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 後期 大丘 徐氏家 燕行錄 硏究

        감준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s 15 kinds of Yeonhaengrok's wrot e by the Daegu Seo’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dentified the cr eation and succession patterns, characteristic trends, and literary history meaning of the Daegu Seo family's Yeonhaengrok(燕行錄).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Yeonhaeng(燕行) experiences and Yeonha eng records were accumulated due to regular dispatch of envoys, there w ere many cases in which certain families, who had a high political and aca demic reputation, participated in Yeonhae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wrote several Yeonhaengrok. The Daegu Seo's family, who played a key role in politics and academic 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so wrote numerous envoys and Yeonhaeng rok. The Yeonhaengrok of the Daegu Seo's family, has its own tendency i n writting method, writting content, and writer's consciousness, and its ch aracteristics are shared across generation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 d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Yeonhaengrok of Daegu Seo'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 ms of family's Yeonhaengrok research,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 ew trend in Yeonhaengrok research. In Chapter II, as a preliminary review, major family trees and figures of the Daegu Seo'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organized, and the prosperity and status of the family, and political and academic exchange s within the family were considered. The Daegu Seo family flourished after the generation of Seo Sung(徐渻) and his son, who served as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Seonjo(宣祖)~Inj o(仁祖) reign. In particular, Seo Moonjung(徐文重), Seo Moonyu(徐文裕), Seo Jongtae(徐宗泰) entered politics in earnest during the Sukjong(肅宗) r eign and were appointed to important government posts. After King Yeong jo's reign, Seo-Jongtae(徐宗泰)'s daughter became a queen, and those wh o entered government posts actively cooperated in Tangpyung(蕩平) politi cs, producing the third-generation prime minister of Seo Jongtae-Seo My ungkyun(徐命均)-Seo Jisoo(徐志修) and the third-generation DaeJeHak(大 提學) of Seo Yushin(徐有臣)-Seo Youngbo(徐榮輔)-Seo Kisoon(徐箕淳). I n addition, the three generations of Seo Myeongung(徐命膺)-Seo Hosoo (徐浩修)‧Seo Hyungsoo(徐瀅修)-Seo Yugu(徐有榘) became the head of the Kyujanggak(奎章閣), leading the academic and compilation projects that ye ar, and spreading knowledgeable and historical evidence, and the Daegu Se o family achieved the best prosperity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In addit ion, the Daegu Seo family actively carried out projects to establish the st atus of the family, such as publishing a Daeguseossisebo(大丘徐氏世譜) after King Sukjong's reign. Thus, as the family's prosperity led to active f amily maintenance projects and more and more people entered the court, political and academic exchanges within the family also took place very wi dely. Chapter III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Yeonhaeng history of the Dae gu Seo family’s Cl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family's Yeonhae ng records written in this process, and examines the sharing of Yeonhaen g experiences and transmission of records within the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total of 36 envoys from the Daegu Seo fa mily visited Yeonhaeng 49 times. In this process, a total of 15 types of Yeonhaengrok were written, including Lee Euibong(李義鳳)'s Yeonhaengrok, which has the Daegu Seo family as his mother's side. Looking at these Yeonhaengrok of Daegu Seo’s family, you can see the contents of sharing and inheriting Yeonhaeng experiences and records within the family, such as writing a poetry of the next rhyme(次韻詩) or directly or indirectly qu oting Yeonhaengrok records from the previous era. This pattern of sharing and transmission of Yeonhaeng experiences in the famil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proves active exchanges between the Daegu Seo family, s hows the aspect of Daegu Seo family's Yeonhaengrok as family Yeonhaeng rok, and provides clues to the succession and acceptance of Yeonhaeng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apter IV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Daegu Seo's Yeonhaengrok, f ocusing on three things: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Korean Yeonhaengro k, writing trends based on knowledgeable(博學) and historical evidence(考 證), identification of East Asian situations and introduction of civilization. In the chapter "Creating Various Types of Korean Yeonhaengrok," the b ackground and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were reviewed, foc using on the creation of three types of Korean Yeonhaengrok: pure Korea n Yeonhaengrok, Korean YeonhaengGasa(燕行歌辭), and translations of Chi nese texts. In the chapter "Writing Based on knowledgeable and historical evidence," we looked at Daegu Seo's Yeonhaengrok knowledge and writing trends in historical evidence, paying attention to his professional knowledg e in various fields such as linguistics, geography, history, and Western stu dies. In the chapter "Identifying East Asian Situation and Introducing Civili zation," Daegu Seo's Yeonhaengrok repeatedly included articles on the Qin g Dynasty's situation, civilian public opinion, and records of exchanges and culture with Southeast Asian envoys. Chapter V explores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Daegu Seo' s Yeonhaengrok. The Daegu Seo's Yeonhaengrok is meaningful in that it c ontain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Yeonhaeng in th e late Joseon Dynasty over eight generations. It also showe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erception and writing method of the Qing Dynasty over t he two centuries, which can giv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 s possible to examine the changes in Yeonhaengrok in the late Joseon Dy nasty through the Yeonhaengrok of one family. In addition, the authors of the Daegu Seo's Yeonhaeng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did not only re cord the deepened and expanded knowledge obtained through Yeonhaeng i n their Yeonhaengrok, but recorded it in literary or academic books to fur ther develop the family's knowledge and strengthen their expertise. There fore, it can be said that Daegu Seo's Yeonhaeng and Yeonhaengrok are me aningful in terms of deepening expertise and mass production of academic achievements. 이 논문은 조선 후기 대구 서씨 가문에서 저술한 십여 종의 연행록을 포괄 적으로 검토하면서 대구 서씨가 연행록의 창작과 전승 양상, 특징적 경향, 문학사적 의미 등을 구명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정기적인 연행사 파견으로 연행 경험과 연행기록이 축적되는 가운데 정치적으로나 학술적으로 명성이 높았던 특정 가문에서 대를 이어 연행에 참여하고 여러 편의 연행록을 저술한 사례가 늘어났다. 조선 후기 정치와 학술 방면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대구 서씨 또한 수많은 연행사와 연행록을 배출하였다. 대구 서씨가 연행록은 그 기술 방식과 서술 내용, 작자 의식 등에서 자기 가문만의 고유한 경향을 지니고 있으며, 그 특징을 여러 세대에 걸쳐 공유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최근 연행록 연구의 새로운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문연행록 개념을 반영하여 조선 후기 대구 서씨가 연행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조선 후기 대구 서씨 가문의 주요 가계와 인물 들을 정리하고, 당대 가문의 번창과 위상, 가문 내 정치적‧학술적 교류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대구 서씨 가문은 선조~인조 조에 중신을 지낸 徐渻과 그 아들 세대 이후로 번창하였다. 특히, 숙종 조에는 徐文重, 徐文裕, 徐宗泰 등이 정계에 본격 진출하여 요직을 차지하였고, 영조 대 이후로는 徐宗悌의 딸이 영조비가 되었 으며, 관직에 진출한 이들이 탕평 정국에 적극 협조하면서 徐宗泰-徐命均-徐 志修의 3대 재상과 徐有臣-徐榮輔-徐箕淳의 3대 대제학을 배출하였다. 여기에 徐命膺-徐浩修‧徐瀅修-徐有榘 삼대가 규장각 각신으로서 당대 학술 및 편찬 사업을 주도하고 박학과 고증의 학풍을 전파하면서 대구 서씨 가문은 정치 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대구 서씨 가문은 숙종 조 이후 대구서씨세보를 간행하는 등 가문의 위상을 재정비하는 사업을 활발하게 펼쳤다. 그리고 가문의 번창으로 가문정비사업이 활발해지고 조정에 진출한 이들이 많아짐에 따라 가문 내 정치적‧학술적 교류도 매우 폭넓게 이루어졌다. Ⅲ장에서는 조선 후기 대구 서씨가의 연행 이력과 이 과정에서 저술된 집안의 연행기록에 대해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가문 내 연행 경험의 공유와 연행 기록의 전승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 후기 대구 서씨 가문은 총 36명의 연행 사신이 49차례에 걸쳐 연행을 다녀왔다. 이 과정에서 대구 서씨를 외가로 둔 李義鳳의 연행록을 포함해 총 15종의 다양한 유형이 연행록이 저술되었다. 이러한 대구 서씨가의 연행기록 들을 살펴보면, 선조의 연행을 떠올리며 차운시를 짓거나 전대의 연행 기록을 직‧간접적으로 인용하는 등 가문 내 연행 경험과 기록을 공유하고 계승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문 내 연행 경험의 공유와 기록의 전승 양상은 대구 서씨 집안 간의 활발한 교류를 증명할 뿐 아니라 대구 서씨가 연행록의 가문연행록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조선 후기 연행록의 계승과 수용에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Ⅳ장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한글 연행록 창작, 博學과 考證에 바탕한 글쓰기 경향, 동아시아 정세 파악과 문명 소개 양상, 이 세 가지에 주목하여 대구 서씨가 연행록만의 특징을 구명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한글 연행록 창작’ 장에서는 이 집안에서 순수 한글본 연행 록, 한글 연행가사, 한문본의 한글 번역본 등 세 가지 유형의 한글 연행록이 창작된 점에 주목하여 각 작품별로 창작 배경 및 서술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박학과 고증에 바탕한 글쓰기’ 장에서는 이 집안 연행록들이 가문의 학풍에 따라 언어학‧지리학‧역사학‧서학 등의 다양한 분야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을 드러내고 있음에 주목하여 해당 기록에 나타나는 박학한 식견과 고증적 글쓰기 경향을 살폈다. ‘동아시아 정세 파악과 문명 소개’ 장에서는 대구 서씨가 연행 록에 청나라 정세 파악 및 민정 세태 탐문 내용과 동남아시아 인사와의 교유및 문화풍속에 대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집안 연행 록에 나타나는 심세서로서의 특징과 외국 문명에 대한 관심을 확인하였다. Ⅴ장에서는 대구 서씨가 연행록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대구 서씨가 연행록은 8대에 걸쳐 조선 후기 연행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들을 풍부하게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2세기에 걸쳐 대청 인식이나 글쓰기 방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이처럼 한 가문의 연행록을 통해 조선 후기 연행록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 대구 서씨가의 연행록 저자들은 연행을 통해 심화되고 확장된 지식정보들을 연행록에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개인 문집이나 학술총서에 반영하면서 가문의 박학한 학풍을 더욱 진작시키고 전문성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대구 서씨가의 연행과 연행록은 전문 지식의 심화와 학술적 성과의 양산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李義鳳의 『北轅錄』 연구

        감준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시대의 연행록은 소위 3대 연행록이라 불리는 『老稼齋燕行日記』 · 『湛 軒燕記』 · 『熱河日記』가 탄생한 18세기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집적되었다. 하지만 그동안 3대 연행록을 제외한 타 연행록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도 사실이다. 100여 종에 달하는 18세기 연행록의 방대한 양을 감안한다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에 대한 관심은 더욱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기인하여, 18세기 연행록 가운데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의봉의 『北轅錄』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북원록』은 저자 이의봉이 문학사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라 아직까지 학계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자료이다. 『북원록』의 저자는 懶隱 李義鳳(1733~1801)으로 그는 1760년 三節年貢使의 연행에서 서장관이었던 아버지 李徽中(1715~1786)의 자제군관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조선 후기 명문가였던 달성 서씨와 외척으로 학술적인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박학 · 고증의 학문세계를 추구하였다. 『북원록』은 저자의 이와 같은 학문 경향이 잘 나타난 작품이며 450여 장의 방대한 분량에 걸쳐 당시 연행사의 활동과 성과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북원록』은 저자의 지리학적 지식을 근간으로 여정 내에 있는 대부분의 도시와 산천의 지리정보 및 관련 역사나 전설까지 풍부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서양의 종교와 과학, 지리 등에 관한 내용도 자세하게 나타나 있는데, 이를 통해 저자의 서학에 대한 관심과 학문적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양 지리와 지구 운행도수가 기록된 『직방외기』와 『곤여도설』의 내용을 그대로 연행록에 옮겨 적고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내용은 타 연행록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의봉은 북경에 머무는 동안 중국 문사를 비롯하여 안남국, 유구국, 남장국 등의 동아시아 국가의 인사들을 만나 문집의 서문을 써주거나 시를 수창하는 등 활발한 문학적 교유를 나누었다. 한 편의 연행록 안에서 이처럼 풍부한 교유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8세기 중국 학술의 동향과 변화 역시 『북원록』에 잘 나타나 있다. 이의봉은 중국의 이름난 문사나 학자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고금도서 집성』이나 『육재자서』와 같은 당대 최신 서적의 정보 또한 소개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들을 기록함에 있어서 이의봉은 18세기 연행록의 전범이라 불리는 『노가재연행일기』의 체재와 글쓰기 방식을 적극 수용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의 인용을 통해 객관적이고 고증적인 글쓰기 방식을 추구하였다. 『북원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상의 특징들은 18세기 연행록 연구의 주요 제재들이다. 그러므로 『북원록』은 18세기 연행록의 다양한 특징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老稼齋燕行日記』,『湛軒燕記』,『熱河日記』並稱為十八世紀朝鮮的三大 燕行錄。因此關於這三部作品的研究成果也最多。近年來隨著燕行錄研究的 盛行,同時期更多不為眾人所知的燕行錄作品也進入了人們的視野。懶隱李 義鳳(1733~1801)的『北轅錄』就是其中之一。 1760 年 李義 鳳以 子弟 軍 官的 身份 隨三 節年 貢使 書狀 官 的父 親李 徽中 (1715~1786)去往清國都北京,回國后創作了『北轅錄』。他崇尚博學·考證 的文學觀,學術上也受到了外戚達城徐氏(朝鮮後期的名門)的影響。所以作 品也充分體現了他的這種文學傾向。作品以四百五十多頁的篇幅詳細地記錄 了燕行使們的活動和收穫。 『北轅錄』細緻地記錄了途中經過的大部份城市山川的地理資料,相關歷史 背景和傳說故事。還具體描述了西洋的宗教·科學·地理。這也間接地說明了 作者對西學的重視和自身具備的淵博學識。此外,作者還大量引用了『職方 外紀』與『坤與圖說』中有關西洋地理和地球運行方面的內容,這點在其他燕 行錄作品中並不常見。 李義鳳在留京期間與中國,安南國, 琉球國, 南掌國等東亞各國人士進行 了廣泛的文學交流,例如給當地人寫序文或在詩文交流活動中首唱詩歌等 等。一般來說,在一部燕行錄作品中是很難出現如此豐富的交友活動的。 『北轅錄』很好地詮釋了中國的學術動態及其演變過程。作者關心中國的知 名文人學者,關注當時最新發行的書籍信息。同時也在作品中對它們進行了 介紹。例如『古今圖書集成』,『六才子書』等等。 『北轅錄』習用了十八世紀經典燕行錄――『老稼齋燕行日記』的題材和寫作 方式。引用各種文獻,力求以客觀·考證的寫作態度來進行創作。 上述特徵都是研究十八世紀燕行錄的主要因素。『北轅錄』忠實地反應了十 八世紀燕行錄作品的這種多樣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