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용어의 어원 및 대만 한류 발전에 대한 고찰

        진경지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7 No.-

        In August, 2018, Taiwan’s online news media conducted special interview with Korean actor In-pyo Cha and singer Clon who brought the Korean wave, and then posted massive reports to review the history of Korean wave development in Taiwan. Later in October, the completion ceremony of Korean textbook volume 1~6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celebrated in Bangkok, Thailand in the in the Korean Hangul Day. It would provide the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in Thailand to learn Korea in a systematic way, who had much difficulty in learning without official textbook for long times. It implies that the Korean wave development is not merely accidental. Moreover, in terms of the contents, the Korean wave types have officially evolved from Korean wave 1.0 and 2.0 mainly dominated by Korean drama and pop music, to Korean wave 3.0 based on K-Culture 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in 2012.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there is still no solid evidence to show the origin of “Korean Wave” so far though the related studies are emerging successively. Moreover, the related narrations don’t draw any conclusion.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trace and search for the clues hidden behind through the newspapers in Taiwan. Moreover, through the analysis on the newspapers, it will find out the vein of the initial development of Korean wave, and further re-present the actual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wave in that time. 2018년 8월 대만 인터넷 신문사가 ‘한류 20년’이란 주제로 한류 열풍을 처음 일으켰던 한국 배우 차인표와 가수 클론을 특별 인터뷰 하고 관련 기사를 대대적으로 쓰면서 한류의 발전 역사를 회고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한글의 날을 맞아 태국 방콕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과서 1~6권 완간 기념식도 거행되었다고 한다. 이 교과서의 완간으로 그동안 정식 교과서가 없어 한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어 온 태국 중․고등학생은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교육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사례를 보면 한류의 발전을 일시적인 현상이라 치부하기 어렵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한류의 종류는 이미 드라마, K-팝이 주도하는 한류 1.0과 한류 2.0의 시대를 넘어 2012년에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시한 문화에 기반을 둔 K-컬쳐의 한류 3.0 시대에 확실히 접어들었다. 한류가 발전함에 따라 관련된 연구도 상당히 많아졌지만 ‘한류’ 용어 자체의 어원은 현재까지 명확한 증거물이 없어 그 규정에 있어 아직까지 오리무중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는 대만의 신문 기사를 통해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역사 속에 숨겨져 있는 단서를 찾아 그 기사 내용을 분석해 한류 초기의 발전 경로를 밝히고 실태를 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香臺紀覽』 기록에 투영된 일제시대 臺灣의 모습

        진경지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The relationship between Taiwan and Korea is very intimate regardless of the location or the overview of history. Recently, due to the Korean Wave and the increasing numbers of visitors and the trade between them, it shows the familiarity of their interactions. But when we look up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Korea, there are seldom scholar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s of the history and culture between Taiwan and Korea except for just few professors interested in politics, economics, etc. Under this circumstance, I try to collect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but find out that almost all documents are all aimed on modern times and the contents of them are almost official. For this phenomenon, I doubt that the interactions of Taiwan and Korea in the past years are all limited in the official way. Is it possible that there is no any form of folk interactions between them? So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new historical materials to rediscover the scene of the interactions at that times and discussing the hidden meaning of the documents. This book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records the course of Kong Seong-Hak, Kong Seong-Gu, Son Bong-Sang, who are the businessmen at Kaeseong city in the Joseon Dynasty in 1928, visiting Hong Kong and Taiwan through the Mitsui Company for investigating the selling distribution of red ginseng. It could be replenished the insufficiency of the official records and show the complete situations in Taiw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point of view of folk people and foreigners in this book. The study has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gives a simple introduction of the background, purposes and extent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imed to discuss the motivation of visiting Taiwan,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business groups, and the reason of cooperation with Mitsui Company by knowing a basic impression of Joseon people to Taiwan. The third chapter separates scenic spots in the route to two parts:one is for those scenic spots which have assimilative meaning, and the other one is for exotic scenic spots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Joseon. In these two parts, there is subdivision for visiting Japanese shrine, Koxinga Shrine which enshrines Zheng Cheng-Gong, and the bamboo which symbolizes an auspicious sign in one part; there is subdivision for the life style of aboriginal people, beautiful scenic spots in Mountain A-li, and the Matsu belief of Taiwan people, etc. in the other one part. In addition to rebuilding the real situations in Taiwan at that times, I find out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words in the records of visiting Taiwan interactions to recover the historical emptiness of folk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Korea by using these historical materials to interconnect the interactions of them in the past years. The fourth chapter is the review, the conclusion, and the questions for further study. 대만은 한국과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도 두 나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국과 같이 동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는 대만은 조선에서 벌어진 동학운동(東學運動) 때문에 청일전쟁의 패전 대가로 1895년에 일본에 할양되었다. 한국 또한 15년 후 1910년에 일본의 군사적 압박에 못 이겨 한일합병조약을 맺어 대만과 같이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장기적 식민통치로 인해 대만에는 간접적으로 대만과 중국 사이에 민족적·정치적·사상적 괴리현상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국에는 남북분단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복잡한 역사에 얽힌 두 나라는 한류열풍을 계기로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교류를 하고 있다. 양국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대만의 6번째 대만은 한국의 7번째 무역 상대국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발한 교류에도 불구하고 대만과 한국 양국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정치, 경제, 문화, 언어 등의 분야에서 비교적 많은 비교 연구가 이뤄져 그간의 연구 공백을 어느 정도 채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간을 좀 더 거슬러 올라가 일제시대에 있었던 대만과 한국 양국 교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연구 성과가 없다. 이 중에서도 특히 민간 교류에 관한 연구는 유난히 드물다. 양국의 교류는 날로 빈번하고 긴밀해지는 이 시점에 연구의 폭을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향대기람(香臺紀覽)』이란 책은 공성학(孔聖學)을 비롯한 일제시대 조선의 개성상인들이 대만, 홍콩을 유람하면서 기록한 시문이다. 9일간의 대만 관광은 가장 북쪽인 기륭(基隆)부터 가장 남쪽인 아란비(鵝鑾鼻)까지 대만 서부지방의 유명한 관광명소와 당시의 현대시설을 유람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기 형식의 기록문은 관광 일정의 날짜, 시간, 교통수단, 숙박시설, 견문 등을 대부분 망라하여 자세히 기록한 덕분에 그 당시의 실제 상황을 상상하고 복원할 수 있게 한다. 흥에 겨워 지은 시문 또한 마음 속에 감춰 놓았던 감회를 여실히 반영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공식적이 아닌 민간적인 입장, 자국인이 아닌 외국인 시각으로 바라본 일제시대 대만에서의 양국 교류 현장을 연구할 때 가장 소중하고 적합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를 중심으로 조선의 상인들이 대만을 관광하면서 남긴 『향대기람』을 통해 그 당시 대만의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양상을 복원하고 기록에 깔려 있는 의미를 찾아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1장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한계를 밝혔다. 2장에서는 조선 사람이 대만에 가진 인식을 소개하고 공성학 일행의 대만 방문 동기를 찾아냈다. 그리고 공성학이 소속된 개성상인 집단과 미쓰이(三井)회사의 정체를 밝힌 후 둘 사이의 밀착한 관계를 해명했다. 3장에서 대만의 실태를 재현하기 위해 동화적 의미를 가진 관광지와 이국적인 경치를 통해 표면적인 모습을 구성한 후 다시 그 속에서 내포된 의미를 발굴했다. 동시에 조선과 대만 사이에 존재하는 역사적․문화적 연계를 찾아내 지금까지 대만과 한국의 민간교류 사이의 공백을 채우려고 노력했다. 4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남은 과제를 제출하면서 마무리를 지었다.

      • KCI등재

        『향대기람(香臺紀覽)』을 통해 본 일제시대 대만(臺灣)의 교통과 숙식 시설

        진경지 ( Qing Zhi Che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대만과 한국 양국은 비록 1992년 8월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지만 민간 교류는 여전히 계속되어 왔다. 한류열풍으로 인해 경제, 무역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에 있어서도 장족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여러 방면의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술적 연구 성과는 공식적인 관점에서 출발한 정치, 경제 분야의 의제로만 국한되어 왔으며, 문화를 주제로 한 한류 관련 연구는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90년대 이후 한류열풍이 불었던 시기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필자는 양국 민간 교류 사이의 역사적인 공백을 채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2014년 2월에 「『향대기람(香臺紀覽)』 기록에 투영된 일제시대 대만의 모습」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 1928년 공성학(孔聖學) 일행이 대만을 방문한 9일 동안의 일기와 시문을 통해 당시 조선 사람들 눈에 비친 대만의 인상에 대해 대략적인 윤곽을 그렸으며, 대만 풍경과 명승에 숨겨져 있던 사상 동화적(同化的)인 뜻과 함께 대만과 한국 사이의 역사, 문화적 연계를 살펴보았다. 1927년 대만일일신보(臺灣日日新報) 가 발표한 대만 팔경(八景), 십이승(十二勝), 그리고 별격(別格) 두 곳을 비교해 보면, 향대기람 에 기록된 관광 일정과 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사실 이러한 관광지의 형성 과정을 연구해 보면 경제, 정치 심지어 군사적 이익에 의해 개발된 곳이 점차적으로 관광 명소가 된 것으로, 처음부터 관광을 목적으로 개발된 곳은 적다. 먼저 관광 명소 형성의 주원인을 따지지 않고 관광 명소가 되기 위한 주요소를 살펴보면, 관광지 그 자체의 가치와 더불어 교통과 숙식 시설의 완비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성학 일행의 일정과 이동 행로 등의 기록을 보면 이들관광 명소의 교통과 숙식 시설은 이미 상당 수준 발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향대기람 에 있는 일기와 시문을 연구의 중심에 놓고 공성학 일행의 대만 방문 전후와 관련된 역사 자료를 활용하여 외국인(조선인)의 시각에서 본 일제시대 대만의 교통과 숙식 시설의 모습을 재현하고 그간의 역사적 공백을 채우려고 한다. 대만의 교통 시설은 두 개의 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하나는 해상 교통이고 다른 하나는 육상 교통이다. 해상 교통은 오사카상선(大阪商船)과 일본우선(日本郵船) 두 선박 회사의 경쟁부터 거론하였고 이어서 대만, 일본을 취항하는 초호화 대형 선박 요시노마루(吉野丸)의 시대적 의미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락 기능에서 점차 관광 기능으로 변화해 가는 소형 증기선의 역할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육상 교통은 대차(臺車) 운수의 흥망성쇠와 아리산등산철도(阿里山登山鐵道)의 독특성을 주요한 연구 목표로 삼았다. 숙식 시설에 대해서는 대만 십이승으로서의 북투온천(北投溫泉), 초산온천(草山溫泉) 그리고 관광과 관련된 숙식 시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초기 대만의 온천 이용 방식부터 시작하여 일제시대의 북투, 초산온천이 어떻게 대만 사대 온천 중의 하나로 개발되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숙식 시설 중에 온천여관, 요리점의 기능을 동시에 결합한 팔승원(八勝園)의 특수성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광객의 노정에 심리적, 성적 위안과 만족을 주는 예기(藝妓), 작부(酌婦)의 존재 사실도 간단히 소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활동으로 일제시대 대만의 교통과 숙식 시설에 대한 통합적인 탐구와 보완을 시도하였다. Though Taiwan broke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formally in Aug. 1992, people-to-people exchanges were not cut off. Due to the Korean wave, the exchanges in economy and culture have also made substantial progress. However, this doesn’t bring about a great upsurge in the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iwan and Korea. Most researches are limited to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Though there are occasionally researches on culture related to the Korean Wave, they only focus on the late 1990s when the wave rose gradually. In this context, the writer thinks it’s necessary to fill up the gap in history of the early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Taiwan and Korea. Therefore, A View of Taiwan under Japanese Rule from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was published in Feb. 2014. It outlined the Koreans’ impression of Taiwan at that time through the diaries and poems left by Kong, Seong-Hak et al. during their nine-day travel in Taiwan and discovered cultural implications hidden behind the landscapes and the historic and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Taiwan and Korea. It can be known from Eight Views of Taiwan, Twelve Points of Interest in Taiwan and Two Extraordinary Places in Taiwan selected by Taiwan Nichinichi Shinpo that the sightseeing trip in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tally with these places substantially. And it can be found by looking into how these places became scenic spots that they were mostly related to economy, politics and even military interests at first. Later, they became tourist attractions. Few of them were developed as scenic spots at the very start. However, leaving aside the major cause of why these places became scenic spots, a scenic spot can attract numerous sightseers mainly because of, despite its own landscape, a good combination of transport & accommodation facilities.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scenic spots visited by Kong, Seong-Hak et al. reached a certain level in terms of transport & accommod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motivation above, by focusing on the diaries and poems in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and referring to related historical data before and after Kong, Seong-Hak travelled in Taiwan, this paper tries to reproduce what’s less known about transport &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aiwan during the period when Taiwan was under Japanese rule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ers (Koreans) so as to fill up the gap in history. It divides the transport into maritime transport and road transport. For maritime transport, it starts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Osaka Shosen Kaisha and Nippon Yusen, then introduces the epic meaning of Yoshinomaru, a luxury ship of a shipping route between Taiwan and Japan and describes how little steamers changed to sightseeing ships from transport ships at last. And for road transport, it mainly talks about the rise and decline of transport trolley and the peculiarity of Alishan Mountain Railways. Through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facilities, the writer hopes to conduct an integrative discussion and provide a supplement to the researches on transport facilities in Taiwan during the period when Taiwan was under Japanese rule. As for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this paper focuses on Beitou Hot Spring, Caoshan Hot Spring and sightseeing-related facilities. It starts from the early use of hot spring in Taiwan and development of hot spring during the period when Taiwan was under Japanese rule. Then, it explores Bashengyuan which can serve as both hot spring hotel and restaurant. At last, it briefly introduces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comfort women and geishas who satisfied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needs of tourists. The writer hopes to conduct an integrative discussion and provide a supplement to the researches on transport &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aiwan during the period when Taiwan was under Japanese rule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대만 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연구

        진경지 ( Chen Qing-zhi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4

        최근 몇 년 간 대만과 한국은 경제·무역 뿐만 아니라 민간 교류의 통계 수치에서도 여러 차례 신기록을 세웠다. 대만에서 실시된 한국어능력시험은 또한 그 기록을 재차 돌파했다. 인구 비율로 따져 보면 대만은 세계에서 한국어 학습 열풍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이 2005년부터 대만의 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지 벌써 12년이 지났고 그간 수강생도 125배나 대폭 성장했다. 그리고 현재 수강생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듯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은 한국어 교사의 임용, 한국어 교재 사용에 있어 심각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2014년부터 새로 발포된 <12년 국민 기본 교육과정 강요 총칙> 등 교육 정책을 통해 실행 가능한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 대만 고등학교 한국어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곤경을 해결하고 교수법과 학습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tatistical data show that Taiwan and South Korea have continued to record high levels of economic trade and non-governmental communication in recent years. In fac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mplemented in Taiwan has consistently broken historic records. In view of Taiwan’s population ratio, it is safe to say that Korean language learning is more popular in Taiwan than in any other place in the world. It has been 12 years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first implemented in Taiwan’s senior high schools in 2005, during which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by 125 times and exhibited continued growth. Nevertheless,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re has been a serious problem in appoin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senior high schools and compil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thesis aims to tackl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ile taking into account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newly established 2014 1-12 National Basic Education Curriculum Reform. It introduces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nior high schools and proposes a feasible development orientation to solve the dilemma faced by senior high schools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maintaining teaching and learning quality.

      • KCI등재

        線上韓國諺語敎學的可行方案硏究

        陳慶智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3 No.-

        국제화 시대가 된 오늘, 국가 간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서로간의 교류가 더욱 빈번해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터넷이 큰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각국은 이런 인터넷의 장점을 어떻게 언어교육에 접목시키고 활용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런 고민들이 다양한 온라인 강의로 나타나곤 하는데 대부분의 강의들이 초보자들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의 발전 가능성과 활용 가능성을 놓고 볼 때 이제는 심화 강의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활용할지에 대해 고민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속담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 동안 쌓아온 경험으로 응축된 관용적인 표현이다. 속담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뛰어난 효율성이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이해력과 사고력을 향상시켜 준다. 또한 속담은 한 국가나 민족의 독특한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이 내포되어 있어서 한 국가나 민족을 이해할 때 좋은 지름길이 되며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속담은 온라인 심화 강의의 적합한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두 가지 측면에서 온라인 강의의 시행방안을 살펴보았다. 하나는 내용적인 측면이다. 내용면에서 속담의 선택, 번역의 방식, 그리고 문 화 수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속담의 분량은 많은데 강의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속담의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속담을 선택할 때 사용빈도수, 이해 난이도, 그리고 사회적 수용도 등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번역할 때는 어휘와 문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직역, 의역을 통해서 속담의 표면적인 의미와 내면적인 의미를 천명하고 나서 관련된 관용표현과 문화자료를 첨부해야 학습자에게 완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마지막 문화 수업에서는 속담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역사나 인물의 사건, 문인의 작품, 신화와 전설, 그리고 전통적인 민속 등을 한 단원으로 따로 분리시켜 보충 교재로 쓴다. 또 다른 측면은 기술적인 부분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교수법과 테스트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수법의 첫 단계는 주제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과거의 속담 교수법과 달리 처음에 속담을 제시하지 않는 대신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가상 상황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이런 정보를 이용해서 스스로 판단하고 어떤 속담을 써야 하는지 인지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 해당 속담을 제시함으로써 적절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부분에서 주제 제시(어휘와 문법 설명 포함), 직역, 의역, 관련 관용표현 보충, 문화강좌 등을 순서로 배치하여 속담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속담의 뜻을 파악한 후에 테스트 문제를 통해 복습과 검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저자가 제시한 Hot Potatoes란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테스트 문제를 만들 수 있다. 이전의 듣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 교수법에서 벗어나 비교적 능동적인 말하기와 쓰기도 같이 응용하려는 목적에서이다. 이래야 속담을 이용해서 한국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네 가지의 능력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속담을 주제로 한 한국어 교육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나 속담은 조상의 지혜를 담은 관용표현인 만큼 언어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도 매우 가치가 있다. 따라서 온라인 한국 속담강의는 심화 강의의 효과적인 교제가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在全球化的浪潮下, 國與國間的界線相對地變得模糊, 相互的交流也變得更加頻繁. 在這個過程中, 網際網路發揮了非常大的作用. 因此, 現在各國都在思索如何利用網際網路的優點, 結合並且運用在語言教育上. 這樣的嘗試造就了許多線上教學的出現, 但仔細觀察這些課程可以發現, 它們絕大部分都是針對初學者而設計的, 所以就線上教學的長期發展來看, 現在已經到了思考如何發展線上進階課程的時機. 諺語是累積了人們長期的經驗所形成的慣用表現. 諺語不僅在意見溝通上有卓越的效果, 對於增進學習者的理解與思考能力也有很大的幫助. 而且, 在諺語中通常包含了一個國家民族的獨特思考模式與生活習慣, 所以是瞭解一個國家民族的捷徑, 也是文化教育上也是相重要的資料. 因此, 諺語是進階線上教學上非常合適的題材. 本論文由兩個層面來研究線上韓國諺語教學的可行方案. 第一為內容層面, 在這個部分詳述了諺語的選擇, 翻譯的方式與文化的單元. 諺語的數量龐大, 但教授的時間卻是有限的, 所以必須對諺語做出適當的取捨. 在選擇諺語時, 必須以使用頻率, 理解難易與社會的觀感作為基準. 在翻譯時除了應提示語彙與文法外, 也該藉由直譯與意譯闡述諺語的表面與內在意涵, 並添加相關慣用表現與文化資料, 如此才能提供給學習者完整的資訊. 最後, 為了在文化課程中對諺語有更深一層的理解, 將相關的歷史及人物事件, 文人作品, 神話與傳說, 傳統民俗等資訊另外獨立成為一個單元作為補充教材. 第二為技術層面, 在這個部分探討了教學課程與試題測驗。 教學課程的第一階段為引導主題. 與過去的傳統諺語教學方式不同, 一開始先不提示諺語, 而是以語音和影像代替, 只提供情境讓學習者自我判斷與認知該使用何種諺語. 在第二階段中才提示主題, 幫助學習者能在適當的情況之下活用諺語. 此階段以提示主題(包含語彙與文法說明), 直譯, 意譯, 相關慣用表現補充, 文化單元的順序來排列, 讓學習者能正確且完整地掌握諺語的意義. 在理解諺語的意涵後, 再藉由試題測驗來發揮複習與驗證的效果. 本教學課程的試題測驗運用稱為Hot Potatoes的專業軟體, 本軟體可以製作多樣的測驗題型. 在製作試題時, 跳脫以往以聽, 讀能力為主的方式, 結合並運用較為積極主動的說, 寫能力. 如此一來, 才能藉由諺語均衡地發展韓語之聽,說, 讀, 寫等技能. 到目前止, 以諺語為主題的韓語教育並不多見, 但諺語作為包含祖先智慧的慣用表現, 不僅在語言教育上, 在文化教育上也是非常具有價值. 所以線上韓國諺語教育是進階課程上相當有用的教材, 並且有持續發展之必要.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조선 표류인의 눈으로 바라본 대만(臺灣)의 겉과 속-윤도성(尹道成)과 송완(宋完)의 표류기를 중심으로-

        진경지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7 No.-

        Taiwan, the name of this island, became known to Koreans in as early as 1682 (Joseon Dynasty of Korea), when a memorial was given to the Korean Emperor detailing the war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Zheng Jing. Taiwan and Korea had made no engagement with each other at the time because the Qing Dynasty had implemented the Haijin (sea ban) policy and Taiwan was a sea island located far away from Korea. Korea generally obtained information of Taiwan through Joseon ambassadors who inquired about Taiwan from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scholars during their missions to China, or through ambassadors of Okinawa and Vietnam. In 1729, a group of 30 people, including Yun Do-Seong, travelled inland from Jeju Island. During the voyage, their ship went off course, steering toward Taiwan. They eventually arrived at Beijing via Fujian and Suzhou after almost a period of 9 months, and finally returned to Korea after crossing the Yalu River. This gripping voyage was recorded in writing and was compiled as a part of Jeong Un-Gyeong’s “A Description of Jeju Island in 1732”. This description documents not only the voyage of Yun Do-Seong but also that of Song Wan, who was traveling on the same ship as Yun. However, the details of the documented stories of Yun and Song differed substantially. As the earliest written account documenting the history of private exchanges between Taiwan and Korea, these two records are both historically meaningful and valuable for research purposes. Because the two records were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foreigners who either experienced or witnessed the event, they actually reflected incidents that would not have been recorded by general Taiwanese people, thus revealing the truth of such historical event. In addition, the records detail conversations that transpired with local people, providing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thought of locals rather than a superficial account of i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se records for keywords and contents as well as to organize and analyze them to produce an overview of Taiwan in the 18th century. 대만(臺灣)이란 지명은 조선 숙종 8년 청나라와 정금의 전쟁으로 인해 조선의 주본(奏本)에 일찍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청나라가 해금 정책을 실시한 데다가 대만은 절해의 외딴섬이었기 때문에 대만과 조선의 실질적인 교류는 없었고 조선은 중국의 관원과 문인, 유구(琉球)나 안남(安南)의 사절을 통해서 대만의 대략적인 소식만 알 수 있었다. 1729년 윤도성(尹道成) 일행 30인이 제주에서 육지를 향해 배를 띄웠다가 불행히 풍랑을 만나 대만에 표착했다. 9개월의 시간이 걸려서야 복건성(福建省), 소주(蘇州) 등지로 해서 북경에 도착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압록강을 건너 조선에 돌아갔다. 이러한 험한 여정이 문자로 기록되어 1732년 정운경(鄭運經)이 편찬한 『탐라문견록(耽羅聞見錄)』에 수록되었다. 『탐라문견록』에는 윤도성의 표류 기록 외에 배에 동승한 송완(宋完)의 유사한 기록도 남아 있었다. 두 사람의 기록은 내용면에서 그 상세함의 격차가 비록 크지만 대만과 조선의 최초 민간 교류 문자 기록으로서 모두 높은 역사적 의의와 연구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상의 두 기록은 모두 외국 사람의 시각으로 실제 경험하거나 목격한 것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그래서 대만 사람에게는 일상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기록되지 못했던 것들이 오히려 기록되어 역사의 진실을 복원할 수 있었다. 이외에 기록에 현지인과의 필담 내용도 많이 남겼다. 이러한 대화 내용을 통해서 표면에 나타난 가상(假像)이 아닌 상대방 마음속의 실제 생각에 한 걸음 더 다가가 그 내용과 생각들을 짐작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기록에서 중요한 키워드와 내용을 찾아낸 다음에 정리와 분석을 통해서 18세기 대만의 진정한 모습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