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교육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

        가은아 ( Eun A Ka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이 연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상위인지 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현장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에 대한 지도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쓰기에 관여하는 상위인지 조정의 역할을 밝히고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상위인지는 인지를 계획하고 점검하고 조절하는 메타 인지적 활동으로, 상위인지 지식과 상위인지 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상위인지 점검과 상위인지 조절로 구성되어 있는 상위인지 조정이 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위인지 조정은 역동적인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자기 주도적 쓰기를 유도하고, 쓰기 효능감 및 쓰기 동기 신장에 기여한다. 이 논문에서는 상위인지 조정 전략을 지도하기 위해 상위인지 조정의 구성 요인인 자기 점검과 자기 조절에 따른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배경 지식 개발하기, 토의하기, 시범보이기, 기억하기, 지원하기, 독립적으로 수행하기의 각 단계에 따른 지도 방법도 제시하였다. 상위인지 조정 전략을 가르칠 때에는 학생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고, 인지 전략과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하며, 실제적인 쓰기 수행을 통해 체득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ol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about writing and suggest teaching methods for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Metacognition is the activity to plan, monitor and control cognition. It is composed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Meta-cognitive regulation plays the major role in writing. Specifically, meta-cognitive regulation make it possible for dynamic semantic construction. It also attracts student`s self-directed writing and contributes to the writing motivation improvement.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as the element of metacognitive regulation. It is composed of self-monitor and self-control. And it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for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as a phased program. It is necessary for teaching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to emphasize leading role for student, and be integrated with cognitive strategies, and be realized through the practical writing. The individual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이해와 작문 교육의 실천

        가은아 ( Eun A Ka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문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 따르면, 쓰기는 필자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인 동시에 다양한 쓰기 전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또한 쓰기의 모든 과정은 조정하기를 통해 역동적이고 회귀적으로 이루어진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은 작문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인지주의 작문 이론의 영향으로 누구든지 의미 구성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결과보다는 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작문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게 되었다. 반면지나치게 단절적인 쓰기 기능을 강조했다는 점, 독자를 포함한 작문 맥락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점, 필자의 정의적 측면을 배제했다는 점, 결과물로서의 텍스트를 소홀하게 여겼다는 점 등의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서 단서를 얻어 ‘지금까지 작성한 텍스트 읽기로 내용 생성하기’, ‘자기 질문으로 작문 과제 분석하기’, ‘사고구술로 작문 과정 점검하기’, ‘자신만의 작문 전략 만들어 활용하기’를 작문 교육의 실천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specific action plan based on understanding cognitive writing theory. According to cognitive writing theory, writing is process of composition of meaning, and the problem-solving with various strategies for writing. Every process is also dynamically and recursively performed by adjustment and modification. Cognitive writing theory has provided us with new views on writing education. We, under the influence of cognitive writing theory, have emphasized that first, anyone can be main agents of composition of meaning, second, writ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process of writing rather than the result of writing, and third, various strategies for writing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writing. The theory, on the other hand, has obvious limits that it excessively emphasizes fragmentary skill in writing, neglects context, excludes writer`s affective features, and regards text as the product as careless. This study addresses the peculiarities of cognitive writing theory and educational limits, and seeks its educational possibilities. To be more concrete, I suggest several specific action plans for writing education, the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reating the content by reading the text produced so far,’ ‘analysing the writing tasks by self-questioning,’ ‘checking process of writing by think-aloud method,’ and ‘making my own writing strategies and availing oneself of them.’

      • KCI등재

        초,중학생의 쓰기 화제와 글 유형에 대한 선호 양상

        가은아 ( Eun A Ka ),강민경 ( Min Gyeong Ka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화제와 글 유형이 정해지지 않은 쓰기 과제를 제시하였을 때,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주로 어떤 유형과 화제를 선택하는지, 이러한 선택에서 학년,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484명과 중학교 282명이었으며, 쓰기 과제는 평소 자신이 쓰고 싶었던 글을 자유롭게 쓰되 산문으로만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개인적/일상적 화제, 공동체적 화제, 비현실적/상상적 화제 중에서 개인적/일상적 화제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초등학생은 비현실적/상상적 화제가 두 번째였으며, 중학생은 공동체적 화제가 두 번째였다. 학년별차이는 초등학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성별 차이는 초등학교와중학교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세 가지 쓰기 화제에 대해 각각 하위 화제들로 나누어 학생들의 선호 양상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정보를 전달하는 글, 설득하는 글, 정서 표현의 글, 허구적 이야기·소설 중에서 정서 표현의 글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은 이야기·소설, 정보를 전달하는 글, 설득하는 글의 순이었고, 중학생은 설득하는 글, 정보를 전달하는 글, 이야기·소설의 순이었다. 학년별 차이는 초등학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성별 차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쓰기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에 따라 쓰기 학습의 효과가 달라질 수있으므로, 쓰기 과제 개발 등 쓰기 교육의 다양한 국면에서 쓰기 화제와 글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topic and text type preferences in a free topic writing task performed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ur hundred and eighty four elementary and 282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the topic analyses showed that personal/everyday topics were most preferred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in elementary school imaginative topics were second, in middle school it was social top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onl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either school. The writing topic categories were classified under subcategories and students’ preferences of these subcategories were analyzed. Second, the text type analyses showed that expressive text was most preferred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story/fiction and informative and persuasive text in elementary school, and persuasive and informative text and story/fiction in middle schoo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only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either school.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을 위한 쓰기 윤리 교육의 방향과 지도 방안

        가은아 ( Eun A Ka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윤리의 개념을 짚어보고, 쓰기 윤리의 범주를 설정하면서 쓰기 윤리 교육의 방향과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쓰기 윤리는 “쓰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자가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도리 또는 행위의 규범”으로, 정직하게 쓰기, 진실하게 쓰기, 사실대로 쓰기, 배려하며 쓰기를 범주로 설정할 수 있다.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쓰기 윤리 교육은 개인적 양심성, 학문적 정직성, 사회적 공정성의 방향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쓰기 윤리의 지도 방안으로는 수업 시간에 직접적으로 쓰기 윤리 교육을 하는 방안과 간접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 윤리를 위반한 구체적인 사례를 활용하고, 쓰기 맥락이나 글의 유형에 따라 지도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쓰기 윤리 점검 문항의 사용, 쓰기 윤리 프로그램의 활용하기 등의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쓰기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 국어교사의 인식 변화, 그리고 우수한 쓰기 윤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eek a direction and to plan an instruction of writing ethics education as defining a concept and category of writing ethics. The writing ethics is defined as “the norm of the fundamental act or way that should be kept by the writer in writing process”. It is categorized:a honest writing, a true writing, a factual writing, and a writing with a consideration of others. It should be a personal conscience, an academic honesty, and a social fairness that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nd to. We suggest a guideline of the principles for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First, there is a direct teaching that make a good use of the specific examples as an unethical writing and instruct a writing context or a text type. It is also a possible way for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that an undirect teaching using a check list of the writing ethics, and an applying of the writing ethics program. At the last, it is urgent to achieve a social consensus for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to change of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eachers, and to develop and spread of the writing ethics program.

      • KCI등재

        초등교사의 쓰기 교사 정체성과 쓰기 교육 실천 양상

        가은아(Ka, E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필자 정체성과 쓰기 교사 정체성을 탐색하고 쓰기 교육의 실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자유로운 글쓰기, 질문지 응답, 면담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긍정적 쓰기 경험으로 ‘즐김’, ‘위안과 치유’, ‘칭찬과 상’으로 보고하였으며, 부정적 쓰기 경험은 ‘쓰기 교육의 상실’, ‘평가와 점수’, ‘대학을 위한 논술’, ‘과제’로 보고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는 스스로를 ‘겁 쟁이 필자’이면서 ‘잘 쓰기를 욕망하는 필자’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필자 정체성은 쓰기를 싫어하지만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중적인 교사’와 쓰기를 잘 지도하고 싶어서 ‘헤매고 있는 교사’라는 쓰기 교사로서의 정체성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해 석되었다. 이러한 필자 정체성과 쓰기 교사로서의 정체성은 자신이 겪은 부정적 쓰기 경험을 학생들에게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다짐과 즐겨 쓰는 필자를 기르기 위한 쓰기 수업을 실천하는 모습으로 실현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rit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actical aspect of writing i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free writing,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gave an interview. This study execut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data.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ed ‘enjoyment’, ‘comfort and healing’, and ‘compliment and reward’ as positive writing experience. And they considered ‘loss of writing instruction’, ‘evaluation and grade’, ‘an essay test for college admission’, and ‘assignment’ as negative writing experience. In addi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writers who desire good writers’ as well as timid writers’. In conclusion, the writer identi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dentity as writing instructors, which was ‘twofold teachers’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but disliked writing, and ‘wandering teachers’ who wanted to teach skillfully. In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eir identity as writers and writing instructors by giving writing lessons for training enjoyable writers and by resolving not to transmit negative writing experience to their students.

      • KCI등재

        쓰기 결과 평가의 절차와 실제:

        가은아(Ka Eun 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이 연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제대로 진단되지 않는 이유가 쓰기 결과 평가에 개입하는 오차 때문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제대로 읽어내고 쓰기 결과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쓰기 결과 평가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쓰기 결과 평가에는 필연적으로 발현 오차, 평가 오차, 해석 오차가 존재함을 밝히고, 이들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집중하여 다루었다. 하나는 쓰기 결과 평가 절차를 체계화하고 명료화함으로써, 다른 하나는 학생의 글에서 인지 과정을 읽어내고 정서적인 교감에 주목하는 피드백을 시도함으로써, 쓰기 결과 평가에 개입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critical mind that the errors intervened during the writing assessment disturb to assess student s writing ability correctly.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riting assessment, this paper is trying to seek the method to reduce the errors. Then this study explained existence of expressi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error and emphasized two method to reduce the errors. The one is to systematize the process of writing assessment. The other is to feedback student s product to assessment writing ability and emotional sympathy correctly.

      • KCI등재

        미래 핵심역량, 창의인성, 그리고 작문교육 핵심 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상

        가은아 ( Eun A Ka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This study aims to desig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purpose, I explor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and verified the fact that view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nly competencies for a career is being replaced with that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verall and practical ability to solve general problems of living. Also, the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explored afresh. Several new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should be resolved. Second, relations between key competencies across curriculum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sophisticatedly readjusted. Third, the ways to draw up the system for the curriculum documents are proposed. Especially, when I drew up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I explored the ways that key competencies are showed explicitly when each item in the curriculum is described or each item in the curriculum documents is restructured in and aroun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ies. Also, I highlighted that authentic discussion and appropriate agreement are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nd perform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 KCI등재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 탐색

        가은아(Eun-a, Ka),권대광(Dae Kwa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8년에서 2021년도까지 4년 간 개설된 ‘복합양식 텍스트와 리터러시’의 교과목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을 운영한 후 수업 내용과 쓰기 결과물, 수업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나를 위한 글쓰기를 수행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확인했으며, 나를 위한 글쓰기가 대학 글쓰기 수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로는 자신과 마주하는 과정에서 내면의 상처를 회복하고 자신을 긍정하게 된 점,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이해가 깊어지고 응원할 수 있게 된 점, 예전에는 용기가 없어 머뭇거렸던 일들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게 된 점을 들 수 있다. 후자로는 글을 쓰기 전에 사유의 시간을 충분히 가진 점, 브런치 앱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글쓰기가 가능했던 점, 공개 글과 비공개 글 두 편을 쓴 점, 발표를 통해 서로의 글을 공유한 점, 채팅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은 점으로 요약된다. 결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대학에서 소홀하게 다루어 온 나를 위한 글쓰기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Writing for me’ class in higher education. Methods The ‘Writing for me’ class was operated in the ‘Multimodal Text and Literacy’ course delivered for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In this class, students take the lectures, including facing, expressing, and sharing. This paper analyzed those processes and participant s writing task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positive changes in the students who took the ‘Writing for me’ class. Furthermor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Writing for me’ to college writing classes as education content. The educational effect was confirmed especially in recovering inner wounds by facing themselves,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others, and Attaining self-confidence while doing what used to hesitated once due to lack of courag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changes, the students evaluated the ‘Writing for me’ class wa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1) Having enough time to think about themselves. (2) The accessibility to writing anytime, anywhere using a smart application. (3) Writing experience in two articles, one for publish and one for not. (4) Presenting their writing and listening to other students writing (5)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through online chatting.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Writing for me’, which has been neglected in college writing class, can be confirmed through actual cases.

      • KCI등재

        쓰기 태도 및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은아 ( Eun A Ka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 태도 및 쓰기 효능감 발달 양상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천안 지역 소재 초, 중, 고교 세 곳 173명의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의 쓰기 태도는 학년별로 뚜렷한 발달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학년에 상관없이 긍정적이지 않은 쓰기 태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쓰기 태도는 모든 학년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쓰기 효능감은 6학년에서 9학년까지 부적 발달의 경향을 보였으며 10학년에서 다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쓰기 효능감은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형성하고 쓰기 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쓰기 경험과 성공 경험을 제공해야 하고, 학생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쓰기 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며, 쓰기가 가치 있고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aspects on attitude toward writing and writing self-efficacy. To do this, data were gathered from 173 sixth to tenth grade in Cheonan and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attitude toward writing was not found the developmental trends in grade, regardless of grade students are not so positive writing attitude. Secondly, girls as a group possess more positive writing attitude than boys in all grade levels. Thirdly, writing self-efficacy indicated negative developmental trends in sixth to tenth grade levels and writing self-efficacy score went up somewhat in tenth grade,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ly, regarding gender difference on writing self-efficacy,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boys is higher than that of girls,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자기 질문 전략을 활용한 구두 작문의 효과 탐색

        가은아 ( Eun A Ka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이 연구는 내용 생성의 한 전략으로서 자기 질문 전략을 활용한 구두 작문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2년 10월 29일에서 11월 1일에 걸쳐 학생 글에 대한 평가, 인터뷰, 설문조사 및 관찰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구두 작문을 한 집단이 일반 작문을 한 집단보다 전체적인 평균 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내용의 풍부성을 평가한 항목의 경우 구두 작문의 처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의 풍부성은 사전 검사의 평균이 1.29이고 사후검사의 평균이 3.00으로, t값이 -2.521, 유의확률 .045를 보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구두 작문은 내용 영역 중에서도 특히 글의 내용을 생성하고 마련하는 데 의미 있는 전략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인터뷰와 관찰 결과를 통해서는 구두 작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글쓰기를 재미있어 하고, 글쓰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두 작문이 쓰기 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composition focusing on self-question strategy as one of the strategies for content generation. To achieve this, students`` writings were assessed, interviewed, questioned, and observed after oral composition was conducted with targeting thirteen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Chungnam area. The results of its research work show that thes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the group that did oral composition is higher than other group`s average. However, the item about content abundance revealed the effect of treatments for oral composition. Content abundance shows the ga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 of this, It was founded that oral composition is especially significant strategy, of all the domain of content, for generating and arranging content. And It was discover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ral composition enjoy writing and actively participate in writing. Also, It was verified that oral composition help students to enhance writing efficacy and build positive attitudes towards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