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간치멕 ( Ganchimeg Gantumur ),곽영순 ( Youngsun Kwak ),차희영 ( Heeyo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South Korea to check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earth science curriculum revision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urrent operating conditions of earth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o compare and analyze with other foreign cases, and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and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TIMSS evaluation framework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arth science-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high school, the contents of NG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f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re mixed and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created and validat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countries that follow the Russian-style education system did not organize and operate earth science as an independent science subject, and deal with earth science-related content in the natural geography area of the geography subject. The earth science contents cov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18 of the 27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content analysis framework were matched in Mongolia and 20 in South Korea.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Mongolia were described more briefly and not covered tha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Mongolian geography curriculum dealt with many environmental issues. The emphasis 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남한과 북한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중 생명과학 영역 비교 연구

        간치멕(Ganchimeg Gantumur),차희영(Heeyoung, Cha)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북한의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로 남한과 북한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중 생명과학 영역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국제 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은 북한의 과학교육을 남한과 비교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교육과정 국제비교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남북통일 시대에 생명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연구를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한과 북한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중 생명과학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주요 구성 요소인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향, 평가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비교한 자료는 남한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년 제1차 의무교육 강령’이다. 두 자료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향, 평가 분석틀을 각각 만들어 사용했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남한의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에는 개념이해, 탐구 능력, 정의적 영역, 창의성 영역, 과학적 소양 등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북한은 과학교육 영역에서는 다루지 않는 국가 원수의 사상이 포함되어 있고, 지식, 탐구, 응용, 창조적 능력, 품성과 태도, 사회 활용 능력 등을 강조하고 있었다. 둘째, 내용면에서 북한의 생명과학 교과는 남한과 달리 농업, 축산업, 수산업 등 북한의 식량문제와 직접 연관되어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 방향에서 전 세계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자료 수집 및 해석, 발표, 문제해결력, 지식과 기능 응용, 과학적 글쓰기 등의 내용이 북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실험 안전 활동 등에 대한 지침은 나타나 있지 않았다. 북한에서는 무엇을 평가할 것인지에 관한 내용은 나타나 있었지만,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관한 기술은 거의 없었다. [결론] 이 연구 결과들은 미래 남북통일 시대에 필요한 생명과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science curriculum related to life sc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s for understanding life science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Methods] For the study, the science curriculum related to life sc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analyzed into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s. The data analyzed for the study were from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of South Korea and the 2013 first compulsory education program of North Korea. [Results] As results, the goals of science curriculum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South Korea include conceptual understanding, inquiry skills, scientific attitude, creativity, appli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 while North Korea do not scientific literacy but other six domains. In terms of contents, the life science as a subject in North Korea unlike South Korea, were directly related to food problems such as agriculture, stockbreeding, and fisheries. The North Korean curriculum included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presentation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knowledge application skills, and scientific writing skills, this is emphasized worldwide. In North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of what to evaluate, but there was little description of how to evaluat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life science curriculum needed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future.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초·중등 교육제도 비교

        간치멕(Ganchimeg Gantumur),차희영(Cha Hee 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교육적 교류를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몽골과 한국의 교육제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다. 연구를 위해 두 나라의 교육 관련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비교했다. 먼저 몽골과 한국 사회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에서 교육 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아보았고, 두 나라의 현행 교육 제도를 분석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향후 양국의 교육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몽골 교육은 구소련식 교육 제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고, 한국 교육은 미국식 교육 제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오늘날까지 발전해 왔다. 몽골과 한국의 현행 학제도 각각 5-4-3제와 6-3-3제로 차이가 있었다. 학교 운영 방식도 단일형 학교 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한국과는 달리 인구 밀도가 낮은 몽골은 통합형 학교 제도로 운영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몽골이 한국보다 연간 수업시수가 더 적었다. 연구 결과들은 기존에 한국에 많이 소개된 바 없는 몽골의 교육 제도에 관한 정보를 한국에 제공해 줄 것이며, 몽골에는 향후 교육 제도의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educational exchanges between Mongolia and Korea by comparing educational system between Mongolia and Korea. For the study, we compared the educational documents of the two countr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system has changed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Mongolia and Korean society.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f the two countries is analyzed and compared.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system in both countries in the future. As results, Mongolia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viet education system and Korea by the American educational system and has evolved to this da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rrent academic system between Mongolia and Korea, which were 5-4-3 and 6-3-3 respectively. Unlike in Korea, where the school system is based on a single school management system, Mongolia, which has a low population density, operates as an integrated school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time. Mongolia had less lessons per year tha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ystem in Mongolia that has not been widely introduced in Korea and will be provid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future improvement of education system in Mongol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