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朝鮮朝) 후기(後期) 문헌기록(文獻記錄)을 통해 본 안용복(安龍福)의 기억과 변주 -무명소졸(無名小卒)에서 국가적(國家的) 영웅(英雄)의 탄생과정까지-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安龍福은 하찮은 신분으로 越境하여 울릉도를 爭界하고, 일본의 울릉도 탈취간계를 저지하였다. 당시 안용복은 실정법을 위반한 범죄인의 처지가 되어 유배되었지만, 조선조 후기 문사들은 역사적 공간에서 안용복을 호출하고, 강역문제와 결부시켜 그를 역사 공간에서 복권시켰다. 범죄자에서 일약 국가적 영웅으로 포착하고, 영토문제를 해결한 상징적 인물로 기억하였다. 문사들은 그를 역사적 인물로 부활시키고, 국가적 영웅으로 호출하는 과정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17세기 안용복이 울릉도를 쟁계한 이후, 20세기초에 이르기까지 그를 기억하는 방향은 달랐다. 조선조 후기에는 강역인식의 상징으로, 근대 전환기에는 애국계몽 운동의 차원에서 주목하였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는 민족해방 운동의 차원에서 그를 호출하였다. Even though An Yongbok(安龍福) was lowly status, he crossed the border and devoted his life to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 Island. He prevented Ulleung Island from Japanese invasion, but he was exiled as an offender who had violated the positive law. However,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n Dynasty rehabilitated An Yongbok in the contemporary historic space by connecting him with diplomatic affairs in the territory(疆域問題). The intellectuals sprang him from offender to national hero and remembered him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ettled the dispute over the territor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intellectuals revived him as a historical figure and described him as a national hero. In particular, they remembered and recorded him in different ways upo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circumstance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n Dynasty emphasized him as a symbol of awareness for the territorial dispute, intellectual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paid attention to him for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vived his reputation for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 KCI등재

        조선조 후기 유서(類書)의 형성과정과 지식·정보 분류의 지식사(知識史)

        진재교 ( Jin Jae-kyo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이 논문은 조선조 후기 대표적 類書의 성립 과정과 분류의 문제를 지식사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유서는 조선조 후기의 筆記와 마찬가지로 저자의 다양한 독서와 견문의 결과로 산생하였다. 저자가 오랜 기간 축적한 지식·정보를 箚記 방식으로 정리하면서 이를 분류하고 새롭게 배치한 결과물이다. 지식·정보의 뭉치가 비평과 고증을 거쳐 체계적인 분류로 탄생하는 것이 조선조 후기의 유서다. 유서의 분류는 대체로 天·地·人의 三才論을 바탕으로 배치하고 있으나, 점차 일상과 사물을 비롯한 자연의 물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유서의 분류와 배치방식은 관념에서 벗어나 사물과 현실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조선조 후기 지식사와 학술사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yusŏ 類書(encyclopedias) and its classificatio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from the intellectual history of view. Like the p’ilgi 筆記(jottings), the yusŏ in the late Chosŏn dynasty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author's broad reading and experience. While classifying them, the author deployed his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he had accumul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is the yusŏ of the late Chosŏn dynasty that a bundl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born into a systematically classified yusŏ by means of the author's careful criticism and examination. The yusŏ had generally been classified on ch'ŏnjiin 天地人(heaven, earth, and person), but gradually moved toward the new classification focusing on natural materials, e.g., daily life and objects. This new type of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yusŏ means that the intellectuals of that present deviated from the notions and placed importance on things and reality. This is meaningful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Chosŏn dynasty.

      • KCI등재

        고전 번역의 난제와 재번역

        진재교(Jin, Jae-kyo)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이 논문은 기존의 한문고전 번역서를 재번역할 경우, 그 범주를 보주와 보역, 그리고 재번역으로 설정하고 몇 가지 사례를 들어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기존 번역서를 재번역한다면, 그 번역대상의 학술적 가치와 활용도를 고려하여 재번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재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문제가 윤문이다. 수십 년 전 번역서의 경우 지금 독자들의 어문감각과 다르기 때문에 독자들의 어문환경과 어문 감각을 감안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재번역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문 고전번역의 현대적 활용과 문화 컨텐츠로 활용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존 번역의 수정과 재번역은 수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독자나 연구자를 위해서도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역을 바로잡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retranslation through the use of supplementary notes, supplementary translation, and retranslation, and suggests methods that give examples when using preexisting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s. In the ca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 suggests retranslation considering academic value and the utilization of the translating object. Re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retranslating Scores of years ago, published translation quality was far from our present standard, so retranslation should be undertaken to increase the readability. Especially, modification and retranslation should make use of modern applications and digital culture contents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 is desirable for reader and researcher to point out mistakes in a translation and have a plan for how to proceed.

      • KCI등재

        투고논문 : 진경산수(眞景山水) 연구의 허(虛)에 대한 변증(辨證)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그간 이루어진 진경산수에 대한 연구 성과는 조선후기 문화사를 풍부하게 한 공헌도 있지만, ``조선의 고유한 것``을 지나치게 상정하고, 문예 문제를 관념적 사유에 의도적으로 결부하려 한 혐의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진경과 진경산수의 산생은 동아시아 공간의 문예 교류와도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진경산수를 인식할 때, 일국적 시각으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어떤 사안이든 타자와의 관계속에서 바라보아야 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진경산수 역시 동아시아 공간에서 산생한 실경산수의 흐름과 관련시켜 조명해야 그 객관적 실상과 보편성에 다가설 수 있다. 진경산수는 내적으로는 山水遊記와 彩色地圖의 확산과 관련성이 깊으며, 진경산수 이전의 실경산수와도 내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진경산수는 동아시아 공간에서의 使行과도 일정한 관련을 지닌다. 이 외에도 출판이나 酬應畵나 서양화의 충격과도 일부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진경산수는 일국 안과 밖의 다양한 자양분을 머금고 산생하였다. 이는 겸재 정선을 거치면서 만개하였고, 그 성과는 후대에 이월되었다. A noticeable achievement of the researches 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to contribute to enriching the cultural histor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but these researches cannot escape from the following criticisms : the researchers excessively postulated ``inherent and unique things about Chosun`` and they tried to connect the matter about the literature intentionally to the "abstract thought". The development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related to the exchange of the literature and art in East Asia.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real landscape painting, we should avoid from looking over it from a state-centric perspective. We can obtain the objectivity when we should deal with any issue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While we illuminate the trend of the actual view painting developed within the literature and art in East Asia, our analysis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becomes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Internally,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deeply related to expanding the opportunity to travel mountains and rivers, and spreading the colored maps. In additi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internally connected with the actual view painting in the former ages. The real landscape painting, externally, is related to the diplomatic visiting to China to some extent. Besides, publishing, the painting for drinking, the impact of the western painting might be the motiv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Likewise, the real landscape painting was born with external and internal nutrition, the era of "Gye-Jae Jung, Sun" flourished, and the achievement of it carried forward to the later gen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조선조 후기 안경은 독서계의 변화와 함께 지식ㆍ정보를 축적하고, 방대한 저술을 남기는데 기여한다. 일부 사대부 계층은 안경을 끼고 총서류 저술이나 다양한 필기를 남긴 바 있다. 또한 藝人들도 안경을 착용하여 자신들의 예술적 영감과 능력을 작품에 표출하기도 하고, 일부 계층은 오락을 위해 안경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조선조 후기에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은 안경을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과 정감을 발산시킨다. 안경의 보급과 확산은 조선조 후기 문화를 새로운 방향으로 견인하고, 한편에서는 문화변동의 자양분으로 기능한 것이다.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e glasses made the literati class possible to not only accumul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a large amount of writings, bringing the changes to the reading public. Some of the literati could leave a collection of books and various kinds of handwritings, wearing the glasses. The artists also put on the glasses to express their artistic inspiration and capability in their works and some of them even conjugated the glasses for their pastime. In short, people in every work of life utilized the glasses to pour out their talents and feelings.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the glasses drew the culture to a new direction in the one way and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for the cultural changes in the other way in the late Chos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조선통신사와 지식,정보의 교류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이 논문은 18세기 신묘, 기해, 무진, 계미년의 朝鮮通信使에서 활약한 중간계층 지식인의 일본 문인들과의 筆談唱和集을 분석하여, 그들의 지식 정보의 소통 양상을 해명 한 것이다. 18세기 조선통신사행에서 만난 두 나라 지식인의 교류는 중간계층이 주도 하였고, 에도막부의 다양한 지식인이 교류에 참여하며 시문을 수창하고 전문지식을 필 담하였다. 그런데 당시 에도막부의 지식인들이 조선 사신을 대하는 입장은 단순히 조 선의 문물을 수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부에서는 조공사절이라든가 반중국적 자세 를 보여주는 복수의 시선이 존재하였다. 그래서 타자에 대한 긍정과 이해와 함께 편견 과 부정의 시각이 공존하였는 바, 이것은 결국 征韓論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This paper analysed “the files of conversation by writing(筆談唱和集)” between Japanese writers and the intellectuals of the middle class who worked as “Joseon Missions to Japan(朝鮮通信使)” on following years “Shinmyonyeon”, “Gianenyeon”, “Mujinnyeon” and “Gyeminyeon” in the 18th century and tried to explain an aspec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about the knowledge information. The intellectuals of the middle class took the lead in the cultural exchange with Japanese intellectuals who they met during the missions and they carried out cultural exchange with various intellectuals of Tokugawa shogunate with singing poems and conversation with writing about knowledge and information. At that time, some intellectuals of Tokugawa shogunate to Joseon Missions to Japan did not think even to adopt the Joseon culture and some intellectuals considered Joseon Missions to Japan as the envoy to pay a tribute. It is said that this reaction reveals the attitude of anti-Sinocentrism and this attitude shows another aspect of the intellectuals in Japan’s reaction to Joseon Missions to Japan. Thus, two aspects coexisted at that time such as a positive aspect to Joseon Missions to Japan and a negative aspect to them and it assumed that this negative aspect contains the possibility to develop into the Seikanron(Advocacy of a punitive expedition to Korea).

      • KCI등재

        19세기 경화세족(京華世族)의 독서문화(讀書文化) -홍석주(洪奭周) 가문(家門)을 중심으로-

        진재교 ( Jae Kyo Jin ) 우리한문학회 2007 漢文學報 Vol.16 No.-

        Kyounghwasejok(京華世族) in 1800ㆍ1900s had led the reading culture acquir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 books with having a collection of books and the library. The reading culture of Hong Suk-ju Ga, especially testifies this. The Hong brothers-Hong Suk-ju(洪奭周) and Hong Hyun-ju(洪顯周)-and Hong Han-ju (洪翰周) who is among the members of the family, were able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collecting different kinds of books and left the reading list as Hong-ssi Toksorok(洪氏讀書錄). While exalting the phase of their family, this list also shows their peculiar ethos. Moreover, their wide reading has a close connection with erudition and the bibliographical study since they had inclined the way of wide reading. In addition, their reading culture is represented through the series of literary work of their own. They also criticize the literary art of all ages and the flow of the world. The consciousness of state can be seen in this criticism diff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shaking the bureaucratic intellectual system which controlled them and emancipating them from the control at the same time. Wide reading also contributes to the acquirement and creation of knowledge, the birth of new publications by recreating diverse knowledge or classifying and relocating it. In particular, writing notes and books take a momentous share in the circulation and creation of booksand knowledge, which would be Kyunghwasejok`s ethos and also one character of the culture in late Chos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