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하천 유입 오염원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민관식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2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river pollution management has increased an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constant effort to work out river pollution problems. Accordingly,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applications of spatial data and river pollution information(aerial photograph, parcel information, pollution source, GPS data et al.). More exact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offer an applications of spati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the rive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iver pollution source and management plan by apply GPS and GIS. For that reason, this paper was to build pollution management system of river by spatial analysis. It is to be hop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olicy for urban stream pollution source preservation. 최근 몇 년 동안 하천오염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중앙 및 지방정부는 하천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데이터와 오염원 정보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항공사진, 지적정보, 오염원, GPS 데이터 등).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오염 관리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공간정보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한 프레임웍을 보여 주기 위해 GPS 및 GIS를 적용하여 하천 오염원의 정량적 분석과 관리계획을 수행 하였다. 그런 이유에서 공간분석을 통한 하천오염 관리시스템을 구축 하였다. 본 연구가 도심하천 오염원 보전에 관한 관리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 지목정보를 이용한 토지오염지역 분석

        민관식,김홍진,김재명,Min, Kwan Sik,Kim, Hong Jin,Kim, Jae M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1

        최근 토지오염은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많은 환경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점 및 비점오염원 인자에 의한 토지오염 지역의 합리적 분석을 위해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른 지목정보를 이용하여 토양오염 지역을 분류하였다. 또한 지목정보 분석을 통해 토지오염원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다. 이는 토양오염 실태조사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분류한 토지정보는 토양환경 관리와 보존을 위해 활용 되어지며 향후 토지의 이용규제와 합리적인 보존관리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land pollution makes various environment problems according to existing land use.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anagement about these problems. This study categorize land pollution area u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according to main land usage for reasonable analysis of land pollution area by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also there was able to collect land pollution sources information efficiently by analy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The land use information that categorized important factor for management and land pollution survey will be utilized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will be used land use regulation, resonab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지목정보를 이용한 토지오염지역 분석

        민관식,김홍진,김재명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1

        Recently, land pollution makes various environment problems according to existing land use.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anagement about these problems. This study categorize land pollution area u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according to main land usage for reasonable analysis of land pollution area by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also there was able to collect land pollution sources information efficiently by analysing the land category information. The land use information that categorized important factor for management and land pollution survey will be utilized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will be used land use regulation, resonab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최근 토지오염은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많은 환경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점 및 비점오염원 인자에 의한 토지오염 지역의 합리적 분석을 위해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른 지목정보를 이용하여 토양오염 지역을 분류하였다. 또한 지목정보 분석을 통해 토지오염원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다. 이는 토양오염 실태조사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분류한 토지정보는 토양환경 관리와 보존을 위해 활용되어지며 향후 토지의 이용규제와 합리적인 보존관리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ctivating and inactivating mutations of the human, rat, equine and eel luteinizing hormone/ chorionic gonadotropin receptors (LH/CGRs)

        민관식,BYAMBARAGCHAA MUNKHZAYA,최승희,주효은,김상권,김연지,박경은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21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36 No.4

        Mutations in the luteinizing hormone/chorionic gonadotropin receptors (LH/CGRs), representatives of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 family, have been rapidly identified over the last 20 years. This review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reported the activating and inactivating mutations of the LH/CGRs between human, rat, equine and fish, specifically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Insights obtained through detailed study of these naturally-occurring mutations provide a further update of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of these receptors. Specifically, we present a variety of data on eel LH/CGR.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LH/CGR function in fish and the regulation of mutations of the highly conserved amino acids in glycoprotein hormone receptors.

      • KCI등재후보

        편집지적도와 수치영상을 활용한 필지면적 분석

        민관식,김재명 한국국토정보공사 2011 지적과 국토정보 Vol.41 No.1

        Cadastral maps are recently increasingly being used in diverse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corporate and private activities involving land, and exercising of rights of property; however cadastral maps are being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on-site manual surveying. Thus,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parcel area by land category, surveyed land size, and land size as registered in the books, by overlapping digital image and compilation cadastral map. The surveyed land size in target areas was obtained through a total station surveying, and was compared with the land size in the overlapped image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method of calculating land size using overlapped images below standard deviation ± 0.25㎡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urthermore, surveyed land size and registered land size by plot of land were compared, suggesting that the land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49.19㎡, and the road area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9.10㎡; overlapped images and registered land sizes were compared, confirming that the land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49.17㎡ and the road area size was in the range of standard deviation ± 9.44㎡.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ssibility was verified that overlapped images produced from digital image can be used effectively, application data of city planning and it is expected that if this method is used in the future large-scale cadastral surveying projects, it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manual surveying method. 최근 도시계획이나 기업 및 개인의 토지 활동, 재산권 행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적도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도 제작은 여전히 현장실측 등 상당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달기장골 일대를 대상으로 취득한 수치영상과 편집지적도를 중첩하여 지목별 실측면적과 대장상의 면적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했다. 중첩에 사용된 수치영상을 통하여 기존의 지적도에 가시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현장조사 없이도 필지상의 식생과 건축물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대상지역의 실측면적은 토털스테이션 측량을 통해 획득하였으며, 수치영상의 면적과 비교한 결과, 표준편차가 ±0.25㎡ 이하로서 중첩영상을 이용한 면적산출 방법이 필지면적을 산출하는 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필지별 실측면적과 대장면적을 비교한 결과 대지의 표준편차는 ±49.19㎡, 도로는 ±9.10㎡이었으며, 중첩영상 면적과 대장면적 비교에서는 대지의 표준편차가 ±49.17㎡, 도로는 ±9.44㎡로서 대장면적에 오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에 의거하여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수치영상으로부터 제작한 중첩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이 중첩영상이 도시계획 수립이나 대단위 지적조사사업에 적용된다면 인력에 의한 실측방법에 지대한 효율성을 더하리라 기대된다.

      • 차량 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민관식,김재명,박병문,Min, Kwan Sik,Kim, Jae Myeong,Park, Byung M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본 논문은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및 주변 건물에 대한 3차원 지적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은 기존의 지적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을 의미하며 토지정보와 함께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입체적 토지관리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GPS/INS 통합기술로 계산한 지형 지물들의 위치정보, 영상 또는 라이다 스캐너에 의한 형상정보 및 속성정보는 건축물 및 지상의 객체가 포함된 3차원 입체 지적정보를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결과적으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의 적용으로 토지정보의 과학화 및 고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suggested plan that utilize the mobile mapping system data for construc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of roads and buildings effectively. 3D cadastral information means conflation of existing cadastral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It also means 3D land management that can register and manag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with land information effectively. Technically, geometry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by image or radar scann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geographic features calculated by GPS/INS integration technology are useful for construc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included in buildings and features on the ground.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mobile mapping system for construc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will make a scientification and enhancing of the land information.

      • 도심하천 유입 오염원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민관식,Min, Kwan Si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2

        최근 몇 년 동안 하천오염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중앙 및 지방정부는 하천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데이터와 오염원 정보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항공사진, 지적정보, 오염원, GPS 데이터 등).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오염 관리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공간정보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한 프레임웍을 보여 주기 위해 GPS 및 GIS를 적용하여 하천 오염원의 정량적 분석과 관리계획을 수행 하였다. 그런 이유에서 공간분석을 통한 하천오염 관리시스템을 구축 하였다. 본 연구가 도심하천 오염원 보전에 관한 관리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river pollution management has increased an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constant effort to work out river pollution problems. Accordingly,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applications of spatial data and river pollution information(aerial photograph, parcel information, pollution source, GPS data et al.). More exact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offer an applications of spati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the rive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iver pollution source and management plan by apply GPS and GIS. For that reason, this paper was to build pollution management system of river by spatial analysis. It is to be hop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olicy for urban stream pollution source pre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