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땅콩 낙협 정도의 품종간차이

        진일두,김규태 韓國作物學會 199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6 No.6

        땅콩의 낙협 저항성 유전 자원을 발굴하여 재배 및 육종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장려 품종 7종을 포함한 Virginia type 94품종, Spanish type 99품종 및 Valencia type 18품종등 합계 218품종을 공시하여 파종 후 개화까지의 소요 일수, 주당 성숙 협과수, 종실 100립중, 낙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및 포장 낙협률등 주요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낙협 저항성의 요인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개화까지의 소요 일수는 Spanish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이 Virginia type의 품종들에 비해 짧은 편이었으며,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은 비교적 짧은 편에 속하였다. 2. 주당 성숙 협과수는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Virginia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에 비해 많은 편이었으며,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은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하였다. 3. 종실 100입중은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이 소입중인 Spanish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은 물론, 같은 대립중인 Virginia type의 품종들보다도 무거운 편이었다 4. 협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는 품종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강한 편이었고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과 Virginia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약한 편이었는데, 포장 낙협률은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과 Virginia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낮은 편이있다. 5. 파종 후 개화가지의 소요 일수, 주당 성숙 협과수, 종실 100입중, 협화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및 포장 낙협률 사이에는 각각 높은 산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포장 낙협률은 협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주당 성숙 협과수 및 종실 100입중 등 여러가지 요인들의 복합 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형질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genetic stock for resistant to pod shedding. Materials used were 7 recommended varieties in Korea and 211 introduced varieties containing 94 Virginia type, 99 Spanish type and 18 Valencia type varieties. the days from seeding to first anthesis. number of mature pods per plant. 100 seeds weight and shedded pod ratio per total mature pod at harvesting were investigated. And the breaking tensile strength required to detach a pod from its gynophore was measured at a proper time for harvesting of each variety. In addition. factors related to pod shedding were discussed. The first anthesis of Spanish and Valencia types were earlier than that of Virginia type, but Korean recommended varieties which were recognized as Virginia type had relatively earlier anthesis. The varieties of Spanish type yielded more pods compared with those of Valencia and Virginia types. but Korean recom-mended varieties yielded slightly more pods than the others. Seeds weight of Korean recommended varieties was larger than not merely those of Spanish and Valencia types which were small seeds but also those of Virginia type which were large seeds. The breaking tensile strengths between pod and gynophore were various among the varieties belonging to same type. The strength was relatively strong in the Spanish type, but weak in both Virginia type and Korean recommended varieties. Therefore, pod shedding in the varieties of Spanish type was low and high in Virginia type and Korean recommended varieties. There were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at the 0.1 % significan level among the days to first anthesis. number of pods per plant. seed weight, breaking tensile strength and shedding ratio. The pod shedding is considered a compound character that is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breaking tensile strength between pod and gynophore,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seed size.

      • 땅콩의 子房柄培養에 關한 硏究 : 生長調節物質에 따른 子房柄의 生長 反應과 屈地性發現의 差異 Effects of Growth Regulator on the Growth and Geotropic Response of Gynophore Explants

        金東喆,陳日斗 順天大學校 1986 論文集 Vol.5 No.1

        땅콩子房柄의 屈地性發現과 結果習性을 解明하기 위한 基礎硏究로서 組織培養方法을 利用하여 植物生長調範物質이 子房柄生長에 미치는 影響, 子房柄의 伸長程度 및 培養體길이가 子房柄生育에 미치는 影響과 子房部位 및 胚珠가 屈地性發現에 미치는 영향을 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子房柄培養에 의한 生育反應은 굴地性發現, callus形成, 發根 및 子房柄伸長 等으로 나타났는데, 2,4-D, NAA 및 Kinetin이 모두 添加된 培地에서는 callus形成이 旺盛하였고, NAA와 Kinetin이 2,4-D와 Kinetin이 添加된 培地에서는 callus形成과 子房柄伸長이 함께 나타났으며 生長調範物質이 添加되지않는 培地에서는 callus形成이 低調한 반면 發根과 子房柄伸長이 旺盛하였다. 2. 屈地性은 培養後2日부터 나타나 培養後10日까지 거의 完了되었는데, 培養體의 길이가 길면 屈地性發現이 빠르고 2∼4cm로 伸長된 子房柄의 屈地性發現이 良好하였다. 3. 發根은 培養2週後부터 觀察되었는데 2∼4cm로 伸長된 子房柄의 發根率이 높았고 切단面의 組織이 柔軟한 경우 發根率이 낮았다. 4. 培養體의 伸長反應은 培養10日後에 나타났는데 4cm以上 伸長된 子房柄에서 採取된 培養體의 伸長은 低調하였으며, 2∼4cm로 伸長된 子房柄에서 採取된 培養體의 伸長이 良好하였는데, 그중에서도 1.5cm의 길이로 調製된 培養體의 伸長이 더욱 良好하였다. 5. 子房柄의 屈地性發現은 子房 및 胚珠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As the basic research to clarify geotropic response and fruiting habits,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 different age of gynophore and length of gynophore explant on the growth response, and of ovary and ovule on geotropic response on vitro are investigated using tissue culture method. Growth response of gynophore explant on vitro are exhibited as geotropic curvature, callus formation, rooting and elongation of gynophore. In the all medium added growth regulators or not, positive geotropism are appeared. But in the Murashige and Skoog's medium added 2,4-D, NAA and kinetin, only callus are formed vigorously. Presence of both NAA and kinetin, or both 2,4-D and kinetin showed callus formation and gynophore elongation took place, while limited callus are formed. Geotropic curvature are observed after cultured for 2 days and arrived to peak after cultured for 10 days sulture. The longer explants(1.5cm) are curved rapidly, and the explant cut from gyvophore of 2-4cm showed high percentage of geotropic response. Adventitious root are arisen after cultured for 14 days. Explant cut from gynopore of 2-4cm are showed high percent rooting, and explant of 1,5cm excised from the tip gynophore are higher in percent rooting than that of 0.5cm. Elongation of gynophore explants are appeared after cultured for 10 days. Explants excised from gynophore of 2-4cm showed the best elongation explants of 1.5cm showed more elongation than 0.5cm. It seems that the geotropic response of gynophore explants are closly related with ovary and ovule.

      • 枸杞子나무의 果實成熟에 관한 硏究 : 1. 成熟過程에 있어서 果實의 形態的 變化 1. Changes of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during ripening

        陳日斗,李相來 順天大學校 1984 論文集 Vol.3 No.1

        優良 구기자의 증산을 위한 기초적 硏究로 구기자과실의 成熟에 따른 形態的 變化 過程과 우량 구기자의 특성을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枸杞子의 果實은 子房壁, 격벽, 胎座 및 種子의 4部分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枸杞子의 果實은 開化後 約 50日 이면 완전히 成熟하여 紅熟果로 되었다 3. 果實의 길이는 開花後 15日 까지 거의 伸長이 完了되는데 開花期로부터 10일까지의 기간에 급격히 伸長하였다. (Fig.1) 4. 果實의 幅은 開花로부터 開花後 10日 사이에 급격히 肥大하며 開花後 30~50일 사이에도 크게 肥大하였다. (Fig1) 5. 子房壁은 1列의 外表皮와 8-12列의 皮層, 2列의 內表皮로 構成되어 있었고 皮層에는 維管束이 散在되어 있었으며, 격벽의 양외측에 子房壁의 內表皮와 비슷한 2列의 細胞層이 있었다. 격벽의 中央에 胎座가 있었으며 胎座에는 4개의 維管束이 果實의 길이 方向으로 縱走하고 있었다. (Fig.2-①.②.③) 6. 開花後 3日째는 維管束에 導管만 分化되어 있었으나 7日째에는 篩管도 分化되어 있었고 外表皮의 細胞壁이 다소 肥厚되어 있었다. (Fig.2-④.⑤.⑥) 7. 開花後 10日째에는 子房壁의 皮層 組織에서 葉綠체를 관찰할수 있었으나 開花後 40日째에는 葉綠체가 소멸되어 있었다. (Fig.2-⑦.⑧.⑨.⑩) 8. 격벽의 細胞는 分裂없이 肥大 生長하였으나 珍島地方 栽培種의 경우 子房壁의 細胞는 開花期에 比해 成熟期에 1~2層 增加하였다. (Table 1) 9. 子房壁과 胎座는 開花 30日 後 급격히 肥大하였다. (Table 1) 10. 珍島地方栽培種은 靑陽地方栽培種에 比해 果實의 길이가 길고 幅이 좁았다. (Table 2). 11. 早期成熟果에서 珍島地方 栽培種은 靑陽地方 栽培種에 비해 果實 무게가 가벼웠고 乾物重 比率도 낮았으며 種子數도 적었으나 晩期 成熟果에서는 乾物重 比率이 낮고 種子數가 적은 반면 果實의 무게는 무거웠다. (Table 3) 12. 子房壁과 격벽의 두께 및 격벽의 細胞層은 두 品種間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子房壁의 細胞層은 珍島地方 栽培種이 靑陽地方 栽培種에 비해 많았다. (Table4)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of good variety,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of fruit were investigated during ripening from flowering, using two varieties, Jindo local variety generally known as good variety and Chungyang local variet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uit of tea tree was found to be composed of pericarp, partition, placenta and seeds (Fig.2-①.②) 2. The ripening of fruit was required about 50 days after flowering. 3. The fruits had been elongated fully in length during 15 days after flowering, and rapid elongation was occurred during 10 days after flowering (Fig.1) 4. The width of fruit was enlarged firstly during 10 days after flowering, and secondly during period from 30 days to 50 days after flowering. (Fig.1) 5. The pericarp of fruit could be divided into epidermis, cortex and endodermis. And in both sides of partition, two layers of cells similar to those of endodermis were observed. In the cortex of pericarp and partition, vascular bundles were found to be located with the same interval, and there were four vascular bundles in the placenta (Fig.2-①.②.③) 6. There were phloems to be differentiated in vascular bundlest at 7 days after flowering while xylems were found at 3 days after flowering, and the thickening of epidermal cell wall in pericarp was observed at 7 days after flowering (Fig.2-④.⑤.⑥) 7. In the cortex of pericarp, chloroplasts were observed at 10 days after flowering but were not observed at 40 days (Fig.2-⑦.⑧.⑨.⑩) 8. The cells forming partition of two varieties and the pericarp of Chungyang local variety were enlarged without cell division during ripening while one or two layers of cell forming pericarp of fruit in Jindo local variety were increased during ripening (Table 1). 9. The cells forming pericarp and placenta were enlarged rapidly from 30 days after flowering (Table 1). 10. The length of fruit in Jindo local variety was longer than that in Chungyang local variety, where as the width of fruit was narrower in Jindo local variety (Table 2). 11. In the early ripened fruit, Jindo local variety was lighter in flesh and air-dried weight of fruit, lower in air-dried weight percentage to flesh weight and fewer in number of seeds per a fruit as compared with Chungyang local variety. In the late ripened fruit, flesh and air-dried weight of 100 fruits in Jindo local variety were larger than those in Chungyang local variety (Table 3). 12. The diameter of pericarp and partition, the size of cells forming partition were similar in both local varieties. However the size of cells forming pericarp in Jindo variety was smaller than that in Chungyang local variety (Feg.2 and Table 4).

      • 국내 자생 난지형 잔디의 FTIR을 이용한 대사체 분석 및 구별

        홍민지,양대화,안명숙,정옥철,진일두,김석원,이효연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잔디는 운동장과 골프장, 공원, 묘지 등의 다양한 장소에 식재되는 주요 원예작물이다. 국내에 자생하는 한국잔디(Zoysiagrass)로는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oysia matrella), 갯잔디(Zoysia sinica) 등이 있다. 주요 원예작물에 대한 대사체 분석은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잔디의 대사체 성분 분석은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은 적외선을 통해 얻어지는 sample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해당 시료의 성분 및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기법으로써, HPLC와 같은 기존의 대사체 분석 방법 보다 쉽고 빠르게 결과를 알 수 있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년간 수집된 국내 자생 잔디(들잔디, 금잔디, 갯잔디) 약 240점의 FTIR분석을 통해 대사체 수준에서 자생 잔디의 식별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와 PLS-DA(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분석 결과, 갯잔디는 들잔디와 금잔디 라인들과 뚜렷하게 식별되었으며 PCA dendrogram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갯잔디의 대사체 성분들이 들잔디와 금잔디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집지별로 들잔디 라인들의 PCA 분석결과에서는 산악지대와 해안지대에 서식하는 잔디가 식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PLS-DA와 PLS-DA dendrogram 분석결과에서는 두 그룹이 더욱 뚜렷하게 구분되어 서식지에 따른 들잔디의 대사산물의 패턴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DNA 바코드 분석을 통한 국내 자생 난지형 잔디의 분류

        양대화,홍민지,정옥철,진일두,박미영,김양지,이효연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잔디는 공원과 정원, 학교운동장, 묘지, 골프장, 스포츠경기장, 도로변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식재되고 있는 주요 작물이다. 이러한 잔디는 생육적온에 따라 크게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로 구분된다. 그 중 한국잔디(Zoysiagrass)는 대표적인 난지형 잔디로,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oysia matrella), 갯잔디(Zoysia sinica), 왕잔디(Zoysia macrostachya) 등이 있지만, 국내 자생 잔디의 품종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특정 염기서열 구간을 이용해 종을 식별하는 DNA 바코드 분석법이 개발되어, 다양한 생물종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생 잔디의 분류를 위한 DNA 바코드 시스템 구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잔디 관리를 수행하고자 국내의 자생 한국잔디(들잔디, 금잔디, 갯잔디) 수집하고, 지역별로 들잔디와 금잔디, 갯잔디의 핵내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구간과 엽록체 일부 구간에서 DNA 바코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 수집된 자생 잔디는 들잔디(영양체 334점, 종자 35점)와, 금잔디(영양체 20점, 종자 4점), 갯잔디(영양체 84점, 종자 26점), 왕잔디(영양체 2점) 등 섬20지역과 산16지역에서 총 506점을 확보하였다. 잔디 분류를 위한 DNA 바코드 분석은 국내 잔디 판매 종자 및 국내 수집 영양체를 재료로 ITS구간과 엽록체 일부 구간에서 DNA 바코드 분석을 수행하여, 각 DNA 바코드구간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특히, ITS 구간에서 들잔디와 갯잔디의 확연한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DNA 바코드 분석 시스템은 비슷한 표현형을 보이는 잔디의 분류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종실특성에 따라 분류한 벼 이형주군의 Esterase 동위효소 형태변이 및 분리양상

        김동관,진일두,정병관 韓國作物學會 200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7 No.3

        종실 등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한 7가지 벼 이형주군의 변이와 분리양상은 다음과 같다. 1. Esterase 동위효소 분석에서 장립적미군은 1과 3 esterase isozyme zymogram(EIZ), 장립메성군은 1, 3 및 7 EIZ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극만생 불임군은 EIZ가 1, 2, 1+2, 5, 6, 5+6, 7, 8, 7+8 및 12로 다양하게 분리되었다. 3. EIZ가 1인 장립적미군이 3 EIZ인 장립적미군에 비해 간장이 길고 현미의 장폭비가 낮았다. 4. EIZ가 3인 장립메성군은 1이나 7 EIZ인 장립메성군에 비해 간장이 길고 수장이 짧고 분얼수가 많고 현미의 장폭비가 낮으며 수당 립수가 적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tic segreg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off-type rice plants collected in Korea which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based on grain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of esterase electrophoresis, the long-grain red group was classified as 1 and 3 esterase isozyme zymogram(EIZ), the long-grain normal group was classified as 1, 3 and 7 EIZ. The extremely late sterility group was segregated variously as 1, 2, 1+2, 5, 6, 5+6, 7,8 ,7+8 and 12 EIZ. The long-grain red rice lines with 1 EIZ had a longer culm length and a lower length/width ratio to brown rice than the long-grain red rice lines with 3 EIZ. The long-grain normal rice lines with 3 EIZ had a longer culm length, shorter panicle length, greater number of tillers, lower length/width ratio of brown rice, and fewer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than did the long-grain red rice lines with 1 or 7 EI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