인 실천 맥락과 성격에 의해 구체적으로 보장하는 특수교육학 분야 등과 융복합 개설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forming a structure system for the qualification of convergence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of disabled, which is emerging as a major task in securing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Research methods for achieving research purposes consisted of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by classifying the convergenc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into three types. The three types of qualifications for the convergence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of disabled consisted of ‘basic qualifications’, ‘focus qualifications’, and ‘collaborative qualifications’, and the three types of qualifications were examined by mutually convergent perspectives and contexts. The study found that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should be provided in a closely integrated form, such as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ademic identity and qualifications, and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at specifically guarantees the specific nature of disability by the context and nature of educational practice, rather than by one specific qualification.

      • KCI등재

        특수교사의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과 수행능력

        홍선우 ( Hong Sunwoo ),강경숙 ( Kang Kyungsook ),이애란 ( Lee Aer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특수교사들에게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수행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관에서 장애학생으로 하여금 우발적인 사고 발생 후 적절한 응급처치를 통해서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특수교사들이 사고유형에 따른 응급처치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에서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교사들이 경험하는 응급상황을 조사하고,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과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특수학교(급) 특수학급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수행능력 10개 문항 및 관련 지식 10문항의 총 20개 문항 설문지를 구성하여 응답을 수집하였고, SAS 9.1.3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은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와 응급상황 경험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그밖에 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무지, 근무경력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수행능력은 성별, 근무지, 근무경력,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관심정도, 응급상황 경험 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들이 근무 중 경험한 응급상황을 파악한 결과, 가장 많은 대상자가 경련을 경험했으며, 구토/설사, 고열, 출혈, 골절/탈구 순으로 많았으며, 그 외에 질식, 화상, 추락 순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를 위한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어야 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을 현실화하여 교사들에게 제공할 것과 특수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content and practice skills for first-aid in the various emergencies and to provide procedures for minimizing the risk of further injur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contingent accidents at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ree hundred an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from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rooms in general schools. In order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eatment method in emergencies at special education setting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aid Practice Questionnaire was used. SAS 9.1.3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items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knowledge of first-aid depending on interest and experiences of first-aid.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indicated in knowledge of first-aid depending on sex, age, education level, career of teacher.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 competency of first-aid depending on sex, place of work, career of teacher, interest and experience of number of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to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the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nvulsion, vomiting/diarrhea, high fever, losing blood, fracture/dislocation in order, and then being suffocated, getting burned, getting hurt from a fall, being falle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providing the first-aid educational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rtherm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fact-finding on first-aid perform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사업화 운영방안

        김영준(Kim Youngjun),강경숙(Kang Kyung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조망하는 차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구축해야 할 사업화 운영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의한 연구 내용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먼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대학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사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할 거버넌스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의 각 내부 관계자가 주축이 된 중앙위원회의 신설과 각종 업무 기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이 협업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있어 사전적이고 종합적 차원에서 생성해야 할 연계적 거버넌스 역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대학을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으로 조망하고 대학이 유관기관(예: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전공과 등)에 비해 원스톱 체제 대상기관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반을 주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국가 단위 및 대학 개별 단위의 교과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대학이 현행의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 종사인력을 연수하고, 이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예: 장애인 평생교육사(가칭))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 measure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commercialization in a region in various types to revitalize a university- 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meet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operation plan of specialist-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data was collected and specialists’ meeting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hree types. First, as for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proposed that a university and a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enter an agreement, and functional elements and accompanying conditions were also suggested to carry out this agreement. Second, in the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argued that a university must create a textbook for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connected education or actually run the lifelong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various forms, along with accompanying procedures. Moreover, in the ‘operation plan of specialist 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the study proposed a plan to provide professional capability training in several types for specialists working in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disabled, with accompanying conditions.

      • KCI등재

        공립 특수학교 유·초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개선 방안

        이성봉 ( Lee Sungbong ),강경숙 ( Kang Kyungsook ),류재연 ( Ryu Jae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공립특수학교 유·초등 교사 임용시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와 특수교육과 교수를 대상으로 핵심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FGI에 참여한 특수교육 교사와 교수 집단은 각각 5명씩이었으며, 설문조사는 특수교사 270명, 특수교육과 교수 70명으로 이루어졌다.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의 설문은 SNS를 통하여``눈덩이 방식(snow ball)으로 자료를 수합하였다. 특수학교의 경우는 해당학교의 교장 등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자료 수집 협조를 요청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설문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χ2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초등) 과목을 일반학교 초등 교육과정으로 혼동해서 해석하지 않도록 교직실무편람의 내용을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둘째, 특수학교 초등교사 임용시험에서 교과교육학 문항이 특수교육학 문항에 비해 출제 비율이 높은 것을 조정하여야 한다. 셋째, 일반초등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선제하여 특수교사 임용시험 문항으로 사용하는 것은 특수교사 임용 목적에 맞게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타당성 없는 문항의 출제를 지양하고, 특수교육 현장의 내용과 문제해결에 적합한 문항을 출제할 수 있는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출제자를 선발하여 위촉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ublic specia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survey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fessors of special education division were conducted. It was a group of each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fessors participating in the FGI, and 2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70 professors participating in each survey. Survey materials of teachers working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 were collected as "snowball method (snow ball)" through the SNS. In the case of special schools,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etc. to the principal of the school and requested a cooperative data collection. The combine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χ2 verifi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not to be interpreted to confuse the special education subject to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so ``the teaching practice handbook`` should be modified. Second, the rate of general curriculum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question must be adjusted to a lower rate than special education questions. Third, the questions of pre-emptive regular element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hould stop using it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questions. Fourth, the examiners should be selected as the personnel can make the questions representative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valid content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한국 장애인평생교육의 지적 토대 수립: 학문, 실천 근거

        김영준 ( Young Jun Kim ),강경숙 ( Kyungsook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이 연구는 최근에 한국 장애인평생교육의 학문적 위상 및 사회적 수요가 거듭 강조되고 있는 관점과 실정을 감안하여 장애인평생교육의 지적 토대를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한국의 장애인평생교육이 지적 토대를 수립하기 위해 정립해야 할 학문 근거로 구성되었으며, 이차적으로 학문 근거가 현실화될 수 있는 직접적인 방안의 일환으로 실천 근거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한국의 장애인평생교육이 지적 토대를 수립하는 데 필요한 학문 근거와 실천 근거를 융합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장애인평생교육의 지적 토대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학 융합 기반의 성인계속교육의 형태로 학문 근거가 일차적으로 정립되고, 이후에 세부적인 학문 근거와 실천 근거가 구축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situation that the academic status and social demand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are repeatedly emphasiz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academic basis tha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llectual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the practical basis was constructed as a direct plan for the realization of academic grounds secondary. Next, the study examined and suggested the academic basis and the practical bas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As a result, in order to establish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academic basis should be established primarily in the form of adult continuous education based on the convergence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etailed academic basis and practic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after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