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양 龍華寺 默潭遺物館의 왕실 시주 공예품 연구

        지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7

        Mukdam Museum (默潭遺物館) at Yonghwasa Temple (龍華寺) in Damyang (潭陽) has more than 1,000 relics of the Buddhist Great Master Mukdam (默潭大師), including 150 artifacts. These craft works are the primary material that informs the Great Master Mukdam’s trace and high-quality royal artifacts that formed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Gojong (高宗)’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寶賢堂 鄭氏) and Court lady Im (林尙宮). In addition, this is the important data that tell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had influence on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coexisted with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Thus, I intend to discuss the scientific value of the craft works Mukdam Museum, generally considering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of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 their royal votive offerings and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Japanese Buddhism encroached. As a result I found that “Your Highness Jeong” is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her dates, the time taken title of nobility and the fact that the building called Bohyeondang was originally Yangsimdang (養 心堂) in Deoksugung Palace (德壽宮). Court lady Im was a courtesan of the same age as Bohyeondang Jeong. She was a mediator between Bohyeondang Jeong and Great Master Mukdam. Their offerings are a royal artifact with a high level of production, Buddhist flags, embroidery, ornaments on a Buddhist sedan chair and Kwan-yin tabernacle. Embroideries hav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s Buddhist name-manhaengwha (萬行華), mandeokwha (萬德華)-and show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Kwan-yin tabernacle that court lady Im presented was made by the compromised techniques of the woodcraft of Korea and Japan. Thus Japanese Buddhism also affected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esides artifacts of Japanese style of Mukdam Museum are candlesticks with crane and tortoise shapes, hanging lanterns, a lid of incense burner with floral medallion pattern, Buddhist alar desks. Therefore artifacts in Mukdam Museum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many ways - the relationship between Great Master Mukdam and the royal family,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ifacts that reflected Buddhist trend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on. 담양 龍華寺 묵담유물관에는 공예품 150여 점을 비롯하여 근현대 불교계에 큰 업적 을 남긴 默潭大師의 유품 1,000여 점이 소장되어 있다. 묵담유물관 공예품은 묵담대사 의 행적을 알려주는 자료인 동시에 고종 후궁 寶賢堂 鄭氏(1883~1954년 이전)와 林尙 宮(1883~?)과의 관계 속에서 시주된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이 포함되어 있다.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 시주한 왕실 시주품은 조선 불교와 일본 불교가 공존했던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이 공예품에도 영향을 미친 사실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묵담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보현당 정씨, 임상궁의 인물 분석과 시주품, 일본 불교 가 잠식한 일제강점기 조선 불교계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묵담유물관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분석과 학술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했다. 우선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에 대한 접근은 이를 뒷받침해 줄 사료가 부족하여 묵담유 물관 소장품을 기반으로 역추적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 결과 담양 용화사에 ‘정씨마마’로 전하던 인물이 고종의 후궁인 보현당 정씨임을 밝히고, 생몰년 추정, 당호와 귀인 봉작시기, 거처했던 보현당이 원래는 덕수궁 養心堂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임상 궁은 보현당 정씨와 동갑내기 궁인으로 천주교 집안 출신이었던 보현당 정씨와 묵담대사 를 연결해준 매개자 역할을 하였으며, 1954년경 보현당 정씨 사후에도 보현당 정씨의 私家와 계속 왕래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이들의 시주품은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으로 南無當來佛敎主彌勒尊佛幡, 佛名刺繡 簇子, 牧丹紋奉獻三寶前刺繡, 佛輦裝飾, 觀音聖母佛龕 등이다. 자수품에서 萬行華, 萬 德華라는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의 법명이 확인되고 전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반면에 임상궁이 시주한 관음성모불감은 조선식과 일본식 기법이 공존하고 있어 일제강점기 불교 공예품에도 일본의 영향이 투영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밖에 일본식 공예품으로는 학구형촛대, 조등롱, 보상화문투각향로 뚜껑, 경상 등이 있다. 그러므로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묵담대사와 왕실과의 관계,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란 인물에 대한 조명, 당시 불교계 동향이 반영된 일본 공예품의 영향 등 여러 측면에서 공예사적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체화된 감정으로서 정(情) -순자철학을 중심으로-

        영수 ( Young-su Jeong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4 No.-

        본 논문은 순자철학에서 정(情)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정(情)은 감관들의 잠재적 기능들이 실제로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情)은 감관의 지각활동을 통해 인간의 경험을 가능케 하는 신체적 활동이다. 다음으로, 정(情)은 감응을 통해 세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정(情)은 주체 내부의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정념이 아니라 외부세계와 상호작용하는 감정이다. 인간은 이러한 정(情)의 감응에 의해 자신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 끝으로, 인간은 예(禮)를 배우고 익힘으로써 사회·문화적 특성들을 체화하여 감정을 사회적 상황에 맞게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예(禮)란 인간이 사회 속에서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행동양식과 도덕규범이다. 인간은 감정 조율의 체화를 통해 상황에 맞는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Qing(情) in Xunzi's philosophy. First, Qing(情) means that the potential functions of the senses are actually active. Qing(情) is physical activities that enable human experience through sensory activity. Next, Qing(情) constantly interacts with the world through ganying(感應). Qing(情) is not a emotion that arises from the inner cause of the subject, but the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interaction of Qing(情), humans become aware of their own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Finally, by learning and acquiring li(禮), humans can embody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 emotions in accordance with social situations. li(禮) is the modes of behavior and moral codes necessary for humans to live their lives in society. Human beings are able to conduct moral behavi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the embodying of emotional coordination.

      • 시민 인식의 녹색 전환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염정윤,김남수,행운,우현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환경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필수 □ 한국환경연구원에서 발간한 ‘2020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환경문제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자신이 직접적 피해를 받는 주체라고 체감하지 못함 ㅇ 주로 실천하는 친환경 행동 중 자발적인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ㅇ 친환경 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가 내재화되고 습관화되어야 함 □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 ㅇ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환경교육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구성됨 ㅇ 지금 당장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적으로 환경적 실천을 해야 하는 성인의 대다수는 성인이 된 이후에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접하지 못한 환경교육의 소외계층 □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환경 리터러시 ㅇ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지표가 부재함 ㅇ 환경교육의 목표를 환경 리터러시의 증대로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지표 개발이 필요 2. 연구의 범위 □ 환경 리터러시 개념 정리 및 성인 대상의 측정 도구 개발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 측정 □ 환경 리터러시의 예측 요인과 결과 요인 확인 □ 군집 분석을 통한 시민 유형 파악 Ⅱ. 성인 환경교육과 환경 리터러시 1. 성인교육 □ OECD 2005년 프로젝트 보고서인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에서는 교육 형식을 형식(formal), 비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 교육으로 구분 ㅇ 형식 교육은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 직장 내의 교육 등으로 학위나 자격증 등의 형태로 사회적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학습 ㅇ 비형식 교육은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이지만 공식적 평가나 인증이 없는 학습으로 주로 평생교육원이나 사설 교육기관,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ㅇ 무형식 교육은 가사활동, 여가활동, 직업활동 등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 □ 2020년 기준 국내에서는 42.1%에 달하는 성인 평생학습 참여율 중 비형식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41.3%로, 전체 교육 참여의 약 98%가 비형식 교육으로 이루어짐 2. 환경 리터러시 □ 북미환경교육협회(NAAEE)는 환경 소양을 설명하고 측정하기 위한 틀(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을 제안 ㅇ 환경 쟁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 문제 해결과 비판적 사고 기능, 환경과 자연에 대한 견해, 개인적/사회적 영역에서 친환경 행동으로 구성 ㅇ 핵심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며, 역량과 영향을 주고받는 요소로 지식과 태도가 연결됨 □ 김찬국 외(2019)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환경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환경 소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함 ㅇ NAAEE의 틀을 재구성하여, 크게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으로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각 영역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나누어 강조 Ⅲ.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1. 인식 조사 □ 환경교육의 수요자인 일반 시민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기 위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ㅇ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6일간 실시 ㅇ 환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 수요를 확인하는 일반 설문조사와 연령대별 환경교육 주제와 필요한 환경 리터러시의 중요도를 확인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 진행 □ 일반 성인들은 교육 주제 차원에서는 생활환경, 환경 리터러시 차원에서는 환경 실천의 중요성을 높게 판단 □ 상호작용 실천은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중요성을 가장 낮게 평가 ㅇ 현실적으로 형식보다는 비형식이나 무형식 교육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 성인들에게는 상호작용 실천이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활용되어야 함 2.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구글 스콜라 등에서 ‘환경 리터러시’, ‘환경 소양’, ‘environment literacy’ 등의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여 검색한 결과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를 포함한 연구 및 설문조사 22건을 추출 ㅇ 측정 문항이 보고되지 않거나 동료 검증을 거치지 않은 학위 논문, 주관기관이 불분명한 설문조사 등을 제외한 13건의 연구를 기초 자료로 활용 □ 13건의 연구에 제시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문항 459개 내용 분석 ㅇ 인지 수준을 확인하는 문항(41.2%)이 가장 많고, 실천(33.7%), 정서(25.1%) 순 ㅇ 연구의 개념에 맞게 문항들을 분류하고 연구진 회의를 거쳐 초안 구성 □ 외부 자문위원 검토와 100명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초안 수정 ㅇ 환경 지식 영역의 경우 정답률이 95%를 초과하거나 30%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문항 삭제 ㅇ 환경 정서와 환경 실천 영역의 경우 문항 간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여 크론바흐 알파값이 0.7 이하인 문항 삭제 ㅇ 환경 지식 33문항, 환경 정서 22문항, 환경 실천 32문항으로 최종 설문지 확정 Ⅳ.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1. 조사 개요 □ 전문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9월 10일(금)~9월 16일(목)까지 전국 20~6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ㅇ 표본 추출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할당 표본 추출 방식 사용 2. 설문의 구성 □ 성인용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는 지식, 정서, 실천 영역을 포함하며, 현재 우리나라 성인의 전반적인 환경 능력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설문은 ① 개인 특성 ② 환경 리터러시 ③ 환경 정책 의견 등 세 부분으로 구성 ㅇ 개인 특성에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 습득 경로, 문화적 세계관, 환경 행동 동기, 주관적 지식 등 행동·심리적 특성을 포함 3. 연구 결과 □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시행 ㅇ 본 연구에서는 K-평균 군집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다섯 개 군집으로 설정 □ 군집은 행동 중심 군집(action-oriented cluster), 잠재 군집(latent cluster), 회의주의 군집(skeptical cluster), 무관심 군집(bystander cluster), 녹색 시민 군집(green citizen cluster)으로 구분 ㅇ 행동 중심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정서와 실천 리터러시는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8.8%) - 정서 리터러시 중에서도 환경 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데, 자신의 노력으로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실천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음 -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자신의 환경 지식수준에 대한 평가인 주관적 지식은 높게 나타나 본인들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과 신념을 지니고 있음 - 평균 연령이 51.3세로 높고 저학력 비중이 가장 높음(고졸 이하 31.8%) ㅇ 잠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중간 수준인 유형(전체 응답자 중 23.3%) - 친환경적 또는 반환경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부동층(浮動層) - 일정 수준 이상의 환경 리터러시를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실천은 나타나지 않음 - 실천 리터러시가 중간 이상이어서 상황이나 분야에 따라 타 군집(예를 들어, 회의주의 군집이나 무관심 군집)에 비해 친환경적 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 - 여성의 비율(60.5%)이 남성의 비율(39.5%)보다 높고, 평균 연령은 47.10세 - 주부와 단순 노무직 종사자의 비중이 타 군집에 비해 높음 ㅇ 회의주의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는 중간, 실천 리터러시는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9%) - 지식 리터러시 수준은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의 영역 중 환경 효능감이 낮게 나타남 ㆍ환경 효능감은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파악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과 이러한 실천이 실제 환경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믿음 - 고학력층 비중이 가장 높고(대졸 이상 75.8%) 고소득층 비중도 높은 편(가구소득 500만 원 이상 45.7%) - 직업적 특성으로는 학생이나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음 - 토의나 토론, 강의 형식의 환경교육 방법을 선호하며 미디어(보도/비보도 모두 포함)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 비중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무관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14.4%) - 환경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때로는 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집단 - 자연을 예측 불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행위 결과는 우연이라고 보는 운명주의가 강함 ㆍ따라서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으로 위험을 막을 수 없다고 생각 - 남성의 비율(68.8%)이 여성의 비율(31.3%)보다 높고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음 - 다른 군집에 비해 저소득 비중(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32.6%)이 높고, 미혼(50.0%) 또는 자녀가 없는 응답자(51.4%)의 비중이 높음 ㅇ 녹색 시민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6%) - 지식과 정서, 실천이 모두 갖추어진 환경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집단 - 상대적으로 고학력자 비중이 높고, 경영/관리직이나 전문직 종사자 비중이 높음 - 환경 행동의 동기 중 환경의 유지와 보존 그 자체가 환경 행동의 동기가 되는 생태 동기가 가장 높은 군집 - 정보 능력이 가장 높고 모든 출처의 정보를 골고루 이용 4. 군집별 환경 리터러시 강화 방안 □ 행동 중심 군집 ㅇ 다소 부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지만 스스로는 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평가하므로 잘못 알고 있는 지식을 바로잡아 정확한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 ㅇ 평균 연령과 저학력 비중이 높아 직관적이고 이해가 쉬운 형태로 정보 가공 필요 ㅇ 환경 캠페인, 환경 활동 참여를 선호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얻는 비중이 높아 주민센터나 복지관과 같은 지역 기반 거점에서 환경 캠페인 참여 유도 추천 □ 잠재 군집 ㅇ 일정 수준의 지식과 정서를 갖추고 있어서 적절한 개입(intervention)을 통해 정서 리터러시를 증대하면 실천 역시 증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음 ㅇ Grunig는 이러한 집단을 활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 관여도 제시 - 관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환경문제 실재감(tangibility)을 높여 주어야 함 ㆍ예를 들어, 여성과 주부의 비중이 높아 환경문제가 당신 자녀들이 직면하게 될 문제라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면 관여도가 증가 ㅇ 기본적으로 미디어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이 높으므로 정서 수준을 증대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추천 - 현재로서는 환경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낮아 PPL이나 교육적 오락물 등의 콘텐츠를 통해 환경 주제에 간접적인 노출 필요 ㅇ 주부 비중이 높아 자녀와 함께하는 체험, 견학을 제공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 회의주의 군집 ㅇ 사회구조적 한계 인식으로 지식 리터러시는 높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집단 ㅇ 사회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주는 메시지 전달이 중요 -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을 통해 환경문제를 개선한 사례나 환경 행동의 효과를 수치화하여 제시하면 효과적일 수 있음 ㅇ 교육 수준과 소득이 높고 학생과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아 의견 선도자로서 활약할 확률이 크므로 환경 분야의 전도사(evangelist)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 직장 단위의 환경 주제 워크숍이나 세미나 등을 추진하는 것을 제안 □ 무관심 군집 ㅇ 정서 리터러시를 시작으로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 개선을 유도해야 함 ㅇ 정형적인 환경교육에는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부산물로서 환경학습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구상 필요 ㅇ 연령이 낮고 미혼 비율이 높은 집단으로 체험이나 견학 활동을 선호하기 때문에 문화나 레저 등을 동반한 프로그램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함 - 플로깅(plogging), SNS 챌린지 등 문화 트렌드를 만들어 환경이 아닌 문화 활동으로의 참여 유도 □ 녹색 시민 군집 ㅇ 추가적인 교육보다는 환경 관련 준전문가로서의 활용을 고민해야 하는 집단 ㅇ 지역 내 환경문제에 직접 관여하는 관찰·조사를 선호하기 때문에 민간 환경 전문가나 시민 과학자로의 양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Ⅴ. 결론 및 함의 1. 연구 결과의 종합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 ㅇ 지식 리터러시 평균은 5.20, 정서 평균은 5.13, 실천 평균은 4.34(각 영역 7점 만점)로 우리나라 시민의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은 높은 편 ㅇ 성인 집단 내에서도 환경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군집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 사회적으로 유사한 집단(예를 들어, 나이, 직업 등) 내에서도 환경 수준 격차 존재 - 시민 군집별 환경 인식 및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음을 확인 ㆍ환경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는 개인 간의 환경 능력의 차이일 뿐 아니라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침 2. 연구의 의의 □ 성인 대상 환경교육의 방향성과 환경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성인의 환경 실천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정서 리터러시의 강화가 중요 - 성인 세대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형식 교육의 강화가 필요 - 집단의 세분화를 통해 각 군집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 접근 전략 추진 필요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환경적으로 특징적인 모든 집단을 구분해 내지는 못함 ㅇ 성인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측정에 포함되지 못한 주제나 실천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 □ 모든 시민의 온라인 접근성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설문은 노년층이나 저소득층 표집이 왜곡될 우려가 있고 특정 집단이 과소 또는 과대 대표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해석해야 함 □ 시민 군집에 따른 환경교육 접근 방법은 실제 효과가 검증된 것은 아님 ㅇ 각 군집에 대한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접근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purpose □ A nationwide consensus on the understanding on and necessity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 needed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 According to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2020 Survey” issu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the citizens consider environmental issues important but do not feel that they themselves are a direct victim of such issues. ㅇ The level of autonomous environmental practic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main environment-friendly actions. ㅇ People should make a habit of taking the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take environment-friendly actions. □ One way that can be considered to influence people’s awareness is education. ㅇ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s centered around school-age children and youth. ㅇ The majority of adults currently affecting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practically practic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re exclud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not receiving enough learning opportunities. □ Environmental literacy as an obj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ㅇ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but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objectives and specific indicators to verify its effect. ㅇ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ndicators to measure this should be developed. 2. Research scope □ Summari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develop the scales for adults Measure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citizens □ Confirm the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literacy □ Understand citizen types via cluster analysis Ⅱ.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nvironmental Literacy 1. Adult education □ Education types are divided into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in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2005), a report on the project conduc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ㅇ Formal education: As education is conducted in educational or training institutes or workplaces, it allows learners to obtain social certifications in the form of a degree or certificate. ㅇ Non-formal education: Although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a certain program, it is mainly conducted in lifelong or private learning institutes or culture centers without an official evaluation or certificate. ㅇ Informal education: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daily activities including house chores or leisure or vocational activities. □ As of 2020,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Korean adults was 42.1%. 41.3% of them were engaged in non-formal education. About 98% of the entire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non-formal education. 2. Environmental literacy □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 proposed a 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e framework is comprised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n environmental issue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opinions on the environment and nature, and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in personal and social areas. ㅇ The key is competency in solving practical issues. Knowledge and attitude are connected as a factor interacting with competency. □ Kim, C. G. et al. (2019)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measure environmental literac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urtur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Kim, C. G. et al. (2019) emphasized personal and social aspects by re-organizing the NAAEE’s framework to categorize factors into environmental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Ⅲ. Environmental Literacy for Adults 1. Survey on environmental awareness □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general citizens who are the major targe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examine their awareness on the education. ㅇ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six days from May 31, 2021 to June 5, 2021 by a market research firm, EMBRAIN Public. ㅇ The survey consists of ① a general survey investigating the overall recognition and demand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②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examining education topic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age group. □ For ordinary adults, liv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practi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the lesson topic and environmental literacy, respectively. □ Both ordinary people and experts evaluated practicing interaction as least important. ㅇ In reality, for adults who need non-formal or information education instead of formal education, practice of interaction shall be used as an important strategy. 2.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for adults □ The authors searched through the major academic database and internet search engine Google Scholar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others. As a result, 22 studies and survey cases on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were identified. ㅇ Of the 22 search results, 13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Those whose study questions were not reported, theses not peer-reviewed, or surveys whose organization in charge is unclear were excluded. □ Details of 459 questions measuring environmental literacy suggested in the 13 cases were analyzed. ㅇ The number of questions asking the cognition level was the highest (41.2%), followed by behavior (33.7%) and affect questions (25.1%). ㅇ The draft was created after categorizing the questions fit to the study concept and having meetings with the research team. □ The draft was revised through the review of outside consultants and an online survey conducted among 100 participants. ㅇ For the environmental knowledge section, questions which over 95% or less than 30% of respondents answered correctly were deleted. ㅇ For the section of environmental affect and environmental behavior,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analyzed. Those whos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value is less than 0.7 were deleted. ㅇ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a total of 87 questions: environmental cognition (33), environmental affect (22), and environmental behavior (32). Ⅳ. Results 1. Overview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adults aged from 20 and 60 nationwide from September 10, 2021 (Fri.) to September 16, 2021 (Thur.) by EMBRAIN Public. ㅇ Gender, age, and region-based sampling was used. 2. Questionnaire □ The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for adults include the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sections, aiming at examining the current environmental competences of Korean adults. □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① personal characteristics, ② environmental literacy, and ③ opinion on environmental policy. ㅇ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and behavior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ow they obtain information, cultural worldview, motiv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subjective knowledge). 3. Study results □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is study set five clusters by adopting the K-average clustering analysis method. □ The five clusters are classified into action-oriented, latent, skeptical, bystander, and green citizen clusters. ㅇ The action-oriented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despite the low level of knowledge literacy (8.8% of the entire respondents). - Self-efficacy was stronger than other emotion literacy area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elief that environmental issues can be solved with one’s effort leads to practice. - Despite the low knowledge literacy,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 terms of environmental knowledge was high. It means the respon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belief in their competencies. - The average age was 51.3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having poor academic backgrounds (the percentage of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was 31.8%) was high. ㅇ The latent cluster showed a mid level in all literacy areas (23.3%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were swing voters whose viewpoint in terms of the environment-friendliness is not established. - They showed a certain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but continuous practice was not found. - Since practice literacy was at a high level, mor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could be found than others (i.e., skeptical or bystander clust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field. - The female percentage (60.5%)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39.5%), and the average age was 47.1. - The percentage of housewives and those in simple labor positions is higher than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knowledge literacy but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were at a mid and low level, respectively (26.9% of the entire respondents). - Despite the high knowledge literacy, environmental efficacy was weak in all emotion literacy areas. ㆍEnvironmental efficacy means the belief in one’s competencies in understanding and taking actions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and such practice is helpful in addressing actual environmental issues. - The percentage of the highly educated was the highest (those having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is 75.8%) and the percentage of high income earners was relatively high (45.7% earns over five million KRW). - In terms of vocation, the percentage of students or those working in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They preferred discussion or lec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The percentage of people consum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via media (including both news reports and other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low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14.4%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had not only low environmental awareness, but also negative views sometimes. - They tended to show a strong belief in fatalism, seeing the nature unpredictable and thinking that all behavioral results occur by chance. ㆍThus, they considered danger is not preventable wit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 The male percentage (68.8%)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31.3%), and the average age was the lowest. - The percentage of low-income households (32.6% earns less than two million KRW) was higher than other clusters.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50.0%) or those with no kids (51.4%) was high among the respondents. ㅇ The green citizen cluster displayed high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26.6% of the entire respondents). - It is the most idealistic group supported by knowledge, emo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highly educated percentage was relatively high and that of those in management or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For them, the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became the highest ecological motivation among others for environmental behavior. - They had the highest level of information competency and consumed information from all sources evenly. 3. Strategies to enhance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cluster □ Action-oriented cluster ㅇ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to practice environmental activity correctly by revising their incorrect environmental knowledge, since they evaluate themselves as being knowledgeable about the environment without a precise understanding. ㅇ It is necessary to process information to make it intuitive and easily understandable, since the average age and percentage of those with poor academic backgrounds are high in this cluster. ㅇ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campaigns on a regional base including a community or welfare center, since they like engaging in environmental campaigns and activities. A high percentage of them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regional community. □ Latent cluster ㅇ Since this group have certain levels of knowledge and emotion, it can be expected that increased emotion literacy through proper intervention will lead to the rise in practice. ㅇ Grunig suggested involvement as a major factor to turn this type of cluster to active public. - It is necessary to reduce psychological distance while growing tangibility on environmental issues to enhance involvement. ㆍFor instance, since the percentage of females and housewives was high, their involvement could be enhanced if a message is sent to them, saying “Your children will soon face environmental issues”. ㅇ Basically, they consum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lot through media, so developing media content to raise their emotional level is recommended. - Currently,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they would actively consume environment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indirectly expose them to environment-related themes through embedded marketing or entertaining educational content. ㅇ It is expected that experience with children or a field trip opportunity will be effective due to the high percentage of housewives in the cluster. □ Skeptical cluster ㅇ People in this cluster show high knowledge literacy because of their awareness on social structural limits, but their cognition is not turned into behavior. ㅇ It is significant to deliver a message that gives self-confidence empowering them to overcome socio-environmental limitations. - If a case where environmental issues were solved throug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ractice is presented in a quantified way, it may be effective. ㅇ Since the level of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income was high along with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s,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possibility of becoming an evangelist in the environmental field as a leading opinion leader. - Hosting an environment-related workshop or seminar by workplace unit is recommended. □ Bystander cluster ㅇ It is needed to guide the improvement in the overall environmental literacy starting with emotion literacy. ㅇ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high possibility of not participating in formal education settings,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approach to create an environmental learning effect as a byproduct. ㅇ Experience or field trip programs along with a cultural or leisure activit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since they prefer such activities as members of a group whose average age is low and where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is high. -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ir participation in an environmental activity as a cultural activity by creating a trend including plogging and the SNS challenge. □ Green citizen cluster ㅇ Instead of providing addi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use this cluster as semi-professionals in the environment field. ㅇ Training them as civic environmental specialists or scientists can be considered as they prefer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by directly engaging in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in their reg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1. Conclusion □ Check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ordinary citizens ㅇ The overall levels of Korean citizens were high on average: knowledge literacy 5.20 out of 7.0, emotion literacy 5.13, and practice literacy 4.34. ㅇ Depending on environmental literacy levels, the existence of various clusters was confirmed within the adult group. - There was a gap in the environmental literacy level even within a socially similar group (e.g. age, vocation, etc.). - It is confirmed that there were gap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opinions on environmental policy among citizen clusters. ㆍ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literacy is not just a gap in individuals’ environmental competence, but also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view or opinion on the environmental policy. 2. Implications □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 Enhancing emotion literacy is important to boost the environmental practice of adults. - Strengthening informa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adult generat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approach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rough cluster segmentation. 3.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ll unique cluster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ㅇ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cales that can be universally used as initial research based on adults. Clearly, there could be themes or practice areas not included in the measurement. ㅇ Future research may classify and present cluster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 Since an online survey cannot be equally accessible by all citizens, the sampling of the elderly or low-income households may be distorted or a certain group can be under- or over-represented. □ The actual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approaches on each citizen cluster is not verified. ㅇ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roaches sugges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n in-depth or focus group interview in each cluster and explore more various, effective measurements.

      • KCI등재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막의 제조 및 특성

        보름,김종학,김범식,박유인,송두현,김인철 한국막학회 2010 멤브레인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FO) 막을 제조하고 각각의 고분자 및 첨가제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TA)를 기반으로 상전환법을 통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고 가압조건과 정삼투 조건하에서 투과유량 및 염제거율을 비교하였다. CA 정삼투막은 용매의 증발 및 annealing 수행 시간에 따라 막의 성능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annealing보다는 첨가제를 활용하여 성능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CTA 정삼투막의 정삼투 투과유량은 4.46 L/m2hr였으나 CA/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8.89 L/m2hr로, 단일 고분자를 사용하기 보다는 CTA에 CA를 혼합하여 막을 제조하는 것이 정삼투 투과유량 증가에 보다 효율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using a variety of cellulose-based polymers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of the polymers and additives. Forward osmosis membranes based on cellulose acetate (CA) and cellulose triacetate (CTA) were prepared through phase inversion. The performance of FO membranes developed, such as flux and salt rejection, was compared under the osmotically- and pressure-driven conditions. In CA FO membranes, the execution time of solvent evaporation and membrane annealing induced the change in membrane performance. But the performance of CTA FO membrane was improved by using additives rather than annealing. Moreover, the flux of CTA FO membrane was 4.46 L/m2hr but that of CA/CTA FO membrane was 8.89 L/m2hr in FO mode. The CTA FO membrane with blending CA was more efficient to increase FO permeate flow rather than using a single polymer membrane.

      • 하수재이용 FO-RO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유기물 특성 및 생분해도 분석

        류준희,재현,박기영,권지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최근에 기존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에 사용되고 있던 역삼투 공정을 개선하여 전단의 까다로운 전처리를 정삼투 공정을 이용하여 대체하는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이 적용되는 하수재이용 또는 해수담수화 공정은 모두 원수로 하수 또는 하수처리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는 기존 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와는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농축수의 특성 분석 및 처리 방법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삼투-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의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를 제안하고, 이를 위해 정삼투 농축수의 유기물 특성과 생분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실 규모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정삼투 농축수를 생산하고 COD, BOD, TN 및 TP를 분석하여 방류수 수질기준과 비교하고, 농축수 내의 유기물 분포를 분자량 분획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수율 50%로 정삼투 공정을 운전하였을 때에는, COD 38.55, BOD 7.98, TN 27.80, TP 0.46 mg/L의 값을 보이고 COD와 BOD를 제외한 TN, TP 항목은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또한 이때의 생분해도 값은 0.24로 하수 원수의 생분해도 값보다 약 80% 이상 감소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교육 지원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은,신순자,윤우,김봉세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지원 영역의 지원 실태에 대한 인식과 지원 영역의 관계를 분석하고, 효과적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특수교육교사, 통합교육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이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영역별 교육 지원 실태에 대해 가족영역을 제외하고는 지원의 수준이 보통이라고 인식하였다. 특수교육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교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이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합교육교사, 학부모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행동지원영역, 학습지원영역, 가족지원영역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행동지원영역과 학습지원영역에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아동에 대한 교육 지원이 장애 영역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영역으로 지원되어야 하지만, 각 장애 특성에 적합한 차별화된 지원 내용으로 나누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상호 의견을 교환하여,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have put the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 and support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the support of area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ith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support center special education, to explore the plan effective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180 people integrated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eachers, emotional behavior are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upporting Situation-specific training for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in the family, except for the area of the level of support is usually recognize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ve been generally well recognized, but,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was perceived to be a lack of support. Second, Behavior support for area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learning support area, family support area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particularly behavioral support area and highly correlated to the area of learning support. This means that support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cross disability areas that are common to the area should be supported, but should be divided into cont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support differentiated consumer's diverse needs and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supportshould. Emotional behavio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cater to the various needs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of the scene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interac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ight support will need to be made.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 후손의 경남 동부지역 이거 양상 연구

        경희(Jung Kyung-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on the migration of Poeun(圃隱)'s descendants from wester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to the easter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te 17th and 18th centuries in Jose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Seolgok(雪谷) Jung Bo(鄭保), the grandson of Poeun Jung Mongju(鄭夢周), was forced to exile to Danseong(丹城) located in western Gyeongsangnam-do because of having criticized the usurpation of King Sejo(世祖). After that Poeun's descendants started to settle down in the localities of western Gyeongsangnam-do such as Hapcheon(陜川), Jinju (晉州) and Danseong(丹城). In the 16th century Poeun started to be venerated and his descendants came to be powerful and prominent. From the 17th century, the branch of Sir Limheon(林軒公系) founded by Limheon(林軒) Jung Sephil(鄭世弼) became leading nobility power in western Gyeongsangnam-do. Generally they tended to belong to military nobility such as Bukin(北人) Party and Nammyung(南冥)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Seoin(西人) and Noron(老論) Parties grasped political power, therefore, Bukin Party started to be divided and stagnated gradually. This affected to Poeun's descendant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Their status in military nobility was weakened and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Noron Party. In general stagnation of Poeun's descendants in western Gyeongsangnam-do, some of them migrated to eastern Gyeongsangnam-do. The branch of Sir Limheon migrated to Yangsan(梁山) and Haman(咸安), and the branches of Sir Sean(世安公系) and Sir Seryun(世倫公系), to Ulju(蔚州) and Gimhae(金海). Jung Doman(鄭道萬)'s family of the branch of Sir Limheon in Yangsan was central force of Poeun's descendants of the eastern Gyeongsangnam-do. They had produced a leader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been editing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忠烈) of Yangsan in modern times. We can see that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 inherited from Poeun to Seolgok and Limheon continues in modern times. 본고는 15세기 이래 경남 서부 합천ㆍ진주ㆍ단성 등지에 정착한 포은 후손들이 17세기 후반~18세기를 지나면서 인근의 경남 동부 양산ㆍ함안ㆍ울주ㆍ김해 등지로 이주해 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포은 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다 경상도 단성지역에 유배된 이후 그 셋째 아들 정윤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포은 후손들의 경상도 지역 세거가 시작되었다. 16~17세기 포은이 사림세력의 절대적 추앙을 받으면서 포은 후손들이 재기하게 되는데, 경상도 지역에서 는 정윤관의 손자이자 병마절도사를 지낸 임헌 정세필을 계파조로 하는 '임헌공계'를 중심으로 합천ㆍ단성ㆍ진주 등 경남 서부지역의 유력 사족세력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대체로 남명학파 북인계이자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인-노론의 집권으로 경상도 지역의 북인계 세력은 침체 국면에 놓이게 된다. 당시 임헌공계의 경우 정세필의 증손인 합천의 '정욱계' 및 단성ㆍ진주의 '정훤계' 양대 계열이 중심이 되고 있었는데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가 현저히 감손되었고 학문이나 당색 면에 노론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인근 경남 동부지역으로 옮겨가는 세력이 생겨났으니 임헌공계 중 함안ㆍ양산, 세륜공계 중 울주, 세안공계 중 울주ㆍ김해 등지로 옮겨간 경우가 그러하다. 특히 경남 동부 포은 후손의 중심세력인 양산 지역 임헌공계 정도만 계열에서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대에는 일제시기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또 고대 이래 양산지역에 면면히 내려온 충렬의 전통을 집대성하는 흥미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포은-설곡-임헌으로 이어지는 충렬의 가풍이 시대와 지역의 격간을 넘어 이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 KCI등재

        지지체 특성이 정삼투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

        보름,김종학,김범식,박유인,송두현,김인철 한국막학회 2010 멤브레인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지지체에 따른 정삼투막의 성능을 비교 빛 평가하는 것이다. 계변 중합을 통하여 소수성 지지체인 폴리술폰(PSf)과 상대적으로 친수성 지지체인 폴리에테르술폰(PES)의 표변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정삼투막을 제조하여 투과유량과 역확산을 비교하였다. PSf 정삼투막과 PES 정삼투막의 투과유량은 4.36 L/m2hr와 17.8 L/m2hr으로 PES를 지지체로 하는 정삼투막이 투과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지체의 친수성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간에 관련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의 두께가 앓아질수록 정삼투 공정에서 막의 투과유량은 증가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s of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using different materials. The FO membranes were synthesized using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on hydrophobic polysulfone (PSf) and relatively hydrophilic polyethersulfone (PES) supports. The FO performance such as flux and back diffusion was measured. The resulting fluxes of PSf and PES FO membranes were 4.36 L/m2hr and 17.8 L/m2hr, respectively. The flux of the PES FO membra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Sf FO membra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ydrophillictity of the support membrane is important for increasing flux in FO process. Moreover, with decreasing the support layer thickness, flux increased considerably.

      • KCI등재

        폴리술폰과 폴리아미드 경계층에 형성된 폴리실록산을 이용한 정삼투 복합 박막의 유량 향상

        보람,김노원 한국막학회 2016 멤브레인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층 표면에 계면 중합 반응을 시켜 정삼투 복합 박막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인 폴 리술폰층과 활성층인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테트라에톡시실란 단량체의 졸-젤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를 합성함으로써 친수성 경계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제조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술폰층은 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주 얇은 부직포를 사 용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졸-젤 반응으로 형성된 고분자 경계층이 폴리술폰층과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형성된 정삼투 분 리막은 친수화도, 유량 향상 등 정삼투 분리막 투과 특성에 있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폴리아미드 계면 중합과 테트라 에톡시실란 졸-젤 중합의 순서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구조 특성 및 정삼투 투과 특성이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정삼투 막의 투과 특성은 실험실 용량의 정삼투 평가 장치를 통하여, 정삼투 분리막 내 폴리실록산의 분포와 구조는 FE-SEM과 EDAX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S_PA_TEOS막의 경우 유량에 있어 79.2 LMH로 현격한 증가가 있었으나 염의 역확산 속도 역시 7.10 GMH로 증가하였다. 반면 PS_TEOS_PA막의 경우 PS_PA막에 비해 염의 역확산 속도는 1.60 GMH로 유지되면서 유량이 54.1 LMH로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work, novel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are developed via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the polysulfone (PS) substrate, using TEOS as the a sol-gel reagent to form hydrophilic interlayer polymer between PS and polyamide (PA). The PS substrate was cast on a very thin polyester nonwoven to reduce membrane resistance. With the incorporation of TEOS (tetraethoxy silane) polymer in the interface between PS and PA, the formed TFC FO membrane exhibits better hydrophilicity and improved water flux, and therefore superior membrane performance. By changing the polymerization sequence of PA interfacial polymerization and TEOS sol-gel condensati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FO membranes are changed significantly. The permeability of FO membranes were estimated using the bench-scale FO test equipment. The distribution of the polysiloxane on composite membrane and morphology are also studied with FE-SEM and EDAX. The PS_PA_TEOS membrane showed highly enhanced water flux (79.2 LMH) but reverse salt flux (RSF) value (7.10 GMH) also increased. However, the flux of PS_TEOS_PA membrane increased moderately (54.1 LMH) without increasing RSF value (1.60 GMH) compare with PS_PA membrane.

      • KCI등재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과 긍정적인 생활 사건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나래,김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1

        Depression is mental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po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 depression, and interact with positive life events. College students(n=448) were taken to self report assessment fo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emotion clarity, negative rumination, positive and negative life events, depression. As a result, dampe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positive life event. Positive rumination influenced depression, moreover there wer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including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life events as moderator variable. And negative rumin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negative life event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s depression, and partially interacts with positive life events as stressor.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options were discussed. 우울증은 긍정성의 감소를 특정적인 요인으로 갖는 대표적인 정신장애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정서 조절 기제인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그리고 긍정 정서 반응과 생활 사건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긍정 정서 반응, 정서 인식 명확성, 부정 반추, 생활사건, 우울을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의 하위 요인 중 가라앉히기(dampening)는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긍정 반추는 유의미하게 우울 증상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인식 명확성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긍정 반추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에서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 생활 사건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긍정적인 생활 경험이 적을 때, 긍정 반추가 높은 사람들은 긍정 반추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 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을 훨씬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 생활 사건이 많을 때, 긍정 반추와 정서 인식 명확성의 정도에 따른 우울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정 반추는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부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즉, 가라앉히기 및 긍정 반추가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각각 정적 및 부적 영향을 끼치며, 생활 사건이라는 스트레스 요인이 이들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