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재의 연극(Theatre of the Real)' 창작 방법론 연구 : : 이야기 당사자가 등장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김슬기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고는 실제 경험의 당사자가 무대에 등장해 자기 이야기를 하는 동시대 공연들을 ‘실재의 연극(Theatre of the Real)’이라는 맥락으로 분석하고 그 창작 방법론을 연구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연극계의 특수한 상황에서 다큐멘터리 연극 담론이 직면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의 창작에 실질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구현의 전략들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연구는 일상의 평범한 사람들이 무대에 등장한다는 바로 그 사실로부터 연극의 드라마투르기와 시노그라피, 퍼포머의 수행 등이 어떻게 다변화되는지 논의한다. 또한 진실과 거짓, 사실과 허구 등의 경계가 희미해진 동시대 매체 환경과 문화 전반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연극이 이러한 세계의 실재를 어떻게 무대화하는지 살펴본다. 이때 실재의 무대화란 현실을 직접적으로 무대에 끌어들이는 미학적 구현을 넘어, 그 이면에 숨겨진 허상과 허위를 폭로하는 실천적 수행을 의미한다. 연극 무대에서의 실재는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등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개인의 꾸며진 정체성 혹은 편집된 일화들과 전혀 다른 층위에서 그 실체를 드러낸다. 실재의 연극은 1960-19070년대 사회 변혁의 움직임에 따라 연극 창작에 도입된 일련의 새로운 방법론들에 주목한다. 당시 예술가들은 공연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창작에 동등하게 기여하는 것을 최우선의 원칙으로 삼았다. 공동 창작은 극작가의 희곡을 무대화하지 않는 동시대 창작자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실천의 원류이자, 특히 이야기 당사자들이 직접 무대에 등장해 자기 이야기를 하는 연극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하기 위한 주요 근거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실천들은 네지 피진의 <모티베이션 대행>, 크리에이티브 바키의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 쉬쉬팝의 <서랍> 세 가지 사례들을 통해 검토한다. 개별 공연들은 이야기 당사자 각각이 처한 상황이나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당사자들 간 상호작용을 최대한 활용해 그 자체를 전경화하는 무대 구현을 보여준다. 퍼포머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는, 독립된 개인이 단순히 관객을 향해 자기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과 달리, 연극의 구조와 형식에 풍성하고 섬세한 의미망을 조직한다. 이야기 당사자들이 무대에 직접 등장하는 동시대의 연극들은, 그들이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활용하는 현실의 물건들이나 일상의 평범한 수행들, 과거의 기억이나 몸에 남겨진 흔적들로 인해 지금, 여기라는 연극의 현장성을 극대화한다. 실재의 연극은 이미 생산된 영상, 사진, 녹취, 문헌 등의 기록에 의지하지 않고도, 매개되지 않은 것들을 연극 무대에 그대로 들여옴으로써 그로부터 발생하는 감각들을 다시 연극만의 방식으로 유희한다. 재현과 제시, 말하기와 연기하기 등이 중첩되고, 의도적으로 조직된 환영은 실재를 숨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폭로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실재의 연극은 다큐멘터리 연극 개념으로는 결코 접근할 수 없는, 이 시대 현장의 실천들을 읽어내는 효과적이고 타당한 맥락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를 보다 발전시켜나간다면, 이미 무대화된 연극들을 다시 분석해 이제까지 미처 발견되지 못했던 가치를 새롭게 도출해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현실로부터 재료를 구하고 그것을 구현하기까지 창작에 적용해볼 수 있는 방법론들을 좀 더 다양한 층위에서 탐구나간다면, 실재의 연극은 공연 독해에 국한된 이론과 미학을 넘어, 극장 밖 세계와 소통하려는 현장의 움직임들을 촉발하고 견인해나가는 또 다른 실천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reads examples of real people onstage in the context of “Theatre of the Real” by Carol Martin and supports new approaches to staging the real. Especially, as real people onstage including ‘theatre-professional’ and ‘non theatre-professional’ have made great changes to theatre making with performance text, scenography, and performativity of actor-performer, I suggests “Theatre of the Real”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term “Documentary Theatre”. Since the late 2000s Korean theatre scholars have developed the aesthetics of “Documentary Theatre” in analyzing these styles of theatre, but it turns out that this is too narrow concept to cover a wide range of contemporary theatre practices which tend to recycle reality. This is because we accepted the concept accompanied by theatre productions from Germany although we do not have similar history regarding documentary theatre to Germany. Meanwhile, in present an appreciable theatrical trend to deal with unsolved political issue has arisen due to the regression of democracy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documentary theatre refers to realism drama about social justice on one hand, and contemporary postdramatic theatre engaged in diverse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atre of the real focuses on the radical rethinking of creating theatre within the political movements of the 1960s and 1970s. The experiments by many artists resulted in collective creativity such as acting self-as-self, devised performance text, and audience participation and so on. Most of contemporary theatre of the real has succeeded this tendency; they make theatre with daily experience, memory and autobiography from all of the members rather than fixed dramatic text. Therefore each person’s situation outside the theatr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erformers during the rehearsal proces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e evidence to identify the real people onstage encompasses their own belongings that they use in day-to-day life, the habitual behavior as repertoire, as well as their bodies and statement. Theatre of the real foregrounds these kinds of non-mediated material which are not necessarily involved in document or archive e.g. video, photo, voice recording or news reporting etc. Based on those materials, this dissertation explores different modes of 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applied to theatre stage to uncover the real. With unprecedented growth of technology, in everyday life the boundary between truth and false, fact and fiction has been blurred. The whole society across media and genres plays with this phenomena and people enjoy creating their own reality. Theatre of the real reflects this real world. Lay people on reality TV or individuals over the internet show off their fabricated identities whereas the performers on theatre stage just perform mundane task and present themselves of daily routine. This dissertation also discusses the detail strategy of theatre to reveal the ‘really real’ by comparing theatre to other popular culture. The cases I discuss are Drawers by She She Pop(German production, Berlin, 2012/Seoul, 2015), The Conversations by Creative VaQi(Korean production, Seoul, 2014/Theaterformen-festival, Hanover, 2016), and The Acting Motivation by Pijin Neji(Japanese production, Tokyo, 2010/Seoul, 2012).

      • 증강현실용 스마트글라스의 광학모듈 설계

        김슬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착용형 스마트 글라스의 렌즈 광학계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스마트 글라스는 소형화, 경량화가 필수 조건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소스의 크기나 광학전장의 길이에 제한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선명한 이미지 해상력을 전달하여야 한다. 초기 설계는 A사의 3 piece 광학 모듈설계를 기반으로 비구면 렌즈 1 piece를 추가하였고 비구면계수와 여러 광학요소들을 최적화 설계하여 수차를 보정하였다. 소형화를 위하여 Micro-OLED 社의 0.19사이즈 초소형 디스플레이를 이미지 소스로 사용하였고 하프 미러(half-mirror)를 사용하는 combiner-type의 스마트 글라스 형태를 채택하였다. 경량화를 위하여 렌즈의 소재는 플라스틱 소재인 Zeonex 社의 E48R를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렌즈 광학계는 하프 미러 앞 5000 mm에서 609.135 mm크기의 허상을 갖고, 기존 광학계보다 변조전달함수(modular transfer function, MTF)가 약 20 ~ 25 %정도 향상된 시스템이다. RMS spot 크기는 가장 높은 field에서 0.50 ~ 0.58 정도의 낮은 크기를 보였으며, 이는 바깥쪽 이미지의 해상력을 향상시켰음을 의미한다. 왜곡수차의 경우 중심파장인 568 nm를 기준으로 모든 field에서 ±1.85 %이하의 값을 갖는 광학모듈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설계데이터는 스마트 글라스 렌즈 광학계의 이미지 해상력 향상을 위한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허상거리를 5000 mm로 설정함으로써 일반적인 시력검사 거리와 일치시켜, 스마트 글라스를 시력검사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it was aimed to design and optimize a lens-optical system of wearable smart glasses. Smart glasses has a limitation on the size of the image source that can be utilized and the length of the optical field becaus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re essential. In addition, a high image resolution must be provided to the user. Initial design was based on the optical module design with 3-pieces lenses from A Cooperation, and we added one aspherical lens on it. Aberrations were corrected by optimizing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and various elements of optical system. For miniaturization, a 0.19 display of Micro-OLED Company was used as the image source, and a combiner-type optical system using a half-mirror was adopted. For weight reduction, E48R plastic material from Zeonex Co. was adopted as lens materials. In the final lens-optical system, there exists a virtual image of 609.135 mm dimension at 5,000 mm distance in front of the half mirror. Its modular transfer function (MTF) is improved by about 20 ~ 25 % compared to the optical module design from A Cooperation. Root mean square (RMS) spot size is 0.50 ~ 0.58 in the highest field, which means that the resolution is improved in the outer space of images. Distortion decreases to ±1.85 % or less in all fields at central wavelength (568 nm). The lens system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enhancement of the image resolution of smart-glasses lens-systems. Besides, the designed virtual image distance, 5000 mm, is same to the test distance for visual acuity, so that our smart glasses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smart device for visual acuity assessment.

      •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은/는' 교육 방법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을 중심으로

        김슬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지속적인 오류 문법으로 지적되는 조사 ‘은/는’의 교육을 위해 메타언어 인지가 가능한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조사 ‘은/는’의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조사 ‘은/는’의 사전 기술 방식을 내국인을 위한 규범사전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사 ‘은/는’의 의미를 ‘화제’, ‘대조’, ‘강조’로 정리할 수 있었다. 사전 기술을 통해 조사 ‘은/는’을 의미를 파악한 후에는 교육 방안의 기초가 되는 문제중심학습의 개념과 특징 및 절차를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을 기반으로 한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특히 본고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문법 교육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3장에서는 조사 ‘은/는’의 교육 현황과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 출판의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 5종을 초급과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초급에서는 주로 ‘은/는’의 ‘화제’의 의미를 중심으로 명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중급과 고급에서는 ‘은/는’을 다른 문법과 함께 문형으로 나타내거나 비명시적으로 나타내며 이때 ‘대조’와 ‘강조’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후 한국어교육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여 조사 ‘은/는’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교사 인터뷰를 통해 초급에서는 ‘은/는’의 다양한 의미를 교육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학습자가 ‘은/는’ 학습 시 가장 어려워하고 많이 일으키는 오류로 조사 ‘이/가’와의 구별과 ‘은/는’을 사용하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은/는’ 사용 양상 파악을 위해 학습자 말뭉치를 살펴본 결과 오류 양상 중 대치 오류가 절반이 넘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가’와의 대치 오류가 높은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누락의 오류 또한 약 30% 정도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메타언어 인지가 가능한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고에서는 교수자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 방식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주체적인 학습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을 교육 방안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급에서 가르치지 않는 ‘대조’와 ‘강조’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사 ‘이/가’와의 구별과 ‘은/는’의 누락을 문제 요소로 보았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 제시를 위해 중급에서는 ‘은/는’이 가진 ‘대조’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가’와의 구별을 제시하였고, 고급에서는 ‘강조’의 의미를 중심으로 ‘은/는’의 누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도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plans for the particle ‘eun/nun,’ which has been an ongoing source of grammar errors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to target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capable of meta-linguistic cognition. For this purpose, Chapter 2 examined the ways that ‘eun/nun’ was described in dictionaries including the standard dictionary for native speakers and a Korean dictionary for foreign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s of ‘eun/nun’ were sorted out into "topics," "contrast," and "emphasis" in the dictionaries. After figuring out the meanings of ‘eun/nun’ based on its descriptions in dictionari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Problem-Based Learning(PBL), which is a basis in educational plans for the particle, and looked into the flow of researches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researches on PBL-based grammar edu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study.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education of ‘eun/nun’ and its usage patterns among learners. Trying to investigate the current education of the particle, the chapter classified fiv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universities for general purpose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found that explicit education was usually provided around the "topic" meanings of ‘eun/nun’ at the elementary level and that ‘eun/nun’ was combined with other grammatical elements or presented in an implicit manner in sentence structure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with a focus on the "contrast" and "emphasis" meanings of the particle. Then, an interview followed with teacher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o examine the current education of the particle. Their interviews show that there were limitations with teaching the diverse meanings of ‘eun/nun’ to students at the elementary level. The most difficult and frequent errors that they made with ‘eun/nun’ were the distinction of ‘eun/nun’ from ‘i/ka’ and no use of ‘eun/nun.’ Finall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orpora of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usage patterns of ‘eun/nun’ and found that the substitution error accounted for over 50% of the entire error types with the high percentage of the substitution error with ‘i/ka’ and the omission error at about 30%. Targeting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capable of meta-linguistic cognition, the study mad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which increases the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learner-centric study rather than the one-sided delivery of knowledge by instructors, in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e "contrast" and "emphasis" meanings of ‘eun/nun’ not covered at the elementary level, the study identified problematic elements including its distinction from ‘i/ka’ and its omission. Specific educational plans were made as instructional plans including its distinction from ‘i/ka’ with a focus on its "contrast" meanings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prevention of omitted ‘eun/nun’ with a focus on its "emphasis" meanings at the advanced level.

      •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like weak inducer of apoptosis (TWEAK) and fibroblast growth factor-inducible-14 (Fn14) in IgA nephropathy

        김슬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배 경: 종양괴사 인자(TNF)양 세포 사멸의 약한 유도(TWEAK)는 만성 염증 과 의 중재자로서 여겨져 왔다. TWEAK는 표적 세포의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 유도-14 (Fn14)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을 조정한다. 최근에는 TWEAK가 신장 손상의 발병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IgA 신증에 있어서 TWEAK와 Fn14의 역할을 연 구하였다. 방 법: 42 명의 조직 검사에서 입증 된 IgA 신 병증을 가진 환자와 10 명의 MGN (막성신증), 6 명의 MPGN (막증식 성 신증) 환자, 15 명의 건강한 지원자에서 소변 TWEAK (uTWEAK) 및 혈청 TWEAK (sTWEAK) 수준을 측정하였다. 혈청 TWEAK, 소변 KIM-1, 소변 NGAL을 인간 ELISA 키트로 측정 하였다. 21 명의 IgA 신증을 가진 환자들의 신생검 에서 면역 조직 화학염색 으로 TWEAK, Fn14 발현을 조사 하였다. TWEAK 및 Fn14의 발현 정도는 한 명의 병리과의사와 한 명의 신장내과 전문의에 의해 Allred 채점 시스 템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결 과: IgA 신증을 가진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소변TWEAK 수준 (61.23 ± 80.49 대 8.41 ±2.71pg/mgCr,p<0.01) 을 보였다. 두 그룹 사이의 혈청 TWEAK 수준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97.40 ± 148.91 대 393.27 ± 103.22 pg/mQ, p=O‘91). I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수준은 소변 단백질 / 크레아티닌 비율(PCR) (r= 0.347, p= 0.03)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I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수준은 크게 조직학적 등급 (p = 0.267)과 상관 관계가 없었다. TWEAK와 Fn14 발현은 대조군의 신장 조직에서 관잘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1 TWEAK 및 Fn14 는 IgA 신증 환자 의 세뇨관 세포에서 명확히 발현되었다. 혈청 TWEAK 또는 소변 TWEAK의 수준과 신장 조직의 TWEAK (p= 0.496) 또는 Fn14 (p = 0.440) 면역 염색 징수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면역 염색 점수는 단백뇨 또는 조직한 적 변화의 정도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IgA 신증 환자에서 Fn14 면역 염색 접수는 eGFR (p = 0.03)과 상당히 연관성을 보였다. IgA 신증 외에f MGN (막성신증)과 MPGN (막증식성 신증) 환자의 소번 TWEAK 수준 또한 대조군 그룹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5 vs 대조군). 그리고 소변 TWEAK 값과 소변 NGAL 또는 KIM-1과 같은 다른 바이오마 커 사이의 상관 관계를 평가 하였을 때 ,TWEAK의 혈청 수준은 혈정 NGAL 및 KIMl (p <0.01, p = 0.04 각각)과 음의 상관 관계가 있고, 소변 TWEAK는 소변 NGAL 및 KIMl (p <0.01, 모두)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결 론: lgA 신증 환자에서 소변 TWEAK 값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소변 TWEAK 수준은 뇨단백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lgA 신증 환자에서 IHC(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의해 측정한 TWEAK 와 Fn14 단백질의 발현이 신장 기능과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TWEAK와 Fn14 사이의 상호 작용이 lgA 신증의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 제안하 는 바이다. Background: Tumor necrosis factor (TNF)-like weak inducer of apoptosis (TWEAK) has been implicated as a mediator of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TWEAK functions by binding to the fibroblast growth factor-inducible-14 (Fn 14) receptor in target cell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WEAK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kidney damage.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 of TWEAK and Fn14 in IgA nephropathy (IgAN). Methods: I measured urinary TWEAK (uTWEAK) and serum TWEAK (sTWEAK) levels in 42 patients with biopsy-proven IgAN and 10 patients with MGN, 6 patients with MPGN and 15 healthy volunteers. Soluble TWEAK, urinary KIM- I and urinary NGAL were measured by a human ELISA kit. I examined TWEAK and Fn l 4 expression by IHC in 21 patients with biopsy-provεn IgAN. The expressions of TWEAK and Fn 14 werw assessed by one pathologist and one nephrologist using the Allred scoring system. Results: Patients with IgAN had higher levels of uTWEA K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61.23 ± 80.49 vs. 8.41 ± 2.71 pg/mgCr, p<0.01). The difference in the sTWEAK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97.40 士 148.91 vs 393.27 士 103.22 pg/m L, p=0.91 ). Urinary TWEAK levels in patients with IgA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rinary protein/creatinine ratio (PCR)(r=0.347, p=0.03).Urinary TWEAK levels in patients with IgA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thologic grade (p=0.267). TWEAK and Fn 14 expression were not observed in control human kidney tissues. In contrast, TWEAK and Fn 14 were clearly expressed in the tubular cells of IgAN patien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TWEAK or uTW EAK and the TWEA K (p=0.496) or Fn 14 (p=0.440) immunostaining scores. The immunostaining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proteinuria or the degree of histological change. Fnl 4 immunostaining scores in patients with IgAN did, however,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eGFR (P=0.03). Urinary TWEAK level in MGN and MPGN patie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contol group.(p<0.05 vs control). And I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uTWEAK and other biomarkers such as urinary NGAL or KIM-1. Serum level of TWEAK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NGAL and KIM l (P<0.01, P=0.04 respectively), and uTWEAK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uNGAL and KIM I (P<0.01 , both). Conclusions: Urinary TWEAK in patients with IgAN was higher than in control patients, and urinary TWEAK level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rinary PCR. Expression of TWEAK and Fn 14 protein measured by IHC in patients with IgA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nal function. I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WEAK and Fn 14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gAN.

      •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초록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인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임상시험코디네이터로 1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4일부터 10월 26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근무환경 측정을 위해 K-PES-NWI를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24문항, 직무만족은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를 수정 보완한 21문항, 조직몰입은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를 번역한 15문항, 이직의도는 이기효[39]가 개발한 도구 5문항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분석으로 Scheffe test, 각 요인 간의 관계 파악에 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96점, 영역별로는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3.27점, 연구책임자의 능력과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3.24점,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3.18점,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2.62점, 병원운영에 간호사의 참여는 2.36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26점, 영역별로는 업무요구 3.76점, 상호작용 3.70점, 전문직 수준 3.55점, 행정 3.20점, 자율성 2.68점, 보수 2.43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균 4.25점, 영역별로는 근속 4.48점, 애착 4.20점, 동일시 3.86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9점이었다. 다섯째,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근무환경은 직무만족(r=.632, p<.001), 조직몰입(r=.46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이직의도(r=-.301,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직무만족은 조직몰입(r=.64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이직의도(r=-.473,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은 이직의도(r=-.655,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807, p<.001), 모형 설명력은 54%이었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β=-0.537, p<0.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근무환경 개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증진,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중재방안이 필요하겠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의 병원 운영 및 행정에 대한 참여 기회 증가, 소속감 향상을 위한 소속기관 확립과 같은 제도적인 조치가 병원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임상시험코디네이터, 간호사,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김슬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의료조직은 인력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전체운영비 중 인건비의 비율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보건의료인력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인력을 관리 및 감독하는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간호조직은 리더십과 관리역량을 모두 갖춘 관리자가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간호관리자는 이 전과 다른 역할로 인해 괴리감을 느끼며,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간호관리자로서의 임상현장의 훈련은 불충분하므로,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두 가지의 학습 방법을 통합한 블랜디드 러닝을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용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 연구로 1단계 분석 단계에서는 국내 간호사 승진체계 및 교육 과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FSNM (Fundamental Skills for Nurse Managers) 컨텐츠의 내용분석을 시행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 설계 및 타당도 조사에서는 HLA (Healthcare Leadership Alliance) model을 기반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FSNM 내용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으로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의교육과 e-PBL (Problem Based Learning)을 혼합한 블랜디드 러닝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 15인과 사용자 집단 15인을 대상에게 내용타당도 평가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적용 및 평가 단계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개발된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을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실험군 22명, 대조군 20명의 종합병원 3~5년차 간호사를 대상으로 5주간 적용하여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비판적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단계 경력간호사를 위한 간호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는 소수에 불과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종합병원의 실태조사, 국내·외 문헌의 체계적 고찰, FSNM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간호관리역량 강화 관련 핵심개념을 도출하였다. 2) 2단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택된 최종 12편의 문헌과 FSNM 내용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HLA model의 5개 하위영역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에서 필요한 사례를 개발하였으며, 주차 별 학습목표, 학습내용, 시간, 진행방법 등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 검증하였다. 이에 전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 모두 CVI .8 이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3단계 간호관리역량 강화 하이업(High-Up)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판적사고 성향은 일부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중재 연구에서는 간호관리역량만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점을 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컨텐츠 주제를 선정하는데 있어 HLA model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체계적 문헌고찰과 FSNM의 강의 내용을 간호관리역량에 따라 분석하였다. 근거에 기반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신종 감염병 코로나19로 온라인 원격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학습 성과,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등의 문제제기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효과적·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와 검토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2가지 교육방법 혼용하여 각 교육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팀 학습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간호사를 위한 비대면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문제중심학습 사례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간호관리역량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이후 간호리더로서 조직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온·오프라인 직무교육에 모두 활용할 수 있어 간호실무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이다. Medical organizations require a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ince their service is served by the people working there and their labor cost takes up about 50% of total operation cost. Accordingly, the role of supervisors managing and monitoring nursing staff who take up the biggest weight amongst medical service workforce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nursing organizations are in need of having managers whose leadership and management competency is excellent. A new nursing manager would feel a sense of gab for a different role from previous roles and experience anxiety and stress. However, insufficient clinical site training as a nursing manager constitutes the necessity for the education program in this area. Consequently, this research tried to assess the effect of High-up program which is a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two learning methods as teaching metho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has 3 steps. In the 1st step of 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promotion system and education courses for domestic nurses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Through contents analysis for FSNM (Fundamental Skills for Nurse Managers), the el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are extracted. In the 2nd step of the analysis on the program design and the validity,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has been designed by applying the contents derived from systematic review and the contents analysis for FSNM based on HLA (Healthcare Leadership Alliance) model. The program built in the form of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online lecture educations and e-PBL (Problem Based Learning), its contents validity was assessed by a group of 15 professionals and a group of 15 users. The last 3rd step is for applying and evaluatio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developed through contents validity test was evaluated after applying program for 5weeks to 22 nurse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nurses as a control group in their 3rd to 5th year in the general hospital,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terms of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result summarized is as below. 1) 1st step Although the few subjects has been researched on the enhancement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for experienced nurses, this research derived the core notion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general hospitals, systematic review for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and contents analysis for FSNM. 2) 2nd step The program has been designed based on HLA model with the contents derived from 12 papers selected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the result of the contents analysis for FSNM. The examples that problem-based learning needs have been developed and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building learning goals for each week, learning contents, time, and the method for progress. For this, both professional group and user group determined with above CVI .8 tha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s valid. 3) 3rd step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enhancement High-Up program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However, critical thinking tendenc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some points in time. Arbitrational researches which has been conducted until now have their limitation on just reflecting the unique properties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Program contents subject was selected based on HLA model, and systematic review and the lecture contents of FSNM was analyzed along with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ing an arbitration program based on reasoning is meaningful. As onlin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activates due to COVID-19, a lot of problem arising in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so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reviewed.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make two kinds of different education method mutually complement the respective shortcomings by using them, and utilize team learning method to draw the participations of learne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will become another base stone for the future researches on developing non face-to-face arbitration programs and testing them for the nurses in the post era of COVID-19. It is regard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for nursing leaders to induce the positive changes for organizations in the respect of having tried to lead practical understanding o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the cases on problem-based learning in this research. The developed program would have high contribution on the practical area of nursing since it can be used both for online and offline job training for nurses.

      • 놀이치료자 경력에 따른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슬기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경력에 따른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소재의 상담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23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놀이치료 경력에 따른 매개효과을 검증하기 위하여 Berry(1970)의 연구에 근거하여 놀이치료 경력 3년 이하를 초심자 집단으로, 놀이치료 경력 4년 이상을 경력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 경력에 따른 발달수준, 마음챙김, 작업동맹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초심자 집단과 경력자 집단에서 각 변인 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발달수준은 마음챙김을 부분매개하여 작업동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 발달수준이 마음챙김을 매개하여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놀이치료자 경력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발달수준과 마음챙김 경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치료자 발달수준과 마음챙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놀이치료자 경력에 따른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levels and the working alliance according to career in a play therapis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237 play therapist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5.0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career in a play therapist, development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mindfulness. And mindful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orking alliance. Also development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orking allia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 development level and work alliance, the development level was found to explain the work alliance in a meaningful way by partially mediating mindfulness.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mindfulness according to career in a play therapist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development level and the path of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lay therapist development level and mindfulness that affect work alliance, and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mindfulness in relation to work alliance with the level of development according to career in a play therapist.

      • (The)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김슬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research investigates and describes the effect of family soci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based on James Coleman’s notion of social capital. Using the wave 2 to wave 6 dataset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study examines how parental presence, as well as their interests, encouragement, and care on children, affect children's development pertaining to education. Quantitative analysis with random effect panel modelling is used as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ent-child discussion, monitoring, direct involvement and educational expectation as of family social capital are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while family structure, maternal working 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PTO do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Family social capital is more influenti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socio-economic resources and teach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a parent education programme for multicultural parents to cope with the different demands of multicultural children by their school grades. Not only providing the number of new programmes for multicultural parents, but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schools encourage multicultural parents to participate in more school events 한국의 다문화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가 학령기 인구에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 자녀는 비다문화가정 자녀보다 학업성취가 상대적으로 낮은 실상이다. 학업성취가 직업과 미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다문화가정 자녀의 낮은 학업성취는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요인들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부모-자녀 사이의 관계와 친밀감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학업에도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 사회자본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제한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차에서 6차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 내 사회자본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가족 내 사회자본의 세부변수로 가족구조(Family Structure), 어머니의 취업 여부(Maternal working)와 같은 구조적 요소뿐 아니라 부모님과의 대화(Parent-child discussion), 부모 감독(Monitoring), 교육적 참여(Direct involvement), 학부모 활동 참여(Parental participation in PTO), 교육적 기대(Educational expectation)와 같은 과정적 요소를 포함하여 종합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 내 사회자본 중 부모님과의 대화, 부모 감독, 교육적 참여, 교육적 기대는 다문화 자녀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가족구조, 어머니의 취업 여부 그리고 학부모 활동 참여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아버지의 학력, 선생님의 지지와 관계가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가정소득과 어머니의 학력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부모님의 자녀에 대한 사랑과 관심 그리고 지지는 가정의 경제적 지위나 학교에서의 지원보다 다문화 자녀의 학업성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초등학생뿐 아니라 중학교에 진학한 후에도 그 영향력이 지속함을 확인했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부모님을 대상으로 한 자녀 관계 개선, 학업 정보와 관련된 교육 멘토링과 영유아에 집중된 지원을 고학년으로 확대하여 자녀 학년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필요하며, 학교 차원에서 다문화가정 부모님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육 참여 독력에 대한 필요성이 시사된다.

      • 스캠퍼(SCAMPER)기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극 만들기

        김슬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 기법 중에 하나인 스캠퍼(SCAMPER)기법을 적용하여 음악극을 학생들이 만들 수 있도록 총 7차시로 제안하였으며 음악극 만들기에 적용된 스캠퍼 기법을 실생활에서 활용하여 창의적 사고를 습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스캠퍼 기법은 7가지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아이디어를 창출시키는 것으로 창의적 아이디어의 출발점과 착안점을 정해 항목별로 생각하여 학생들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얻는데 도움을 주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다른 영역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1차시에는 음악극에 대한 이해를 학습목표로 하고 있으며 2차시부터 스캠퍼 기법에 대한 개념과 음악극과 연계한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3차시부터 7차시까지는 음악극을 만드는 과정 안에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하여 사고의 확장을 돕고 반복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음악 수업이 음악성을 함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더불어 다른 사람에게 하나의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소통으로의 의미도 가진다. 음악극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러한 것들을 배우고 음악이 주는 즐거움을 느껴 생활화에 기여하고 창작의 기쁨을 통하여 자신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